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10U -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10U
KR20110010910U KR2020100005167U KR20100005167U KR20110010910U KR 20110010910 U KR20110010910 U KR 20110010910U KR 2020100005167 U KR2020100005167 U KR 2020100005167U KR 20100005167 U KR20100005167 U KR 20100005167U KR 20110010910 U KR20110010910 U KR 201100109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inner housing
water treat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현
윤성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910U/ko
Publication of KR20110010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ⅰ)정화 대상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형성하는 아웃터 하우징과, ⅱ)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과, ⅲ)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필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인너 하우징은 그 내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 대상수가 필터 블록의 특정 부위에 편중되면서 투수되지 않고 외주면 전체 접촉될 수 있으므로, 필터 블록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접촉 면적을 실질적으로 증대시켜 전체 필터 어셈블리의 활용도 및 필터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 대상수를 정화하는 정수기용 필터 시스템의 활성탄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장치로서의 정수기는 수도수, 자연수 등과 같은 정수 대상수를 필터 시스템을 통과시켜 정화하는 것으로, 필터 시스템에 의한 침전, 여과 등의 정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수기에서 필터 시스템은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필터 시스템을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는 정수 탱크에 저장된 상태로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프리 카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이하에서는 편의상 "활성탄 필터" 라고 한다)는 활성탄의 흡착 방식으로서 물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 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을 흡착 제거하고, 물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활성탄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활성탄 필터(200)는 유입부(111)와 유출부(113)를 지닌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중공 형태의 필터 블록(120)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 블록(120)은 내부에 중공(121)이 형성된 원형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며,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그 중공(121)이 유출부(113)와 상호 연결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 블록(120)은 도면을 기준할 때, 하단면에 커버부재(123)가 설치되며, 그 커버부재(123)와 블록 외주면이 필터 케이스(110)의 내부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케이스(110)의 유입부(111)로 공급되는 정화 대상수는 필터 블록(120)의 외주면과 필터 케이스(110)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되면서 필터 블록(120)을 통과하며 필터링 된 상태로, 그 필터 블록(120)의 중공(121)으로 유입되며, 필터 케이스(110)의 유출부(113)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필터 블록(120)이 활성탄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수투과도가 높은 경우, 정화 대상수가 유량에 따라 필터 케이스(110)의 유입부측(도면에서 필터 블록 하측 부위)에 비교적 많은 양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필터 블록(120)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수투과 경로가 특정 부위로 편중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필터 블록(120) 전체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접촉 면적이 제한적이므로, 전체 필터의 활용도 및 필터링 효율이 저하되고,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필터 블록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수투과 경로가 특정 부위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ⅰ)정화 대상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형성하는 아웃터 하우징과, ⅱ)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과, ⅲ)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필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인너 하우징은 그 내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을 분리하는 배리어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부면 사이, 및 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부면 사이에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 사이에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정화 대상수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충만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홀들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홀들이 상기 인너 하우징에 전면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 블록이 활성탄 필터 블록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 및 인너 하우징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 블록이 원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아웃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필터 블록의 외주면을 분리하는 인너 하우징에 유로로서의 관통홀들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정화 대상수의 수투과 경로가 필터 블록의 특정 부위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 대상수가 필터 블록의 특정 부위에 편중되면서 투수되지 않고 외주면 전체 접촉될 수 있으므로, 필터 블록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접촉 면적을 실질적으로 증대시켜 전체 필터 어셈블리의 활용도 및 필터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필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 도면들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활성탄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는 수도수, 자연수 등과 같은 원수로서의 정화 대상수를 필터 시스템을 통과시켜 정화하고, 그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시스템은 정화 대상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는 프리 카본 필터 및/또는 포스트 카본 필터로서 이루어지는 바,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물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제거한다.
이 경우, 상기 프리 카본 필터는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 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를 거치며 필터링 된 물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는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수투과 경로가 특정 부위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전체 필터의 필터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하우징(10)과, 인너 하우징(40)과, 필터 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터 하우징(10)은 양단이 폐쇄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 케이스로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아웃터 하우징(10)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을 지닌 다각 형상이 채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10)을 상하 방향으로 세워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이러한 상하 기준 방향이 본 실시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 하우징(10)은 정화 대상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이의 하부면에는 내부의 공간과 상호 연결되는 유입부(1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부면에는 내부의 공간과 상호 연결되는 유출부(13)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부(11)는 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가 프리 카본 필터인 경우, 미도시된 정수라인을 통해 세디먼트 필터와 연결되며, 유출부(13)는 정수라인을 통해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1)는 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가 포스트 카본 필터인 경우, 미도시된 정수라인을 통해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와 연결되며, 유출부(13)는 정수라인을 통해 정수 탱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너 하우징(40)은 양단이 폐쇄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 케이스로서 이루어진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인너 하우징(40)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을 지닌 다각 형상이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인너 하우징(40)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필터 블록(70)을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아웃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의 상부면이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그 내측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너 하우징(40)은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뒤에서 더욱 설명될 필터 블록(70)의 외주면을 분리하는 배리어(barrier)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너 하우징(40)의 상부면에는 아웃터 하우징(10)의 유출부(13)와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41)는 인너 하우징(4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인너 하우징(40)은 아웃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그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 및 하부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인너 하우징(40)의 외주면 사이, 및 인너 하우징(40)의 하부면과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제1 공간(5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1 공간(51)은 아웃터 하우징(10)의 유입부(11)와 상호 연결되며, 그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 대상수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블록(70)은 정화 대상수를 실질적으로 필터링 하는 활성탄 필터로서 구비되는 바, 필터 엘리먼트가 블록 형태로 가공된 것으로 인너 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블록(70)은 내부에 중공부(71)를 지닌 원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필터 블록(70)을 블록 형태로 가공하는 이유는 정화 대상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제거 효율 증대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필터 블록(70)은 인너 하우징(40)의 내측에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그 인너 하우징(40)의 내측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게 배치되는 바, 이의 중공부(71)는 인너 하우징(40)의 연결부(41)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블록(70)은 인너 하우징(40)의 내부에서 그 인너 하우징(40)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인너 하우징(40)의 내주면과 필터 블록(70)의 외주면 사이에 제2 공간(7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2 공간(75)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인너 하우징(40)의 유로(61)을 통해 제1 공간(51)과 상호 연결되며, 정화 대상수가 지나가며 필터 블록(70)으로 투수될 수 있는 통로로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제1 공간(51)과 제2 공간(75)은 인너 하우징(40)에 형성된 유로(6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유로(61)는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인너 하우징(40)의 외주면 사이 및 인너 하우징(40)의 하부면과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51)과, 인너 하우징(40)의 내주면과 필터 블록(7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75)을 상호 연결한다.
즉, 상기 유로(61)는 인너 하우징(40)의 내부와 아웃터 하우징(10)의 유입부(11)를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61)는 인너 하우징(4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들(63)로서 이루어지는 바, 이들 관통홀(63)은 인너 하우징(40)에 전면적으로 분포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필터 시스템의 세디먼트 필터 또는 중공사막 필터/역삼투막 필터를 통과한 정화 대상수는 아웃터 하우징(10)의 유입부(11)를 통해 제1 공간(51)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정화 대상수는, 인너 하우징(40)이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필터 블록(70)의 외주면을 분리하는 배리어(barrier)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 공간(51)으로 충만된다.
상기 과정에서, 정화 대상수는 인너 하우징(40)의 관통홀들(63)을 통해 그 인너 하우징(40)의 내부인 제2 공간(7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인너 하우징(40)에 제1 공간(51)과 제2 공간(75)을 연결하는 유로(61)로서의 관통홀들(63)이 전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므로, 정화 대상수는 그 관통홀들(63)을 통해 제2 공간(75)으로 유입되면서 필터 블록(70)의 특정 부위에 편중되지 않고 외주면 전체에 접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화 대상수가 필터 블록(70) 전체를 통과(투수)하며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불순물 등이 필터링 된 상태로, 그 필터 블록(70)의 중공부(71)로 유입되고, 아웃터 하우징(10)의 유출부(13)를 통해 배출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아웃터 하우징(10)의 내주면과 필터 블록(70)의 외주면을 분리하는 인너 하우징(40)에 유로(61)로서의 관통홀들(6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정화 대상수의 수투과 경로가 필터 블록(70)의 특정 부위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정화 대상수가 필터 블록(70)의 특정 부위에 편중되면서 투수되지 않고 외주면 전체 접촉될 수 있으므로, 필터 블록(70)에 대한 정화 대상수의 접촉 면적을 실질적으로 증대시켜 전체 필터 어셈블리의 활용도 및 필터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아웃터 하우징 11... 유입부
13... 유출부 40... 인너 하우징
41... 연결부 51... 제1 공간
61... 유로 63... 관통홀
70... 필터 블록 71... 중공부
75... 제2 공간

Claims (10)

  1. 정화 대상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유입부와 유출부를 각각 형성하는 아웃터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 및
    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필터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인너 하우징은 그 내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을 분리하는 배리어로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부면 사이, 및 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 사이를 연결하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부면 사이에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너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필터 블록의 외부면 사이에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에 의해 상기 정화 대상수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충만되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홀들로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이 상기 인너 하우징에 전면적으로 분포하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블록이 활성탄 필터 블록으로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하우징 및 인너 하우징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블록이 원형의 블록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KR2020100005167U 2010-05-18 2010-05-18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KR201100109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67U KR20110010910U (ko) 2010-05-18 2010-05-18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67U KR20110010910U (ko) 2010-05-18 2010-05-18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10U true KR20110010910U (ko) 2011-11-24

Family

ID=7288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67U KR20110010910U (ko) 2010-05-18 2010-05-18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9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047B1 (ko) * 2022-06-13 2022-12-2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큰 현탁물질 흡착을 저감시키는 특화 여과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047B1 (ko) * 2022-06-13 2022-12-2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큰 현탁물질 흡착을 저감시키는 특화 여과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705Y1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KR20180016158A (ko) 필터 시스템
KR101695774B1 (ko) 침지형 중공사막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0450007Y1 (ko) 정수기의 카본필터
KR20180017814A (ko) 필터 시스템
KR20110010910U (ko) 수처리용 필터 어셈블리
KR20180003923A (ko)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용 다기능 복합 필터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KR200419611Y1 (ko) 단일필터방식의 정수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KR200205204Y1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AU2017213474B2 (en) Filter system
AU2017210540B2 (en) Filter system
KR100372806B1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KR200471232Y1 (ko) 정수기용 카본필터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CN214513806U (zh) 一种ro膜滤芯端盖
KR200370743Y1 (ko) 정수용 전처리침전필터
KR200478985Y1 (ko) 정수기 필터
KR100717867B1 (ko) 직수방식 정수기, 이온수기 및 직수방식 이온수기의정수방법
KR200324094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101795497B1 (ko) 사탕수수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장치
JP3191001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用浄水カートリッジ
KR100550219B1 (ko) 이온수기용 분리형 전해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