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371A -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 Google Patents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371A
KR20180078371A KR1020160182075A KR20160182075A KR20180078371A KR 20180078371 A KR20180078371 A KR 20180078371A KR 1020160182075 A KR1020160182075 A KR 1020160182075A KR 20160182075 A KR20160182075 A KR 20160182075A KR 20180078371 A KR20180078371 A KR 2018007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lkaline
water
alkali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최수현
김효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6018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371A/ko
Publication of KR2018007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7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기능성 알칼리필터 내부에 발생되는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는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멤브레인에 의해 여과시켜 정수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
상기 멤브레인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전처리필터, 멤브레인필터 및 알칼리필터는 각각의 커넥터에 대해 원터치타입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로가이드는,
상기 멤브레인필터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와,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가이드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유로가이드의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alkali return filter with discharge gas}
본 명세서는 기능성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성 알칼리필터 내부에 발생되는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는 무색, 무취 상태의 냉수로서 각종 중금속과 유해물질 및 세균 등이 없고 적당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물로서, 물 속에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이 함유된 알칼리성의 물이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혈압, 당노병, 심장병 등 현대 성인병의 중요원인 중의 하나가 육류의 과다섭취로 인해 체질의 산성화인데, 이러한 산성체질을 약 알칼리 체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알칼리수 음용이 권장되고 있다.
즉, 정수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기능성 알칼리필터(일 예로서, 세라믹소재 또는 광물질(특히 칼슘, 마그네슘(Mg), 칼륨, 나트륨 등을 말함)로 이루어지는 정수필터를 말함)를 선호하고 있다.
이때, 알칼리필터는 물과 접촉으로 인해 기체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기체는 알칼리필터 내부에 형성되는 기존의 수압과 더불어 압력 상승을 초래하게 됨에 따라 알칼리필터의 크랙으로 인한 손상, 파손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을 갖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니플타입의 역삼투막필터(RO필터) 및 니플타입의 알칼리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원수공급원(수도꼭지를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 중의 부유물질, 흙, 녹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세디먼트필터(1), 프리카본필터(2))와,
전처리필터(2)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역삼투막에 의해 정수처리하여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RO필터(3)와,
RO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와(이때, RO필터(3)의 역삼투막(membrane)에 의해 걸러지는 농축수는 싱크대로 보내져 폐수처리됨),
저장탱크(5)로부터 유입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6)(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4)와,
RO필터(3)와 알칼리필터(4)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저장탱크(5)에 저장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정수가 RO필터(3)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7)를 구비한다.
도 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니플타입의 중공사막필터(UF필터)(또는 나노필터) 및 니플타입의 알칼리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원수공급원(수도꼭지를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 중의 부유물질, 흙, 녹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세디먼트필터(1), 프리카본필터(2))와,
전처리필터(2)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섬유 중공사막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중공사막필터(3a)(또는 나노필터를 말함)와,
중공사막필터(3a)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6)(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4)를 구비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니플타입의 알칼리필터(4)는
RO필터(3)(또는 중공사막필터(3a)를 말함)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8) 및 정수 유입구(8)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기능성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9)가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형성된다.
도 1a 및 도 2a에서와 같이, 니플타입의 RO필터(3) 및 니플타입의 알칼리필터(4)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에서, 기능성 알칼리필터(4)의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정수 유입구(8) 및 알칼리수 배출구(9)만 형성되어 있어 알칼리필터(4)로부터 내부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시스템 특성상 RO필터의 전단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정수 후단에는 압력탱크가 설치됨에 따라, 이 구간에 설치되는 알칼리필터를 포함하여 압력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압력 상승은 발생되지 않게된다.
도 1b 및 도 2a에서와 같이, 니플타입의 중공사막필터(3a) 및 니플타입의 알칼리필터(4)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에서, 기능성 알칼리필터(4)의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정수 유입구(8) 및 알칼리수 배출구(9)만 형성되어 있어 알칼리필터(4)로부터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알칼리필터(4) 소재와 정수의 상호 접촉시 발생되는 기체로 인해 원수공급원과 알칼리필터(4)사이의 관로와, 알칼리필터(4)와 출수부(6)사이의 관로에 압력이 상승될 수 있고, 상승된 압력에 의해 알칼리필터(4)를 포함하여 모든 필터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원터치타입의 알칼리필터(4)는
알칼리필터(4)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유로가이드(11)를 장착하되, 유로가이드(11)는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8) 및 정수 유입구(8)를 통해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정수를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9)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원터치타입의 중공사막필터(UF필터를 말함)(또는 나노(NF)필터를 말함) 및 원터치 타입의 알칼리필터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에서,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로가이드(11)에 정수 유입구(8) 및 알칼리수 배출구(9)만 형성되어 있고 알칼리필터(4)로부터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알칼리필터(4) 소재와 정수의 상호 접촉시 발생되는 기체로 인해 원수공급원과 알칼리필터(4)사이의 관로와, 알칼리필터(4)와 출수부(6)사이의 관로에 압력이 상승되고, 상승된 압력에 의해 알칼리필터(4)를 포함하여 모든 필터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출원번호 10-2005-0056012호에 탈기 기능이 부가된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다단형 정수기를 이루는 기능성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를 필터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알칼리필터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 필터하우징 내의 정수를 배출시키지 않고 기체 만을 배출하게 되므로, 필터하우징 내의 압력으로 인해 정수필터 크랙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안심하고 알칼리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멤브레인에 의해 여과시켜 정수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
상기 멤브레인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전처리필터, 멤브레인필터 및 알칼리필터는 각각의 커넥터에 대해 원터치타입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로가이드는,
상기 멤브레인필터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와,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가이드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유로가이드의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섬유 중공사막에 의해 여과시켜 정수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
상기 멤브레인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RO필터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
상기 에어 배출구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RO필터 또는 UF필터/NF필터 등을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를 이루는 기능성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를 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시킴에 따라, 필터하우징 내에 발생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알칼리필터가 크랙으로 인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알칼리필터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 필터하우징 내의 정수를 배출시키지않고 기체 만을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심하고 기능성 알칼리수를 음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니플 타입 알칼리필터 및 RO필터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의 도면,
도 1b는 종래 기술의 니플 타입 알칼리필터 및 UF/NF필터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의 도면,
도 2a는 도 1a,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니플 타입 알칼리필터의 개략도,
도 2b는 종래 기술의 원터치 타입 알칼리필터의 개략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적용되는 원터치 타입 알칼리필터 및 UF/NF필터를 포함하는 다단형 정수기의 도면,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니플 타입 알칼리필터의 도면,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타입 알칼리필터의 도면,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타입 알칼리필터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는
수도꼭지 등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세디먼트필터(1), 프리카본필터(2)를 말함);
전처리필터(2)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멤브레인에 의해 여과시켜 정수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3)(일 예로서, RO필터를 말함);
멤브레인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5);
멤브레인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6)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4);를 구비하되,
전처리필터(1,2), 멤브레인필터(일 예로서, RO필터(3)를 말함) 및 알칼리필터(4)는 각각의 커넥터(a,b,c,d)에 대해 원터치 타입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알칼리필터(4)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로가이드(12)는,
멤브레인필터(3)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13)와, 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14)와,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즉, 수소가스를 말함)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15)를 구비하며,
유로가이드(12) 하단에 장착되고, 알칼리필터(4)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유로가이드(12)의 에어 배출구(15)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17);를 구비한다.
전처리필터(1,2), 멤브레인필터(3) 및 알칼리필터(4)로 이루어지는 정수필터(1,2,3,4)를 커넥터(a,b,c,d)에 결합후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이와 대응되게 커넥터(a,b,c,d) 내주연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상호 요철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턴 타입(turn type)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필터(1,2), 멤브레인필터(3) 및 알칼리필터(4)로 이루어지는 정수필터(1,2,3,4)를 커넥터(a,b,c)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경우,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커넥터(a,b,c,d)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로킹편에 의해 로킹되어 체결되는 푸쉬 타입(push type)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멤브레인필터(3)는 중공사막필터(UF) 또는 나노필터(NF)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기 카트리지(17)의 중공사막(16)을 수용하는 케이스(17a)와, 케이스(17a) 상단이 결합되도록 유로가이드(12) 하단에 형성되는 제1보스부(18)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알칼리필터(4)의 상단에 연장되는 브라킷(20)과, 브라킷(20)이 결합되도록 유로가이드(12) 하단에 제1보스부(18)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연장형성되는 제2보스부(21)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와 알칼리수 배출구(14)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오링(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알칼리필터(4)는
알칼리볼, 마그네슘,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나트륨장석, 토르마린, 파이워터볼, 항균볼, 산화칼슘, 산화철, ORP볼, 음이온볼, 자철광석, 환원촉매볼, 산화나트늄, 티타늄 또는 노바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광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b에서와 같이, 전술한 커넥터(a,b,c,d)에 정수필터(1,2,3,4)의 개구부를 결합시켜 턴 타입 또는 푸쉬 타입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원터치타입으로 결합한다.
이때, 정수필터(1,2,3,4)를 커넥터(a,b,c,d)에 원터치타입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가 세디먼트필터(1) 및 프리카본필터(2)를 경유할 경우 원수 중에 포함되는 각종 이물질이 여과된다.
전처리필터(1,2)를 경유한 원수가 멤브레인필터(3)(RO필터를 말함)에 유입될 경우 원수는 내부의 RO멤브레인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데, 정수처리된 정수는 저장탱크(5)에 저장되고, RO멤브레인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는 싱크대로 보내져 폐수처리된다.
저장탱크(5)로부터 정수가 유입되어 기능성 알칼리필터(4)를 경유할 경우 알칼리필터(4)의 소재(일 예로서, 세라믹재 또는 마그네슘 등을 말함)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알칼리수를 생성하게 되고, 알칼리수는 출수부(6)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도 4b에서와 같이, RO필터(3)로부터 이동되는 정수가 알칼리필터(4)의 개구부에 장착된 유로가이드(12)의 중앙에 형성된 정수 유입구(13)를 통해 필터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된 정수는 알칼리필터(4)의 소재와 접촉되어 알칼리수를 생성하게 되고, 알칼리수는 탈기 카트리지(17)를 수용하는 케이스(17a)를 따라 유로가이드(12)의 정수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알칼리필터(4)의 상단에 연장형성된 브라킷(20) 외주연과, 유로가이드(12)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2보스부(21)사이의 틈새에 장착된 제2오링(22)에 의해, 정수 유입구(13)를 통해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정수와 알칼리수 배출구(14)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알칼리필터(4)의 소재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는 케이스(17a)에 수용된 탈기 카트리지(소수성 중공사막을 활용한 탈기 필터를 말함)(17)를 통과하여 유로가이드(12)의 에어 배출구(15)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알칼리수의 수분은 탈기 카트리지(17)에 의해 걸려져 에어 배출구(15)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이때, 탈기 카트리지(17)의 케이스(17a)와, 케이스(17a) 상단이 결합되도록 유로가이드(12) 하단에 형성된 제1보스부(18)사이의 틈새에 장착된 제1오링(19)에 의해 알칼리필터(4)의 알칼리수가 에어 배출구(15)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는
수도꼭지 등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전처리필터(세디먼트필터(1), 프리카본필터(2)를 말함);
전처리필터(2)를 통과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 박테리아 등의 이물질을 섬유 중공사막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3)(일 예로서, RO필터를 말함);
멤브레인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가 통과되도록 하여 알칼리화시키며, 알칼리수를 출수부(6)로 이동시키는 알칼리필터(4);를 구비하되,
알칼리필터(4)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 일측에 형성되고, RO필터(3)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23);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 타측에 형성되고, 정수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24);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 중앙에 형성되고, 알칼리필터(4)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즉, 수소가스를 말함)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25);
에어 배출구(25) 하단에 장착되고, 알칼리필터(4)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에어 배출구(25)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17);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멤브레인필터(3)는 중공사막필터(UF) 또는 나노필터(NF)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기 카트리지(17)를 수용하는 케이스(17a)와, 케이스(17a) 상단이 결합되고 에어 배출구(25) 하단에 형성되는 제3보스부(27)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오링(2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알칼리필터(4)의 상단에 연장되는 브라킷(20)과, 브라킷(20)이 결합되도록 제3보스부(27)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4보스부(29)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정수 유입구(23)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와 알칼리수 배출구(24)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2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알칼리필터(4)는
알칼리볼, 마그네슘,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나트륨장석, 토르마린, 파이워터볼, 항균볼, 산화칼슘, 산화철, ORP볼, 음이온볼, 자철광석, 환원촉매볼, 산화나트늄, 티타늄 또는 노바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광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미 도시된 멤브레인필터(일 예로서, RO필터를 말함)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가 알칼리필터(4)가 내설된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 일측에 돌출형성된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23)를 경유하여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된다.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된 정수는 기능성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수를 생성하게 되고, 알칼리필터(4)를 통과한 알칼리수는 알칼리필터(4) 상단에 형성된 브라킷(20) 내측을 따라 이동되어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에 형성된 정수 배출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알칼리필터(4)의 상단에 연장된 브라킷(20) 외측면과, 브라킷(20)이 밀착되도록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24) 하측에 연장형성된 제4보스부(29)사이의 틈새에 장착된 제4오링(28)에 의해, 정수 유입구(23)를 통해 필터하우징(10)에 유입되는 정수와, 알칼리수 배출구(24)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알칼리필터(4)의 소재(일 예로서, 세라믹재 또는 마그네슘을 말함)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는 케이스(17a)에 수용된 탈기 카트리지(17)를 통과하여 필터하우징(10)의 개구부 중앙에 돌출형성된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25)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알칼리수의 수분은 탈기 카트리지(17)에 의해 걸려져 에어 배출구(15)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이때, 탈기 카트리지(17)의 케이스(17a)와, 케이스(17a) 상단이 결합되도록 에어 배출구(25) 하단에 연장형성된 제3보스부(27)사이의 틈새에 장착된 제3오링(26)에 의해 알칼리필터(4)의 알칼리수가 에어 배출구(15)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는
알칼리필터(4)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10)의 일단(일 예로서, 하단을 말함)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40);
필터하우징(10)의 타단(일 예로서, 상단을 말함) 일측에 형성되고, 정수 유입구(40)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알칼리필터(4)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41);
필터하우징(10)의 타단(일 예로서, 상단을 말함) 중앙에 형성되고, 알칼리필터(4)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42);
에어 배출구(42) 하단에 장착되고, 알칼리필터(4)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에어 배출구(42)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17);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기 카트리지(17)를 수용하는 케이스(17a)와, 케이스(17a) 상단이 결합되고 에어 배출구(42) 하단에 형성되는 제3보스부(27)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오링(2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필터하우징(40)의 하단에 니쁠타입의 정수 유입구(40)가 형성되고, 필터하우징(10)의 상단 일측에 니쁠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41)가 형성되며, 필터하우징(10)의 상단 중앙에 니쁠타입의 에어 배출구(42)가 형성되는 기술내용을 제외한 필터의 구성은, 도 4a에 도시된 필터와 동일하므로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디먼트필터
3; 멤브레인필터
5; 저장탱크
10; 필터하우징
12; 유로가이드
14; 알칼리수 배출구
17; 탈기 카트리지
18; 제1보스부
20; 브라킷
22; 제2오링
24; 니플타입 알칼리수 배출구
26; 제3오링
28; 제4오링

Claims (13)

  1.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로가이드는 상기 멤브레인필터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유입구와,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알칼리수 배출구와,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로가이드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유로가이드의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필터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을 커넥터에 결합후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이와 대응되게 상기 커넥터 내주연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요철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턴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필터가 수용되는 필터하우징을 커넥터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경우,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상기 커넥터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로킹편에 의해 로킹되어 체결되는 푸쉬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류측에 멤브레인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멤브레인필터는 RO필터, UF필터 또는 NF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유로가이드 하단에 형성되는 제1보스부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필터의 상단에 연장되는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이 결합되도록 상기 유로가이드 하단에 상기 제1보스부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2보스부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와 상기 알칼리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7.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일측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
    상기 에어 배출구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류측에 멤브레인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멤브레인필터는 RO필터, UF필터 또는 NF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 하단에 형성되는 제3보스부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필터의 상단에 연장되는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3보스부 외측으로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4보스부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함에 따라,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와 상기 알칼리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11. 알칼리필터가 내설되는 필터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니플타입의 정수 유입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타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상기 알칼리필터에 의해 알칼리화시킨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알칼리수 배출구;
    상기 필터하우징의 타단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알칼리필터와 정수의 상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니플타입의 에어 배출구;
    상기 에어 배출구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알칼리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알칼리수 중의 기체 만을 통과시켜 상기 에어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탈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 하단에 형성되는 제3보스부사이의 틈새를 통해 알칼리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13. 제1항,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필터는
    알칼리볼, 마그네슘,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나트륨장석, 토르마린, 파이워터볼, 항균볼, 산화칼슘, 산화철, ORP볼, 음이온볼, 자철광석, 환원촉매볼, 산화나트늄, 티타늄 또는 노바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광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KR1020160182075A 2016-12-29 2016-12-29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KR20180078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75A KR20180078371A (ko) 2016-12-29 2016-12-29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75A KR20180078371A (ko) 2016-12-29 2016-12-29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71A true KR20180078371A (ko) 2018-07-10

Family

ID=629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75A KR20180078371A (ko) 2016-12-29 2016-12-29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3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930A1 (en) * 2020-11-20 2022-05-27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or both
WO2022108932A1 (en) * 2020-11-20 2022-05-27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US12005379B2 (en) 2021-11-16 2024-06-11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930A1 (en) * 2020-11-20 2022-05-27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or both
WO2022108932A1 (en) * 2020-11-20 2022-05-27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US12005379B2 (en) 2021-11-16 2024-06-11 Entegris, Inc.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7258B2 (ja) 浄水器
KR200433506Y1 (ko)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JP2011098345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KR20130068559A (ko) 정수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JP2007289888A (ja) 浄水器
KR100797051B1 (ko) 유로 변경이 가능한 정수기용 어댑터
KR200390280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KR20180078371A (ko)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성 알칼리 환원 필터
CN111137995A (zh) 容易清洗滤芯的净水器
CA2477939A1 (en) Multiple barrier filter apparatus
CN211056816U (zh) 净水系统
CN211056815U (zh) 净水系统
CN109179576B (zh) 滤芯结构、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09894B1 (ko) 정수기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CN109231364B (zh) 滤芯结构、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CN101244846A (zh) 可选择出碱性水和酸性水的净水器
KR101976641B1 (ko) 정수장치용 필터헤드
CN216737875U (zh) 净水系统和净水器
KR200475056Y1 (ko) 더블 체크밸브방식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 하우징
JP2010064032A (ja) 浄水装置
US6558542B2 (en) Water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