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871Y1 - 수족관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여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8871Y1 KR200408871Y1 KR2020050033458U KR20050033458U KR200408871Y1 KR 200408871 Y1 KR200408871 Y1 KR 200408871Y1 KR 2020050033458 U KR2020050033458 U KR 2020050033458U KR 20050033458 U KR20050033458 U KR 20050033458U KR 200408871 Y1 KR200408871 Y1 KR 2004088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body case
- coupled
- valve
- aquariu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4000045947 parasit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1233061 earthworm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816 gi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1143 Hypo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닷고기나 민물고기 등을 기르거나 장시간 보호하는 수족관에서 발생하는 불순물과 함께 고기의 배설물 등이 함유된 오수를 정화하여 주는 수족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과 저면에 배출구(2)와 퇴수구(3)를 만들고 내부에 단턱(4)을 만든 하부체(1)를 형성하고, 하부체(1)의 배출구(2)에는 배출밸브(5)를, 퇴수구(3)에는 퇴수밸브(6)를 결합하며 내부 단턱(4)에는 다수 개의 여과필터(10)를 나사 결합한 분리판(11)을 안치하여 배출공간(12)을 형성하였고, 하부체(1)의 내주연에는 몸체 케이스(20)를 결합하며 몸체 케이스(20)의 상단에는 몸체 케이스(20)의 내벽과 사이에 완충 공간(25)이 형성되게 원형차단벽(21)을 만든 고정체(26) 내측에는 단턱(22)을 형성하여 그름 망(30)의 고정테(31)를 안치하며,
몸체 케이스(20) 상측에는 일측에 유입구(40)를 만들어 유입밸브(7)를 결합한 상부체(50)를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체(50)의 내주연에는 안치턱(51)과 잠금안내홈(52)을 형성하였으며 안치턱(51)에는 링홈을 만들어 고무박킹(41)을 끼워 상부에 덮개(60)를 얹은 상태에서 밀폐력을 높여 누수 됨이 없도록 하였고,
상기의 덮개(60)는 다수 개의 가로 지지대(61)를 중앙의 고정편(62)에 결합하며 고정편(62)의 아래에는 스프링(63)를 넣어 작동축(64)을 끼워 회전손잡이(65)로 나사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체 유입구 퇴수구 단턱 배출밸브 퇴수밸브 유입밸브 여과필터 분리판 배출공간 몸체 케이스 원형차단벽 단턱 완충 공간 고정체 그름망 고정테 유입구 고무박킹 상부체 안치턱 잠금안내홈 덮개 가로 지지대 고정편 스프링 작동축 회전손잡이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하부체 2: 유입구
3: 퇴수구 4: 단턱
5: 배출밸브 6: 퇴수밸브
7: 유입밸브 10: 여과필터
11: 분리판 12: 배출공간
20: 몸체 케이스 21: 원형차단벽
22: 단턱 25: 완충 공간
26: 고정체 30: 그름망
31: 고정테 40: 유입구
41: 고무박킹 50: 상부체
51: 안치턱 52: 잠금안내홈
60: 덮개 61: 가로 지지대
62: 고정편 63: 스프링
64: 작동축 65: 회전손잡이
본 고안은 바닷고기나 민물고기 등을 기르거나 장시간 보호하는 수족관에서 발생하는 불순물과 함께 고기의 배설물 등이 함유된 오수를 정화하여 주는 수족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족관은 투명유리로 벽체를 만들어 바닷고기나 민물고기를 넣어 기르거나 장시간 보호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져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관상용이나 횟집 등 음식점에서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사람 육안으로 물고기의 상태를 살필 수 있는 것인데 처음 수족관에 깨끗하고 맑은 물을 넣은 상태에서 물고기를 넣게 되어도 물고기가 환경이 바뀌면서 스트레스를 받아 아가미와 배에 있든 기생물이나 실지렁이, 애벌레, 박테리아 등을 토해내며 배설물이나 먹이의 부패 또는 각종 유해 세균 등이 번식하고 점차적으로 산소 결핍 현상이 일어나 물고기의 활동성이 점차적으로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처음 수족관에 물을 투입시에는 맑은 상태로 물이 보이나 점차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물고기의 활동성이 현저히 둔화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관상용 수족관에서는 수족관 바닥에 여과판을 깔고 일측에 호오스를 연결한 다음 여과판 위에 여과필터 를 얹고 모래를 깔아 외부에서 산소를 공급하여 여과하고 있으며, 횟집이나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수족관에서는 별도의 여과장치를 외부에서 사용하여 물을 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종 수족관의 여과장치는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여과필터나 모래에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먹이 찌꺼기가 침전되어 여과기능이 점차적으로 떨어져 세균성 박테리아로 인해 수족관 물에서 냄새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족관을 일정기간 주기적으로 여과장치를 청소하거나 물을 갈아주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 음식점이나 횟집에서 사용하는 수족관의 경우 대부분에 외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를 통해 물의 수질을 정화하고 있으나 수질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박테리아가 제거되지 않아 며칠 지나지 않아 수질이 흐려져 물 전체를 다시 갈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처럼 가정에서나 일반 음식점, 횟집에서 수족관의 물을 교체시 다 같이 물고기를 다른 곳으로 임시로 옮기고 수족관의 물을 뺀 다음 여과장치를 청소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한다.
특히 바닷고기의 경우 활동성이 좋아 단기간 내에 수족관의 물이 흐려지는 경우가 많아 수족관의 물을 별도로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수족관의 관리 경비가 많이 지출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출원인의 선 출원한 특허 제04-0092173 호가 있으나 이 고안에 있어서는 물은 손쉽게 세척이 가능 하나 물고기가 활동하 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고기의 아가미와 배에 있든 기생물이나 실지렁이, 애벌레, 박테리아 등을 토해내며 배설물이나 먹이가 부패 되어 여과필터에 직접적으로 흡착될 경우 역수 상태로 세척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아 정수 효과가 다소 저하되는 현상이 있다.
더욱이 물고기가 자신의 몸을 각종 기생충이나 박테리아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몸통에 분비하는 점액이 필터에 묻었을 경우에는 여과필터의 표면을 막아 여과장치를 분리하지 않고 역세 만으로는 여과필터의 세척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물고기의 부유물인 점액은 미끌 거리는 액체 덩어리와 유사하여 여과필터에 직접적으로 흡착될 경우 점액이 붙은부분의 여과필터에는 막이 형성되어 물의 투과가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경우 대부분 상부덮개체의 나사를 모두 분리하여 여과필터를 세척하여야하므로 상부덮개체에 결합된 배출밸브와 호스로 인해 세척이 어렵고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사항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여과장치 내의 여과필터 외둘레에 그름 망을 여과필터에 U자형으로 씌워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불순물을 들을 1차적으로 걸러준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여과필터에 유입되도록 하여 여과장치 내의 여과필터 오염을 최소화하며 여과장치의 세척시 상부덮개를 간단히 분리하여그름망을 분리하여 세척하고 여과필터를 완벽하게 세척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측면과 저면에 배출구(2)와 퇴수구(3)를 만들고 내부에 단턱(4)을 만든 하부체(1)를 형성한다.
하부체(1)의 배출구(2)에는 배출밸브(5)를, 퇴수구(3)에는 퇴수밸브(6)를 결합하며 내부 단턱(4)에는 다수 개의 여과필터(10)를 나사 결합한 분리판(11)을 안치한다.
상기 하부체(1)의 단턱(4)에 분리판(11)을 안치함으로 분리판(11)의 아래에는 배출공간(12)을 형성되도록 하였다.
하부체(1)의 내주연에는 몸체 케이스(20)를 결합하며 몸체 케이스(20)의 상단에는 몸체 케이스(20)의 내벽과 사이에 완충 공간(25)이 형성되게 원형차단벽(21)을 만든 고정체(26) 내측에는 단턱(22)을 형성하여 그름망(30)의 고정테(31)를 안치한다.
상기의 그름망(20)은 1평방cm내에 300~400개 정도의 구멍으로 된 그름망 을 사용한 것으로 고기에서 생기는 점액이나 미세한 오물도 걸러주게 되며 여과필터(10)를 몸체케이스(20) 내에서 U자형태로 감싸지게 하였다.
몸체 케이스(20) 상측에는 일측에 유입구(40)를 만들어 유입밸브(7)를 결합한 상부체(50)를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체(50)의 내주연에는 안치턱(51)과 잠금안내홈(52)을 형성하였으며 안치턱(51)에는 링홈을 만들어 고무박킹(41)을 끼워 상부에 덮개(60)를 얹은 상태에서 밀폐력을 높여 누수 됨이 없도록 하였다.
상기의 덮개(60)는 다수 개의 가로 지지대(61)를 중앙의 고정편(62)에 결합하며 고정편(62)의 아래에는 스프링(63)를 넣어 작동축(64)을 끼워 회전손잡이(65)로 나사 결합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0은 다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수족관 여과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면 하부체(1)의 배출밸브(5)와 상부체(2)의 유입밸브(7)를 각각 수족관의 유입 및 배출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한다.
그런 다음 퇴수밸브(6)를 완전히 폐쇄시킨 상태에서 수족관의 물을 상부체(50)의 유입밸브(7)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공급되면 유입구(40)를 지난 물은 곧바로 몸체 케이스(20) 내부로 공급되면 고정체(26)의 원형차단벽(21)에 부딪쳐 완충 공간부(25)를 통해 일차적으로 수압을 약화시키면서 원형차단벽(21)를 넘어 그름망(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밸브(7)를 통과한 물이 원형차단벽(21)에 부딪치면서 여과장치 내부에 산소를 발생시켜주는 기능도 한다.
그름망(30)의 내부로 공급된 수족관 물에 섞여있는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물고기가 활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고기의 아가미와 배에 있든 기생물이나 실지렁이, 애벌레, 박테리아 등을 토해내어 부패된 찌꺼기가 포함되어 유입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몸에 붙어있던 점액도 유입되어 그름망(30)에 붙게된다.
특히 점액의 경우 끈적끈적한 액체 형상으로 그름망(30)에 닿을 경우 대부분 그름망(30)의 구멍을 막아버려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물이나 불순물들은 대부분 그름망(30)을 통해 걸러지게 되나 그름망(30)을 통과한 다수의 불순물은 다시 여과필터(10)를 통해 2차로 걸러준다.
특히 물고기의 점액의 경우 대부분 그름망(30)을 통해 1차적으로 거의 걸러진다.
이와 같이 물이 여과필터(10)를 통해 분리판(11) 아래 배출공간(12)으로 유입되는 물은 1차적으로 그름망(30)과 2차적으로 여과필터(10)를 통해 깨끗이 정화된 상태로 공급되어 배출구(2)에 결합 된 배출밸브(5)를 통해 다시 수족관으로 공급하여주면 한 싸이클의 정화작업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지속적으로 여과작업을 하여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여과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정화하는 과정에서 정화력이 떨어질 경우 먼저 유입밸브(7)와 배출밸브(6)를 잠근 상태에서 덮개(60)의 회전 손잡이(65)를 돌려 올려주면 덮개(60)에 결합된 작동축(65)를 따라 스프링(63)의 팽창 작용으로 고정편(62) 자체를 올려준다.
고정편(62)이 올라감과 동시에 다수 개의 가로 지지대(61)는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각각의 가로 지지대(61) 선단이 상부체(50)의 잠금 안내홈(52)에서 벗어나면 덮개(60)가 상부체(50)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덮개(60)를 분리한 후 상부체(50)의 단턱(22)에 올려져 있던 그름망(30)의 고정테(31)를 뽑아 그름망(30)을 완전히 분리하여 씻으면 된다.
이렇게 그름망(30)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여과필터(10)를 분리판(11)에서 분리하여 뽑아낸 다음 세척을 하거나 오염이 조금 된 경우에는 고정판(11)에 고정한 상태에서 깨끗한 물로 세척함과 동시에 퇴수밸브(6)를 열어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 세척이 끝나면 다시 그름망(30)을 고정체(26)의 단턱(22)에 올려 여과필터(10)에 U자형태로 안치 후 덮개(60)를 상부체(50)의 안치턱(51)에 올려 놓은 후 덮개(60)의 회전 손잡이(65)를 돌리면 회전 손잡이(65)가 작동축(65)를 타고 내려가면서 스프링(63)이 수축되며 고정편(62)에 연동되게 고정되어 있던 다수 개의 가로 지지대(61)는 다시 밀려나가면서 상부체(61)의 잠금 안내홈(52) 걸려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세척이 끝나면 다시 처음과 같이 유입밸브(7)와 배출밸브(5)를 열어 준 상태에서 수족관의 물을 유입하면 정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물고기의 미끌 거리는 점액이나 아가미와 배에 있든 기생물이나 실지렁이, 애벌레, 박테리아 등을 토해내어 부패 된 찌꺼기가 포함된 부유물이 여과필터에 직접적으로 흡착되지 않아 여과필터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 케이스에 유입되는 물을 그름망을 통한 1단계와 여과필터를 통한 2단계를 거쳐 정화하여 주므로 몸체 케이스 내부를 거쳐 수족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종래 보다 한층 위생적으로 처리되며 오랫동안 여과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 측면과 저면에 배출구(2)와 퇴수구(3)를 만들고 내부에 단턱(4)을 만든 하부체(1)를 형성하고, 하부체(1)의 배출구(2)에는 배출밸브(5)를, 퇴수구(3)에는 퇴수밸브(6)를 결합하며 내부 단턱(4)에는 다수 개의 여과필터(10)를 나사 결합한 분리판(11)을 안치하여 배출공간(12)을 형성하였고, 하부체(1)의 내주연에는 몸체 케이스(20)를 결합하며 몸체 케이스(20)의 상단에는 몸체 케이스(20)의 내벽과 사이에 완충 공간(25)이 형성되게 원형차단벽(21)을 만든 고정체(26) 내측에는 단턱(22)을 형성하여 그름망(30)의 고정테(31)를 안치하며, 몸체 케이스(20) 상측에는 일측에 유입구(40)를 만들어 유입밸브(7)를 결합한 상부체(50)를 일체로 결합하며 상부체(50)의 내주연에는 안치턱(51)과 잠금안내홈(52)을 형성하였으며 안치턱(51)에는 링홈을 만들어 고무박킹(41)을 끼워 상부에 덮개(60)를 얹은 상태에서 밀폐력을 높여 누수됨이 없도록 하였고, 상기의 덮개(60)는 다수 개의 가로 지지대(61)를 중앙의 고정편(62)에 결합하며 고정편(62)의 아래에는 스프링(63)를 넣어 작동축(64)을 끼워 회전손잡이(65)로 나사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 수족관 여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그름망(20)은 1평방cm내에 300~400개 정도의 구멍으로 된 그름망 을 사용한 것으로 고기에서 생기는 점액이나 미세한 오물도 걸러주게 되며 여과필터(10)를 몸체케이스(20) 내에서 U자형태로 감싸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 수족관 여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458U KR200408871Y1 (ko) | 2005-11-28 | 2005-11-28 | 수족관 여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458U KR200408871Y1 (ko) | 2005-11-28 | 2005-11-28 | 수족관 여과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3945A Division KR100717992B1 (ko) | 2005-11-28 | 2005-11-28 | 수족관 여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8871Y1 true KR200408871Y1 (ko) | 2006-02-14 |
Family
ID=4175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3458U KR200408871Y1 (ko) | 2005-11-28 | 2005-11-28 | 수족관 여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887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668B1 (ko) | 2007-11-29 | 2008-02-29 | 유귀식 | 어항 청소기 |
CN109819933A (zh) * | 2019-03-25 | 2019-05-31 | 殷振东 | 一种鱼便分离器 |
CN111449020A (zh) * | 2020-05-16 | 2020-07-28 | 高建军 | 多功能鱼缸净化加氧装置 |
-
2005
- 2005-11-28 KR KR2020050033458U patent/KR2004088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668B1 (ko) | 2007-11-29 | 2008-02-29 | 유귀식 | 어항 청소기 |
CN109819933A (zh) * | 2019-03-25 | 2019-05-31 | 殷振东 | 一种鱼便分离器 |
CN111449020A (zh) * | 2020-05-16 | 2020-07-28 | 高建军 | 多功能鱼缸净化加氧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61585A (ko) |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 |
CN108423890B (zh) |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 |
KR20140147623A (ko) | 농작물 절임수 및 세척수의 정수시스템 | |
CN101077797A (zh) | 小型微污染水的收集、净化和再利用节水装置 | |
KR200408871Y1 (ko) | 수족관 여과장치 | |
KR100717992B1 (ko) | 수족관 여과장치 | |
KR100928151B1 (ko) |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 |
KR100939559B1 (ko) |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 |
KR102237734B1 (ko) |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 |
JP2004322060A (ja) | 浄化装置およびその浄化装置をもつ浄化用タンク | |
CN215774959U (zh) | 一种生物养殖水槽 | |
KR100668437B1 (ko) | 수족관 여과장치 | |
KR20230100128A (ko) | 드럼형 해수 정화장치 | |
CN209307162U (zh) |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 |
CN210168778U (zh) | 一种全自动水族养殖生态净化系统 | |
CN113455447B (zh) | 一种生物养殖水槽 | |
KR101106546B1 (ko) |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 |
CN216808446U (zh) | 一种景观水系水质循环净化系统 | |
KR200377280Y1 (ko) | 수족관 여과장치 | |
US7485220B2 (en) | Water skimmer | |
JPH05123509A (ja) | 水処理装置 | |
JP3510188B2 (ja) | 水質浄化方法 | |
KR200328773Y1 (ko) | 해수 정수기 | |
KR20120118177A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족관 | |
KR200277370Y1 (ko) | 부유식 어항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