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05B1 - 기능성 정수기 필터 - Google Patents

기능성 정수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05B1
KR101472505B1 KR1020140071001A KR20140071001A KR101472505B1 KR 101472505 B1 KR101472505 B1 KR 101472505B1 KR 1020140071001 A KR1020140071001 A KR 1020140071001A KR 20140071001 A KR20140071001 A KR 20140071001A KR 101472505 B1 KR101472505 B1 KR 10147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water
raw water
hole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4007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의 내부에 정수유로통이 내장된 상태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에 케이스커버가 결합된 것이며 원수유입구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파이프 삽입홈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저장 공간부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한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정수기 필터{filter case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의 내부에 정수유로통이 내장된 상태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에 케이스커버가 결합된 것이며 원수유입구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파이프 삽입홈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저장 공간부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한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폐수에 의한 자연계의 생태계 파괴로 환경오염이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국토 전반에 걸쳐 사람이 거주하는 곳에는 수질오염이 상당히 심화된 상태이므로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정수처리장에서 물을 정화한 후 각 가정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더라도 수돗물 자체를 불신하게 되며, 수돗물을 이송하는 파이프가 부식되고, 아파트 물탱크의 청소불량으로 가정에 도달하는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기에 어려우며 건강에 좋은 물을 찾기 위해 수돗물 대신에 약수 또는 생수를 식수로 사용하게 되는데 대장균의 세균에 노출되어 그대로 복용을 못하고 끓여 먹게 되므로 살아있는 건강한 물을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좋은 건강한 물을 얻기 위해 정수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정수기 업계의 연구로 물통과 물통을 수직으로 연결시키고 상하연결 부위에 여과기를 설치하고 하부 물통 내에 맥반석을 내장시켜 물을 정수시키는 자연여과 정수방법이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는 정수기에 있어서는 내부에 물이 단계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카본필터, 세균항균, 다수 필터에서 물이 정수되도록 하고 있으나 정수기에 인입된 물을 정수하는데 불과한 것으로 이온화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정수기(water cleaner 또는 water purifier)는 수돗물의 원수(原水)를 먹는 물관리법 제5조 제3항 규정에 적합한 음용수로 정화하는 장치로서 목적, 구성, 정수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일반적인 분류기준인 정수원리에 따르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자연여과식은 일정용량의 원수(原水)를 저장하여 그 자체하중에 의한 필터경유 과정을 통해 물을 정화하고, 직결여과식은 상수도관이나 수전구 등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원수의 공급수압으로 필터를 경유시켜 물을 정화한다. 또한 증류식은 원수를 끓여 발생된 수증기를 재집수(集水)하는 방식을 취하며, 역삼투압식은 멤브레인(membrane)이라 불리는 반투막을 이용해서 원수 내 불순물을 제거한다.
주로 이용되는 자연여과식 및 직결여과식 정수기는 모두 필터에 의한 정화방식을 나타내므로 편의상 필터식 정수기라 통칭하면 일반적인 필터식 정수기는 입수, 여과, 흡착, 본 여과, 출수의 단계를 통해 정수를 제공한다.
필터식 정수기로 입수된 원수는 여과단계를 통해 수중의 불순물이 걸러진 후 흡착단계를 통해 휘발성 유기물질이 제거된 다음 정수기의 종류에 따른 여과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출수되고 이를 위한 필터식 정수기에는 부직포 등의 침전필터, 활성탄 또는 세라믹을 이용한 여과 필터를 비롯해서 역삼투압필터, 중공사막필터 등 여러 가지 필터가 내장된 복수의 필터탱크가 사용된다.
필터의 적절한 유지관리는 정수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건이 된다. 필터의 오염 정도와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모색되고 있지만 여전히 필터의 오염 정도 및 필터의 교체시기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하다. 단순한 시간경과로 한 달에 한번과 같은 임의의 시간간격을 기준으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물맛의 주관적 느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잦은 필터교체에 따른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적절한 교체시기를 놓쳐 오염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일반적인 필터식 정수기는 필터교체를 위한 정수기의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이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의 내부에 정수유로통이 내장된 상태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에 케이스 커버가 결합된 것이며 원수유입구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파이프 삽입홈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저장 공간부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한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내부원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 파이프(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원수 관통홀(13)의 끝에 파이프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삽입홈(15)에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중앙에 정수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유입구(12)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홈(15)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한쪽에 원수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및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파이프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 외부에 삽입돌기파이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파이프(22)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과 삽입돌기파이프(22) 사이 외부에 회오리 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24)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회오리 격벽(24)의 안쪽에 해당하는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측면격벽(27)이 형성되어 있는 정수유로통(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정수기 필터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의 내부에 정수유로통이 내장된 상태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에 케이스커버가 결합된 것이며 원수유입구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파이프 삽입홈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저장 공간부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한 정수기 필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에서 정수유로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에서 정수유로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에서 정수유로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에서 정수유로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기능성 정수기 필터는
원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내부원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원수유입구(12)에서 유입되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의 공간부로 원수가 유입되어 정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중앙에 정수배출구(14)가 형성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상기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정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파이프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 외부에 삽입돌기파이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파이프(22)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과 삽입돌기파이프(22) 사이 외부에 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를 통과한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격벽(24)에 다수개의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24)의 안쪽에 해당하는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측면격벽(27)이 형성되어 있는 정수유로통(200); 상기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파이프(22)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실링가스켓(30); 부착된 부직포(42)를 고정하는 고정구(50);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내부에 채워진 내부카본(60); 정수유로통(200)이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에 삽입된 상태로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외면 공간부에 채워진 외부카본(70);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를 고정하는 고정구(50); 및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관통홀(19)이 형성된 케이스커버(19);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내부원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 파이프(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원수 관통홀(13)의 끝에 파이프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삽입홈(15)에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중앙에 정수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유입구(12)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홈(15)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한쪽에 원수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파이프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 외부에 삽입돌기파이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파이프(22)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과 삽입돌기파이프(22) 사이 외부에 회오리 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24)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회오리 격벽(24)의 안쪽에 해당하는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측면격벽(27)이 형성되어 있는 정수유로통(200);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파이프(22)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실링가스켓(30); 정수유로통(200)의 회오리 격벽(24) 상부표면에 부착된 부직포(40);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된 부직포(42);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된 부직포(42)를 고정하는 고정구(50);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내부에 채워진 내부카본(60); 정수유로통(200)이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에 삽입된 상태로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외면 공간부에 채워진 외부카본(70);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를 고정하는 고정구(50); 및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관통홀(19)이 형성된 케이스커버(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측면격벽은 회오리 관통홈과 같은 형태의 곡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정수기 필터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에 정수유로통(200)이 내장된 상태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에 케이스커버(19)가 결합된 것이며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한 정수기 필터이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는 케이스 본체(1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내부원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 파이프(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원수 관통홀(13)의 끝에 파이프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삽입홈(15)에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중앙에 정수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유입구(12)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홈(15)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한쪽에 원수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하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수유로통(200)은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파이프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 외부에 삽입돌기파이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파이프(22)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과 삽입돌기파이프(22) 사이 외부에 회오리 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24)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회오리 격벽(24)의 안쪽에 해당하는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측면격벽(27)이 형성되어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하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실링가스켓(30)이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파이프(22) 외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부직포(40)가 정수유로통(200)의 회오리 격벽(24) 상부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부직포(42)가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구(50)가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된 부직포(42)를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카본(60)이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내부에 채워져 있으며, 외부카본(70)이 정수유로통(200)이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에 삽입된 상태로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외면 공간부에 채워져 있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하다.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은 부직포(44)가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구(50)가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케이스커버(19)가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커버(19)의 상부 중앙에 관통홀(19)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측면격벽은 회오리 관통홈과 같은 형태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우수하다.
10: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 20: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
27, 27-1: 측면격벽
72: 내부정수관통홀이 삽입된 외부카본 삽입홀
100: 기능성 정수기 필터 200, 200-1: 정수유로통

Claims (3)

  1. 케이스 본체(1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내부원수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 파이프(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원수 관통홀(13)의 끝에 파이프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삽입홈(15)에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중앙에 정수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원수유입구(12)에서 유입된 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홈(15)의 측면 외부에 원수저장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하부면 한쪽에 원수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파이프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 외부에 삽입돌기파이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파이프(22)의 내부에 내부정수관통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끝과 삽입돌기파이프(22) 사이 외부에 회오리 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수저장 공간부(16)를 통과한 원수가 회호리를 일으키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회오리 격벽(24)에 다수개의 회오리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회오리 격벽(24)의 안쪽에 해당하는 정수유로통 케이스 본체(20)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측면격벽(27)이 형성되어 있는 정수유로통(200);
    정수유로통(200)의 삽입돌기파이프(22)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실링가스켓(30);
    정수유로통(200)의 회오리 격벽(24) 상부표면에 부착된 부직포(40);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된 부직포(42);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끝 바닥에 부착된 부직포(42)를 고정하는 고정구(50);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내부에 채워진 내부카본(60);
    정수유로통(200)이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의 내부관통홀(13)에 삽입된 상태로 정수유로통(200)의 내부정수관통홀(21) 외면 공간부에 채워진 외부카본(70);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
    외부카본(70)의 상부면에 부착된 부직포(44)를 고정하는 고정구(50); 및
    기능성 정수기 필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관통홀(19)이 형성된 케이스커버(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격벽은 회오리 관통홈과 같은 형태의 곡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정수기 필터.




  3. 삭제
KR1020140071001A 2014-06-11 2014-06-11 기능성 정수기 필터 KR101472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01A KR101472505B1 (ko) 2014-06-11 2014-06-11 기능성 정수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01A KR101472505B1 (ko) 2014-06-11 2014-06-11 기능성 정수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505B1 true KR101472505B1 (ko) 2014-12-12

Family

ID=5267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01A KR101472505B1 (ko) 2014-06-11 2014-06-11 기능성 정수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5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23B1 (ko) * 2007-02-16 2007-10-04 유인수 필터부재 지지수단을 구비한 정수필터
JP2012030218A (ja) *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KR200465935Y1 (ko) * 2012-09-07 2013-03-18 이평호 내통이 필요없는 한 방향 복합필터
KR20130002941U (ko) * 2011-11-09 2013-05-20 주식회사 진텍 정수기용 카본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23B1 (ko) * 2007-02-16 2007-10-04 유인수 필터부재 지지수단을 구비한 정수필터
JP2012030218A (ja) * 2010-07-02 2012-02-16 Lixil Corp 浄水器
KR20130002941U (ko) * 2011-11-09 2013-05-20 주식회사 진텍 정수기용 카본필터
KR200465935Y1 (ko) * 2012-09-07 2013-03-18 이평호 내통이 필요없는 한 방향 복합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2653C (zh) 用于净水器的过滤器的流体流动阻断装置
KR101269438B1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101222813B1 (ko) 복합 정수필터
KR101177929B1 (ko) 휴대용 정수기
CN103880247A (zh) 一种生活用水净化设备
KR20090012184U (ko)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472505B1 (ko) 기능성 정수기 필터
KR20170056107A (ko)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1452047B1 (ko) 정수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JP2011056459A (ja) 家庭用循環温浴器
KR200426293Y1 (ko) 맥반석 정수기
KR20130007491U (ko) 살균기능을 갖는 수족관 정화장치
KR102104083B1 (ko) 자연수압 정수장치
JP3194144U (ja) 水浄化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水浄化装置
CN212222682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净水设备
CN220703338U (zh) 一种可反冲清洗的家用净水器
KR20020008919A (ko) 수전금구 원적외선 방사 장치
WO2013041918A1 (es) Planta de tratamiento de agua portátil con filtración y purificación a base de ozono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200402258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0402257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