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107A -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6107A KR20170056107A KR1020150159237A KR20150159237A KR20170056107A KR 20170056107 A KR20170056107 A KR 20170056107A KR 1020150159237 A KR1020150159237 A KR 1020150159237A KR 20150159237 A KR20150159237 A KR 20150159237A KR 20170056107 A KR20170056107 A KR 201700561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ntainer
- aquarium
- sterilization
- purify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의 오염된 물을 수질정화통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오염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물질들을 부유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한 기포에 들러붙은 이물질, 즉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수질정화통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질정화통의 내측과 연통되는 거품제거관을 구비하는 수질정화통으로 이루어지는 수족관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의 내부 기포발생장치와 거품제거관 사이에 자외선살균등을 형성하고, 상기 수질정화통의 일측에는 미생물담체를 구비하고 바닥 일측에 오염수배출구가 천공된 용기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의 필터부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부의 용기에 형성된 오염수배출구는 인접한 오염수배출구와는 서로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오염수가 최장거리로 최상부의 용기로 부터 최하부의 용기를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수족관의 오염수를 정화함에 있어 거품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와 동시에 자외선살균등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정화통 내에서 1차 살균과 1차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적층식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생물담체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2차 살균과 필터링에 의한 2차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살균상태와 정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살균상태를 유지하고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함과 동시에 오염수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어류 및 패류, 기타 수중생물들을 집어넣고 관찰하기 위한 장치로, 대개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족관은 폐쇄(閉鎖)된 상태이므로 어류들이 배설한 배설물이나 잉여사료로 인해 쉽게 오염될 수밖에 없는데 수족관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저면기포 부상식 여과방식이나 측면 및 하부에 형성된 정화수단, 오버플로우관 등을 통한 거품 및 부유물이 제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수족관으로 부터 유입된 각종 오염물들은 숯가루, 모래, 자갈, 필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의 정화장치에 의해 이물질 및 오염물질이 제거한 다음, 정화된 물을 다시 수족관의 어류서식공간으로 펌핑하여 순환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1)는 수족관(A)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수질정화통(2)와 수족관(A) 내부 바닥에서 오염된 용수를 유입하는 유입관(3)과 수족관(A) 내부나 외부의 유입관(3)상에 설치되어 용수를 수질정화통(2)로 공급하는 모터펌프(4)와 수질정화통(2)에서 정화된 용수를 수족관(A)으로 재공급하는 배출관(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질정화통(2)는 유입관(3)을 통해 유입된 용수를 공기공급관(6a)이 일측에 형성된 벤투리관(6)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와 여과필터(7)에 의해 정화시켜 배출관(5)을 통해 수족관(A) 내부로 재공급되게 한 구성으로 수족관(A) 내부의 용수를 재활용할 수 있고, 항상 깨끗한 용수를 공급하여 보다 싱싱하고 신선한 어패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수족관(A)용 살균정수장치(1)는 수질정화통(2)의 상단에 형성된 거품제거관(8)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하고, 정수된 물만 배출관(5)을 통해 수족관(A)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관(5)의 높이가 거품제거관(8)의 높이보다 낮아 펌프(4)의 고장 등으로 인해 수질정화통(2) 내부의 수량이 떨어지게 되면 수질정화통(2) 내측 상부에 공기가 차게되고 결국 수질정화통(2) 내부에 다시 물이 가득 찰때까지는 거품의 배출이 쉽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빠져나가지 못한 거품은 채 정수되지 못한 물과 함께 다시 수족관(A)으로 배출되어 수족관(A)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갖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 20-2007-0001299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의 오염수를 정화함에 있어 거품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와 동시에 자외선살균등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이를 다시한번 적층식 필터를 통과시켜 미생물담체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살균과 필터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살균상태와 정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수족관의 오염된 물을 수질정화통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오염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물질들을 부유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한 기포에 들러붙은 이물질, 즉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수질정화통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질정화통의 내측과 연통되는 거품제거관을 구비하는 수질정화통으로 이루어지는 수족관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의 내부 기포발생장치와 거품제거관 사이에 자외선살균등을 형성하고, 상기 수질정화통의 일측에는 미생물담체를 구비하고 바닥 일측에 오염수배출구가 천공된 용기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의 필터부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부의 용기에 형성된 오염수배출구는 인접한 오염수배출구와는 서로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오염수가 최장거리로 최상부의 용기로 부터 최하부의 용기를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질정화통과 필터부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칸막이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질정화통의 하부에는 배수구와 연통되는 2차살균통을 형성하고, 상기 2차살균통에는 자외선살균등을 내장하여 3차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수족관의 오염수를 정화함에 있어 거품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와 동시에 자외선살균등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정화통 내에서 1차 살균과 1차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적층식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생물담체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2차 살균과 필터링에 의한 2차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살균상태와 정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정화통의 하부에 2차살균통을 형성하고, 상기 2차살균통에 내장된 자외선살균등에 의해 3차 살균이 가능하게 되어 수족관 오염수의 완벽한 살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부에 내장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층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부에 내장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층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부에 내장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적층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는, 수족관(미도시)의 오염된 물을 수질정화통(110)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120)과 상기 물공급관(120)에 의해 공급된 오염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물질들을 부유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130)와, 상기 기포발생장치(130)에 의해 발생한 기포에 들러붙은 이물질, 즉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수질정화통(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질정화통(110)의 내측과 연통되는 거품제거관(140)을 구비하는 수질정화통(110)으로 이루어지는 수족관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포발생장치(130)와 거품제거관(140) 사이에 자외선살균등(16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질정화통(110)의 일측에는 미생물담체(171b)를 구비하고 바닥 일측에 오염수배출구(171c)가 천공된 용기(171)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의 필터부(170)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부(170)의 용기(171)에 형성된 오염수배출구(171c)는 인접한 오염수배출구(171c)와는 서로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오염수가 최장거리로 최상부의 용기(171)로 부터 최하부의 용기(171)를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배수구(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171)들의 적층은 용기(171) 하단에 돌기(171d)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171d)들은 하부에 위치한 용기(171)의 상단에 꼭 낀 상태로 삽입되어 얹히게 됨으로써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통(110)과 필터부(170)는 하부에 개구부(111a)가 형성되는 칸막이(111)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수질정화통(110)의 상부의 오염수가 곧바로 필터부(17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정화통(110) 하부의 가장 더러운 상태의 오염수가 필터부(170)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최하부의 용기(171)의 오염수배출구(171c)는 배수구(112)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질정화통(110)의 저부에는 배수구(112)와 연통된 2차살균통(180)을 형성하고, 상기 2차살균통(180) 내부에는 자외선살균등(160)을 내장하여 3차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등(160)은 안정기와 같은 장치는 수질정화통(110)의 외부에 설치되고 방수된 등만 내장되도록 하되, 기포발생장치(130)와 거품제거관(140)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물질이 기포와 결합되어 거품을 형성하게 되고, 와류를 형성하면서 병균체들이 부상될 때 살균하기 위해서 이다.
물론 상기 자외선살균등(160)의 설치위치는 수질정화통(110)의 내부 어디라도 가능하며, 그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족관에서 물공급관(120)을 통해 오염된 물이 수질정화통(110)으로 유입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물공급관(120)에는 거품발생을 위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발생장치(130)가 형성된 구조이고, 물공급관(120)은 물공급호스에 의해 수족관에 설치된 펌프(미도시)와 연결되고, 기포발생장치(130)는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기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수질정화통(110)에서 1차 정화되고 살균된 오염수가 다시 필터부(170)을 통해 2차 정화 및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최상부의 용기(171)로 부터 유입된 오염수가 최하부의 용기(171)를 거치기 까지 최장거리로 미생물담체(171b) 위를 흘러가면서 미생물에 의해 정화 및 살균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용기(171)는 서로 적층됨에 있어 위 아래 인접하는 용기의 오염수배출구(171c)가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오염수가 다수개의 용기(171)를 지그재그로 흘러 지나도록 적층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생물담체(171b)는 미생물의 서식이 가능한 스펀지, 플라스틱구조체, 모래,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수질정화통
120: 물공급관
130: 기포발생장치 140: 거품제거관
150: 내부공기배출관 160: 자외선 살균등
170: 필터부 171: 용기
130: 기포발생장치 140: 거품제거관
150: 내부공기배출관 160: 자외선 살균등
170: 필터부 171: 용기
Claims (3)
- 수족관의 오염된 물을 수질정화통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오염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이물질들을 부유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한 기포에 들러붙은 이물질, 즉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수질정화통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질정화통의 내측과 연통되는 거품제거관을 구비하는 수질정화통으로 이루어지는 수족관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의 내부 기포발생장치와 거품제거관 사이에 자외선살균등을 형성하고,
상기 수질정화통의 일측에는 미생물담체를 구비하고 바닥 일측에 오염수배출구가 천공된 용기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의 필터부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부의 용기에 형성된 오염수배출구는 인접한 오염수배출구와는 서로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오염수가 최장거리로 최상부의 용기로 부터 최하부의 용기를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과 필터부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칸막이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통의 하부에는 배수구와 연통되는 2차살균통을 형성하고, 상기 2차살균통에는 자외선살균등을 내장하여 3차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237A KR20170056107A (ko) | 2015-11-12 | 2015-11-12 |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237A KR20170056107A (ko) | 2015-11-12 | 2015-11-12 |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6107A true KR20170056107A (ko) | 2017-05-23 |
Family
ID=5905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9237A KR20170056107A (ko) | 2015-11-12 | 2015-11-12 |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610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76768A (zh) * | 2018-06-11 | 2018-09-04 |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 一种低透明度水体沉水植被补光装置和方法 |
CN112028359A (zh) * | 2020-10-12 | 2020-12-04 | 杨桂香 | 一种过滤型农村污水处理装置 |
KR102254976B1 (ko) * | 2021-01-20 | 2021-05-24 | (주)아리산업 | 재난 및 미세먼지 발생시 대피용 공공시설물 |
KR200496796Y1 (ko) * | 2023-01-18 | 2023-04-26 | 정효덕 | 거품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해수 살균 여과 장치 |
-
2015
- 2015-11-12 KR KR1020150159237A patent/KR20170056107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76768A (zh) * | 2018-06-11 | 2018-09-04 |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 一种低透明度水体沉水植被补光装置和方法 |
CN112028359A (zh) * | 2020-10-12 | 2020-12-04 | 杨桂香 | 一种过滤型农村污水处理装置 |
KR102254976B1 (ko) * | 2021-01-20 | 2021-05-24 | (주)아리산업 | 재난 및 미세먼지 발생시 대피용 공공시설물 |
KR200496796Y1 (ko) * | 2023-01-18 | 2023-04-26 | 정효덕 | 거품 제거 기능을 포함한 해수 살균 여과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56107A (ko) |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
KR101552394B1 (ko) |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 |
JP2015506683A (ja) | 濾過機能を有する水槽 | |
US9409804B1 (en) | Filter system for a fluid | |
KR100957173B1 (ko) |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
KR101058492B1 (ko) |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 |
KR101634124B1 (ko) | 해수 수족관 정화 시스템 | |
KR20100049254A (ko) | 사육수 여과장치 | |
KR101085597B1 (ko) |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 |
KR100841428B1 (ko) | 취수성 유해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 |
KR101718360B1 (ko) |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 |
KR20120108585A (ko) | 해수 정수장치 | |
KR200445575Y1 (ko) |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 |
KR200295845Y1 (ko) | 수족관 용수의 살균정화장치 | |
JP5311301B2 (ja) | 泡沫分離槽付濾過装置 | |
TW201808093A (zh) | 景觀水族過濾系統 | |
CN203840964U (zh) | 一种具有自净化功能的水族箱 | |
CN209307162U (zh) |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 |
KR100851409B1 (ko) | 저수 정화장치 | |
KR20160142705A (ko) | 수족관 정화장치 | |
KR200349658Y1 (ko) | 수족관 여과기 | |
US20190077684A1 (en) | System for Treating Sewage | |
KR101061439B1 (ko) | 수족관용 여과장치 | |
KR20160130681A (ko) | 수질정화장치 | |
KR200347607Y1 (ko) | 수족관의 살균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