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505A -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505A
KR20160071505A KR1020140178191A KR20140178191A KR20160071505A KR 20160071505 A KR20160071505 A KR 20160071505A KR 1020140178191 A KR1020140178191 A KR 1020140178191A KR 20140178191 A KR20140178191 A KR 20140178191A KR 20160071505 A KR20160071505 A KR 2016007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ilter body
filtration
filt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영
류근상
강대식
엄주혁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505A/ko
Publication of KR2016007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는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는 개방된 제1필터본체;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제1필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여과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필터본체; 및 상기 여과공간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을 여과하며 링 형상인 여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본체와 제2필터본체는 너비가 높이보다 길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WATER PURIFYING FILT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 형상의 여과부재를 포함하며 너비가 높이보다 길어서 용이하게 적층됨과 함께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필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것으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 사용된다.
종래, 이러한 정수필터는 물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원통형의 필터본체와,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여과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정수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크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을 여과하려면, 여과되는 물질이 다른 여과부재가 포함된 정수필터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물이 여러 단계로 여과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예컨대, 물이, 찌꺼기와 오물 등을 여과하는 세디먼트필터, 잔류 염소나 유기화합물 등을 여과하는 프리카본필터, 중금속과 이온성 물질 및 미생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 및, 냄새 및 세균을 여과하는 포스트카본필터, 모두 4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되도록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구성의 정수필터는 하나의 정수필터가 차지하는 공간도 비교적 크며,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을 여과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4개의 정수필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서 정수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컸었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가 구비되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를 소형화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정수필터의 경우에는 연결관과 피팅부재를 사용하여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종래 정수필터의 경우에는 일측에서 물이 유출입되는 구성이나 일측에서는 물이 유입되고 타측에서는 물이 유출되는 구성이나 모두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필터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필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는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는 개방된 제1필터본체; 하부는 개방되며 제1필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여과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필터본체; 및 여과공간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을 여과하며 링 형상인 여과부재; 를 포함하며, 제1필터본체와 제2필터본체는 너비가 높이보다 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필터본체와 제2필터본체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단일의 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와 여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여과부재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판의 중앙부에는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제1미통과부가 형성되며, 제1미통과부 이외의 분배판에는 물이 통과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미통과부의 직경은 여과부재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과구멍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본체에는 분배판이 제1필터본체의 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1이격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와 여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여과부재를 통과한 물이 유출구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이드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의 중앙부에는 제2미통과부가 형성되며, 제2미통과부 이외의 가이드판에는 물이 통과하는 제2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미통과부의 직경은 여과부재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통과구멍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본체에는 가이드판이 제2필터본체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2이격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본체의 높이는 제2필터본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물공급원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전술한 정수필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수필터는 복수개이며 적층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링 형상의 여과부재를 포함하며 너비가 높이보다 길도록 정수필터를 구성하여, 정수필터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필터를 용이하게 적층함과 함께 정수필터를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다른 사용상태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다른 사용상태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다른 사용상태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는 제1필터본체(200), 제2필터본체(300) 및, 여과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본체(200)의 하부에는 유입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210)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부재(FM)에 의해서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210)가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팅부재(FM)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 이외에, 유입구(210)가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에 삽입되어 연결되거나, 유입구(210)에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도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 또는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로부터 유출된 물이 제1필터본체(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본체(20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제1필터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즉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필터본체(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부에 유입구(210)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라면 상부가 개방된 다각통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본체(200)에는 제1이격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분배판(500)이 제1필터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은 분배판(500)과 제1필터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여 분배판(500)에 형성된 후술할 통과구멍(520)을 통과할 수 있다.
제1필터본체(200)의 너비(W1)는 높이(H1)보다 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를 포함하는 정수필터(100)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필터(100)가 납작한 형상이면, 정수필터(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00)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정수필터(1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필터(100)가 구비되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10)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수필터(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한 정수필터(100)의 유입구(210)를 다른 정수필터(100)의 유출구(310)에 피팅부재(FM)에 의해서 연결하는 등에 의해서 정수필터(100)를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100)를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제1필터본체(200)의 높이(H1)는 제2필터본체(H2)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터본체(300)의 개방된 하부가 제1필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여과공간(SP)을 형성할 때, 제2필터본체(300)가 제1필터본체(200)에 안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필터본체(300)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본체(300)의 개방된 하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본체(20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 사이에 여과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본체(300)의 상부에는 유출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출구(310)를 통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공간(SP)에 구비되는 여과부재(400)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유출구(310)는 연결관에 의해서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나,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출구(310)는 다른 정수필터의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40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된 물이 물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콕크나 파우셋을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필터(1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터본체(300)도 일측, 즉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필터본체(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유출구(310)가 구비되는 형상이라면 하부가 개방된 다각통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필터본체(3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격턱(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가이드판(600)이 제2필터본체(300)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판(600)에 형성된 후술할 제2통과구멍(620)을 통과한 물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600)과 제2필터본체(30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여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제2필터본체(300)의 너비(W1)도 높이(H1)보다 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를 포함하는 정수필터(100)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00)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정수필터(1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적층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수필터(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100)를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 사이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 사이를 통해 여과공간(SP)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과부재(400)는 제1필터본체(200)와 제2필터본체(300)에 의해서 형성된 전술한 여과공간(SP)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본체(200)의 유입구(210)를 통해 여과공간(SP)에 유입된 물은 여과부재(4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재(4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제2필터본체(300)의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여과부재(400)는 단일의 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부재(400)는 세디먼트필터의 기능을 하는 단일의 여과층이나, 프리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는 단일의 여과층, 멤브레인필터의 기능을 하는 단일의 여과층 또는 포스트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는 단일의 여과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서로 다른 기능의 단일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부재(40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100)를 적절하게 적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 위에, 멤브레인필터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외,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 위에 멤브레인필터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가 연결되고, 멤브레인필터(100)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 위에 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는 정수필터(1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100)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는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다면 어떠한 조합이라도 가능하다.
여과부재(400)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여과부재(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재(400)의 형상은 원형 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링 형상 또는 타원 링 형상 등, 링 형상이라면 어떠한 링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는 분배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판(500)은 유입구(210)와 여과부재(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분배판(500)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여과부재(400)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이 여과부재(400)를 고르게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여과에 사용되지 않은 여과부재(400)의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재(4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분배판(500)의 중앙부에는 미통과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통과부(510)의 직경(D1)은 여과부재(400)의 내경(DR)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은 미통과부(510)에 의해서 여과부재(400)에 바로 유입되지 못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판(500)과 제1필터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공간을 방사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미통과부(510) 이외의 분배판(500)에는 제1통과구멍(5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과구멍(520)은 분배판(500)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판(500)과 제1필터본체(200) 하부 사이의 공간을 방사상으로 유동한 물이 분배판(500)의 제1통과구멍(520)을 통과하여 링 형상의 여과부재(400)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는 가이드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600)은 유출구(310)와 여과부재(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판(600)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여과부재(400)를 고르게 통과하여 유출구(310)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판(600)의 중앙부에는 제2미통과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미통과부(610)의 직경(D2)은 여과부재(400)의 내경(DR)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미통과부(610) 이외의 가이드판(600)에는 제2통과구멍(6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과구멍(620)은 가이드판(600)에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400)를 고르게 통과한 물은 제2통과구멍(620)을 통해 제2필터본체(300)의 상부와 가이드판(60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은 제2필터본체(300)의 상부와 가이드판(600) 사이의 공간을 유동한 후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다른 사용상태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정수필터(100)와 여과부재(400)가 복수개의 여과층(410,42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에 포함되는 여과부재(400)는 복수개의 여과층(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400)는 제1여과층(410)과 제2여과층(420)의 2개의 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여과층(410)은 카본필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여과층(420)은 멤브레인필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나의 정수필터(100) 만으로도 음용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재(400)에 포함되는 여과층(410,420)의 개수나 기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다면 어떠한 개수나 기능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여과층(410,420)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수필터(100)를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하여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물을 여러 차례 여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복수개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부재(400)를 포함하는 정수필터(100) 3개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 서로 다른 복수개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부재(40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100)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복수개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부재(400)를 포함하는 정수필터(100) 2개가 적층되어 연결된 위에 단일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여과부재(400)를 포함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100)가 적층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수필터(100)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는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다면 어떠한 조합이라도 가능하다.
수처리장치
이하,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장치본체(20)와 전술한 정수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정수필터(100)가 구비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성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정수필터(1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수필터(100)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필터(100)는 한 개일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적층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물공급원의 물은 유입구(210)를 통해 정수필터(100)에 유입되어 여과부재(40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유출구(310)를 통해 유출된 물은 다른 정수필터(100)에 유입되거나, 물저장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정수필터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정수필터를 용이하게 적층함과 함께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물공급원의 수질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알맞게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장치본체
100 : 정수필터 200 : 제1필터본체
210 : 유입구 220 : 제1이격턱
300 : 제2필터본체 310 : 유출구
320 : 제2이격턱 400 : 여과부재
410 : 제1여과층 420 : 제2여과층
500 : 분배판 510 : 제1미통과부
520 : 제1통과구멍 600 : 가이드판
610 : 제2미통과부 620 : 제2통과구멍
SP : 여과공간 H1,H2 : 높이
W1,W2 : 너비 DR : 내경
D1,D2 : 직경 FM : 피팅부재
R : 밀봉부재

Claims (17)

  1.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는 개방된 제1필터본체;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제1필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여과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필터본체; 및
    상기 여과공간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을 여과하며 링 형상인 여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본체와 제2필터본체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본체와 제2필터본체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인 정수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단일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정수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여과층을 포함하는 정수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여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여과부재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는 분배판; 을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의 중앙부에는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제1미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미통과부 이외의 상기 분배판에는 물이 통과하는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는 정수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통과부의 직경은 상기 여과부재의 내경보다 큰 정수필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구멍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정수필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본체에는 상기 분배판이 상기 제1필터본체의 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1이격턱이 형성되는 정수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여과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여과부재를 통과한 물이 상기 유출구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이드판; 을 더 포함하는 정수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중앙부에는 제2미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미통과부 이외의 상기 가이드판에는 물이 통과하는 제2통과구멍이 형성되는 정수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미통과부의 직경은 상기 여과부재의 내경보다 큰 정수필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구멍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정수필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본체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상기 제2필터본체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2이격턱이 형성되는 정수필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본체의 높이는 상기 제2필터본체의 높이보다 높은 정수필터.
  16. 장치본체;
    물공급원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복수개이며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40178191A 2014-12-11 2014-12-11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60071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91A KR20160071505A (ko) 2014-12-11 2014-12-11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91A KR20160071505A (ko) 2014-12-11 2014-12-11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05A true KR20160071505A (ko) 2016-06-22

Family

ID=5636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91A KR20160071505A (ko) 2014-12-11 2014-12-11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5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6725A1 (en) * 2018-05-24 2019-11-28 Nap Kyle Portable modular filter system
KR102134906B1 (ko) * 2020-01-22 2020-07-17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KR102154135B1 (ko) * 2020-06-29 2020-09-09 (주)엠디뮨 분산성이 우수한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KR102168101B1 (ko) 2020-05-08 2020-10-20 주식회사 좋은물 물의 수압 상승과 스케일 제거기능을 갖는 금속이온발생 가압필터장치
WO2021149891A1 (ko) * 2020-01-22 2021-07-29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US11685678B2 (en) 2016-11-06 2023-06-27 Kyle Nap Portable systems for high throughput liquid purification using dissolved air flotation
US12030001B2 (en) 2020-11-23 2024-07-09 Kyle Nap Portable modular filter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678B2 (en) 2016-11-06 2023-06-27 Kyle Nap Portable systems for high throughput liquid purification using dissolved air flotation
WO2019226725A1 (en) * 2018-05-24 2019-11-28 Nap Kyle Portable modular filter system
KR102134906B1 (ko) * 2020-01-22 2020-07-17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WO2021149891A1 (ko) * 2020-01-22 2021-07-29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KR102168101B1 (ko) 2020-05-08 2020-10-20 주식회사 좋은물 물의 수압 상승과 스케일 제거기능을 갖는 금속이온발생 가압필터장치
KR102154135B1 (ko) * 2020-06-29 2020-09-09 (주)엠디뮨 분산성이 우수한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US12030001B2 (en) 2020-11-23 2024-07-09 Kyle Nap Portable modular filt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584052B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WO2015137347A1 (ja) 浄水器
US20140158590A1 (en)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JP2007289888A (ja) 浄水器
US20020104794A1 (en) Filter apparatus using alternate types of replaceable filter elements
KR20100127132A (ko) 정수기용 복합 필터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KR20150025526A (ko) 정수필터
WO2011016513A1 (ja) 濾過装置
WO2018161439A1 (zh) 复合滤芯、复合滤芯组件及净水系统
KR20070018151A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EP2417065B1 (en) Replaceable cartridge filter for filtering systems, particularly for the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nd filtering system including said filter
KR101935595B1 (ko) 다단 정수 필터
JP6028185B2 (ja) 濾過装置
KR101634099B1 (ko)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KR102210189B1 (ko) 정수장치
CN208770991U (zh) 复合滤芯以及过滤系统
KR101632979B1 (ko) 측류 유동형 역삼투막 필터
JP4073351B2 (ja) 浄水器
CN111217464A (zh) 净水器用复合型净水过滤器
KR102115321B1 (ko)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KR101947998B1 (ko) 카본필터
CN214360582U (zh) 前后置复合滤芯
KR101972589B1 (ko) 활성탄소섬유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