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910B1 -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910B1
KR102120910B1 KR1020190017093A KR20190017093A KR102120910B1 KR 102120910 B1 KR102120910 B1 KR 102120910B1 KR 1020190017093 A KR1020190017093 A KR 1020190017093A KR 20190017093 A KR20190017093 A KR 20190017093A KR 102120910 B1 KR102120910 B1 KR 10212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awater
primary
tertiary
oxidation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에이
Priority to KR102019001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집수조(50), 상기 원수 집수조(5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필터조(110)가 구비된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상기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필터조(210)가 구비된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 상기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3차 제거하는 3차 필터조(310)가 구비된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및 상기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잔류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4차 필터조(410)가 구비된 방류처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는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산호사가 포함된 여재로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해수폐수가 순환되도록 외부에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상기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및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각각의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상기 순환펌프를 통해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로 이동시켜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상기 산호사 내에 번식하도록 해수폐수를 순환 여과시키는 1 내지 3차 수위조절조(140, 240, 340)를 포함하고,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에서 이용하는 필터는 여과솜 또는 여과포이고, 상기 1차 미생물조(120)는 적어도 5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2차 필터조(2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1차 산화폭기조(130)로 이동시키며, 상기 2차 미생물조(2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3차 필터조(3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2차 산화폭기조(230)로 이동시키며, 상기 3차 미생물조(3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상기 방류처리부(40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3차 산화폭기조(330)로 이동시키며, 상기 1차 및 3차 산화폭기조(130, 3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되고 상기 2차 산화폭기조(230)는 적어도 10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산화폭기조(231) 및 하부 산화폭기조(232)로 배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Eco-friendly Economic Sea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폐수를 여재를 이용한 물리학적 처리공정과 산화폭기에 의한 화학적 처리공정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결합하여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 T-N(총질소), T-P(총인), n-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공정 확대가 용이하며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환경보전법의 수질오염 배출시설 규정이 강화되면서 수질오염방지시설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특히, 마른김 가공공장이나 기선권형망 멸치 생산업체 등 수산물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사용하는 해수나 세척수 등을 배출하는 시설은 기존에는 기타수질오염원으로 규정되어 있었고, 현행법상에서는 수질오염 배출시설로 지정되어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에 따라 처리효율이 높은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곳이 많아 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T-N(총질소)나 T-P(총인)을 제거하는 고도처리 공법은 생물학적 처리공법이 주가 되는 기술로서 해수와 같은 염분을 함유한 폐수의 경우에는 운전조건이 까다롭고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조건에는 불리한 경우가 많다. 특히, 막여과공법으로 하는 기술은 다량의 유기물질의 유입으로 잦은 필터교체, 처리 수량이 적고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또한 생물학적 여과공법으로 하는 기술은 염분의 농도를 낮추는 별도의 역삼투압 등의 고도 기술이 추가됨으로서 설치비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존을 이용한 산화폭기장치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기술로서 기존의 염소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산화공법보다 산화력이 뛰어나면서 수중의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해수정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8328호(등록일: 2013.07.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29314호(등록일: 2017.04.17.)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수폐수를 여재를 이용한 물리학적 처리공정과 산화폭기에 의한 화학적 처리공정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결합하여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 T-N(총질소), T-P(총인), n-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공정 확대가 용이하며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OP(고도산화방식) 여과 시스템으로서 오존의 Inspirator 공법을 통해 유기물산화작용, 고성능살균작용, 세균 및 바이러스를 즉시 박멸 가능한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소 및 흡착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해수정화처리에 효과적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관리가 용이하면서, 시설의 이동 및 규모의 소규모화가 가능하고, 과부하 현상이 없어 정화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여 유지관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해수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집수조(50), 상기 원수 집수조(5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필터조(110)가 구비된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상기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필터조(210)가 구비된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 상기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3차 제거하는 3차 필터조(310)가 구비된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및 상기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잔류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4차 필터조(410)가 구비된 방류처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는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산호사가 포함된 여재로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해수폐수가 순환되도록 외부에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상기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및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각각의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상기 순환펌프를 통해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로 이동시켜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상기 산호사 내에 번식하도록 해수폐수를 순환 여과시키는 1 내지 3차 수위조절조(140, 240, 340)를 포함하고,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에서 이용하는 필터는 여과솜 또는 여과포이고, 상기 1차 미생물조(120)는 적어도 5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2차 필터조(2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1차 산화폭기조(130)로 이동시키며, 상기 2차 미생물조(2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3차 필터조(3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2차 산화폭기조(230)로 이동시키며, 상기 3차 미생물조(3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상기 방류처리부(40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3차 산화폭기조(330)로 이동시키며, 상기 1차 및 3차 산화폭기조(130, 3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되고 상기 2차 산화폭기조(230)는 적어도 10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산화폭기조(231) 및 하부 산화폭기조(232)로 배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모아서 처리하는 유기물 집수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해수폐수를 여재를 이용한 물리학적 처리공정과 산화폭기에 의한 화학적 처리공정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결합하여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 T-N(총질소), T-P(총인), n-헥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공정 확대가 용이하며 환경에 무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OP(고도산화방식) 여과 시스템으로서 오존의 Inspirator 공법을 통해 유기물산화작용, 고성능살균작용, 세균 및 바이러스를 즉시 박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소 및 흡착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해수정화처리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관리가 용이하면서, 시설의 이동 및 규모의 소규모화가 가능하고, 과부하 현상이 없어 정화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여 유지관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산화폭기조 및 수위조절조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테이머 스키머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는 기본적으로 원수 집수조(50),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및 방류처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수 집수조(50)는 해수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W(폭): L(길이) : H(높이) = 250 내지 350 mm : 250 내지 350 mm : 250 내지 350 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수 집수조(5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 시간은 2 내지 3분일 수 있다. 한편, 원수 집수조(50)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51)와 외부에 설치되는 유량계(52)에 의해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는 원수 집수조(5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필터조(110)가 구비된 구성이며, 1차 미생물조(120), 1차 산화폭기조(130), 1차 수위조절조(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1차 필터조(110)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0 내지 2500mm : 350 내지 45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필터조(11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 시간은 35분 내지 45분일 수 있는데,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과솜 또는 여과포를 이용하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1차 미생물조(120)는 1차 필터조(11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적어도 5셋트 이상의 여재(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kg의 산호사)에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1500 내지 2500mm : 750 내지 85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미생물조(12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60 내지 80분일 수 있다. 그리고, 1차 미생물조(120)의 외부에는 제1 순환펌프(1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폐수가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산호사 내에 번식하여 해수폐수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1차 산화폭기조(130)는 1차 미생물조(12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구성이며,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1차 산화폭기조(130)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400 내지 50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산화폭기조(13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1개소 당 1 내지 3분일 수 있으며, 1개소 당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펌프(P)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1차 산화폭기조(130)는 1차 헤드부(130a) 및 1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헤드부(130a)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100 내지 20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250 내지 35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수위조절조(140)는 1차 산화폭기조(130) 내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1차 미생물조(120)로 순환 여과시키는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300 내지 400mm : 650 내지 750mm : 500 내지 7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수위조절조(140)에는 후술하는 수위조절부(c)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는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필터조(210)가 구비된 구성이며, 2차 미생물조(220), 2차 산화폭기조(230) 및 2차 수위조절조(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2차 필터조(210)는 W(폭) : L(길이) : H(높이) = 500 내지 1500mm : 350 내지 45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필터조(21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 시간은 적어도 20분 이상일 수 있는데,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과솜 또는 여과포를 이용하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2차 미생물조(220)는 2차 필터조(21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kg의 산호사)에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500 내지 1500mm : 500 내지 100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미생물조(22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20 내지 60분일 수 있다. 그리고, 2차 미생물조(220)의 외부에는 제2 순환펌프(2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폐수가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산호사 내에 번식하여 해수폐수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2차 산화폭기조(230)는 2차 미생물조(22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구성이며, 적어도 10개소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2차 산화폭기조(230)는 적어도 5개소 이상의 상부 산화폭기조(231) 및 적어도 5개소 이상의 하부 산화폭기조(232)로 배치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산화폭기조(231)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500 내지 60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산화폭기조(232)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650 내지 75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산화폭기조(231) 및 하부 산화폭기조(232)의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산화폭기조(23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1개소 당 1 내지 3분일 수 있으며, 1개소 당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펌프(P)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산화폭기조(231)는 상부 헤드부(231a) 및 상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231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헤드부(231a)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150 내지 25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231b)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300 내지 40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산화폭기조(232)는 하부 헤드부(232a) 및 하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232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헤드부(232a)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150 내지 25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232b)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450 내지 55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수위조절조(240)는 2차 산화폭기조(230) 내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2차 미생물조(220)로 순환 여과시키는 구성으로서, 2차 산화폭기조(230)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5개소 이상의 상부 수위조절조(241) 및 적어도 5개소 이상의 하부 산화폭기조(232)로 배치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수위조절조(241)는 W(폭) : L(길이) : H(높이) = 350 내지 450mm : 650 내지 750mm : 400 내지 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수위조절조(242)는 W(폭) : L(길이) : H(높이) = 350 내지 450mm : 650 내지 750mm : 500 내지 6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수위조절조(240)에는 후술하는 수위조절부(c)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는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3차 제거하는 3차 필터조(310)가 구비된 구성이며, 3차 미생물조(320), 3차 산화폭기조(330) 및 3차 수위조절조(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3차 필터조(310)는 W(폭) : L(길이) : H(높이) = 500 내지 1500mm : 350 내지 45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차 필터조(31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 시간은 적어도 20분 이상일 수 있는데,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과솜 또는 여과포를 이용하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3차 미생물조(320)는 3차 필터조(31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kg의 산호사)에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500 내지 1500mm : 500 내지 100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차 미생물조(32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20 내지 60분일 수 있다. 그리고, 2차 미생물조(220)의 외부에는 제3 순환펌프(3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폐수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산호사 내에 번식하여 해수폐수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3차 산화폭기조(330)는 3차 미생물조(32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구성이며, 적어도 2개소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3차 산화폭기조(330)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400 내지 50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차 산화폭기조(33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1개소 당 1 내지 3분일 수 있으며, 1개소 당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펌프(P)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3차 산화폭기조(330)는 3차 헤드부(330a) 및 3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330b)로 구성될 수 있다. 3차 헤드부(330a)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100 내지 20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3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330b)는 W(폭) : L(길이) : H(높이) = 150 내지 250mm : 250 내지 350mm : 350 내지 4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3차 수위조절조(340)는 3차 산화폭기조(330) 내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3차 미생물조(320)로 순환 여과시키는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300 내지 400mm : 650 내지 750mm : 500 내지 7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3차 수위조절조(340)에는 후술하는 수위조절부(c)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방류처리부(400)는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잔류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4차 필터조(410)가 구비된 구성으로서, W(폭) : L(길이) : H(높이) = 1100 내지 1300mm : 350 내지 450mm : 500 내지 15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SUS30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류처리부(400)에 유입된 해수폐수의 체류시간은 15 내지 25분일 수 있으며,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과솜 또는 여과포를 이용하는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의 산화폭기조 및 수위조절조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테이머 스키머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330)는 공통적으로 헤드부(130a, 232a, 231a, 330a) 및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30a, 232a, 231a, 330a)는 일측에 회전펌프(P)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회전펌프(P)에 오존 공급관(a1) 및 해수폐수 유입관(a2)이 함께 연결된 구성이다. 이러한 헤드부(130a, 232a, 231a, 330a)는 고도 산화 공정을 통해 유기물을 산화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해수폐수를 끌어들이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부유물 제거에 필수적인 미세거품을 1차로 발생시키며, 고도산화공정에 필요한 오존과 해수폐수를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해수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인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미세 거품 표면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해수폐수의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거품을 다량으로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30a, 232a, 231a, 330a)에는 오존 공급관(a1)과 해수폐수 유입관(a2)이 회전펌프(P)에 함께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해수폐수가 오존발생기에서 제공되는 오존을 포함하는 흡입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펌프(P)의 회전 작용을 통해 해수폐수와 오존 및 공기가 강하게 혼합되면서 미세한 거품을 계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미세 거품에 의해 폐수에 포함된 단백질이나 지방 또는 각종 부유물이 흡착되면서 후술하는 부유물 수집기(b3)로 이송됨으로써 정화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오존으로 발생시킨 미세 버블은 마이크로 버블로서 직경이 매우 작고 침투력과 분산 능력이 뛰어나 수중에 분출 시 조류 밀식 지역에 침투하여 살조 능력을 발휘하며 반응 후에는 산소로 되돌아가 용존산소가 높아지게 된다. 오존에 산화된 산화 유기물이 마이크로 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OH 라디칼은 산화력이 강해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112019015553227-pat00001
OH 라디칼은 고도산화공정(advanced ocidation process)을 통해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에서 제거되지 못한 해수폐수의 산화 유기물을 이산화탄소 등으로 완전히 산화시켜 제거하게 된다. 헤드부(130a, 232a, 231a, 330a)에서 마이크로버블이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OH 라디칼은 염소, 이산화염소, 과망간산칼륨, 과산화수소, 브롬 등과 같은 화학적 산?g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기 ??문에 정화 성능이 매우 뛰어나며 화학 물질의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OH 라디칼은 기존의 화학적 산화제보다 10 내지 1000배의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기 ??문에 짧은 접촉시간으로도 뛰어난 정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회전펌프(P)는 임펠러 펌프인 것이 바람직한데 임펠러의 강력한 회전을 통해 해수폐수와 공기 및 오존의 접촉을 증가시켜 미세 거품을 다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회전펌프(P)는 강한 마찰과 혼합력을 통해 거품의 발생을 촉진하고 해수폐수 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작동되는 것이 좋으며 3000 내지 10000rpm의 속도로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펌프(P)의 회전 속도가 3000rpm 미만이면 미세 거품을 만들기 어려우며, 10000rpm을 초과하면 회전펌프(P)의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오존공급량은 20 내지 40g/hr,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g/hr일 수 있다. 오존 농도가 높을수록 단시간에 유기물의 분해 능력은 뛰어나고 효율이 높아지게 되나, 그 비용은 증가하고 제품이 부식될 우려가 있다.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판으로 구성되되, 해수폐수 유출관(b1)의 하부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해수폐수 유출관(b1)에서 토출되는 해수폐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기(b2)가 구비된 구성이며, 부유물 수집기(b3), 거품 안정기(b4), 부유물 배출구(b5) 및 연결관(b6)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거품 발생기(b2)의 형상은 해수폐수 유출관(b1)에서 토출되는 해수폐수가 부딪쳐서 거품이 보다 더 잘 발생되도록 하여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부유물 수집기(b3)는 거품 발생기(b2)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하는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의 이동 경로를 경사지게 마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유물 수집기(b3)는 제1 수집기(b3-1) 및 제2 수집기(b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집기(b3-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ㅅ'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이루어지는데 헤드부(130a, 232a, 231a, 330a)와 거품 발생기(b2)에 의해 생성된 거품들은 제1 수집기(b3-1)의 판을 따라 서서히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부유물인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의 접촉이 촉진되어 효과적으로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합착하게 되고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들은 제1 수집기(b3-1)의 간격 사이에 1차로 수집되게 된다. 한편, 제2 수집기(b3-2)는 제1 수집기(b3-1) 및 후술하는 거품 안정기(b4)의 상부에 설치되어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을 최종적으로 수집하여 부유물 배출구(b5)를 통해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수집기(b3-2)는 제1 수집기(b3-1)와 유사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ㅅ'형태의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부유물 배출구(b5) 측에 위치한 판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부유물 배출구(b5)의 반대쪽에 위치한 판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의 상부 내벽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집된 부유물을 포함하는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들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유물 배출구(b5) 쪽에 위치한 판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부유물 배출구(b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거품 안정기(b4)는 부유물 수집기(b3) 상부에 설치되되,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의 형태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평행한 판과 상기 복수의 평행한 판들의 중심을 지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판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거품 안정기(b4)는 부유물을 포함하는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들이 서로의 충돌이나 해수폐수 흐름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1 수집기(b3-1)의 간격 사이로 상승하는 해수폐수와 거품들은 두 판이 만드는 공간을 통해 측면으로 서서히 빠지게 유도되며 따라서 거품 사이의 충돌이 최소화되며, 급격한 해수폐수 흐름에 의해 거품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유물 배출구(b5)는 상기 프로테이머 스키머부(130b, 231b, 232b, 330b)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집된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연결관(b6)은 거품 발생기(b2)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헤드부(130a, 232a, 231a, 330a)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연결관(b6)의 상부에는 거품 발생기(b2)를 통과한 처리수가 연결관(b6)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b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수위조절조(140, 240, 241, 242, 340)의 외벽에는 수위조절부(c)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위조절부(c)는 'ㄴ'자로 형성되고 수위조절부(c)의 외벽에 설치되는 배출관(c-1) 및 배출관(c-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관(c-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절관(c-2)은 일자 형태로 배출관(c-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조절관(c-2)이 배출관(c-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위조절조(140, 240, 241, 242, 340) 내부에 체류하는 해수폐수는 조절관(c-2)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조절관(c-2)의 높이에 따라 수위조절조(140, 240, 241, 242, 340) 내부에 체류하는 해수폐수의 수위가 조절되게 된다. 즉, 조절관(c-2)이 상승하게 되면 수위조절조(140, 240, 241, 242, 340)의 내부에 체류하는 해수폐수의 수위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이 흡착된 거품이 부유물 배출구(b5)에 가까워지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조절관(c-2)이 하강하게 되어 수위조절조(140, 240, 241, 242, 340)의 내부에 체류하는 해수폐수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거품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는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산화 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모아서 처리하는 유기물 집수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원수 집수조 51: 수중펌프
52: 유량계 100: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
110: 1차 필터조 120: 1차 미생물조
121: 제1 순환펌프 130: 1차 산화폭기조
P: 회전펌프 130a: 1차 헤드부
130b: 1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 140: 1차 수위조절조
200: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 210: 2차 필터조
220: 2차 미생물조 221: 제2 순환펌프
230: 2차 산화폭기조 231: 상부 산화폭기조
231a: 상부 헤드부 231b: 상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
232: 하부 산화폭기조 232a: 하부 헤드부
232b: 하부 프로테이머 스키머부 240: 2차 수위조절조
241: 상부 수위조절조 242: 하부 수위조절조
300: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 310: 3차 필터조
320: 3차 미생물조 321: 제3 순환펌프
330: 3차 산화폭기조 330a: 3차 헤드부
330b: 3차 프로테이머 스키머부 340: 3차 수위조절조
400: 방류처리부 410: 4차 필터조
a1: 오존 공급관 a2: 해수폐수 유입관
b1: 해수폐수 유출관 b2: 거품 발생기
b3: 부유물 수집기 b3-1: 제1 수집기
b3-2: 제2 수집기 b4: 거품 안정기
b5: 부유물 배출구 b6: 연결관
b7: 차단판 c: 수위조절부
c-1: 배출관 c-2: 조절관
500: 유기물 집수조

Claims (11)

  1. 해수폐수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집수조(50);
    상기 원수 집수조(5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1차 필터조(110)가 구비된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상기 1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2차 필터조(210)가 구비된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
    상기 2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2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이물질을 3차 제거하는 3차 필터조(310)가 구비된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 및
    상기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300)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 내 잔류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4차 필터조(410)가 구비된 방류처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는,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를 산호사가 포함된 여재로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해수폐수가 순환되도록 외부에 순환펌프를 구비하는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상기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 각각으로부터 공급받은 해수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및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조(130, 230, 330) 각각의 수위를 조절하여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은 상승 배출 가능하게 하고, 처리수는 상기 순환펌프를 통해 1 내지 3차 미생물조(120, 220, 320)로 이동시켜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미생물이 상기 산호사 내에 번식하도록 해수폐수를 순환 여과시키는 1 내지 3차 수위조절조(140, 240, 340)를 포함하고,
    상기 1 내지 3차 필터조(110, 210, 310)에서 이용하는 필터는 여과솜 또는 여과포이고,
    상기 1차 미생물조(120)는 적어도 5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2차 필터조(2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1차 산화폭기조(130)로 이동시키며,
    상기 2차 미생물조(2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3차 필터조(31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2차 산화폭기조(230)로 이동시키며,
    상기 3차 미생물조(320)는 적어도 3셋트 이상의 여재를 구비하고, 전체 중 일부 해수폐수를 상기 방류처리부(400)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해수폐수는 3차 산화폭기조(330)로 이동시키며,
    상기 1차 및 3차 산화폭기조(130, 330)는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되고
    상기 2차 산화폭기조(230)는 적어도 10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산화폭기조(231) 및 하부 산화폭기조(232)로 배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3차 산화폭기공정처리부(100, 200, 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산화유기물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모아서 처리하는 유기물 집수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17093A 2019-02-14 2019-02-14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KR10212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93A KR102120910B1 (ko) 2019-02-14 2019-02-14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93A KR102120910B1 (ko) 2019-02-14 2019-02-14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910B1 true KR102120910B1 (ko) 2020-06-17

Family

ID=7140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93A KR102120910B1 (ko) 2019-02-14 2019-02-14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128A (ko)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17B1 (ko) * 2002-11-26 2005-01-31 김경진 오존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시스템
KR101288328B1 (ko) 2010-06-16 2013-07-22 권동근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KR101729314B1 (ko) 2016-06-10 2017-04-21 권동근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KR101729309B1 (ko) * 2016-04-29 2017-04-21 권동근 인-아웃 여과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KR101769595B1 (ko) * 2016-06-10 2017-08-18 권동근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17B1 (ko) * 2002-11-26 2005-01-31 김경진 오존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시스템
KR101288328B1 (ko) 2010-06-16 2013-07-22 권동근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해수 정화 장치
KR101729309B1 (ko) * 2016-04-29 2017-04-21 권동근 인-아웃 여과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KR101729314B1 (ko) 2016-06-10 2017-04-21 권동근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KR101769595B1 (ko) * 2016-06-10 2017-08-18 권동근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128A (ko) 2021-12-28 2023-07-05 박창수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6005B1 (e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US7553418B2 (en) Method for water filtration
US5256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101710155B1 (ko) 부상 분리 시스템
KR101221579B1 (ko) 선박에 구비된 녹조 및 적조 제거장치
CN104108830B (zh) 中水深度处理及回用系统
KR101671756B1 (ko) 지중 오염지하수의 양수, 펜톤산화 및 역삼투막 정화시스템
JP4538404B2 (ja) 水域浄化装置、水性汚染生物回収船及び水性汚染生物の処理方法
CN101618925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6087578A (ja) 汚染物質分離減容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20910B1 (ko) 친환경 이코노미 해수정화장치
JP5001923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140105150A (ko) 다목적 해양오염 방제선
KR101858028B1 (ko)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KR100538126B1 (ko) 침지형 막분리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JP3216495B2 (ja) 水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H11289911A (ja) 水族館等における水質淨化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処理システム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JP6371970B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