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031A -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031A
KR20190125031A KR1020180049259A KR20180049259A KR20190125031A KR 20190125031 A KR20190125031 A KR 20190125031A KR 1020180049259 A KR1020180049259 A KR 1020180049259A KR 20180049259 A KR20180049259 A KR 20180049259A KR 20190125031 A KR20190125031 A KR 20190125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outlet
filtration tank
filter ro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섭
Original Assignee
서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섭 filed Critical 서용섭
Priority to KR102018004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031A/ko
Publication of KR2019012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73Degasification of liquids by a method not covered by groups B01D19/0005 - B01D19/0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족관의 작동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1-2분(종래수족관 30-60분 이상) 이내에 쉽게 수족관의 이물질 청소가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일반 여과재료로 채집될 수 없었던 눈에 보이지 않는 끈적끈적한 유기오염물질로 뿌옇게 오염되는 바닷물을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포말(泡沫) 분리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깨끗하게 제거시킬 수 있어 별도로 수족관 청소를 할 필요가 없는 작동중인 수족관의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Cleaning system for Working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중인 수족관 내의 물을 빼지 않고 거품과 이물질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관상어 수족관 및 활어 수족관등 다양한 수십만개의 수족관 내 활어들이 나쁜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각종 불순물을 토해내는 등 신진대사를 하면서 많은 배설물과 이물질들을 발생시킨다. 이 배설물들은 몇 시간도 되지 않아 부패가 시작 되면서 수족관 내의 바닷물이 뿌옇게 오염되고 거품이 발생한다. 또한 오염된 수족관 내의 활어들은 여러가지 유해독소에 오염되어 활어회에서 흙냄새(질산염냄새등)가 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섭취할 경우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수술환자 또는 임산부들은 2차적인 세균감염이 될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활어 배설물과 이물질들이 부패되기 전에 청소를 해야하나, 현재의 사용중인 수족관들은 활어조의 물이 아래(下)의 여과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구조이므로, 여과 장치가 대부분 수족관의 내부에 설치될 수 밖에 없는 특성상 여과 장치를 제거시킨 상태에서만 청소 및 수족관의 물을 새 물로 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수족관에 활어량이 많거나 활어의 입출고가 잦을 때, 활어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펄떡거리면서 비늘이 벗겨지고, 비늘 사이의 각종 이물질과 배설물이 많이 발생되면서 물과 섞인 유막 등의 유기물질도 많이 생성된다. 또한 유기물질이 녹아들어 바닷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 순환펌프에서 순환되는 물이 부딪히면서 발생된 공기가 유기물질의 끈적한 점도때문에 바닷물 사이에 갇히면서 수족관에 거품이 만들어진다. 즉, 비늘과 같은 이물질 제거 및 눈에 보이지 않은 유기물질의 제거를 동시에 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어쩔 수 없이 1~10일에 한 번씩 수족관의 물 교환과 청소를 하면서 시간과 노동력을 소비하고 있다.
한편, 수족관의 적정 활어 보관은 물 1톤당 활어 20~30kg가 적정하다. 또한 활어 소비량이 많은 매장일 경우 1일 2회까지도 물을 교환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수족관의 물 교환 자체가 30~60분 이상의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바다를 접하지 않는 지역인 내륙일 경우 수족관의 물 교환을 위해 2~3일 간격으로 바닷물 수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문제 등이 있어 수족관 청소를 꺼려한다. 이러한 이유로 수족관의 물은 항상 오염된 상태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수족관의 설치 장소가 바닷물 공급이 용이한 바닷가 또는 물세척이 쉬운 건물의 1층으로 한정되는 문제점도 있다.
현재 전국에서 사용되는 상기 수족관들의 청소 방법들은 다음과 유사하다.
먼저 수족관의 작동을 멈추고, 수족관 내의 물을 빼낸 후, 수족관의 활어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수족관 내부에 설치된 모래 주머니와 솜을 밖으로 꺼내서 깨끗한 물로 세척한 뒤 다시 수족관 여과조에 층층이 쌓고, 물차를 동원하여 바닷물을 수족관에 채운 뒤, 활어를 다시 수족관으로 옮겨야 청소가 끝난다. 따라서 종래의 이 방법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전술한 이유들 때문에 수족관 제작 업자들은 손쉽게 수족관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종래 수족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불순물 및 유기오염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이물질이나 불순물 제거는 전술한 방법 그대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통한 수족관 물 교환과 청소로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유기오염물질 제거는 일반 여과방법으로는 제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1~10일에 한 번씩 수족관의 물을 전체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으로 눈에 보이지 않은 끈적한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육상 양어장 등에서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벤츄리 관을 설치하여 수족관의 물에 용존 산소량이 높아짐은 물론, 오염된 유기물질까지 기포에 흡착시켜 포말(泡沫) 분리방법으로 제거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421호(이하, '특허문헌 1')의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789호(이하, '특허문헌 2')의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000호(이하, '특허문헌 3')의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의 기술들이 있다.
이 기술들은 해수와 공기를 동시에 유입 시킬 수 있는 벤츄리 관을 이용한 포말(泡沫)분리방법을 이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는 기법을 수족관에 적용시켜 수산물 산업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벤츄리 관 형태는 직경 25㎜의 파이프의 중간 부분이 직경 8~10mm로 형성된다. 이러한 벤츄리 관의 잘록한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바닷물은 좁은 공간으로 인해 낮아진 압력에 의해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 원리를 통해 대량의 거품을 생성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바닷물은 저항으로 인해 순환펌프에서 배출된 바닷물 중 30~40% 밖에 벤츄리 관을 통과하지 못한다. 결국 수족관 물의 재순환율은 60~70%가 감소되므로 활어비늘 등의 이물질의 여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좁은 구멍(8~10㎜)에 활어비늘이 하나만 걸려도 이러한 거품 제거 기능의 작동이 어렵거나 멈추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벤츄리 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여과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출원인 역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144호(이하, '특허문헌 4')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8360호(이하, '특허문헌 5')의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을 발명하여 각종 비늘 및 배설물 등을 수족관 작동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제거하는 방법을 기존 수족관에 적용하여 큰 성과를 얻었으나, 이 기술들은 물활어 등에서 발생되는 끈적끈적한 유기오염물질이 바닷물과 혼합되어 부패되고 세균이 번식되면서 물이 뿌옇게 오염되는 유기물질들의 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눈에 보이지 않은 거품을 생성하는 유기물질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여과방법으로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특허문헌 1' 등의 종래기술은 바닷물이 오염된 정도에 따라 수족관에 몇 십분 ~ 몇 시간만 작동시킬 경우, 바닷물 속에 혼합된 유기물질들이 깨끗하게 제거되면서 점차적으로 거품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등과 같은 제품들은 종래 수족관에 설치하고 기존 수족관 여과조에서 유출된 깨끗한 바닷물을 벤츄리 관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막히지 않은 것이다. 특히 이 제품들이 설치된 수족관에 조개류, 멍게, 해삼 등을 보관할 경우, 조개 껍데기를 비롯한 엄청난 양의 모래와 뻘과 같은 배설물이 발생이 되지만, 기존 수족관에 설치된 여과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어패류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즉 설치된 횟집들 역시 전술된 청소 방법 그대로 먼저 수족관 작동을 멈춘 후 물을 빼내고, 활어를 옮기고, 수족관 내부에 설치된 모래 주머니와 솜을 밖으로 꺼내서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다시 수족관 여과조에 층층이 쌓고, 물차를 동원해서 준비된 바닷물을 채우는 방법으로 수족관을 청소하는 여러 업소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거품 제거 기능이 설치된 유사한 제품들 역시 수족관 청소를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은 종래와 다름이 없다는 것을 여러차례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거품제거 기능을 갖는 제품은 거품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반드시 벤츄리 관이 설치돼야 하므로, 거품제거 기능이 적용되었음에도 수족관 청소를 해야한다. 즉 특허문헌 1과 같은 유사한 기술들을 종래 수족관에 적용하더라도 기존 수족관의 여과조 청소는 반드시 1-10일에 한번씩 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여전히 불편함을 겪는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나 특허문헌에는 활어비늘 등과 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필터링 기능이 구비되었다는 기록이나 특허문헌은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정수기 필터처럼 특정 공간에 나선모양으로 꼬아진 합성수지로 만든 여과제(일명'후지노-스파이럴(fuchino-spiral)'이라 함)가 가득 내입된 여과기 중 하나를 단독으로 택일하여 설치하거나 병설(竝設)하여 이루어진다고만 되어있을 뿐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42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789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00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14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83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산물 어시장 좌판 형식의 고무통과 같이 높이가 낮은 종래 수족관들의 경우 별도의 여과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구조지만, 본 발명은 잠시 수산물을 보관하는 고무통일 경우에도 벤츄리 관이 연결된 여과장치 설치로 전문 활어수족관 이상으로 수산물 보관을 할 수 있는 수족관의 청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여과 전용 기능 또는 거품 제거 및 여과 겸용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족관을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작동중인 수족관의 청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수족관 작동 중에 여과조 청소를 할 수 있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여과조의 청소시기를 알려주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여과조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수용하는 부분이 있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수족관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에서 필터링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1차 여과조;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의 유출구와 연결된 벤츄리 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벤츄리 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 여과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수족관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에서 필터링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1차 여과조,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의 유출구와 연결된 3방 제1밸브, 유입구가 상기 3방 제1밸브의 일측에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수족관측에 위치된 배출관, 유입구가 상기 3방 제1밸브의 타측과 연결된 3방 제2밸브,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의 상측과 연결된 일반관,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의 하측과 연결된 벤츄리 관, 상기 일반관의 유출구와 상기 벤츄리 관의 유출구가 합류되는 합류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합류관과 연결되는 2차 여과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상기 2차 여과조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가 하부에 수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재료보다 상측에는 수위센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상기 2차 여과조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가 하부에 수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여과봉을 둘러싸고, 상기 여과봉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측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상기 통로의 측부에 위치되는 이물질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상기 설치부는 상측에 위치된 거품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2차 여과조의 유출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족관의 거품 발생 유무 등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3방 제2밸브를 조작시켜 거품생성이 되지 않는 여과 전용 기능 또는 거품제거 및 여과 기능 겸용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수족관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 내에 조개류, 멍게, 해삼, 활어 등을 보관한 경우, 수족관과 바닷물에 조개 껍데기를 비롯한 엄청난 양의 모래와 뻘 등의 배설물로 가득하게 되는 등의 상황일 때에도 수족관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 3방 제2밸브를 거품생성이 되지 않는 여과 전용 기능으로 조작시켜 활어비늘과 같은 불순물을 신속하게 여과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이때 순환펌프에서 유출된 바닷물은 100% 수족관을 순환하기 때문에 재순환율이 높아지면서 여과 효과가 극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족관들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이물질을 1-2분 이내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활어 등에서 발생되어 일반 여과재로 채집할 수 없었던 눈에 보이지 않는 끈적끈적한 유기오염물질이 혼합되어 뿌옇게 오염된 바닷물까지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포말(泡沫)분리방법으로 깨끗하게 여과 또는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벤츄리 관에서 공급된 자연산소가 수족관의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바닷물 교환이 필요한 시기가 획기적으로 길어지며, 바닷물 교환을 위한 수송비용 부담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의 작동을 30-60분 이상 멈춰야 청소할 수 있었던 문제로 활어들이 산소공급 부족과 스트레스로 폐사하는 등, 수족관의 환경이 나빠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활어들이 몰살됨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비용손실이 될 수 있는 원인들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수족관을 사용하면 소비자에게 저렴하고 안전한 위생적인 수산물 제공이 가능해지고, 활어 등의 소비가 증대되어 어민 소득이 증대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수산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고, 국민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여과조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설치부 내에 떠다니지 않고 가라앉은 채 이물질 수용홈에 보관될 수 있어 많은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 자외선 살균램프를 통해 비브리오균 및 각종 유해균까지 살균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조 청소도 간편하기 때문에 1층이 아니라 임대료가 저렴한 2층, 3층이나 고층 빌딩에도 쉽게 수족관을 설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이 수족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족관 및 본 발명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2차 여과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1차 여과조 및 1차 여과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여과봉 설치부의 바닥판을 제외한 사시도 및 바닥판을 포함한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2차 여과조 및 2차 여과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2차 여과조를 일부 절단하여 단면이 보이는 상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는 설치부(301)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본 발명은 이물질 및 유기오염물질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문헌 4와 특허문헌 5의 기술이 진보하는 과정 중 2차 여과조(300)에 벤츄리 관(400)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바닷물과 혼합된 끈적끈적한 유기물질도 제거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의 청소 시스템을 기존 수족관 리폼을 위해 설치 할 경우에는 기존 수족관(10)의 이물질 배출을 위해 설치된 바닥의 배수구 등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수족관(10)을 새로 제작할 경우, 활어조 바닥 중심부에 설치될 유출관쪽으로 이물질들이 모이도록 활어조 바닥은 경사지고, 수족관(10)과 일체형으로 설치부(301)가 제작되고, 상기 유출관에 작동중인 본 발명의 수족관의 청소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는, 수족관(10)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1)와 내부에서 필터링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03a,103b)가 형성된 1차 여과조, 유입구(131)가 상기 1차 여과조의 유출구(103a,103b)와 연결된 3방 제1밸브(130), 유입구가 상기 3방 제1밸브(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수족관(10)측에 위치된 배출관(120), 유입구(330)가 상기 3방 제1밸브(130)의 타측과 연결된 3방 제2밸브(330),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330)의 상측과 연결된 일반관(307),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330)의 하측과 연결된 벤츄리 관(400), 상기 일반관(307)의 유출구와 상기 벤츄리 관(400)의 유출구가 합류되는 합류관(303),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재료(211,270)를 포함하며 상기 합류관(303)과 연결된 2차 여과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차 여과조(300)는 상기 합류관(303)과 연결된 여과봉(210,260)과, 상기 여과봉(210,26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닷물이 통과되는 여과재료(211,270)를 포함하되, 유출구(320)가 상기 수족관(10)측에 위치된다.
청구항에서 2차 여과조(300)의 유입구는 후술될 설치부(301)의 하측에 설치되는관(미도시)의 유입구를 뜻하고, 2차 여과조(300)의 유출구(320)는 후술될 배출관(320)의 유출구를 뜻한다.
본 발명은 1차 여과조와 3방 제1밸브(130) 사이에 설치되는 순환펌프(110)를 더 포함한다.
순환펌프(110)의 유입구는 후술될 1차 여과조의 합류관과 연결된다.
순환펌프(110)의 유출구는 3방 제1밸브(130)의 유입구(131)와 연결된다.
3방 제1밸브(130)와 3방 제2밸브(330)는 3방 볼밸브다.
3방 제1,2밸브(130,330)는 'T'자 형 관이다.
1차 여과조는 여과재(미도시)와 여과봉(미도시)과 이들이 수용되는 수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1차 여과조는 동일한 부품이 나란하게 2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1차 여과조는 도면을 기준으로 2차 여과조(300) 측에 가까운 1차 제1여과조(100b)와, 우측의 1차 제2여과조(100a)로 이루어진다.
1차 제1,2여과조(100a,100b) 각각에는 유입구(101)와 유출구(103a,103b)가 연통된다.
1차 여과조(100a,100b)의 유입구(101) 2 개에는 각각 잠금밸브(101a)가 설치된다.
1차 여과조(100a,100b)의 2 개 유출구(103a,103b)에는 각각 잠금밸브(103c,103d)가 설치된다.
1차 제2여과조(100a)의 유출구(103a) 및 1차 제1여과조(100b)의 유출구(103b)는 일지점에서 합류부를 형성하며, 상기 합류부와 연결된 합류관을 통해 순환펌프(110)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의 3방 제1밸브(130)는 도면을 기준으로 유입구(131)는 순환펌프(110) 측을 바라보고, 일측은 수족관(10) 측과 바라보며, 타측은 유입구(131)와 반대측을 바라볼 수 있다.
3방 제1밸브(130) 일측에 연결된 배출관(120)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수족관(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3방 제1밸브(130)와 3방 제2밸브(330)를 연결시키는 연결관(140)을 더 포함한다.
연결관(140)은 3방 제1밸브(130)의 타측에서 2차 여과조(300) 측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후술될 설치부(301)나 자외선 살균램프(510)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벤츄리 관(400)은 3방 제2밸브(330)와 합류관(303) 사이에 위치된다.
벤츄리 관(400)의 측부, 도면에서는 벤츄리 관(400)의 우측부에는 공기 흡입관(40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3방 제2밸브(330)가 바닷물이 벤츄리 관(400)이 아닌 일반관(307)을 통과하도록 조작되어 있을 때, 벤츄리관(400)이 3방 제2밸브(330)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반관(307)과 연통된 벤츄리 관(400)에 설치된 공기 흡입관(401)으로 바닷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403)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체크밸브(403)는 벤츄리 관(400)과 합류관(303) 사이, 보다 자세하게 관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2차 여과조(300)는 상기 합류관(303)의 유출구가 하부에 수용되는 설치부(30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료(211,270)는 상기 합류관(303)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301)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재료(211,270)보다 상측에는 수위센서(245)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봉(210,260)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225,265)와, 상기 통로(225,265)를 둘러싸되 상기 통로(225)의 측부에 위치되는 이물질 수용홈(219,267)이 형성된다.
청구항에서 골격부는 여과봉과 여과봉 설치부(240)를 포함하는 말이다.
2차 여과조(300)는, 상기 합류관(303)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30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1차 여과봉(210)과, 상기 1차 여과봉(210)외부를 감싸는 1차 여과부와, 상기 1차 여과봉(210)이 외(外)에 씌워지는 여과봉 설치부(240)와, 여과봉 설치부(240)의 외면에 설치되는 2차 여과봉(260), 상기 2차 여과봉(260)의 외측에 설치되는 2차 여과부, 설치부(301) 내에 설치되어 1차 여과봉(210)의 하측과 여과봉 설치부(240)의 하측이 결합되는 여과봉 결합부재(290)를 포함한다.
전술한 2차 여과조(300)의 여과봉은 1,2차 여과봉(210,260)을 포함하고, 여과재료는 1,2차 여과재료(211,270)을 포함한다.
------------------ 1차 여과봉(210) ------------------
원통 형상의 1차 여과봉(210)은 하측 여과부(213)와, 하측 여과부(213)와 이격된 상측 여과부(215)와, 상하측 여과부(213)(213,215)를 연결하고 상측 여과부(215)보다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227)과, 연장편(227)의 상단에 연결된 링 형상의 스토퍼(229)를 포함한다.
상하측 여과부(213,215)는 이물질 수용홈(219)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221)와, 몸체(221)의 내측에 연결되어 축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편(223)과, 경사편(223)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 형상의 상기 통로(225)를 포함한다.
이물질 수용홈(219)은 몸체(221)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통로(225)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물질 수용홈(219)은 외주면과, 내주면과,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바닥면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띠 형상의 경사편(223)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측 여과부(215)의 통로(225)의 상하길이는 하측 여과부(213)의 통로(225)의 상하길이보다 짧다.
상측 여과부(215)의 통로(225)의 중심축과 하측 여과부(213)의 통로(225)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다.
연장편(227)은 직육면체 막대 형상으로, 상단과 중앙과 하단이 각각 스토퍼(229)와 상측 여과부(215)의 몸체(221)와 하측 여과부(213)의 몸체(221)에 연결된다.
연장편(227)은 통로(225)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4 개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과봉 설치부(240)가 1차 여과봉(210)에 씌워지면, 스토퍼(229)가 여과봉 설치부(240)의 후술될 상면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1차 여과봉(210)이 여과봉 설치부(240)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1차 여과봉(210)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1차 여과재(211)는 상하부가 관통된 망 형태이다. 따라서 면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1차 여과재(211)의 특성상, 1차 여과봉(210)의 통로(225)를 통과한 뒤 1차 여과재(211)에 걸러진 대부분의 이물질들은 출렁거리는 바닷물로 인해 1차 여과재(211)에 붙어있지 못하고 떨어진 후 1차 여과봉(210)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물질 수용홈(219)으로 이동해 수북히 채집되는 구조이다.
------------------ 여과봉 설치부(240) ------------------
여과봉 설치부(240)는 대략 관 형상이다.
여과봉 설치부(240)는 외주면과, 외주면의 상단에 연결된 상면, 외주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는 손잡이(249), 상면에서 돌출되어 설치부(301)의 상측에 위치되는 거품 배출구(241), 거품 배출구(241)와 손잡이(249)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면에 헝성되어 설치부(301) 내의 물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수용부(243)를 포함한다.
센서(245)는 설치부(301) 상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 뚜껑(301a)에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 2와 같이 상기 뚜껑(301a)이 닫힌 상태에서 센서(245)는 센서 수용부(243)에 장착되고 상기 뚜껑(301a)을 열면 센서(245)가 해제되는 구조이다.
거품 배출구(241)는 상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감소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품이 감소부로 모여 거품 배출구(24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거품 배출구(241)에는 거품 배출관(310)이 설치된다.
거품 배출구(241)는 상측으로 연장되다가 수족관(10)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있지만, 절곡 방향은 거품 배출이 가능한 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으로든 조절이 가능하다.
거품 배출구(241)의 직경은 여과봉 설치부(240) 상면의 직경의 약 1/3 크기이다.
여과봉 설치부(240)의 하측에는 관통로(247)가 형성된다.
관통로(247)는 1차 여과봉(210), 1차 여과재(211)를 통과한 바닷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통과하는 통로다.
관통로(247)는 상하길이보다 좌우길이가 더 길다.
관통로(247)는 여과봉 설치부(2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여러 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보다 상측에는 수위센서(245)가 위치된다.
수위센서(245)는 전선을 포함한다.
내부에 공간을 갖는 센서 수용부(243)에는 수위센서(245)가 연결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부품에 전선이 연결되어 있어 센서(245)가 설치부(301) 내의 수위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위센서(245)와 연결된 부저(245)를 더 포함한다.
1,2차 여과재(211,270)가 이물질로 조금씩 막힘에 따라 설치부(301) 내의 수위가 올라가면 수위센서(245)에서 인식하여 센서(245)가 작동하며, 부저(245)에서 신호음을 울려 청소시기를 알려준다.
------------------ 여과봉 결합부재(290) ------------------
여과봉 결합부재(290)는 설치부(301)의 외형과 대응되는 직육면체의 바닥판(291)과, 바닥판(29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되 1차 여과봉(210)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293)와, 가이드(293)를 둘러싸는 제1지지편(295)과, 제1지지편(295)을 둘러싸는 제2지지편(297)을 포함한다.
1차 여과봉(210)이 잘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293)와 제1지지편(295)은 1차 여과봉(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1차 여과봉(210)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제1지지편(295)과 제2지지편(297)은 여과봉 설치부(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여과봉 설치부(240)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293)와 제1,2지지편(295,297)은 원형 관 형상이다.
가이드(293)의 상하길이는 제1,2지지편(295,297)의 상하길이의 약 2배이다. 즉 가이드(293)는 제1,2지지편(295,297)보다 더 돌출된다.
보다 자세하게 가이드(293)의 상기 돌출된 부분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가이드(293)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1차 여과봉(210)을 가이드(293)와 제1지지편(295)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가이드(293)와 제1,2지지편(295,297)의 하측에는 이물질 배출공(299)들이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공(299)은 가이드(293) 및 제1,2지지편(295,297)의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293)의 이물질 배출공(299)과 제1지지편(295)의 이물질 배출공(299)과 제2지지편(297)의 이물질 배출공(299)은 서로 나란하다. 따라서 이물질이 보다 더 쉽게 배출될 수 있다.
------------------ 2차 여과봉(260) ------------------
2차 여과봉(260)은 링 형상의 지지부(261)들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지부(261)를 연결하는 연장편(26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61)는 상하로 나란하게 총 4 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지지부(261)는 2차 여과봉(260)에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측부터 하측까지 순서대로 제1지지부(261), 제2지지부(261), 제3지지부(261) 및 제4지지부(261)로 이루어진다.
제4지지부(261)는 여과봉 설치부(240)에 꽉 끼워진다.
2차 여과봉(260)은 여과봉 설치부(240) 아래로 빼고 끼울 수 있다.
제1 내지 3지지부(261)는 여과봉 설치부(240)와 이격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1 내지 3지지부(261)는 여과봉 설치부(240) 사이는 약 2mm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차 여과봉(260)이 여과봉 설치부(240)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제2지지부(261)와 제3지지부(261)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되, 바닷물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로(265)와, 통로(265)와 통로(265) 사이에 형성되는 이물질 수용홈(267)을 포함한다.
제2지지부(261)와 제3지지부(261)에는 4 개의 통로(265)와 4 개의 이물질 수용홈(267)이 형성된다.
제2지지부(261)와 제3지지부(261)의 이물질 수용홈(267)은 양측면과, 양측면에 연결되는 외주면과 내주면,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다.
제4지지부(261)는 둘레방향을 따라 원형 띠를 형성하도록 이물질 수용홈(267)이1 개만 형성된다.
제4지지부(261)의 이물질 수용홈(267)은 외주면과 내주면,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다.
한편, 여과봉 설치부(240)에 씌워졌을 때, 2차 여과봉(260)의 상기 통로(265)는 이물질 수용홈(267)을 형성하는 양측면과 여과봉 설치부(240)에 둘러싸여 상하측이 개방된 공간이 된다. 따라서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를 통해 배출된 바닷물은 수압에 의해 통로(265)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한편, 2차 여과봉(260)의 연장편(263)은 직육면체의 막대 형상이다.
연장편(263)은 지지부(261)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의 연장편(263)은 2차 여과봉(2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총 4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통로(265)는 연장편(263)과 연장편(263) 사이에 위치된다.
연장편(263)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제1지지부(261)와 제4지지부(261)에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2차 여과봉(260)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2차 여과재(270)는 망 형태이다. 따라서 2차 여과재(270)와 여과봉 설치부(240) 사이에 2차 여과봉(260)이 위치된다.
2차 여과봉(260)이 여과봉 설치부(240)에 씌워지면 2차 여과봉(260)의 이물질 수용홈(267)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여과봉 설치부(24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이때 제3지지부(261)와 제4지지부(261) 사이에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가 위치된다. 또한, 2차 여과봉(260)의 제1지지부(261)는 여과봉 설치부(240)의 손잡이(249)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 설치부(301) ------------------
도면에서 설치부(301)와 집수조관(500)이 별도 부품으로 도시되었지만 설치부(301)와 집수조관(500)은 연통되며, 설치부(3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2차 여과조(300)를 설치하는 설치부(301)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도시되어있으나, 관상용 수족관이나 활어 수족관의 형태에 따라 원형 등으로도 제작될수있다
설치부(301)의 타측에는 합류관(303)이 연결된다.
설치부(301)의 일측에는 배출관(320)이 연결된다.
배출관(320)의 유입구는 설치부(301)의 하부에 위치되며, 보다 자세하게 여과봉 결합부재(290)와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전술한 2차 여과조(300)의 유출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한다. 이때 2차 여과조(300)의 유출구, 즉 배출관(320)은 높이 조절이 10㎝정도 가능하다.
배출관(320)의 유출구는 수족관(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배출관(320)의 유출구의 높이와 설치부(301) 내 수위의 높이가 적절하게 차이가 나면, 거품 배출구(241)로 배출되는 거품에 바닷물이 거의 섞이지 않은 채 적절한 양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320)의 유출구는 설치부(301)의 높이 중 상측 1/3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닷물에 포함된 거품은 전술된 끈적끈적한 유기물질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유기물질의 점도가 약할 때 생성된 거품은 점도에 따라 1-10초 이내로 바로 소멸되지만, 유기물질의 점도가 높을 때 생성된 거품은 그 점도에 따라 1-10분 이상이 지나도 터지지 않아 형상이나 상태가 유지된다.
유기물질의 점도가 약한 거품에서 추출된 물은 눈으로 보았을 때 깨끗한 물로 식별되고, 점도가 강한 거품에서 추출된 물은 미끈거리며 미세한 이물질로 인해 탁도가 높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를 이용해 배출관(320)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높일 경우, 설치부(301) 내의 바닷물 수위가 여과봉 설치부(240)의 상면까지 높아진다. 이로 인해 여과봉 설치부(240) 상면 측에 모인 거품들이 소멸되기 전에 거품 배출구(241)로 배출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미세한 거품까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닷물 수위가 높아졌을 때에 배출되는 거품은 상당한 양의 물도 함께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배출관(320)의 높이를 낮출 경우, 설치부(301) 내의 바닷물 수위가 여과봉 설치부(240)의 하면까지 낮아지기 때문에, 거품들이 생성되고 거품들이 거품 배출구(241)의 상면 측까지 스스로 올라가는 5-15 초의 시간동안 거품에 포함된 물이 거품과 분리되어 바닥으로 내려가고 순수 거품만 거품 배출구(241)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부(301) 내의 바닷물 수위가 낮아지면 점도가 높은 순수한 거품만 배출되기 때문에 미세한 유기물질(거품)은 제거시킬 수 없다.
즉, 본 발명은 거품 배출구(241)에서 바닷물이 배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관(320)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높일 경우 아주 미세한 거품까지 제거가 가능하다.
설치부(301)의 뚜껑(301a)에는 여과봉 설치부(240)의 거품 배출구(241)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수용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설치부(301)에는 여과봉 결합부재(290)가 놓이는 판(340)이 여과봉 결합부재(290)보다 하측에 설치된다.
설치부(301)의 타측 중 상기 판(340)의 일측에는 밸브를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구(350)가 설치된다.
상기 판(340)의 타측 절반은 바닥판(291)과 나란하고, 나머지 일측 절반은 합류관(303)에서 이물질 배출구(350) 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 배출구(350)를 통해 이물질이 남김없이 깨끗하게 잘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부(301)와 상기 판(340)의 타측 절반에 둘러싸여 하측에는 합류관(303)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판(340)의 중앙에는 합류관(303)과 연결된 관(미도시)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관(미도시)은 유입구가 합류관(303)과 연결되고 유출구는 중심축이 유입구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관(미도시)은 'ㄴ'자 형상이다.
상기 관(미도시)의 유출구는 1차 여과봉(210)의 하측 여과부(213) 내부 중심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합류관(303)을 거친 바닷물은 곧바로 1차 여과봉(210) 내부로 유입되므로 1차 여과재(211)를 통과하도록 유도된다.
보다 자세하게 합류관(303)을 거친 바닷물은 반드시 1차 여과봉(210)과 1차 여과재(211)를 통과해야만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를 통과할 수 있고, 2차 여과재(270)를 거쳐야만 설치부(301)의 배출관(320)을 통해 수족관(10)으로 보내져 수족관(10)의 바닷물이 재순환 될 수 있다.
결국 재순환되는 수족관(10)의 바닷물은 반드시 1,2차 여과재(211,270)를 통과할 수 밖에 없으므로 더욱더 효과적으로 바닷물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설치부(301)의 타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자외선 살균램프(510)가 설치되는 집수조관(500)을 더 포함한다.
----------------------- 수족관(10) 청소 시스템 작동 과정 및 발명의 효과 ------------------------------
사용자는 수족관(10)의 거품 발생 유무 등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3방 제2밸브(330)를 조작시켜 거품생성이 되지 않는 여과 전용 기능 또는 거품제거 및 여과 기능 겸용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므로써 수족관 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을 이용한 상기 두 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거품제거 및 여과 기능 겸용의 기능으로 수족관(10)의 바닷물을 청소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청소 시스템이 작동되면 수족관(10) 내의 바닷물은 2 개의 1차 여과조(100a,100b)로 나뉘어 유입된다. 이는 1차 여과조(100a,100b) 2개가 모두 작동된 상태이다.
이후 바닷물은 1차 여과조에서 0.3㎝ 이상으로 큰 고깃비늘 및 이물질이 제거된 후 각각의 유출구(103a,103b)를 통해 유출된다. 이때 1차 여과단계가 완료된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각각의 유출구(103a,103b)가 합쳐진 합류관을 통해 순환펌프(110)로 보내진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순환펌프(110)를 거친 후 3방 제1밸브(130)의 유입구(131)로 보내진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3방 제1밸브(130)의 타측과 연통된 연결관(140)을 통해 3방 제2밸브(330)로 보내진다. 이때 3방 제2밸브(330)는 유입구(331)가 일반관(307)과 연통되지 않도록 조작된 상태여야 한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연결관(140)과 연통된 3방 제2밸브(330)의 유입구(331)로 보내진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3방 제2밸브(330)의 하측관을 통해 벤츄리 관(400) 측으로 보내진다. 이때 바닷물은 벤츄리 관(400)이 설치된 관을 통과되면서 대량의 기포를 생성시키고, 바닷물에 있던 눈에 보이지 않는 유기물질이 포말(泡沫)분리방법으로 제거된다.
이후, 벤츄리 관(400)을 통과한 바닷물은 합류관(303)을 거쳐 설치부(301) 하측의 관(미도시)으로 보내진다.
이후, 바닷물은 수압에 의해 상기 관(미도시)을 통해 1차 여과봉(210)의 하측 여과부(213) 내부로 유입되면서 벤츄리 관(400)에서 발생된 기포에 의해 거품을 생성시킨다. 이때 바닷물보다 가벼운 상기 거품은 스스로 거품 배출구(241)를 통해 외(外)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거품을 제외한 바닷물은 수압에 의해 1차 여과재(211)를 거치면서 활어비늘과 같은 불순물 등의 이물질이 또 다시 걸러진다. 이때 1,2차 여과재(211,270)에 이물질이 쌓인 정도에 따라 설치부(301) 내의 수위가 변하며, 상기 수위에 따라 바닷물은 하측 여과부(213)의 통로(225)와 상측 여과부(215)의 통로(225)까지 통과된다.
이후, 1차 여과재(211)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바닷물은 1차 여과재(211)와 여과봉 설치부(240)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후,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걸러진 이물질은 1차 여과재(211) 및 1차 여과봉(210)의 이물질 수용홈(219)에 수집될 수 있다.
이후, 관통로(24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바닷물은 여과봉 설치부(240)와 2차 여과봉(260)에 설치된 통로(265)를 통하여 2차 여과재(270)를 거치면서 이물질은 2차 여과재(270)및 2차 여과봉(260)의 이물질 수용홈(267)에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여과조(300)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설치부(301) 내에 떠다니지 않고 가라앉은 채 이물질 수용홈(267)에 보관될 수 있어 많은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다.
이로써 2차 여과단계가 완료된다.
설치부(301) 내에 유입된 바닷물은 설치부(301) 및 집수조(500)에 머무는 동안 자외선 살균램프(510)에 의해 살균 된 후, 배출관(320)을 통해 수족관(10)으로 재순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거품 제거 및 여과 겸용 기능을 작동시키면 벤츄리 관(400)에 의한 거품 발생으로 상기 거품은 스스로 거품 배출구(241)를 통해 외(外)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이물질이 포함된 바닷물이 수압에 의해 1,2차 여과재(211,27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채집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1-2분 이내로 수족관(10)의 바닷물에 있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다음은 거품생성이 되지 않는 여과 전용 기능으로 수족관(10)의 바닷물을 청소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청소 시스템이 작동되면 수족관(10) 내의 바닷물은 2 개의 1차 여과조로 나뉘어 유입된다.
이후, 바닷물은 1차 여과조에서 필터링 되어 0.3㎝ 이상으로 큰 고깃비늘 및 이물질이 제거된 후 각각의 유출구(103a,103b)를 통해 유출된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각각의 유출구(103a,103b)가 합쳐진 합류관을 통해 순환펌프(110)로 보내진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순환펌프(110)를 거친 후 3방 제1밸브(130)의 유입구(131)로 보내진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3방 제1밸브(130)의 타측과 연통된 연결관(140)을 통해 3방 제2밸브(330)로 보내진다. 이때 3방 제2밸브(330)는 유입구(331)가 일반관(307)과 연통되도록 조작된 상태여야 한다.
이후,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은 연결관(140)과 연통된 3방 제2밸브(330)의 유입구(331)로 보내진다. 이때 3방 제2밸브(330)는 일반관(307)으로 연통되고 벤츄리 관(400)으로는 연통되지 않도록 조작된 상태여야 한다.
이후, 3방 제2밸브(330)의 상측관을 통해 일반관(307)으로 보내진 바닷물은 합류관(303)을 거쳐 설치부(301) 하측의 관(미도시)을 통해 1차 여과봉(210)의 하측 여과부(213) 내부로 유입되어 1차 여과봉(210)의 1차 여과재(211)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때 1,2차 여과재(211,270)에 이물질이 쌓인 정도에 따라 설치부(301) 내의 수위가 변하며, 상기 수위에 따라 바닷물은 하측 여과부(213)의 통로(225)와 상측 여과부(215)의 통로(225)까지 통과된다.
이후, 1차 여과재(211)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바닷물은 1차 여과재(211)와 여과봉 설치부(240)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후, 여과봉 설치부(240)의 관통로(24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대부분의 이물질은 수직으로 형성된 1차 여과재(211) 특성상, 출렁거리는 바닷물로 인하여 여과재(211)에 붙어있지 못하고 떨어진 후, 1차 여과봉(210)의 상기 경사면에 따라 이물질 수용홈(219)에 수북히 채집된다.
이후, 관통로(24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바닷물은 여과봉 설치부(240)와 2차 여과봉(260)에 설치된 통로(265)를 통하여 2차 여과재(270)를 거치면서 이물질은 2차 여과봉(260)의 이물질 수용홈(267)에 한번 더 수집된다.
따라서 2차 여과조(300)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설치부(301) 내에 떠다니지 않고 가라앉은 채 이물질 수용홈(267)에 보관될 수 있어 많은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다.
이로써 2차 여과단계가 완료된다.
설치부(301) 내에 유입된 바닷물은 설치부 집수조에 머무는 동안 자외선 살균램프(510)에 의해 살균 된후. 배출관(320)을 통해 수족관(10)으로 재순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여과 전용 기능을 작동시키면 수족관(10)의 이물질이 신속하게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족관(10)의 바닷물을 벤츄리 관(400)이 아닌 일반관(307)을 통과시킨 후 2차 여과조(300)를 통과하도록 하면, 수족관(10)의 바닷물 재순환율은 전술한 여과 겸용 기능, 즉 바닷물이 벤츄리 관(400)을 통과할 때 보다 60-70%가량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족관(10) 내에 조개류, 멍게, 해삼, 활어 등을 보관한 경우, 수족관(10)과 바닷물에 조개 껍데기를 비롯한 엄청난 양의 모래와 뻘 등의 배설물로 가득하게 되는 등의 상황일 때에도 수족관(10)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 3방 제2밸브(330)를 거품생성이 되지 않는 여과 전용 기능으로 조작시켜 활어비늘과 같은 불순물을 신속하게 여과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이때 순환펌프(110)에서 유출된 바닷물은 100% 수족관(10)을 순환하기 때문에 재순환율이 높아지면서 여과 효과가 극대된다.
한편, 여과 전용 기능은 바닷물이 벤츄리 관(400)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거품을 생성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바닷물을 뿌옇게 오염시키는 눈에 보이지 않은 끈적한 유기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기존에 사용중인 관상용 수족관(10) 및 활어 수족관(10) 내부에 설치된 여과장치를 철거하고 설치할 경우, 상기 수족관(10)들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수족관(10) 내에 생기는 고깃비늘이나 불순물 등의 이물질을 1-2분 이내(기존 수족관(10) 30-60분 이상)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활어 등에서 발생되어 일반 여과재로 채집할 수 없었던 눈에 보이지 않는 끈적끈적한 유기오염물질이 혼합되어 뿌옇게 오염된 바닷물까지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포말(泡沫)분리방법으로 깨끗하게 여과 또는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벤츄리 관(400)에서 공급된 자연산소가 수족관(10)의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 자외선 살균램프(510)를 통해 비브리오균 및 각종 유해균까지 살균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수족관(10)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져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바닷물 교환이 필요한 시기가 획기적으로 길어지며, 바닷물 교환을 위한 수송비용 부담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10)의 작동을 30-60분 이상 멈춰야 청소할 수 있었던 문제로 활어들이 산소공급 부족과 스트레스로 폐사하는 등, 수족관(10)의 환경이 나빠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활어들이 몰살됨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비용손실이 될 수 있는 원인들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수족관(10)을 사용하면 소비자에게 저렴하고 안전한 위생적인 수산물 제공이 가능해지고, 활어 등의 소비가 증대되어 어민 소득이 증대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수산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고, 국민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들은 기존 수족관(10)에 설치된 여과조에서 유출된 깨끗한 바닷물을 활용하여 거품을 생성하고 제거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족관(10)의 거품 제거 효과는 탁월하지만, 수족관(10)의 바닷물 교환과 청소를 위해서 반드시 수족관(10) 작동을 멈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기존 수족관(10)에 설치된 여과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별도의 2차 여과조(300)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수족관(10) 청소를 할 필요가 없이 수족관(10) 작동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도 빠른 시간 내에 종래와 같은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보된 점이다.
----------------- 1,2차 여과조(300)의 청소방법 -----------------
한편, 본 발명의 1차 여과조의 청소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수족관(10)의 유출구에 설치된 1차 여과조(100a,100b) 중 1 개의 여과조, 예를 들어 1차 제1여과조(100b)의 유입구(101) 및 유출구(103b)의 밸브를 잠그더라도 나머지 1 개의 1차 제2여과조(100a)에서 순환펌프(110)로 바닷물을 보낼 수 있다. 따라서 1차 여과조는 작동중이기 때문에 수족관(10)의 작동을 멈추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은 1차 여과조 청소시 2 개 여과조(100a,100b) 중, 1 개씩 돌아가면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10)의 작동을 멈추지 않아도 된다.
한편, 2차 여과조(300)로 바닷물이 유입되기 전에 1차 여과조(100a,100b)가 설치되고, 1차 여과조(100a,100b)는 청소가 필요할 때면 수족관(10)의 작동을 멈추지 않아도 언제든, 2차 여과조(300) 청소와는 무관하게 1차 여과조(100a,100b)의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후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2차 여과조(300)의 청소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바닷물의 순환 방향이 순환펌프(110)에서 배출관(120) 방향이 되도록 3방 제1밸브(130)를 조작시키면 연결관(140), 즉 2차 여과조(300)로는 1차 필터링된 바닷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2차 여과조(300)가 청소되는 동안 바닷물이 순환펌프(110)와 배출관(120)을 거쳐 수족관(10)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수족관(10) 내 바닷물의 용존산소는 유지가 된다.
이후, 탈부착이 가능한 2차과봉(260)이 결합된 여과봉 설치부(240)와 1차 여과봉(210)을 설치부(301) 내부에 설치된 여과봉 결합부재(29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여과봉 설치부(240)에서 2차 여과봉(260)을 분리시킨다.
이후, 2차 여과봉(260)과 2차 여과재(270)가 결합된 상태에서 물에 헹구는 형태로 씻거나 2차 여과재(270)를 1회용으로 교환한다.
이후, 1차 여과봉(210) 역시 1차 여과봉(210)과 1차 여과재(2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물에 헹구는 형태로 씻거나 1차 여과재(211)를 1회용으로 교환한다.
이후, 이물질 배출구(350)를 통해서 여과봉 결합부재(290) 내(內)에 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킨다.
이후, 여과봉 설치부(240)에 2차 여과봉(260)을 결합시킨다.
이후, 1차 여과봉(210)을 설치부(301) 내부의 여과봉 결합부재(290)의 가이드(293)와 제1지지편(295) 사이 공간에 삽입시킨다.
이후, 여과봉 설치부(240)를 여과봉 결합부재(290)의 제1지지편(295)과 제2지지편(297) 사이 공간에 삽입시킨다.
이후, 바닷물의 순환 방향이 순환펌프(110)에서 2차 여과조(300) 방향이 되도록 3방 제1밸브(130)를 조작시킨다.
이와 같이 2차 여과조(300)의 고깃비늘 및 배설물같은 이물질 제거가 손쉽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필요하면 하루에 3-4회 이상이라도 수족관(10)의 작동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1~2분 내에 2차 여과조(300)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조(100a,100b,300)의 모든 청소가 간편하게 1~2분 이내로 완료되기 때문에 1층 매장이 아닌 임대료가 저렴한 2층 3층이나 고층 빌딩에도 쉽게 수족관(10)을 설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의 수족관(10) 내부에 설치된 여과조를 철거하고 1차 여과조와 이격되게 별도로 구비되는 2차 여과조(300)를 기존 수족관(10)으로부터 5m 이상 먼 곳까지도 수위만 맞추면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사용중인 기존의 다양한 수족관(10)에 설치시킬 수 있어 용이하다.
특히, 종래 수족관들은 여과장치 설치로 인하여 수족관의 부피를 크게 제작할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제작비용, 설치장소, 수족관 청소 등의 제약으로 전문점(횟집등)외에는 설치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수족관과는 별도로 벤츄리 관에 연결된 탈부착이 가능한 여과장치에서 모든 청소가 이뤄진다.
결국, 수산물을 보관하는 수족관 형태(활어조 및 시중에 판매하는 고무통등)에 여과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시중에 판매하는 고무통(가로 60cm * 세로 60cm)에도 소형화된 본 발명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산물 전문점이 아닌 일반식당에서도 전복, 낙지등 소량의 어류도 전시하여 판매가 가능하다.
======================= 2실시 예 =======================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된 제1실시 예와 다른 구성을 갖는 제2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수족관(10)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1)와 내부에서 필터링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03a,103b)가 형성된 1차 여과조(100a,100b),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100a,100b)의 유출구(103a,10b)와 연결된 벤츄리 관(400),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재료(211,270)를 포함하며 상기 벤츄리 관(400)의 유출구와 연결된 2차 여과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에서 3방 제1,2밸브(130,330), 배출관(120), 1차 여과조(100a,100b) 2 개 중 1 개는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발명은 비용이 절감된다.
전술된 것 외에 제2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다.
======================= 3실시 예 =======================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된 제1실시 예와 다른 구성을 갖는 제3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3실시 예의 1차 여과조는 제2실시 예와 달리 수족관(10)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여과조(미도시)를 거쳐 필터링된 수족관의 바닷물을 바로 벤츄리 관(400)으로 보내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수족관(10)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1)와 내부에서 필터링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03a,103b)가 형성된 1차 여과조(미도시),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미도시)의 유출구와 연결된 벤츄리 관(400),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재료(211,270)를 포함하며 상기 벤츄리 관(400)의 유출구와 연결된 2차 여과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3실시 예는 수조관에 설치되어 있던 여과조(미도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1실시 예에서 1차 여과조(100a,100b)가 필요없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발명은 비용이 절감된다.
전술된 것 외에 제3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는 제1,2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4실시 예로써, 수산물 어시장 좌판 형식의 고무통과 같은 간이 수족관일 경우 1 개의 1차 여과조(100a 또는 100b)와 2차 여과봉(260)과 2차 여과재(270) 등을 생략하는 방법으로 생산비를 크게 절감한 수족관 청소 시스템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것 외에 제4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다.
참고로, 제2실시 예 및 제4실시 예의 발명 역시, 실험결과 많은 비용이 절감 되었음에도 거품제거와 이물질 제거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실시 예 및 제4실시 예와 제1실시 예의 차이점은 제2실시 예 및 제4실시 예는 여과조 청소를 하기 위해서 수족관 작동을 1-2분 멈춰야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종래 수족관(활어조)100a : 1차 제2여과조
100b : 1차 제1여과조 101 : 유입구
103a,b : 유출구 110 : 순환펌프
120 : 배출관 130 : 3방 제1밸브
131 : 3방 제1밸브유입구 140 : 연결관
210 : 1차 여과봉 211 : 1차 여과재
240 : 여과봉 설치부 241 : 거품 배출구
243 : 센서 수용부 245 : 부저(센서)
260 : 2차 여과봉 265 : 통로
267 : 이물질 수용홈 270 : 2차 여과재
290 : 여과봉 결합부재 300 : 2차 여과조
303 : 합류관 307 : 일반관
310 : 거품 배출관 320 : 배출관
330 : 3방 제2밸브 331 : 3방 제2밸브 유입구
340 : 판 350 : 이물질 배출구
400 : 벤츄리 관 401 : 공기 흡입관
403 : 체크밸브 500 : 집수조관
510 : 자외선 살균램프

Claims (5)

  1. 수족관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에서 필터링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1차 여과조;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의 유출구와 연결된 벤츄리 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벤츄리 관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2차 여과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2. 수족관의 바닷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에서 필터링한 바닷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1차 여과조;
    유입구가 상기 1차 여과조의 유출구와 연결된 3방 제1밸브;
    유입구가 상기 3방 제1밸브의 일측에 연결되고, 유출구가 상기 수족관측에 위치된 배출관;
    유입구가 상기 3방 제1밸브의 타측과 연결된 3방 제2밸브;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의 상측과 연결된 일반관;
    유입구가 상기 3방 제2밸브의 하측과 연결된 벤츄리 관;
    상기 일반관의 유출구와 상기 벤츄리 관의 유출구가 합류되는 합류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합류관과 연결되는 2차 여과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조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가 하부에 수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재료보다 상측에는 수위센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조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가 하부에 수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합류관의 유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부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재료는 상기 여과봉을 둘러싸고,
    상기 여과봉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측을 둘러싸고 형성되되 상기 통로의 측부에 위치되는 이물질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측에 위치된 거품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2차 여과조의 유출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1020180049259A 2018-04-27 2018-04-27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20190125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59A KR20190125031A (ko) 2018-04-27 2018-04-27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59A KR20190125031A (ko) 2018-04-27 2018-04-27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031A true KR20190125031A (ko) 2019-11-06

Family

ID=6854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259A KR20190125031A (ko) 2018-04-27 2018-04-27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03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789Y1 (ko) 2000-12-21 2001-05-15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KR200258000Y1 (ko) 2001-09-14 2001-12-22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100877421B1 (ko) 2008-04-22 2009-01-07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1404144B1 (ko) 2013-08-30 2014-06-11 서용섭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101718360B1 (ko) 2015-09-04 2017-03-21 서용섭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789Y1 (ko) 2000-12-21 2001-05-15 성국경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KR200258000Y1 (ko) 2001-09-14 2001-12-22 임희숙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100877421B1 (ko) 2008-04-22 2009-01-07 주식회사 21세기 하이테크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1404144B1 (ko) 2013-08-30 2014-06-11 서용섭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101718360B1 (ko) 2015-09-04 2017-03-21 서용섭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042B2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US20030006178A1 (en) Fish pond filter system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US11951420B2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KR101039472B1 (ko) 전시용 수족관 사육수 여과장치
JP3129969U (ja) 魚の糞等の自然落下式濾過水槽
KR100939559B1 (ko)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KR20180128595A (ko) 수조용 여과 장치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CN206521350U (zh) 一种生活用水循环净化再利用系统
KR20190125031A (ko)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KR101108528B1 (ko) 저수 정화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JP4232151B2 (ja) 飼育水浄化装置、これを用いた飼育水槽及び飼育水の浄化方法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CN203219815U (zh) 一种淡水鱼食用前饲养净化处理的装置
CN105753269A (zh) 一种低成本园林式景观水循环处理系统
KR100717992B1 (ko) 수족관 여과장치
CN103098747A (zh) 一种淡水鱼食用前饲养净化处理的装置
KR200408871Y1 (ko) 수족관 여과장치
CN220665124U (zh) 一种屠宰场废水处理装置
JP2006271233A (ja) 釣り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