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49891A1 -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49891A1
WO2021149891A1 PCT/KR2020/012628 KR2020012628W WO2021149891A1 WO 2021149891 A1 WO2021149891 A1 WO 2021149891A1 KR 2020012628 W KR2020012628 W KR 2020012628W WO 2021149891 A1 WO2021149891 A1 WO 20211498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ell
membrane module
suspension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6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동우
배신규
오승욱
심윤범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829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490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794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413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뮨
Priority to EP20915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95227A4/en
Priority to AU2020425281A priority patent/AU2020425281A1/en
Priority to CN202080094186.5A priority patent/CN115038780A/zh
Priority to JP2022544735A priority patent/JP2023511435A/ja
Priority to US17/759,268 priority patent/US20230065508A1/en
Publication of WO20211498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498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Concentrating sample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njection or suction, e.g. using pipettes, syringes, nee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6Hydrolysis; Cell lysis; Extraction of intracellular or cell wal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10Separation or concentration of fermentation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extruding device including a membrane module and a cell extrus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membrane clogging and increase the membrane use area by efficiently dispersing and extruding a suspension containing cells in the membrane module Furthermore, it relates to a cell extrusion device and a cell extrus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further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easy membrane replacement and process execution.
  • Extracellular vesicles refer to various types of particles secreted from cells, and are largely exosomes derived from the endosomal pathway and microvesicles derived from the plasma membrane. microvesicles), etc.
  • Exosomes which are spherical vesicles discharged by cells, contai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teins and DNA of parent cells, and the development of cancer diagnostic markers and sensor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y using them as biomarkers.
  • microvesicles are a type of cell organelle generally having a size of 0.03 to 1 ⁇ m, and are naturally released from the cell membrane of the cell and have a double phospholipid membrane form, and cytoplasm of mRNA, DNA, and protein, etc. It contains my ingredients.
  • a centrifuge may be used as a method for obtaining an extracellular vesicle mimetic, but the centrifuge has a high price and still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yield does not meet expect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dispersion rate of the suspension by applying a dispersion disk that efficiently disperses the suspension containing cells in the membrane modu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mbrane usage area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a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extrusion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by using a syringe to enable mass production, and a cell extrus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extruding device for extruding cells in a suspension passing through a membrane module through a constant pressure, wherein the membrane module includes a pair of supports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moves. ; a membrane through which the cells pass and extruded; and a dispersion disk having a plurality of microholes formed thereon except for a dispersion zone including a central portion, wherein the membrane and the dispersion disk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ersion disk is located on the same axis, and the membrane module is tightly fixed by a pair of holder parts.
  • an O-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ersion disk and the support adjacent to the dispersion disk to form a sealed space, so that the suspension penetrating the support can be diffused into a plurality of microholes formed in the dispersion disk. do.
  • an O-ring is also positioned between the dispersion disk and the membrane to form a constant sealed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membrane permeation efficiency of the suspension.
  • the membrane module may prevent damage to the membrane when the porous membrane support film is position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membrane.
  •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a syringe containing a cell suspension to a through hole of a support adjacent to the dispersion disk among through holes of the cell extruding device; and injecting the suspension contained in the syringe into the membrane module, and then discharging the suspension through the dispersion disk and the membrane to the remaining through-holes; and repeating the process at least once or more.
  • a cell extruding device for extruding cells in suspension passing through a membrane module through a constant pressure
  • the membrane module comprising: a pair of supports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moves; a membrane through which the cells pass and extruded; and a pair of dispersion disks having a plurality of microholes formed thereon except for a dispersion zone including a central portion, wherein the pair of dispersion disks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in both directions of the membrane and the membrane, respectively ,
  • the through-holes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s and the center of the pair of dispersion disks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and the membrane module is tightly fixed by a pair of holder parts.
  • O-ring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dispersion disk to form a closed space, so that the suspension penetrating the support can be diffused into a plurality of microholes formed in the dispersion disk.
  • O-ring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dispersion disk to form a constant sealed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membrane permeation efficiency of the suspension.
  • a porous membrane support film is position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membrane to prevent damage to the membrane.
  • the membrane module may connect the syringe containing the suspension to one or more of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pair of supports, and the syringe may have a plunger moving by a syringe pump.
  • Cell extru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repeating the process comprising the at least one or more.
  • a first syringe containing a suspension containing cells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cell extruding device, and a second syringe in which a plunger is pressed inside connecting to the through hole of the other side; injecting the suspension contained in the first syringe into the membrane module and then introducing the suspension into the second syringe through the dispersion disk and the membrane; and repeating the process including the step of injecting the suspension introduced into the second syringe back into the membrane module, and then introducing the suspension into the first syringe through the dispersion disk and the membrane. do it with
  • a large-capacity syringe can be used to inject a suspension containing cells into the membrane module, so it is easy to operate and enables rapid cell extrusion.
  • the through hole formed in a pair of supports located inside the membrane modul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ersion disk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and fine holes are not formed in the dispersion zone of the dispersion disk, so that the suspens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s dispersed Since it is dispersed while colliding with the dispersion zone of the disk, it passes through the micro-holes in all directions,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area used for the membrane, but also prevents the membrane from clogging during repeated us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extrud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ll extrud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ersion di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a syring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ell extrud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 extru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ell extru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syringe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ll extrud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ring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ll extrus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by a syringe pump.
  • a cell extruding device (hereinafter, 'extrus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rusion device 10 includes a membrane module 100 and a pair of holder parts 200 and 200 ′ for closely fixing the membrane module 100 .
  • the cells are extruded when the suspension 300 including cells passes through the membrane module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110 having a fine porosity.
  • the suspension 300 including the cells may be injected into the membrane module 100 through a syringe.
  • the injection means of the suspension 3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yringe, and if it can be discharged by pressing the suspension 300 in a certain direction, it is okay.
  • the membrane module 100 includes a pair of supports 120 and 120' and a membrane 110 and a dispersion disk 130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120 and 120' therein.
  • the supports 120 and 120' are formed with through-holes 121 and 121'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moves, respectively.
  • the through-holes 121 and 121' are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s 120 and 120' to make the moving axis of the suspension 300 a straight line.
  • the ends of the through-holes 121 and 121' may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upports 120 and 120' for easy coupling with the end of the syringe 400 containing the suspension 300 containing the cells.
  • the ends of the supports 120 and 120 ′ may have a shape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easy coupling with the ends of the syringe 400 . If, at the end of the syringe 400,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for coupling with a needle, in this case, the end of the supporters 120 and 120 ' and the screw line formed at the end of the syringe 400 and the corresponding thread When formed, the coupling with the sillage 4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 the dispersion disk 130 has a plurality of microholes 132 formed therein except for the dispersion zone 131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uspension to be injected 300 is dispersed widely while moving along the through hole 121 at a high speed and collides with the dispersion zone 131 of the dispersion disk 130 .
  • the through-holes 121 and 121' formed in the supports 120 and 120' located inside the membrane module 100 and the center of the dispersion disk 130 should be located on the same axis.
  • the dispersion disk 130 and the dispersion The O-ring 140 is preferably positioned between the disk 130 and the adjacent support 120 . In this case, when the O-ring 140 is in the above position, a seal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dispersion disk 130 and the support 120 in a close contact state, and through this, the suspension 300 can further enhance the dispersion effect. there is.
  • an O-ring 140 may be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ersion disk 130 and the membrane 110, and through this, a sealed space is formed in a close contact state, so that the suspension 300 is formed with the membrane. When passing (3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tinuous pressurization state.
  • an additional O-ring 140 may be further positioned to increase the sealed adhes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membrane module 100 .
  • the membrane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brane support film 150 having a porosity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mbrane 110 .
  • the membrane support film 150 prevents the membrane 110 from being damaged when a constant pressure is applied to the membrane 110 .
  • the porous size of the membrane support film 150 must be greater than the porous size of the membrane 110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suspension 300 .
  • the membrane module 100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membrane 110 under a constant pressure without the suspension 300 flowing out only when the internal component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a pair of holder parts 200 and 200 ′ are tightly fixed by a fastening means while receiving the membrane module 100 for adhesion of the membrane module 100 .
  • the fastening means may be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y common fastening means may correspond to this.
  • a predetermined hole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pair of holder parts 200 and 200' so that the ends of the supports 120 and 120' are exposed.
  • the material of the holder parts 200 and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metal in order to withstand the pressure caused by a constant close contact.
  • the replacement of the membrane 110 with different porosity occurs frequently, and the holder parts 200 and 200' can release the adhesion state with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membrane 110 is replace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suspension 300 is also unidirectional. Therefore, as shown in FIG. 4 , a syringe 400 containing a suspension 300 containing cell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rusion device 10 , and the suspension discharged through the membrane 110 is guided to the other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extrusion device 10 .
  • the connecting hose 16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70 for accommodating the suspension 300 .
  • a syringe 400 containing a suspension 300 containing cells is passed through one side formed in the support 120 adjacent to the dispersion disk 130 among the through holes 121 and 121 ′ of the cell extrusion device 10 . Connect to the hole 121 (step S10)
  • Step S20 when the plunger inside the syringe 400 is moved to inject the suspension 300 contained in the connected syringe 400 into the membrane module, the suspension 300 is the dispersion disk 130 and the membrane ( 110) through the other side through-hole 121'.
  • a sufficient extrusion effect can be obtained only when steps S10 and S20 are repeated at least once, more preferably 3 to 5 times or more.
  • the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imilar to the extrusion apparatus (!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a pair of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are located,
  •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membrane 110, the supports 120, 120', and the dispersion disks 130, 1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n the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wo syringes 400 and 4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as shown in FIG. 7 to enable a bidirectional extrusion process.
  • the membrane module 100 ′ according to the extrusion device 10 ′ includes a pair of membrane 110 and a pair of membrane 110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120 and 120 ′ in both directions.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are located respectively,
  • the membrane module 100' of the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passes through each of a pair of supports, like the membrane module 100 of the extru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centers of the holes 121 and 121' and the pair of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are all located on the same axis. This is to increase the dispersion efficiency of the injected suspension 300, and the principle has been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omitted.
  • the membrane module 100 ′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s 120 and 120 ′ and the dispersing disks 130 and 130 ′ and an O-ring 140 , through which a sealed space is formed to form a bidirectional suspension 300 .
  • the suspension 300 passing through the supports 120 and 120' is dispersed by the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because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suspension 30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preventing clogging of the membrane and increasing the area of use of the membrane.
  • an O-ring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embrane 110 and the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 respectively, which also forms a sealed space to form a closed space of the suspension 300 . This is to increase the extrusion efficiency when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 a porous membrane support film 150 may be position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membrane 110 .
  • the plunger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yringes 400 and 400' can be automatically moved by the syringe pumps 500 and 500'. More preferably, the two syringe pumps 500 and 50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syringes 400 and 400' is kept constant,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pressure gauge (not shown) can be installed.
  • a first syringe 400 containing a suspension 300 containing cells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121 on one side of the extrusion device 10', and a second syringe 400' in which the plunger is pressed inside. )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21 ′ on the other side.
  • Step S'30 After injecting the suspension 300 introduced into the second syringe 400 ′ back into the membrane module 100 ′, it passes through the dispersion disks 130 and 130 ′ and the membrane 110 .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yringe 400 .
  • step S'10 to step S'30 it is necessary to repeat at least once or more, more preferably 3 to 5 times or more, to obtain a sufficient extrusion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sicle (VESICLE) produced by the cell extrusion method.
  • VESICLE vesicle
  • Vesicles such as extracellular vesicles formed by cell membranes including extracellular vesicles (exosomes, microvesicles, etc.) can be obtained while the cells in the suspension are extruded by the extrusion method using the extru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 dispersion zone 132 microholes
  • O-ring 150 membrane support film
  • connection hose 170 receiving par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extrusion device including a membrane module and a cell extrus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by efficiently dispersing a suspension containing cells in the membrane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clogging of the membrane and increase the membrane usage area, and further It is easy to replace the membrane and perform the process, so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모듈 내에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멤브레인 막힘현상 방지 및 멤브레인 사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멤브레인 교체 및 공정수행이 용이하여 생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본 발명은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모듈 내에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효율적으로 분산 압출시킴으로써 멤브레인 막힘 현상 방지 및 멤브레인 사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멤브레인 교체 및 공정수행이 용이하여 생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입자를 지칭하며, 크게는 엔도좀 경로 (endosomal pathway)에서 유래하는 엑소좀(exosomes)과 원형질막(plasma membrane)에서 유래하는 마이크로베지클(microvesicles)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포에 의해 배출되는 구형 소낭인 엑소좀(exosomes)은 모세포의 단백질, DNA 등의 다양한 정보를 지니고 있어, 이를 바이오 마커로 활용하여 암진단 마커 및 센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베지클(microvesicles)은 일반적으로 0.03~1㎛의 크기를 가지는 세포 소기관의 일종으로서 세포의 세포막으로부터 자연 유리되어 이중 인지질(phospholipid) 막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mRNA, DNA 및 단백질 등의 세포질 내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세포외 소포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미량의 약물을 베지클에 캡슐화시켜 특정 부위에 해당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바, 세포외 소포체를 이용한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활용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베지클은 세포막에서 직접적으로 유리됨으로써 모세포의 항원체를 그대로 보유하고 있으므로 백신 등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세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세포외 소포체의 양이 매우 한정적이므로, 최근에는 이를 인위적으로 많은 양을 얻기 위한 세포외 소포모사체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세포외 소포모사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원심분리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원심 분리기는 가격이 높고 여전히 수득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멤브레인 모듈 내에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분산 디스크를 적용함으로써 현탁액의 분산율을 높여 결과적으로 압출공정 시 멤브레인 사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대용량 시린지(syringe)를 사용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가압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하는 현탁액 내 세포를 압출하는 세포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세포가 통과하며 압출되는 멤브레인; 및 중심부를 포함하는 분산존을 제외하고 미세홀이 다수 형성된 분산 디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분산 디스크가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분산 디스크의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한쌍의 홀더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분산 디스크 및 상기 분산 디스크와 인접하는 지지체 사이에 오링이 위치하여, 밀폐된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바, 이를 통해 지지체를 관통한 현탁액이 분산 디스크에 형성된 다수 미세홀로 확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산 디스크 및 상기 멤브레인 사이에도 오링이 위치하여 일정한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현탁액의 멤브레인 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필름이 위치할 경우, 상기 멤브레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인 상기 세포 압출장치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있어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담긴 시린지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의 관통홀 중 상기 분산 디스크와 인접한 지지체의 관통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시린지에 담긴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과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나머지 관통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일정한 가압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하는 현탁액 내 세포를 압출시키는 세포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세포가 통과하며 압출되는 멤브레인; 및 중심부를 포함하는 분산존을 제외하고 미세홀이 다수 형성된 한 쌍의 분산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 양측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분산 디스크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체 각각의 관통홀, 상기 한 쌍의 분산 디스크의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한쌍의 홀더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분산 디스크 사이에 오링이 각각 위치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지지체를 관통한 현탁액이 분산 디스크에 형성된 다수 미세홀로 확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분산 디스크 사이에 오링이 각각 위치하여, 일정한 밀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현탁액의 멤브레인 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필름이 위치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담긴 시린지를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형성된 관통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시린지는 시린지펌프에 의해 플런저가 이동할 수 있다.
또다른 본 발명으로서, 제1항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있어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담긴 시린지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의 관통홀 중 상기 분산 디스크와 인접한 지지체의 관통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시린지에 담긴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과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나머지 관통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방법.
또 다른 본 발명인 상기 세포 압출장치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있어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담긴 제1 시린지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 중 일측의 관통홀에 연결하고, 플런저를 내부로 압착시킨 제2 시린지를 타측의 관통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시린지에 담긴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와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상기 제2 시린지로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린지에 유입된 현탁액을 다시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와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상기 제1 시린지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대용량 시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하며 신속하게 세포를 압출시킬 수 있다.
2. 멤브레인 모듈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체에 형성된 관통홀 및 분산 디스크의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분산 디스크의 분산존에는 미세홀이 형성되지 않아, 관통홀을 통과한 현탁액이 분산 디스크의 분산존에 부딪히면서 분산되므로 사방에 뚤린 미세홀로 통과하게 되어, 멤브레인 사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 사용 시 멤브레인이 막히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3. 멤브레인 모듈 내부에 멤브레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분산 디스크가 각각 위치하는 압출장치 양 끝단에 시린지를 연결하여 압출할 경우, 연속적인 압출공정이 가능하게 되어 압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 멤브레인 모듈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홀더부에 의해 밀착이 고정 또는 해지되므로, 다공 크기가 다른 멤브레인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모듈의 내부 구성 전체를 일회용품으로 사용할 경우 공정 상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디스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세포 압출장치의 일측에 시린지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양측에 시린지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의 양측에 연결된 시린지를 시린지펌프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다만 첨부 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이하, '압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의 분리 단면도이다.
상기 압출장치(10)는 멤브레인 모듈(100) 및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을 밀착 고정시키는 한쌍의 홀더부(200, 200')를 포함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이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 내부를 관통하면서, 미세한 다공성을 갖는 멤브레인(110)을 통과 시 세포가 압출된다.
상기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은 시린지(syringe)을 통해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그러나 현탁액(300)의 주입 수단은 반드시 시린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탁액(300)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압시켜 배출 가능한 것이라면 무방하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내부에 한 쌍의 지지체(120, 1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120, 120') 사이에 멤브레인(110) 및 분산 디스크(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20, 120')은 각각 현탁액이 이동하는 관통홀(121, 1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21, 121')은 지지체(120, 120')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현탁액(300)의 이동축을 직선으로 함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121, 121')의 말단은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이을 포함하는 시린지(400) 말단과 용이한 결합을 위해 지지체(120, 120‘)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0, 120')의 말단은 시린지(400) 말단과 용이한 결합을 위해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만약, 시린지(400) 말단에 니들(needle)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지지체(120, 120') 말단을 상기 시린지(400) 말단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하는 나사선을 형성하게 되면 실리지(400)와의 결합을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산 디스크(130)은 중심부를 포함하는 분산존(131)을 제외하고 미세홀(132)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주입되는 현탁액(300)이 관통홀(121)을 따라 빠른 속도로 이동하다가 분산 디스크(130)의 분산존(131)에 충돌하면서 넓게 분산하게 된다.
이때 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체(120, 120'에 형성된 관통홀(121, 121')과 분산 디스크(130)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상기 분산 디스크(130)에 의해 분산된 현탁액(300)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서 지속적인 압력을 받으면서 분산 디스크(130)에 형성된 다수 미세홀(132)을 빠져 나가기 위해서는 상기 분산 디스크(130) 및 상기 분산 디스크(130)와 인접하는 지지체(120) 사이에 오링(1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링(140)이 상기 위치에 있으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산 디스크(130)와 상기 지지체(120) 사이에 밀폐된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현탁액(300)이 분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분산 디스크(130)와 멤브레인(110) 사이에 오링(140)이 더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밀착된 상태에서 또한 밀폐된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현탁액(300)이 멤브레인(300) 통과 시 지속적인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멤브레인 모듈(100)의 구성 간 밀폐된 밀착을 높이기 위해 추가의 오링(14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멤브레인(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을 갖는 멤브레인 지지필름(15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필름(150)은 멤브레인(110)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멤브레인(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멤브레인 지지필름(150)의 다공성 크기는 멤브레인(110)의 다공성 크기보다 커야 현탁액(300)의 이동이 원활해 질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내부의 구성들이 상호 밀착되어야 현탁액(300)이 유출되지 않고 일정한 압력 상태에서 멤브레인(110)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의 밀착을 위해 한쌍의 홀더부(200, 200')가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을 수용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나사선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체결수단이면 모두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홀더부(200, 200') 말단은 상기 지지체(120, 120')의 말단이 노출되도록 일정한 홀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200, 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정한 밀착에 따른 압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금속류일 수 있다.
세포의 압출공정에서, 다공성의 크기가 다른 멤브레인(110)의 교체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홀더부(200, 200')는 간단한 조작으로도 밀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멤브레인(110) 교체가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세포 압출공정에서 멤브레인 모듈(100)의 세척이 중요한 바,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100)의 구성품들을 단가가 저렴한 일회용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출장치(10)는 분산 디스크(130)가 하나 존재하므로, 현탁액(300)의 주입방향도 일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압출장치(10)의 일측에는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이 담긴 시린지(400)가 연결되며, 반대의 타측에는 멤브레인(11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현탁액을 외부로 유도하는 연결호스(160)가 연결되어 현탁액(300)을 수용하는 수용부(170)로 수용된다.
먼저,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이 담긴 시린지(400)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10)의 관통홀(121, 121') 중에서 분산 디스크(130)와 인접한 지지체(120)에 형성된 일측의 관통홀(121)에 연결한다 (S10 단계)
다음으로, 연결한 시린지(400)에 담긴 현탁액(300)을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하도록 실리지(400) 내부의 플런저(plunger)를 이동시키면, 상기 현탁액(300)은 분산 디스크(130)과 멤브레인(110)을 거쳐 나머지 타측의 관통홀(121')로 배출하게 된다.(S20 단계)
상기 S10 및 S20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회 이상 반복해야 충분한 압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를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는 앞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0)와 한 쌍의 분산 디스크(130, 130')가 위치한다는 점 외에는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멤브레인(110), 지지체(120, 120') 및 분산 디스크(130, 130')의 형태와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는 도 7과 같이 두 개의 시린지(400, 400')을 양 말단에 연결하여 양방향 압출공정이 가능해 진다.
도 5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압출장치(10')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100')은 상기 한 쌍의 지지체(120, 120') 사이에 멤브레인(110) 및 멤브레인(110) 양측방향으로 한 쌍의 분산 디스크(130, 130')가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의 멤브레인 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의 멤브레인 모듈(100)과 같이, 한 쌍의 지지체 각각의 관통홀(121, 121'), 한 쌍의 분산 디스크(130, 130')의 중심부가 모두 동일축 상에 위치한다. 이는 주입되는 현탁액(300)의 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며, 그 원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은 각 지지체(120, 120')와 분산 디스크(130, 130') 사이마다 오링(140)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밀폐된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양방향의 현탁액(300) 이동 시 현탁액(300)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지지체(120, 120')을 통과한 현탁액(300)이 분산 디스크(130, 130')에 의해 분산되어 멤브레인 막힘현상 방지 및 멤브레인 사용면적 증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모듈(100')은 멤브레인(110)과 분산 디스크(130, 130') 사이마다 오링(140)이 각각 위치할 수 있는데, 이 역시 밀폐된 일정 공간을 형성을 형성하여 현탁액(300)의 멤브레인 통과 시 압출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멤브레인(110) 역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멤브레인(110)의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필름(15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시린지펌프(500, 500')에 의해 제1 및 제2 시린지(400, 400') 내부의 플런저가 자동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시린지 펌프(500, 500')가 제1 및 제2 시린지(400, 400')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압력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출장치(10')을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300)이 담긴 제1 시린지(400)를 상기 압출장치(10') 중 일측의 관통홀(121)에 연결하고, 플런저를 내부로 압착시킨 제2 시린지(400')를 타측의 관통홀(121')에 연결한다. (S'10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1 시린지(400)에 담긴 현탁액(300)을 멤브레인 모듈(100') 내부로 주입한 후, 분산 디스크(130, 130')와 멤브레인(110)을 거쳐 상기 제2 시린지(400')로 유입시킨다. (S;20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2 시린지(400')에 유입된 현탁액(300)을 다시 상기 멤브레인 모듈(100')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130, 130')와 상기 멤브레인(110)을 거쳐 상기 제1 시린지(400)로 유입시킨다. (S'30 단계)
이러한 S'10 단계 부터 S'30 단계까지 적어도 1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회 이상 반복해야 충분한 압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베지클(VESIC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장치를 이용한 압출방법에 의해 현탁액 내 세포가 압출되면서, 세포외소포체(엑소좀, 마이크로베지클 등)을 비롯한 세포막에 의해 형성된 세포외소포모사체 등의 베지클이 획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 부호의 설명 ***
10, 10' : 압출장치 100, 100' : 멤브레인 모듈
110 : 멤브레인 120, 120' : 지지체
121, 121' : 관통홀 130, 130';: 분산 디스크
131 : 분산존 132 : 미세홀
140 :오링 150 :멤브레인 지지필름
160 :연결호스 170 : 수용부
200, 200' : 홀더부 300 : 현탁액
400, 400' : 실린지 500, 500' : 실린지펌프
본 발명은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멤브레인 모듈 내에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멤브레인 막힘현상 방지 및 멤브레인 사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멤브레인 교체 및 공정수행이 용이하여 생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Claims (13)

  1. 일정한 가압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하는 현탁액 내 세포를 압출하는 세포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세포가 통과하며 압출되는 멤브레인; 및
    중심부를 포함하는 분산존을 제외하고 미세홀이 다수 형성된 분산 디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분산 디스크가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분산 디스크의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한쌍의 홀더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분산 디스크 및 상기 분산 디스크와 인접하는 지지체 사이에 오링이 위치하여,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분산 디스크 및 상기 멤브레인 사이에 오링이 위치하여,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필름이 위치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5. 일정한 가압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을 통과하는 현탁액 내 세포를 압출시키는 세포 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세포가 통과하며 압출되는 멤브레인; 및
    중심부를 포함하는 분산존을 제외하고 미세홀이 다수 형성된 한 쌍의 분산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 양측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분산 디스크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체 각각의 관통홀, 상기 한 쌍의 분산 디스크의 중심부가 동일축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한쌍의 홀더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분산 디스크 사이에 오링이 각각 위치하여,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분산 디스크 사이에 오링이 각각 위치하여,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멤브레인의 하나 이상의 면에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필름이 위치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모듈은
    상기 현탁액이 담긴 시린지를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형성된 관통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는 시린지펌프에 의해 플런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장치.
  11. 제1항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있어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담긴 시린지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의 관통홀 중 상기 분산 디스크와 인접한 지지체의 관통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시린지에 담긴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과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나머지 관통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방법.
  12. 제5항에 따른 세포 압출장치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에 있어서,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이 담긴 제1 시린지를 상기 세포 압출장치 중 일측의 관통홀에 연결하고, 플런저를 내부로 압착시킨 제2 시린지를 타측의 관통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시린지에 담긴 현탁액을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와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상기 제2 시린지로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린지에 유입된 현탁액을 다시 상기 멤브레인 모듈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분산 디스크와 상기 멤브레인을 거쳐 상기 제1 시린지로 유입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압출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세포 압출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베지클.
PCT/KR2020/012628 2020-01-22 2020-09-18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WO20211498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15934.2A EP4095227A4 (en) 2020-01-22 2020-09-18 CELL EXTRUSION DEVICE COMPRISING A MEMBRANE MODULE AND CELL EXTRUSION METHOD USING THE SAME
AU2020425281A AU2020425281A1 (en) 2020-01-22 2020-09-18 Cell-extruding device including membrane module, and cell-extruding method using same
CN202080094186.5A CN115038780A (zh) 2020-01-22 2020-09-18 包含膜模块的细胞挤出装置及使用该装置的细胞挤出方法
JP2022544735A JP2023511435A (ja) 2020-01-22 2020-09-18 メンブレンモジュールを含む細胞押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細胞押出方法
US17/759,268 US20230065508A1 (en) 2020-01-22 2020-09-18 Cell-extruding device including membrane module, and cell-extrud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98A KR102134906B1 (ko) 2020-01-22 2020-01-22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KR10-2020-0079466 2020-01-22
KR10-2020-0008298 2020-01-22
KR1020200079466A KR102154135B1 (ko) 2020-06-29 2020-06-29 분산성이 우수한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9891A1 true WO2021149891A1 (ko) 2021-07-29

Family

ID=7699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628 WO2021149891A1 (ko) 2020-01-22 2020-09-18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65508A1 (ko)
EP (1) EP4095227A4 (ko)
JP (1) JP2023511435A (ko)
CN (1) CN115038780A (ko)
AU (1) AU2020425281A1 (ko)
WO (1) WO20211498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81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싸이토젠 미세유체장치
KR20130138103A (ko) * 2012-06-08 2013-12-18 폴 코포레이션 세포 수확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18524A (ko) * 2013-03-29 2014-10-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세포유래 인공 마이크로베시클 제조 장치
KR20160071505A (ko) * 2014-12-11 2016-06-2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134906B1 (ko) * 2020-01-22 2020-07-17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81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싸이토젠 미세유체장치
KR20130138103A (ko) * 2012-06-08 2013-12-18 폴 코포레이션 세포 수확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18524A (ko) * 2013-03-29 2014-10-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세포유래 인공 마이크로베시클 제조 장치
KR20160071505A (ko) * 2014-12-11 2016-06-2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134906B1 (ko) * 2020-01-22 2020-07-17 주식회사 엠디뮨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9522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5508A1 (en) 2023-03-02
AU2020425281A1 (en) 2022-08-11
EP4095227A1 (en) 2022-11-30
JP2023511435A (ja) 2023-03-17
CN115038780A (zh) 2022-09-09
EP4095227A4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0845A1 (ko) 커버체 및 이를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WO2021141207A1 (ko) 세포 압출기 및 세포 압출방법
WO2012138177A2 (ko) 필터 니들.
WO2011129651A2 (ko) 미세유체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타깃의 분리방법
WO2021075808A1 (ko) 세포배양장치
WO2021187707A1 (ko) 수액주입용 유량조절 레귤레이터
WO2021149891A1 (ko)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WO2012165743A1 (en) An apparatus relating to hemodialysis, hemodiafiltration, hemofiltration or peritoneal dialysis having function for rise temperature
WO2020138581A1 (ko) 다공성 마이크로웰 및 이를 구비한 멤브레인과 그 제조 방법
KR102134906B1 (ko)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세포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방법
WO2021075806A1 (ko) 세포배양장치
WO2020197145A1 (ko) 연질캡슐 제조 장치
WO2021107450A1 (ko) 세포배양장치
WO2021075900A1 (ko)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준비 방법
WO2022030747A1 (ko) 스페로이드 제너레이터, 스페로이드 배양키트 및 스페로이드 배양방법
WO2019050169A1 (ko) 실란트 실린지 어셈블리
WO2013165094A1 (ko) 개선된 구조의 의료용 액체 공급장치
WO2023008692A1 (ko) 세포 압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압출 방법
WO2021187702A1 (ko) 섬 구조물을 포함하는 신속한 세포배양검사 장치
WO2021006536A1 (ko) 약물 이송관 장치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이송관 장치 세트
WO2021177530A1 (ko) 정확한 관찰이 용이한 신속한 세포배양검사 장치
WO2021029573A1 (ko) 대량 생산용 다채널 미소구체 제조부
WO2017150850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0213860A1 (ko) 스포터
WO2015186913A1 (ko) 플라스틱 마이크로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59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473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425281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918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159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