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28B1 -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28B1
KR101288328B1 KR1020100057169A KR20100057169A KR101288328B1 KR 101288328 B1 KR101288328 B1 KR 101288328B1 KR 1020100057169 A KR1020100057169 A KR 1020100057169A KR 20100057169 A KR20100057169 A KR 20100057169A KR 101288328 B1 KR101288328 B1 KR 10128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loat
ozone
pipe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126A (ko
Inventor
권동근
Original Assignee
권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동근 filed Critical 권동근
Priority to KR102010005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3Chemical reaction
    • B01D2311/2634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는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부, 유입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부,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산화 처리하기 위한 산화 처리부, 산화 처리된 정화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화수 배출부 및 오존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미세 거품을 발생시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하는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수의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함으로써 탁월한 해수 정화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SEA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본 발명은 미세거품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향상된 정화 기구를 통해 해수의 오염물을 1차로 분리 배출하고, 고도 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이용하여 2차로 각종 유해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친환경 해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횟집, 수산시장 등에서는 활어를 수요자에게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활어 수족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활어 수족관에는 수족관 내에 담수된 해수 또는 용수를 깨끗하게 정화,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정화 장치의 구비가 필수적이며 그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해수어를 포함하고 있는 수족관은 활어의 건강 상태를 잘 보존하기 위하여 여러 방식의 정화 장치가 필요하다. 수족관에는 해수어의 배설물이나 먹다 남은 먹이들에 의하여 생겨나는 유기물로 인하여 암모니아나 아질산과 같이 해수어에게 치명적인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해수어를 포함하는 수족관은 바닷물과 같이 소금이 녹아있는 짠물이기 때문에 열대어나 수초를 기르는 민물 수족관과 달리 수족관 물을 바로 빼고 새로운 물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손쉽게 물갈이를 할 수 없다. 따라서 해수어를 포함하는 수족관에서는 물갈이를 자주 하지 않아도 해수어를 위한 환경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특별한 정화 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725275호는 활어수 정화수단과 여과포를 이용하여 물의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게재하였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누수가 발생할 염려가 있고 대용량을 처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799357호는 생물학적 여과터널과 다수의 독립된 공간을 이용한 해수의 생물학적 정화 장치를 게재하였다. 그러나 생물학적 정화 시스템만으로는 여과기 등을 통하여 증가된 부산물 중의 하나인 질산염 등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활어수를 보존하는데 필요한 우수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뛰어난 정화 능력을 갖는 친환경적 정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효과적으로 미세 거품을 발생시켜 해수의 부유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유해 유기물을 산화시켜 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 해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부, 유입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부,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산화 처리하기 위한 산화 처리부 및 산화 처리된 정화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화수 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해수 정화 장치는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상기 해수 유입부에 이송하기 위한 오존 이송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해수 유입부는 외부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관, 상기 해수 유입관 및 오존 이송관과 연결되며 유입된 해수와 오존을 혼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및 오존과 혼합된 해수를 상기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해수 이송관을 구비한다. 상기 부유물 제거부는 상기 해수 이송관의 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된 해수가 부딪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 발생기, 상기 거품 발생기 상부에 설치되며 해수에서 떠오른 부유물을 수집하기 위한 부유물 수집기, 수집된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구 및 상기 거품 발생기 하부의 한 측면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산화 처리부로 제공하는 제1 연결관을 구비한다. 상기 산화 처리부는 내부에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어,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에 포함된 오존으로부터 하이드록시(OH) 라디칼을 발생시켜 해수의 유기물을 산화시킨 후 제2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정화수 배출부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거품 발생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해수 이송관의 출구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해수가 상기 판에 부딪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부유물 제거부는 상기 거품 생성기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 생성기를 통과한 해수가 상기 제1 연결관으로 직접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 차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부유물 수집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진 제1 수집기; 상기 제1 수집기의 간격 상부에 설치되며, 거품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품 안정기; 및 상기 제1 수집기 및 거품 안정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며, 부유물 배출구 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부유물 배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 내벽에 접촉되어 있는 제2 수집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거품 안정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평행한 판과 상기 판들의 중심을 지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펌프는 임펠러 펌프이며, 미세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펌프는 3,000~10,000 rpm의 속도로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정화수 배출부는 내부에 미생물의 반응을 통한 정화를 위한 산호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새로운 구조의 해수 유입부와 거품발생기를 통해 미세 거품의 발생을 최대화함으로써 해수의 부유물을 철저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하는 고도 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접목함에 따라 강력한 산화 작용을 통해 유기물의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화학적 산화제의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다.
아울러 정화수 배출부에 산호사를 이용한 생물학적 여과장치를 더 포함함으로써, 해수의 정화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내부 구조와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부유물 제거부, 산화 처리부 및 정화수 배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부유물 제거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거품 발생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거품 안정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5b는 거품 안정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내부 구조와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제거부, 산화 처리부 및 정화수 배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화살표는 해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외부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부(100), 해수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부(200), 부유물 제거부(200)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산화(oxidation) 처리하기 위한 산화 처리부(300) 및 산화 처리부(300)에서 산화 처리된 정화 해수를 수족관 등에 배출하기 위한 정화수 배출부(400)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해수 정화 장치는 고도 산화 공정에 필요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존 발생기(500)를 더 구비하며, 오존 발생기(500)에서 생성된 오존은 오존 이송관(510)을 통해 해수 유입부(100)에 이송된다.
해수 유입부(100)는 외부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관(110), 해수 유입관(110) 및 오존 이송관(510)과 연결되며 유입된 해수와 오존을 혼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20) 및 오존과 혼합된 해수를 부유물 제거부(200)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해수 이송관(1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에서 해수 유입부(100)는 단순히 외부 해수를 끌어들여 정화 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부유물 제거에 필수적인 미세 거품을 1차로 발생시키며, 고도 산화 공정에 필요한 오존과 해수를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해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은 미세 거품 표면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거품을 다량으로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런데 해수에는 소금이 용해되어 있어 물의 표면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미세한 거품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단순한 펌프 가동만으로는 거품 발생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의 해수 유입부(100)에서는 해수 유입관(110)과 오존 이송관(510)이 펌프(120)에 함께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해수가 오존 발생기(500)에서 제공되는 오존을 포함하는 흡입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펌프(120)의 회전 작용을 통해 해수와 오존 및 공기가 강하게 혼합되면서 미세한 거품을 계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미세 거품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단백질이나 지방 또는 각종 부유물이 흡착되면서 부유물 제거부(200)로 이송됨으로써 정화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펌프(120)는 임펠러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펠러의 강력한 회전을 통해 해수와 공기 및 오존의 접촉을 증가시켜 미세 거품을 다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펌프(120)는 강한 마찰과 혼합력을 통해 거품의 발생을 촉진하고 해수 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3,000~10,000 rpm의 속도로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120)의 회전 속도가 3,000 rpm 미만이면 미세한 거품을 만들기 어려우며, 10,000 rpm을 초과하는 펌프는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해수 유입부(100)를 통해 오존과 미세 거품을 함유하게 된 해수는 해수 이송관(130)을 거쳐 부유물 제거부(200)로 공급된다. 도 3은 부유물 제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부유물 제거부(200)는 해수 이송관(130)의 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된 해수가 부딪쳐서 거품이 보다 더 잘 발생되도록 돕는 거품 발생기(210), 거품 발생기(210) 상부에 설치되며 해수에서 떠오른 부유물을 수집하기 위한 부유물 수집기(220), 수집된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구(230) 및 거품 발생기(210) 하부의 한 측면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산화 처리부(300)로 제공하는 제1 연결관(240)을 구비한다.
오존 및 미세 거품을 1차로 함유하는 해수는 해수 이송관(130)의 출구를 통해 하부 쪽으로 방출되어 거품 발생기(210)와 강하게 부딪치면서, 다량의 미세 거품이 더 발생하게 되며, 정화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거품 발생기(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판(212)으로 구성되며, 해수 이송관(130)의 출구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해수가 거품 발생기(210)의 판(212)에 부딪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즉, 복수 개의 판(212) 사이로 해수가 하강하면서 판(212)에 강하게 부딪치게 되어 거품을 더욱 잘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거품 발생기(210)를 통과한 해수가 제1 연결관(240)으로 직접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품 발생기(210) 하부에 유로 차단판(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품 발생기(210)를 통과한 해수는 유로 차단판(250)에 부딪치면서 다시 상승하게 되어 해수 흐름과 거품 발생기(210)의 접촉이 더욱 향상되며, 해수가 직접 제1 연결관(240)으로 빠져 나가 정화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해수 유입부(100)와 거품 발생기(210)에서 생성된 미세 거품들은 부유물 제거부(200)의 상부로 떠오르면서 해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거품 표면에 흡착하여 제거하며, 부유물 수집기(220)를 통해 수집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부유물 수집기(220)는 제1 수집기(221), 거품 안정기 (223) 및 제2 수집기(225)로 이루어진다. 제1, 제2 수집기(221, 225)는 발생한 미세 거품과 부유물의 접촉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많은 부유물들의 흡착을 유도하고,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을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품 안정기(223)는 부유물이 흡착된 공기 방울들의 형태가 깨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집기(22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해수 유입부(100)와 거품 발생기(210)에 의해 생성된 거품들은 제1 수집기(221)의 판을 따라 서서히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부유물과의 접촉이 촉진되어 효과적으로 부유물을 합착하게 된다. 그리고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들은 제1 수집기(221)의 간격 사이에 1차로 수집된다.
거품 안정기(223)는 제1 수집기(221)의 간격 상부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들이 서로의 충돌이나 해수 흐름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거품 안정기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 5 (a, b)를 참조하면, 거품 안정기(223)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평행한 판(227)과 상기 판들(227)의 중심을 지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판(229)으로 이루어진다. 제1 수집기(221)의 간격 사이로 상승하는 해수와 거품들은 두 판(227, 229)이 만드는 공간을 통해 측면으로 서서히 빠지게 유도된다. 따라서 거품 사이의 충돌이 최소화되며, 급격한 해수 흐름에 의해 거품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수집기(225)는 제1 수집기(221) 및 거품 안정기(223)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을 최종적으로 수집하여 부유물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집기(225)는 제1 수집기(221)와 유사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부유물 배출구(220) 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200)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부유물 배출구(220)의 반대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200)의 상부 내벽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된 부유물들은 부유물 제거부(200)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유물 배출구(220) 쪽에 위치한 판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부유물 제거부(200)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는 제1 연결관(240)을 통하여 자외선 램프(310)가 설치된 산화 처리부(300)로 이동한다.
종래의 해수 정화 장치는 자외선을 단순한 살균 작용으로만 사용하였기 때문에 정화 효율이 낮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유입된 해수에 오존을 공급하고, 산화 처리부(300)에서 다음 화학식과 같은 광화학 반응을 통해 해수에 포함된 오존이 산화력이 매우 우수한 하이드록시(OH) 라디칼로 변화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오존의 UV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고도 산화 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통해 부유물 제거부(200)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해수의 유기물을 이산화탄소 등으로 완전히 산화시켜 제거하게 된다.
Figure 112010038757397-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M은 제3의 중간물질(a third species)을 의미하며, 각종 유기물이 M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 처리부(300)에서 해수에 함유된 오존과 UV의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되는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염소, 이산화염소, 과망간산칼륨, 과산화수소, 브롬 등과 같은 화학적 산화제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기 때문에 정화 성능이 매우 뛰어나며, 화학 물질의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기존의 화학적 산화제보다 10~1000 배의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짧은 접촉시간으로도 뛰어난 정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정화 장치에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는 살균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생성이 촉진되는 300 nm이하의 파장 세기가 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는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100~300 nm의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산화 처리부(300)는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오존 발생기(500)에서 생성된 오존을 산화 처리부(300)로 직접 공급하는 또 다른 오존 이송관(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산화 처리된 해수는 제2 연결관(320)을 통해 정화수 배출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정화수 배출부(400)는 정화 해수를 활어수 수족관 등에 공급하는 정화수 배출관(41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정화수 배출부(400)의 내부 공간에는 미생물의 반응을 통한 정화를 위한 산호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호사(420)는 혐기성 박테리아의 서식을 도와주어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NH3), 아질산(NO2), 호기성 박테리아, 질산염(NO3) 등을 미생물 반응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정화 장치는 미세 거품을 발생시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오존과 UV의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수의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보다 해수 정화 성능이 뛰어나며, 해수어에 필요한 안정된 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해수 유입부 110 : 해수 유입관
120 : 펌프 130 : 해수 이송관
200 : 부유물 제거부 210 : 거품 발생기
220 : 부유물 수집기 223 : 거품 안정기
230 : 부유물 배출구 240 : 제1 연결관
250 : 유로 차단판 300 : 산화 처리부
310 : 자외선 램프 320 : 제2 연결관
400 : 정화수 배출부 410 : 정화수 배출관
500 : 오존 발생기 510 : 오존 이송관

Claims (9)

  1.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부(100), 유입된 해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부(200),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산화(oxidation) 처리하기 위한 산화 처리부(300) 및 산화 처리된 정화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화수 배출부(400)를 구비하는 해수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수 정화 장치는,
    오존 발생기(500) 및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상기 해수 유입부에 이송하기 위한 오존 이송관(510)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해수 유입부(100)는,
    외부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해수 유입관(110), 상기 해수 유입관(110) 및 오존 이송관(510)과 연결되며 유입된 해수와 오존을 혼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120) 및 오존과 혼합된 해수를 상기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해수 이송관(130)을 구비하며;
    상기 부유물 제거부(200)는,
    상기 해수 이송관(130)의 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된 해수가 부딪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품 발생기(210), 상기 거품 발생기(210) 상부에 설치되며 해수에서 떠오른 부유물을 수집하기 위한 부유물 수집기(220), 수집된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구(230), 및 상기 거품 발생기(210) 하부의 한 측면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를 산화 처리부로 제공하는 제1 연결관(240)을 구비하며,
    상기 산화 처리부(300)는,
    내부에 자외선 램프(310)가 구비되어,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에 포함된 오존으로부터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발생시켜 해수의 유기물을 산화시킨 후 제2 연결관(320)을 통해 상기 정화수 배출부로 공급하며;
    상기 부유물 수집기(22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진 제1 수집기(221), 상기 제1 수집기(221)의 간격 상부에 설치되며, 거품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품 안정기(223) 및 상기 제1 수집기(221) 및 거품 안정기(223)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역 브이자 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며, 부유물 배출구 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부유물 배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판은 부유물 제거부의 상부 내벽에 접촉되어 있는 제2 수집기(225)로 구성되고;
    상기 거품 안정기는(223),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평행한 판(227)과 상기 판들(227)의 중심을 지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판(22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발생기(2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판(2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해수 이송관(130)의 출구에서 하부로 내려오는 해수가 상기 판에 부딪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부(200)는,
    상기 거품 발생기(21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품 발생기(210)를 통과한 해수가 상기 제1 연결관(240)으로 직접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 차단판(2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20)는 임펠러 펌프이며, 미세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20)는 3,000~10,000 rpm의 속도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310)는 100~300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부(400)는 내부에 미생물 반응을 통한 정화를 위한 산호사(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정화 장치.
KR1020100057169A 2010-06-16 2010-06-16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KR10128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69A KR101288328B1 (ko) 2010-06-16 2010-06-16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69A KR101288328B1 (ko) 2010-06-16 2010-06-16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26A KR20110137126A (ko) 2011-12-22
KR101288328B1 true KR101288328B1 (ko) 2013-07-22

Family

ID=4550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169A KR101288328B1 (ko) 2010-06-16 2010-06-16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11B1 (ko) * 2019-02-18 2020-05-12 주식회사 지앤에이 해수 및 담수 여과 정화 장치
KR102120910B1 (ko) 2019-02-14 2020-06-17 주식회사 지앤에이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KR20230100128A (ko)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982B (zh) * 2012-10-11 2013-09-25 北京科技大学 紫外/纯氧微气泡协同处理印染废水的系统及其方法
KR200496796Y1 (ko) * 2023-01-18 2023-04-26 정효덕 거품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해수 살균 여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281A (ja) * 2000-01-27 2001-07-31 Chiyoda Kohan Co Ltd 水処理装置
KR200303777Y1 (ko) * 2002-11-12 2003-02-11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100653223B1 (ko) * 2005-01-27 2006-12-05 김문달 오존살균 정수 장치
KR20080043753A (ko) * 2008-04-22 2008-05-19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281A (ja) * 2000-01-27 2001-07-31 Chiyoda Kohan Co Ltd 水処理装置
KR200303777Y1 (ko) * 2002-11-12 2003-02-11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 장치
KR100653223B1 (ko) * 2005-01-27 2006-12-05 김문달 오존살균 정수 장치
KR20080043753A (ko) * 2008-04-22 2008-05-19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10B1 (ko) 2019-02-14 2020-06-17 주식회사 지앤에이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KR102109711B1 (ko) * 2019-02-18 2020-05-12 주식회사 지앤에이 해수 및 담수 여과 정화 장치
KR20230100128A (ko)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26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86B1 (ko)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US20050109697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US20050133423A1 (en) Autotrofic sulfur denitration chamber and calcium reactor
JP6815397B2 (ja) 養殖用または排水処理用超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288328B1 (ko)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US10414677B2 (en) Ozone-assisted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CA2752368C (en) Water circulation systems with air stripping arrangements for municipal water tanks, ponds, and other potable bodies of water
CN1827538A (zh) 废水处理装置及废水处理方法
TW530032B (en) Purifying device
WO2006121074A1 (ja) 水域浄化方法
JP2013544647A (ja) 水処理
JP4538404B2 (ja) 水域浄化装置、水性汚染生物回収船及び水性汚染生物の処理方法
JP4870174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07312609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JP2007325558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20120004892A (ko) 수족관 수질정화기의 해수 흡입장치
JP4890957B2 (ja) 有機性廃水の浮上分離処理方法及び浮上分離処理装置
JP4374569B2 (ja) 藍藻類及びミクロシスチンの処理装置
JP6047518B2 (ja) 水質改善方法及びその装置
JP3191503U (ja) 曝気装置
JP4908875B2 (ja) 水質改善装置
JP2015202102A (ja) 閉鎖循環型飼育用の飼育水循環システム
KR20150026703A (ko) 조류제거 및 수질개선장치
WO2019022660A1 (en)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QUATIC CR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