KR100877421B1 -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421B1
KR100877421B1 KR1020080037428A KR20080037428A KR100877421B1 KR 100877421 B1 KR100877421 B1 KR 100877421B1 KR 1020080037428 A KR1020080037428 A KR 1020080037428A KR 20080037428 A KR20080037428 A KR 20080037428A KR 100877421 B1 KR100877421 B1 KR 10087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seawater
steriliz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753A (ko
Inventor
문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8003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4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내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해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여 보다 깨끗하며 용존 산소량이 높은 해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를 구성하되, 수조 내의 해수(W)를 장치(1)로 유입하는 유입관(3)상에 설치된 벤투리 인젝터(8)와 연통되게 설치된 공기유입호스(8a)에 공기의 유입량을 측정 및 조절할 수 있는 플로우메타(20)를 설치하고, 장치(1)의 본체(2) 내부에서 하부로 연통공(5a)이 형성된 격판(5)에 의해서 양분된 제1저수조(6)와 제2저수조(7) 중 상기 제1저수조(6)의 내부에 접선방향으로 유입관(3)의 단부가 연통 설치된 원통형 와류발생관(40)을 설치하며, 제2저수조(7)의 내부에 AOP살균램프(10) 또는 여과기(70)를 각각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병설하며, 제1저수조(6) 내의 와류발생관(40) 상부에 포말분리관(60)과 토출구(50)를 이물질을 배출하는 토출관(9)과 연통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수(W)에 용존 산소량을 높이고, 각종 이물질, 유해한 세균, 악취 등을 제거하면서 제1저수조(6)에서의 해수(W) 체류시간을 보다 연장하며 여과기(70)로 재차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수효율을 보다 극대화하고, 플로우메타(20)로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확인 및 조절하여 장치(1)의 성능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벤투리 인젝터, AOP살균램프, 플로우메타, 와류발생관, 토출구, 포말분리관, 여과기, 여과제

Description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A clean water and sterilization device of the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 내부에 외부공기를 해수와 동시에 유입시켜 해수 내의 단백질 및 고형물을 기포에 흡착시켜서 외부로 분리하는 포말(泡沫)분리방법에 의해서 제거하고, 장치 내부에 설치된 살균램프에 의해서 해수 내의 각종 유해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여 보다 깨끗하며 용존 산소량이 높은 해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활어를 취급, 운반 및 보관하는 수조에는 해수를 바로 공급하여 보다 싱싱하고 생명력 있는 활어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수조 내의 해수는 활어의 호흡 및 배설물에 의해 질소, 인 등이 발생하여 부영양화 등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각종 유해세균이 크게 늘어나서 활어의 폐사와 질병의 원인이 되므로 물갈이를 자주 해주어야 하고, 수조 내 물벼룩, 이끼, 곰팡이 등이 많이 발생하며, 해수에서 해금내(펄(=개흙)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는 해수를 순환시키면서 해수 내에 공기 중의 산소를 벤투리관(venturi-tube)을 이용해서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높이고, 유입되는 해수와 산소의 유입압력에 의해 해수 내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거나, 해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서 해수를 폭기(曝氣)시켜서 이물질을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토록 하였으나, 이는 이물질의 제거 시 단순히 이물질과 유입되는 산소에 의한 기포를 흡착시켜 해수와 산소의 유입 압력만으로 분출시켜 기포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띄워서 배출하므로 기포에 이물질이 제대로 흡착이 되기도 전에 부력에 의한 기포의 부양으로 해수 내의 이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기에는 미흡하였고, 자중에 의하여 하부 바닥에 침전되는 이물질은 그대로 수조 내로 순환되어 정수효율이 낮았으며, 해수 내의 이물질은 그러한 대로 제거할 수 있었으나 각종 유해한 세균이나 박테리아 및 상기 해금내 등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었는바, 이에 상기 유해한 세균이나 박테리아 및 해금내 등을 없애기 위하여 상기한 방식과 더불어 장치 내부에 각종 살균등을 설치하여 해수를 살균등에 의해 살균하여 수조 내로 다시 순환되도록 하고 있었으나, 이 또한 살균등에 의한 해수의 살균 시 해수의 양이 많으면 살균력이 낮아지게 되어 살균등을 여러 개 설치해야하는 문제로 인하여 제반비용의 증가로 이어져 살균 및 정수장치의 제조단가의 앙등으로 물품의 대외 경쟁력이 하락하게 되며, 전처리에서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살균등에 의해 살균이 되더라도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로서 무의미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였던 것이다.
근자에 들어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제404012호(공고 2005년 12월 15일자)로 선 등록 받은바 있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에서 해수와 기포가 상향으로 소용돌이치도록 단부가 상부로 경사지며 전후 일측으로 경사지게 유입관을 설치하여 상기 소용돌이에 의해서 기포에 이물질의 흡착을 향상시키면서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선 등록 실용신안의 경우 장치의 이물질의 제거 성능을 배가시켜 정수효율을 월등히 향상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성능이나 상태를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조기에 장치의 고장이나 성능 저하 등을 알지 못하므로 사후에 막대한 수리비 내지 부품 등의 교체비용이 들어가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종래 포말분리방법(기포에 이물질을 흡착시켜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만으로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정수장치의 성능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고, 해수 내의 이물질을 보다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 해수의 정수효율을 배가시켜 수조로 보다 깨끗한 해수의 재공급이 가능토록 함과 더불어 정수장치에 해수를 공급해주는 펌프의 상태와 정수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확인 및 조절토록 함으로써, 펌프 및 정수장치의 성능과 상태를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조 내의 해수를 장치로 유입하는 유입관상에 벤투리 인젝터(venturi injector)가 설치되고, 장치의 본체 내부에 하부로 연통공이 형성된 격판에 의해서 양분된 제1저수조와 제2저수조를 설치된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벤투리 인젝터와 연통되게 설치된 공기유입호스에는 공기의 유입량을 측정 및 조절할 수 있는 플로우메타(flowmeter)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저수조의 내부에는 접선방향으로 유입관의 토출 단부가 연통 설치된 원통형 와류발생관을 설치하며, 제2저수조의 내부에는 자외선파장과 오존 생성파장이 동시에 발생되는 AOP살균램프와, 얇은 합성수지를 전후로 굽히고 이를 나선모양으로 꼬아서 제조한 여과제(일명 '후지노-스파이럴(fujino-spiral)'이라 함)가 가득 내입된 여과기 중 하나를 단독으로 택일하여 설치하거나 병설(竝設)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해수에 용존 산소량을 높이면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AOP살균램프에 의한 자외선과 오존으로 해수 내의 유해한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며, 해수에서 발생되는 해금내 등의 악취를 제거하며, 전체적으로 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활어의 폐사나 질병을 예방하므로 활어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항상 싱싱한 활어를 제공하여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어 제품의 차별화에 의한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저수조에서의 해수 체류시간을 보다 연장하고, 여과기에 의해 재차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정수효율을 보다 극대화하여 해수 내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플로우메타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확인 및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해수의 유입량이나 유입 압력, 또는 정수효율을 실험치로 파악할 수 있어서 평소 육안으로 플로우메타를 확인하여 장치의 성능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사전에 장치의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져서 수리비 등을 절감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세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례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평단면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활어용 수조(도시치 아니함) 내의 해수(W)를 순환시켜 살균 및 정수하는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의 본체(2) 상측으로는 펌프(3a)에 의해 수조 내의 해수(W)를 유입하고 유량제어밸브(3b)에 의해 해수(W)의 유량이 제어되는 유입관(3)이 설치되고, 본체(2) 일측으로는 수조에 연결되어 정수된 해수(W)가 배출되도록 배출관(4)이 설치되며, 본체(2) 내측 좌우로는 하부에 좌우로 연통되는 연통공(5a)을 형성한 격판(5)에 의해서 양분된 제1저수조(6)와 제2저수조(7)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 내측의 유입관(3)상에는 해수(W) 내로 산소를 공급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된 벤투리 인젝터(8)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저수조(6)의 상부에는 해수(W) 내의 각종 이물질 등이 기포에 흡착되어 부력에 의해서 상승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관(9)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저수조(7)의 내측에는 방전램프의 일종으로 자외선파장(253.7㎚)과 오존 생성파장(184.9㎚)이 동시에 발생되는 AOP살균램프(10)가 상하로 입설(立設)되며, 제2저수조(7)의 상부 일측으로는 상기 배출관(4)이 연통 설치되며, 제2저수조(7)의 하부 일측으로는 제2저수조(7) 내부의 해수(W)를 배수시키기 위해 외측으로 탈착 가능한 덮개(7b)를 형성한 배수구(7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투리 인젝터(8)에 공기유입호스(8a)를 연결 설치할 시 벤투리 인젝터(8)와 공기유입호스(8a) 사이에 플로우메타(20)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입호스(8a)를 본체(2) 일측에 고정 설치된 플로우메타(20)에 연결 설치 하고, 상기 플로우메타(20)와 벤투리 인젝터(8)를 해수(W)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구성된 공기이송호스(30)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공기이송호스(30)는 장치(1)의 최초 작동 시 펌프(3a)에 의해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해수(W)가 벤투리 인젝터(8)에서 공기이송호스(30)로 역류하여 플로우메타(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이송호스(30)를 하부의 제2저수조(7) 측으로 길게 늘어뜨려 구성한 것이며, 상기 플로우메타(20)는 도 5에서와 같이 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볼(21)이 승강하며 하부의 조절노브(22)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기유입호스(8a)의 단부에는 하루살이 등의 각종 벌레가 유입되어 플로우메타(2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만 유입되고 벌레 등은 걸러주는 걸름수단(31)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저수조(6) 내측 하부에는 원통형의 와류발생관(40)을 상하로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와류발생관(40)의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제1저수조(6)의 내측으로 설치된 유입관(3)의 단부를 내부로 관통되게 연결 설치하여 해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와류발생관(40)의 내부 접선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평면적으로 소용돌이가 발생되도록 하며, 이는 본 발명자의 선 등록 실용신안의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유입관의 단부 구성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유입관(3) 단부는 상향 경사지지 않아 해수(W)의 체류시간을 보다 늘일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와류발생관(40)의 내측 하부 가운데에 해수(W)의 소용돌이를 보다 원활하게 일으키도록 와류유도관(41)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저수조(6)의 상부에 설치된 토출관(9)의 단부에는 하부가 넓은 깔때 기 형상의 토출구(50)를 구성하여 기포와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효율을 배가시키고, 상기 토출구(50)의 하부에는 토출구(50)와 일체로 형성된 하향 직관형상의 포말분리관(60)을 설치하며, 상기 포말분리관(60)의 하측 단부는 와류발생관(40)의 상측 단부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포말분리관(60)의 하측 단부는 차단판(61)에 의해 제1저수조(6)에 고정 설치하므로 차단판(61)에 의해 제1저수조(6) 내부 전체에 해수(W)가 유입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1)를 구성할 시 플로우메타(20) 및 공기이송호스(30)와, 포말분리관(60)은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플로우메타(20) 및 공기이송호스(30)를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토출구(50) 하부로 포말분리관(60)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도 3a에서와 같이 유입관(3)의 벤투리 인젝터(8)에 공기이송호스(30)를 사용하여 플로우메타(20)를 연통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토출구(50) 하부에 포말분리관(60)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3b에서와 같이 플로우메타(20) 및 공기이송호스(30) 없이 벤투리 인젝터(8)에 공기유입호스(8a)를 바로 연결 설치하고 토출구(50)의 하부에 포말분리관(60)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제2저수조(7)의 내측에 상기한 AOP살균램프(10)와 함께 별도의 여과기(70)를 병설한 것으로서, 상기 여과기(70)는 격판(5) 하부의 연통공(5a)과 AOP살균램프(1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저수조(6)의 와류발생관(40)과 포말분리관(60)에서 1차 정수된 해수(W)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재차 여과시켜 정수효율을 극대화시킨 다음 AOP살균램프(10)가 입설된 제2저수조(7)로 해수(W)를 유입시키므로 살균효율 또한 배가시키도록 한 것이며, 상기 여과기(70)는 제2저수조(7) 내측에서 AOP살균램프(10)의 좌측(도 6 참조)이나 하측(도 7 참조)에 설치하고, 그 구성은 얇은 합성수지를 전후로 굽히고 이를 전체가 나선모양으로 형성되도록 꼬아서 제조한 여과제(일명 '후지노-스파이럴(fuchino-spiral)'이라 함;71)를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본체(2)에 고정 설치된 상부 걸름판(72)과 하부 걸름판(73) 사이에 가득 차게 내입 구성한 것이며, 필요에 의해서는 제2저수조(7)의 내측에 도 8에서와 같이 AOP살균램프(10) 없이 여과기(70)만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여과기(70)의 상부 걸름판(72)과 하부 걸름판(73)은 도 9a 내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에 여과제(71)가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로 협소한 장공(74)을 각각 수개 형성하고, 상부 걸름판(72)의 가운데에는 관통공(75)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관통공(75)에는 제2저수조(7)의 상부를 거쳐 본체(2) 상부로 연장되는 여과제출입관(76)을 연결 구성하고, 여과제출입관(76)의 상단에는 탈착 가능한 덮개(77)를 결합 구성하여 해수(W)의 이물질에 의해서 여과제(71)의 오손이 심할 경우 여과제(71)를 외부로 꺼내어 세척 및 보충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장공(74)을 대신하여 판상에 수개의 원형공을 촘촘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여과기(70)의 상부에 AOP살균램프(10)가 설치될 경우에 상기 덮개(77)가 결합 구성된 여과제출입관(76)은 상부 걸름판(72)에 설치할 공간이 없으므로 제2저수조(7)의 측면으로 위치토록 본체(2)에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과제출입관(76)은 여과기(70) 내부와 본체(2) 외측으로 관통되게만 설치하면 되 며, 이때 상부 걸름판(72)에는 관통공(75)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AOP살균램프(10)는 상부로 전원스위치나 안정기 등이 설치된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한 것으로 별도의 도면은 도시치 아니하고, AOP살균램프(10)가 설치되는 제2저수조(7) 내벽에 AOP살균램프(1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을 반사시켜 살균효율을 높이도록 고광택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316L)시트(10a)를 부착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수(W)는 활어의 종류와 서식지에 따라 담수 또는 수돗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 중의 미 설명부호 2a는 본체(2) 상부의 덮개, 2b는 본체(2) 내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관(3), 토출관(9), AOP살균램프(10) 및 여과제출입관(76)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살균 및 정수 작용을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펌프(3a)를 가동시켜서 수조 내의 해수(W)를 유입관(3)을 통해 장치(1) 내부로 유입시켜서 정수 및 살균되도록 한 것으로서, 해수(W)의 유입량은 살균 및 정수처리 용량과 해수(W)의 혼탁도에 따라 유입관(3)상에 설치된 유량제어밸브(3b)를 조작하여 제어하되, 본체(2) 내부에 저수되는 해수(W)의 수위를 확인해 가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3b)를 조작하여 유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각종 이물질이나 유해 세균 등이 포함된 해수(W)를 유입관(3)을 통해서 장치(1) 내부로 유입시켜 벤투리 인젝터(8)를 통과하게 되면 공기유입호스(8a)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유입관(3) 내의 해수(W)로 유입되고, 공기 중의 산소가 해수(W) 에 용해되면서 용존 산소량을 늘리면서 제1저수조(6) 내측 하부에 설치된 원통형 와류발생관(40)의 접선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한 유입관(3)의 단부에서 해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해수(W)와 공기에 의한 기포를 분출시키게 되며, 상기 해수(W)와 기포는 원통형 와류발생관(40)의 내벽을 타고 평면적으로 소용돌이치면서 분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해수(W) 내의 단백질 및 고형물 등의 이물질이 기포의 정전기현상에 의해 기포에 흡착되고, 기포와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은 기포의 부력에 의해서 와류발생관(40)에서 포말분리관(60) 상부로 올라가게 되며, 상기 와류발생관(40)과 포말분리관(60) 내에서 소용돌이에 의한 구심력(求心力)이 작용하여 기포와 이물질이 가운데로 모이면서 상승하게 되어 포말분리관(60) 상부의 토출구(50)를 통해 토출관(9)으로 배출되므로 해수(W)의 정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a와 같이 포말분리관(60)이 없는 구성일 때는 기포와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은 기포의 부력에 의해서 와류발생관(40)에서 제1저수조(6) 상부로 올라가서 토출구(50)를 통해 토출관(9)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구(50)는 하부가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소용돌이에 의한 구심력과 기포의 부력에 의해서 기포와 이물질이 가운데로 모이면서 토출구(50)의 사면을 타고 상승하므로 토출관(9)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의 배출효율을 월등하게 배가시키게 되고, 유입관(3)의 단부를 와류발생관(40)의 접선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하여 해수(W)의 분출 시 소용돌이가 평면적으로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포말분리관(60) 또는 제1저수조(6)에서의 해수(W) 체류시간을 보다 늘일 수 있어서 본 발명자의 선 등록 실용신안에 비해 기포에 보다 오랜 시간동안 월등하게 많은 양의 이물질을 흡 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벤투리 인젝터(8)에 연결된 공기유입호스(8a)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할 시 플로우메타(20)에서 볼(21)의 승강에 따른 공기의 유입량(단위 ℓ/min)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를 해수(W)의 유입량(유량제어밸브(3b)의 개폐정도에 따른 유입량)이나 유입 압력(펌프(3a)의 토출압력 및 유량제어밸브(3b)의 개폐정도에 따른 유입량에 의한 압력)에 따라 공기 유입량의 수치를 실험적으로 데이터화함으로써, 해수(W)의 유입량과 압력에 따른 실험치에 의해서 상기 펌프(3a)나 장치(1)의 성능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1)의 정수효율도 실험치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플로우메타(20)에 의하여 장치(1)의 점검이 이루어져 사전에 수리 및 청소 등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의 유입량이 플로우메타(20)에 설치된 조절노브(22)를 조작하여 조절되므로 해수(W)의 혼탁한 정도에 따라 해수(W)의 용존 산소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플로우메타(20)와 벤투리 인젝터(8)를 제2저수조(7) 측 등의 하부로 길게 늘어뜨려 구성된 공기이송호스(30)로 연결 구성하여 장치(1)의 최초 작동 시 펌프(3a)에 의해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해수(W)가 벤투리 인젝터(8)에서 플로우메타(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유입호스(8a)의 단부에 망(網)체 구성의 걸름수단(31)을 설치하여 각종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플로우메타(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플로우메타(20)가 도 3b와 같이 장치(1)에 설치되지 않으면 해수(W)의 역류에 의한 오작동의 염려가 필요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벤투리 인젝터(8)와 플로우메타(20)를 연결하는 별도의 공기이송호 스(30) 역시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벤투리 인젝터(8)에 공기유입호스(8a)를 바로 연통되게 설치하여 걸름수단(31)에 의해서 걸러진 공기를 벤투리 인젝터(8) 내부로 유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저수조(6) 내측의 와류발생관(40)과 포말분리관(60)에서 소용돌이와 부력에 의해서 이물질을 토출관(9)으로 배출시켜 1차로 정수된 해수(W)는 격판(5) 하부의 연통공(5a)을 통해서 제2저수조(7)로 공급되는바, 제1저수조(6)에서 1차 정수된 해수(W)는 AOP살균램프(10)로 바로 살균처리 하거나, 여과기(70)를 거쳐 2차로 정수 한 후 AOP살균램프(10)로 살균처리 하거나, AOP살균램프(10)에 의한 살균처리 없이 여과기(70)에 의해 2차 정수만을 거친 후 배출관(4)을 통해서 다시 활어용 수조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3b에서와 같이 제2저수조(7)에 AOP살균램프(10)만 설치하여 해수(W)를 살균할 경우 상기 AOP살균램프(10)는 자외선파장(253.7㎚)과 오존 생성파장(184.9㎚)이 동시에 발생하여 오존 생성파장에 의해 해수(W) 내에 생성된 오존과 AOP살균램프(1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이중으로 살균처리 되며, 제2저수조(7) 내면에 부착 구성된 고광택스테인리스시트(10a)에서 잔여 자외선을 반사시켜 재차 살균처리 됨으로써, 살균효율이 월등하게 상승되어 해수(W)의 해금내 등의 악취제거 및 유해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제2저수조(7)에 여과기(70)와 AOP살균램프(10)를 병설할 경우 제1저수조(6)의 와류발생관(40)과 포말분리관(60)에서 1차 정수 시 기포에 흡착되지 못하고 하부로 가라앉아서 연통공(5a)을 통해 제2저수조(7)로 공급 된 해수(W) 내의 잔여 이물질은 여과기(70)의 여과제(71)에 흡착되어 재차 제거되므로 해수(W) 내의 이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와 같이 AOP살균램프(10)에 의해서 살균처리 된 다음 배출관(4)을 통해서 수조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며, 도 8과 같이 제2저수조(7)에 여과기(70)만을 설치할 경우에는 해수(W) 내의 이물질을 기포에 흡착시켜 토출관(9)으로 배출시키는 1차 정수와 여과기(70)의 여과제(71)에서 흡착시켜 2차 정수하는 2단계 정수 작용만을 거쳐서 수조로 재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여과기(70)에서의 정수 작용을 살펴보면 연통공(5a)을 통과한 해수(W)가 하부 걸름판(73)의 장공(74)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W)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얇은 합성수지를 전후로 굽히고 이를 전체가 나선모양으로 형성되도록 꼬아서 제조한 여과제(71)의 표면에 흡착되어 정수가 이루어지고, 이후 상부 걸름판(72)의 장공(74)을 통해서 제2저수조(7)로 배출된 다음 AOP살균램프(10)에 의해 살균처리 된 후 배출관(4)으로 배출되거나 AOP살균램프(10)가 없을 시 배출관(4)으로 바로 배출이 되는 것이며, 상기 여과제(71)에 이물질이 많이 흡착되면 상부 걸름판(72)에 설치된 여과제출입관(76)의 덮개(77)를 개방하여 여과제출입관(76)을 통해 여과제(71)를 꺼내어 세척한 후 다시 상부 걸름판(72)과 하부 걸름판(73) 사이에 재공급하거나 보충하여 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정수와 살균, 1차 및 2차 정수와 살균, 1차 및 2차 정수 작용이 이루어지는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의 작용을 통해서 수조 내의 해수(W)를 정수 또는 살균하는 것으로 이를 연속적으로 반복 시행하여 해수(W)의 용존 산소량을 높이면서 각종 이물질을 정화하고, 유해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며, 해금내 등의 악취를 제거하여 활어용 수조 내로 재공급함으로써, 활어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항상 싱싱한 활어를 제공하여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신뢰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관(40)의 내측 하부에 와류유도관(41)을 설치하면 와류발생관(40)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유입관(3)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해수(W)의 소용돌이가 보다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입관(3)의 유량제어밸브(3b)를 폐쇄하고, 제1저수조(6) 상부의 토출관(9)을 토출구(50)에서 분리하여 제1저수조(6)의 상부를 개방하고, 제2저수조(7)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7a)의 덮개(7b)를 개방하고 AOP살균램프(10)를 분리시켜 제2저수조(7)를 개방토록 함으로써, 장치(1) 내에 잔류하는 해수(W)를 방출시키면서 손이나 별도의 청소도구를 삽입하여 본체(2) 내측의 물때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1)의 정수 및 살균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일부 분리 및 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의 다른 실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플로우메타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제2저수조 내측에 AOP살균램프와 여과기를 병설한 제1실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제2저수조 내측에 AOP살균램프와 여과기를 병설한 제2실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중 제2저수조 내측에 여과기만 설치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 중 여과기의 상, 하부 걸름판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W:해수
1:(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2:본체
3:유입관 3a:펌프
3b:유량제어밸브 4:배출관
5, 5':격판, 제2격판 5a, 5a':연통공, 제2연통공
6:제1저수조 7:제2저수조
7a:배수구 7b:덮개
8:벤투리 인젝터(venturi injector) 8a:공기유입호스
9:토출관 10:AOP살균램프
20:플로우메타(flowmeter) 21:볼
22:조절노브 30:공기이송호스
31:걸름수단 40:와류발생관
41:와류유도관 50:토출구
60:포말분리관 61:차단판
70:여과기 71:여과제
72:상부 걸름판 73:하부 걸름판
74:장공 75:관통공
76:여과제출입관 77:덮개

Claims (8)

  1. 본체(2) 상측으로 유입관(3)이 설치되고, 본체(2) 내측에 하부로 연통공(5a)을 형성한 격판(5)에 의해서 좌우로 양분된 제1저수조(6)와 제2저수조(7)가 형성되며, 유입관(3)상에 해수(W)내로 산소를 공급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된 벤투리 인젝터(8)가 설치되며, 제1저수조(6)의 상부에 각종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관(9)이 설치되며, 제2저수조(7)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관(4)이 연통 설치된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는
    상기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볼(21)이 승강하며 하부에 설치된 조절노브(22)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2) 일측에 고정 설치된 플로우메타(20)와,
    상기 벤투리 인젝터(8)에서 플로우메타(20)로 해수(W)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부로 길게 늘어뜨려 구성되며, 양단이 벤투리 인젝터(8)와 플로우메타(20)에 각각 연결 설치된 공기이송호스(30)와,
    상기 유입관(3)의 단부가 내부 접선방향으로 관통되게 연결 설치되어 해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토출 시 평면적으로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해수(W)의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제1저수조(6) 내측 하부에 상하로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의 와류발생관(40)과,
    상기 제1저수조(6)의 상부의 토출관(9) 단부에 기포와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부가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 토출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2. 본체(2) 상측으로 유입관(3)이 설치되고, 본체(2) 내측에 하부로 연통공(5a)을 형성한 격판(5)에 의해서 좌우로 양분된 제1저수조(6)와 제2저수조(7)가 형성되며, 유입관(3)상에 해수(W)내로 산소를 공급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된 벤투리 인젝터(8)가 설치되며, 제1저수조(6)의 상부에 각종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관(9)이 설치되며, 제2저수조(7)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관(4)이 연통 설치된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는
    상기 유입관(3)의 단부가 내부 접선방향으로 관통되게 연결 설치되어 해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토출 시 평면적으로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해수(W)의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제1저수조(6) 내측 하부에 상하로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의 와류발생관(40)과,
    상기 제1저수조(6)의 상부의 토출관(9) 단부에 기포와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부가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 토출구(50)와,
    상기 토출구(5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 단부가 와류발생관(40)의 상측 단부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저수조(6)에 해수(W)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판(61)에 의해 고정 설치된 직관형상의 포말분리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3. 본체(2) 상측으로 유입관(3)이 설치되고, 본체(2) 내측에 하부로 연통공(5a)을 형성한 격판(5)에 의해서 좌우로 양분된 제1저수조(6)와 제2저수조(7)가 형성되며, 유입관(3)상에 해수(W)내로 산소를 공급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된 벤투리 인젝터(8)가 설치되며, 제1저수조(6)의 상부에 각종 기포에 흡착된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관(9)이 설치되며, 제2저수조(7)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관(4)이 연통 설치된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해수(W)의 살균 및 정수장치(1)는
    상기 공기유입호스(8a)가 연결되어 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볼(21)이 승강하며 하부에 설치된 조절노브(22)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2) 일측에 고정 설치된 플로우메타(20)와,
    상기 벤투리 인젝터(8)에서 플로우메타(20)로 해수(W)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부로 길게 늘어뜨려 구성되며, 양단이 벤투리 인젝터(8)와 플로우메타(20)에 각각 연결 설치된 공기이송호스(30)와,
    상기 유입관(3)의 단부가 내부 접선방향으로 관통되게 연결 설치되어 해수(W)의 유입 압력에 의해 토출 시 평면적으로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해수(W)의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제1저수조(6) 내측 하부에 상하로 세워서 설치된 원통형의 와류발생관(40)과,
    상기 제1저수조(6)의 상부의 토출관(9) 단부에 기포와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부가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 토출구(50)와,
    상기 토출구(5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 단부가 와류발생관(40)의 상측 단부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저수조(6)에 해수(W)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판(61)에 의해 고정 설치된 직관형상의 포말분리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수조(7)의 내측에 제1저수조에서 1차 정수된 해수(W)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재차 여과시키도록 설치되며, 얇은 합성수지를 전후로 굽힌 다음 전체를 꼬아서 나선모양을 갖추도록 형성된 여과제(71)와, 상기 여과제(71)가 사이에 내입되도록 상하 간격을 두고 본체(2)에 고정 설치된 상부 걸름판(72) 및 하부 걸름판(73)과, 상기 상부 걸름판(72)과 하부 걸름판(73)에 각각 여과제(71)가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로 협소하게 수개가 형성된 장공(74)과, 상기 여과제(71)가 내입 되며 상하로 각각 상부 걸름판(72)과 하부 걸름판(73)으로 이루어진 여과기(70)의 내부와 본체(2) 외측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단에 탈착 가능한 덮개(77)가 결합 구성된 여과제출입관(76)로 이루어진 여과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저수조(7)의 내측에 자외선파장과 오존 생성파장이 동시에 발생토록 입설(立設)된 AOP살균램프(10)를 병설(竝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호스(8a)의 단부에 각종 벌레가 유입되어 플로우메타(2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토록 설치된 망(網)체 구성의 걸름수단(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20080037428A 2008-04-22 2008-04-22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087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28A KR100877421B1 (ko) 2008-04-22 2008-04-22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28A KR100877421B1 (ko) 2008-04-22 2008-04-22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53A KR20080043753A (ko) 2008-05-19
KR100877421B1 true KR100877421B1 (ko) 2009-01-07

Family

ID=3966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428A KR100877421B1 (ko) 2008-04-22 2008-04-22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4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531A (ko) *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에스리 수소수기
KR20190125031A (ko) 2018-04-27 2019-11-06 서용섭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20210063692A (ko) 2019-11-25 2021-06-02 이정석 포말분리식 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28B1 (ko) * 2010-06-16 2013-07-22 권동근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KR20220102228A (ko) 2021-01-13 2022-07-20 김형성 전기분해를 이용한 전복치패 육상양식장용 여과기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70A (ja) * 1994-01-27 1995-08-08 Masayoshi Kodesen 水の瞬間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24789Y1 (ko) 2000-12-21 2001-05-15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KR200258000Y1 (ko) 2001-09-14 2001-12-22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US20020023866A1 (en) 2000-12-31 2002-02-28 Barnes Ronald L. Assembly for purifying water
KR200303777Y1 (ko) 2002-11-12 2003-02-11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200404012Y1 (ko) * 2005-10-04 2005-12-15 문정용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70A (ja) * 1994-01-27 1995-08-08 Masayoshi Kodesen 水の瞬間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24789Y1 (ko) 2000-12-21 2001-05-15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US20020023866A1 (en) 2000-12-31 2002-02-28 Barnes Ronald L. Assembly for purifying water
KR200258000Y1 (ko) 2001-09-14 2001-12-22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200303777Y1 (ko) 2002-11-12 2003-02-11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200404012Y1 (ko) * 2005-10-04 2005-12-15 문정용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531A (ko) * 2014-10-08 2016-04-18 주식회사 에스리 수소수기
KR101703140B1 (ko) 2014-10-08 2017-02-06 주식회사 에스리 수소수기
KR20190125031A (ko) 2018-04-27 2019-11-06 서용섭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20210063692A (ko) 2019-11-25 2021-06-02 이정석 포말분리식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53A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6B1 (ko) 정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KR100877421B1 (ko)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0990497B1 (ko) 살균수 생성 기능과 정수기능을 하는 수처리 장치
KR20110129864A (ko) 여과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밸러스트수 제조 장치
KR20100037809A (ko) 수영장 용수 정화시스템
KR20120073609A (ko) 정수 처리 시스템
KR100868698B1 (ko) 세라믹필터와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여과장치
WO200402428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KR200404012Y1 (ko)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2263914B1 (ko) 정수장치
JP6459127B2 (ja) 水処理装置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KR102539609B1 (ko) 버블 생성기를 구비하는 살균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035216B1 (ko) 빗물 정화장치
JP6672248B2 (ja) 飲料水生成装置
KR100552978B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TW20121931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disinfection/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JP6652958B2 (ja) バラスト水の製造方法及び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100342244B1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KR100680859B1 (ko) 스케일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20090002987A (ko) 정수기의 uv 살균 시스템
CN211813905U (zh) 一种用于矿泉水的净化消毒设备
KR101595372B1 (ko) 수족관살균정화장치
CN214654348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再生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