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671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671B1
KR101702671B1 KR1020110064954A KR20110064954A KR101702671B1 KR 101702671 B1 KR101702671 B1 KR 101702671B1 KR 1020110064954 A KR1020110064954 A KR 1020110064954A KR 20110064954 A KR20110064954 A KR 20110064954A KR 101702671 B1 KR101702671 B1 KR 10170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assembly
holder
assembl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540A (ko
Inventor
윤식
최호선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되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필터를 가지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홀더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배관에 밸브, 취수구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장착되거나 회전 방식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와 상기 필터 홀더의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홀더에는 리브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터 어셈블리와 상기 필터 홀더 사이로 물이 새어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할 때,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었는지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웠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되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필터를 가지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홀더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되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필터를 가지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홀더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서 가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필터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 홀더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되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필터를 가지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홀더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이 필터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의 노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 완료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장착부에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도 5의 (b)는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3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저수조가 구비되지 않는 정수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실시 예의 사상은 저수조가 구비되는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수기(1)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패널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앞쪽에는 사용자가 기능 선택을 하기 위한 조작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2)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줄이기 위한 감압밸브(120)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1)와, 상기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1)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관(15)과, 상기 정수관(15)을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14)와, 상기 정수관(15)의 단부에 구비되는 취수구(1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관(15)에는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생활용수관(16)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활용수관(16)은 상기 정수관(15)에서 상기 유량센서(14)의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생활용수관(16)으로 정수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15)에는 복수의 밸브(17, 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관(15)에 복수의 밸브(17, 18)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밸브가 고장 또는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밸브에 의해서 유량 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후측부에는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1)가 장착되기 위한 필터 장착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1)가 상기 필터 장착부(11)의 상방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11)에는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1) 각각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필터 홀더(121)가 구비된다. 상기 각 필터 어셈블리(20, 21)는 상기 필터 홀더(121)에 일 례로 회전 방식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의 종류, 개수 및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측부에는 상기 취수구(19)에서 낙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트레이(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례로 상기 트레이(30)의 일부가 상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상기 본체(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장착부에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필터 어셈블리(20, 25)는 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제1필터 어셈블리(20)에서 배출된 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 어셈블리(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제2필터 어셈블리(25)는 다른 종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필터 장착부(11)는, 상기 제1필터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제1필터 홀더(111)와, 상기 제2필터 어셈블리(25)가 장착되는 제2필터 홀더(1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장착부(11)에는 원수가 유동하는 원수관이 통과하기 위한 제1홀(141)과, 상기 생활용수관이 통과하기 위한 제2홀(1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제2필터 어셈블리(25)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 필터 어셈블리(20, 25)가 장착되기 위한 제1필터 홀더(111) 및 제2필터 홀더(121)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필터 어셈블리(20, 25)를 통칭하여 필터 어셈블리(20, 25)라 하고, 제1필터 홀더(111) 및 제2필터 홀더(121)를 통칭하여 필터 홀더(111, 121)라 이름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는, 필터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210)는 두 개 이상의 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210)은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20)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장착부(220)가 상기 필터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0)는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0)에는 유입부(222)와 배출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220)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홀더(111, 121)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리브(22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는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 일 례로 회전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 시 상기 결합 리브(226)의 삽입이 가능하며, 상기 결합 리브(226)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유입부(222)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배출부(224)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가 회전 방식에 의해서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 장착될 때, 상기 안내홈이 상기 결합 리브(226)를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홈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됨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220)의 일부를 상기 필터 홀더(111, 121)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는,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유입부(222)가 정렬되고, 상기 제2연통부와 상기 배출부(224)가 정렬될 때의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위치이다. 상기 개구부(113)는 상기 안내홈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도 5의 (b)는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 리브(226)가 위치하여야 할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가 완전하게 장착되었을 때, 상기 결합 리브(226)의 앞쪽 단부와 정렬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결합 리브(226)의 앞쪽 단부는 상기 결합 리브(226) 중에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113)에 먼저 노출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가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 리브(226)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113)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나, 상기 결합 리브(226)와 상기 표시부(114)가 정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가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았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를 완전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를 더 회전시켜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리브(226)의 전체가 상기 개구부(113)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결합 리브(226)의 앞쪽 단부가 상기 표시부(114)와 정렬된다. 이 상태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로서, 사용자가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 리브(226)의 전체가 상기 개구부(113)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13)의 좌우 폭은 상기 결합 리브(226)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홀더(111, 121)의 외부에서 상기 결합 리브(226)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홀더(111, 121)와 상기 결합 리브(226)의 색상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리브(226)의 색상은 상기 결합 리브(226)를 제외한 상기 장착부(220)의 색상(또는 결합 리브를 제외한 필터 하우징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 리브(226)의 앞쪽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13)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113)의 좌우 폭은 상기 결합 리브(226)의 좌우 폭 보다 작으며, 상기 표시부(114)가 구비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부(220)에는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노출부(228)가 구비된다. 상기 노출부(228)는 상기 장착부(220)에 부착되거나 상기 장착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228)의 색상은 상기 장착부(220)의 색상과 다르다.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노출부(228)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228)의 인식성이 향상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16)의 좌우 폭은 상기 노출부(228)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노출부(228)가 위치하여야 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제3실시 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필터 홀더에 장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에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필터 하우징(210)에 의해서 가압되는 이동 부재(132)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홀더(111, 121)에는 상기 이동 부재(1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13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131)에 상기 이동부재(13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간(131)에는 상기 이동부재(13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5)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부재(132)의 상측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133)가 관통하기 위한 홀(136)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 완료되기 전에는 상기 돌출부(133)는 상기 홀(136)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130)의 상방으로 도출된다.
상기 가이드부(130)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32)가 상기 필터 하우징(210)에 의해서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재(132)의 하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38)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32)가 미가압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하측 단부가 상기 개구부(138)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부재(132)의 인식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130)의 색상과 상기 이동부재(132) 또는 상기 이동부재(132)의 하측 단부의 색상은 다르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130)에 개구부(138)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재(132)의 돌출부(133)에 표시부를 형성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된 경우 상기 돌출부(133)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133)의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나, 상기 필터 어셈블리(20, 25)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돌출부(133)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표시부가 일 례로 상기 홀(136)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표시부의 색상은 상기 돌출부(133)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위의 실시 예 들에 의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홀더에 완전하게 장착되는 경우, 물이 필터 어셈블리와 상기 필터 홀더 사이 갭을 통하여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20, 25: 필터 어셈블리 111, 121: 필터 홀더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필터 홀더; 및
    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필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홀더 내부로 삽입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홀더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의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체결방향으로 가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필터 홀더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필터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이 필터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의 노출이 차단되는 정수기.
KR1020110064954A 2011-06-30 2011-06-30 정수기 KR10170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54A KR101702671B1 (ko) 2011-06-30 2011-06-3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54A KR101702671B1 (ko) 2011-06-30 2011-06-3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40A KR20130003540A (ko) 2013-01-09
KR101702671B1 true KR101702671B1 (ko) 2017-02-03

Family

ID=4783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54A KR101702671B1 (ko) 2011-06-30 2011-06-3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736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센싱모듈,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2682A (ja) * 2003-04-10 2006-10-05 ポ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ィルタアッセンブリー、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及び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をフィルタアッセンブリーから除去する方法
KR100721327B1 (ko) * 2006-06-23 2007-05-25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2682A (ja) * 2003-04-10 2006-10-05 ポ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ィルタアッセンブリー、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及び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をフィルタアッセンブリーから除去する方法
KR100721327B1 (ko) * 2006-06-23 2007-05-25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40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287B2 (en) Water filter assembly
EP2366442A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CN108291548B (zh) 具有过滤元件的真空泵
KR101988947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EP3219372A2 (en) Pre-filter with a detachable filter core for un-interruptible water supply
WO2016049971A1 (zh)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US9964225B2 (en) Water inlet valve featuring stain resistance, easy cleaning, and quick disassembly
KR101702671B1 (ko) 정수기
KR101480993B1 (ko)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US20170065935A1 (en) Integrated waterway assembly of a reverse osmosis water filtration device
CN114405135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CN106673135B (zh) 一种家用净水器
KR101640955B1 (ko) 필터 어셈블리 및 정수기
KR101038738B1 (ko) 정수 필터
CN210814113U (zh) 一种方便拆装的进水阀顶过滤器
KR200426289Y1 (ko) 필터 장착구조
KR100761516B1 (ko)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CN211328368U (zh) 一种用于净水器的滤芯及净水器
KR101594338B1 (ko) 정수필터
CN114405136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CN211158855U (zh) 一种进水阀密封组件的安装结构
CN215352386U (zh) 一种过滤装置及进水阀
KR100789388B1 (ko)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20130003534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