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32Y1 - 정수기용 카본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카본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32Y1
KR200471232Y1 KR2020110009887U KR20110009887U KR200471232Y1 KR 200471232 Y1 KR200471232 Y1 KR 200471232Y1 KR 2020110009887 U KR2020110009887 U KR 2020110009887U KR 20110009887 U KR20110009887 U KR 20110009887U KR 200471232 Y1 KR200471232 Y1 KR 200471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arbon material
filter
carbon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941U (ko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텍
Priority to KR2020110009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3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본필터의 양단에 부직포를 부착시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재의 일면에 부직포를 직접 융착시킨 상태로 사용토록 하여 필터 제작에 따른 작업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카본필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카본재가 삽입 구성된 정수기 카본필터에 있어서, 상기 카본재의 상단에는 부직포가 융착되며, 상기 부직포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에 걸려지며 고정 설치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카본필터{Water purifier filter}
본 고안은 정수기용 카본필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본필터의 양단에 부직포를 부착시켜 정수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재의 일면에 부직포를 직접 융착시킨 상태로 사용토록 하여 필터 제작에 따른 작업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카본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정수기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原水)를 필터링해서 온정수나 냉정수로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정수기에는 원수에 혼입된 부유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함과 더불어 냄새를 소취하며 수인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정수기에는, 원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카본(활성탄)블럭의 미세기공에 의한 흡착작용에 의해 필터링기능을 수행하는 프리 카본필터(Pre carbon filter)와 포스트 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멤브레인 필터 및 및 자외선살균필터(UV-filter)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리 카본필터와 포스트 카본필터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것으로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멤브레인 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수기 카본필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60761 호(명칭: 카본필터 어셈블리)(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필터용기와, 상기 필터용기 내부에 마련되는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로 구성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와 결합되는 파이프 연결대와,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파이프부 사이에 충진되는 카본층과, 상기 파이프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파이프부 사이에 충진된 상기 카본층으로 보내기 전에 정수하기 위한 필터마개와, 상기 필터용기의 하부에서 상기 파이프부와 연통되는 입구 및 필터용기와 연통되는 출구가 각각 구비되어 수돗물이 파이프를 거쳐 필터용기로 흐르면서 정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탄소가 가지는 기능, 즉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부직포필터를 정수기에 따로 구비시켜 정수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60761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본재의 상, 하단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하나의 필터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 제거 및 이물질의 여과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 카본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재의 일면에 부직포를 직접 융착시킨 상태로 사용토록 하여 필터 제작에 따른 작업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카본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카본재가 삽입 구성된 정수기 카본필터에 있어서, 상기 카본재의 상단에는 부직포가 융착되며, 상기 부직포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에 걸려지며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내부 공간에는 리테이너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상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며, 상기 부직포는 상기 카본재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일체 연장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캡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 중앙에는 파이프가 끼워지며, 상기 파이프는 상기 카본재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선단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 구성되고, 끝단은 상기 캡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카본재의 부직포를 설치하여 하나의 필터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 제거 및 이물질의 여과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재의 상면에 부직포를 직접 융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서 필터 제작에 따른 작업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카본필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정수기 카본필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카본필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정수기 카본필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 카본필터(100)는 용기본체(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원통체 형태로 내부에는 공간(12)이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며, 그 상단에는 원수를 상기 용기본체(10) 내부 공간(12)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4)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 공간(12)으로 유입되어 정수 처리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구(16)가 각각 일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14) 및 유출구(16)는 필요에 따라 서로 반대로, 즉 유입구(14)를 유출구로, 그리고 유출구(16)를 유입구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캡(2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을 개방 및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는 카본재(18)가 삽입된다. 상기 카본재(18)는 상기 유입구(14)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 내부 공간(12)으로 유입된 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본재(18)가 삽입되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 중앙에는 파이프(20)가 상기 카본재(18)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20)는 끝단은 용기본체(10)의 하단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캡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그 선단은 용기본체(10)의 상단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16)에 연결 구성하여, 카본재(18)를 통해 정수 처리된 원수를 상기 유출구(16)로 통과시키게 된다.
즉, 유입구(14)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 공간(12)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되어 있는 카본재(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수 처리된 후, 캡(22)의 내부 공간(24)에 채워지게 되고, 이어서 계속된 원수의 유입에 따라 정수 처리된 원수는 파이프(20) 내부로 유입된 후, 유출구(16)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되는 카본재(18)의 상, 하단에는 부직포(30, 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카본재(18) 상단에 설치되는 부직포(30)는 상기 유입구(14)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걸러 여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본재(18)로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카본재(18) 하단에 설치되는 부직포(40)는 상기 카본재(18)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재차 여과시킨 다음, 파이프(20)로 통과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정수기 카본필터(100)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카본재(18)를 통해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 제거함은 물론 부직포(30, 40)를 통해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어, 별도의 부직포필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카본필터로 두가지의 정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카본재(18)의 하단에 설치되는 부직포(40)는 지지수단인 리테이너(42)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42)를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 내부 공간(12)에 끼워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카본재(18)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카본재(18)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직포(30)는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재(30)의 상면에 직접 융착시킨 상태에서 그 외곽면은 전술한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5)에 걸려지도록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카본재(18)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직포(30)는 별도의 리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카본재(18)의 상단에 융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본재(18)가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5)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리테이너 조립공정을 줄여 필터 제작에 따른 작업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카본필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정수기 카본필터(100)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카본재(18)의 상단에 부직포(30)를 융착한 다음, 상기 부직포(30)가 융착된 카본재(18)를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하면 상기 부직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5)에 걸려지며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카본재(18)가 삽입된 용기본체(10) 하단 내부 공간으로 부직포(40)가 부착되어 있는 리테이너(42)를 끼워 고정시켜 카본재(18)의 하단에 부직포(40)를 고정 위치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리테이너(42) 및 카본재(18) 중앙으로 파이프(20)를 끼워넣게 되면 상기 파이프(20)의 선단은 용기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16)에 끼워져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을 캡(22)으로 폐쇄시켜 정수기 카본필터(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정수기 카본필터(100)는 유입구(14)를 통해 용기 본체(10) 내부 공간(12)으로 원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원수는 부직포(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각종 이물질이 일차 제거되고, 이어서 카본재(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가 제거되어 진다.
다음, 카본재(18)를 통과한 원수는 다시 카본재(18)의 하단에 설치된 부직포(30)를 통과하며 이물질을 재차 제거한 다음, 캡(22)의 내부 공간(24)에 채워지게 되고, 이어서 계속된 원수의 유입에 따라 파이프(20)를 통과한 후, 유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10: 용기본체 12: 공간
14: 유입구 15: 단턱부
16: 유출구 18: 카본재 20: 파이프 22: 캡
24: 공간

Claims (3)

  1. 내부에 공간(12)이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에 삽입되는 카본재(18)가 삽입 구성된 정수기 카본필터에 있어서,
    상기 카본재(18)의 상단에는 부직포(30)가 융착되며, 상기 부직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5)에 걸려지며 고정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 내부 공간(12)에는 리테이너(42)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리테이너(42)의 상면에는 부직포(40)가 부착되며, 상기 부직포(40)는 상기 카본재(18)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유입구(14) 및 유출구(16)가 일체 연장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캡(22)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간(12) 중앙에는 파이프(20)가 끼워지며, 상기 파이프(20)는 상기 카본재(18)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선단은 상기 유출구(16)에 연결 구성되고, 끝단은 상기 캡(22)의 내부 공간(24)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카본필터.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9887U 2011-11-09 2011-11-09 정수기용 카본필터 KR200471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87U KR200471232Y1 (ko) 2011-11-09 2011-11-09 정수기용 카본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87U KR200471232Y1 (ko) 2011-11-09 2011-11-09 정수기용 카본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41U KR20130002941U (ko) 2013-05-20
KR200471232Y1 true KR200471232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87U KR200471232Y1 (ko) 2011-11-09 2011-11-09 정수기용 카본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05B1 (ko) * 2014-06-11 2014-12-12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기능성 정수기 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8Y1 (ko) *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US20070245702A1 (en) * 2006-04-25 2007-10-25 Sharp Kabushiki Kaisha Honeycomb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ir cleaner and water purifier containing the honeycomb structure
KR20100053440A (ko) * 2008-11-11 2010-05-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필터부의 구성이 단순화된 역삼투 정수기
US20110220559A1 (en) * 2010-03-11 2011-09-15 Woongjin Coway Co., Ltd.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8Y1 (ko) *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US20070245702A1 (en) * 2006-04-25 2007-10-25 Sharp Kabushiki Kaisha Honeycomb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ir cleaner and water purifier containing the honeycomb structure
KR20100053440A (ko) * 2008-11-11 2010-05-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필터부의 구성이 단순화된 역삼투 정수기
US20110220559A1 (en) * 2010-03-11 2011-09-15 Woongjin Coway Co., Ltd.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41U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2010A1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CN205368017U (zh) 一种家用净水器
KR200471232Y1 (ko) 정수기용 카본필터
KR20130002659A (ko) 필터 조립체
KR200419611Y1 (ko) 단일필터방식의 정수기
KR20140025205A (ko) 정수기용 필터
CN205099493U (zh) 改进型净水过滤芯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KR100882082B1 (ko) 활성탄 필터조립체
JP3236640B2 (ja) 浄水器
KR20130007491U (ko) 살균기능을 갖는 수족관 정화장치
CN201882935U (zh) 净水器
CN205590441U (zh) 一种集成式净水滤芯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CN104016499A (zh) 一种净水滤杯
CN104016501B (zh) 一种两用复合净水滤芯
CN210457729U (zh) 一种净水桶滤芯
KR200402257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218924029U (zh) 中央净水器
JP2004000956A (ja) 水栓内蔵型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10010910U (ko)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CN210340514U (zh) 一种野外旅行用便携式净水器
KR200460438Y1 (ko) 정수기용 필터
KR20120002535U (ko) 정수기용 필터 구조
EP3351511B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for househol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