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0850A1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0850A1
WO2017150850A1 PCT/KR2017/002071 KR2017002071W WO2017150850A1 WO 2017150850 A1 WO2017150850 A1 WO 2017150850A1 KR 2017002071 W KR2017002071 W KR 2017002071W WO 2017150850 A1 WO2017150850 A1 WO 20171508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edle holder
support
button
stat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0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종욱
김승하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EP17760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09309B1/en
Priority to CN201780014055.XA priority patent/CN108697854B/zh
Priority to US16/080,652 priority patent/US10786622B2/en
Priority to CN202110402346.4A priority patent/CN113082364B/zh
Priority to JP2018564715A priority patent/JP6768085B2/ja
Publication of WO20171508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0850A1/ko
Priority to US17/003,108 priority patent/US11752259B2/en
Priority to US18/231,161 priority patent/US202304052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 Drug injection devices such as insulin injection devices, are used to inject drugs into the patient's body, which are often used by specialist medical staff such as doctors and nurses, but in most cases by patients or carers .
  • specialist medical staff such as doctors and nurses
  • the medicine injected through such a medicine injection device often requires a patient to take it for a long time, the patient suffers from inserting the needle of the medicine injection device several times.
  • Such a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has a needle from which the chemical liquid is discharged, and the needle has to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In this process, the patient inevitably suffers from the needle insertion. In addition, the pain of the needle insertion can cause the patient to be afraid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and consequently cause a rejection of the drug injection devic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ing,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 needle holder located in the casing and coupled with a needle, and located in the casing, between the button and the needle hol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including a spr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guiding member positioned in the casing and supporting the needle holder.
  • the first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needle and connected to the guiding groove, the support groove and the guiding groove, and provides resistance to rotation of the needle holder. It may include a support stopper.
  • the guid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in the first state.
  •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 2-1 support portion located downstream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needle holder and a 2-2 support portion locat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needle holder, wherein the 2-1 support An additional par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utton than the second support part.
  • the butt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needle hold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guiding member, and provided to intervene sliding of the button.
  • the butt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needle holder, and the needle holder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asing including a base, a button exposed out of the casing, a needle holder located in the casing, a spring located in the casing, and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needle holder,
  • the needle holder In the first state, the needle holder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of the casing, and the needle holder is de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ile being deform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needle holder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provided to drive toward the base.
  • the needle hold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pported by the guiding member in a first state an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needle holder is rotated from the first state. It may include a guiding groove provided to pass through.
  • the guid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in the first state.
  • the needle mounted on the needle holder can be instantaneously inserted into the patient.
  • the pain suffered by the patient can be minimized and the fear of the patient caused by the needle can be reduced.
  • the patient who needs to receive the medicine for a long time can reduce the rejection of the medicine injection device, and contribute to the treatment and / or health of the patient by allowing the medicine to be smoothly added to the pati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side view of the needle holder shown in FIG. 5.
  • FIG. 6 is a side view of the needle holder shown in FIG. 5.
  •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asing shown in FIG. 8.
  •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asing shown in FIG. 8.
  • FIG.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 casing shown in FIG. 8.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edle cov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a part such as a film, a region, a component, or the like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is it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g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so that the button 120 is exposed on one surface, and the needle cover assembly 190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 the button 120 is provided to be pressed and / or rotatable by the user and is exposed to the user.
  • the needle cover assembly 190 is provided to protect the needle, and may be separated when the user uses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100.
  • the drug inj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 the chemical injection device may include a casing, which may include a first casing 110 and a second casing 150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casing 110 becomes a part exposed to the user even after the user wears the medicine injection device on the body, and an opening 111 is formed in a part of the first casing 110.
  • the button 120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111, and the button 120 may be exposed to the user.
  • the button 120, the spring 130, the needle holder 140, the pump 160, and the chemical storage unit 170 may be located.
  • the chemical liquid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 reservoir for storing the chemical liquid and a piston for discharging the chemical liqu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nly the storage tank.
  • the drug solution may be a liquid containing a drug such as, for example, insulin.
  • the chemical storage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160 through a liquid connecting member such as a tube.
  • the pump 160 is configured to pump the chemical liquid in the direction of the needle holder 140, and may pump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hemical liquid according to the pumping cycle.
  • the pump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ource and a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ly, the pump 160 sucks the chemical liquid from the chemical storage unit 170 and discharges the liquid to the needle holder 140.
  • the pump 160 may be connected to the needle holder 140 via a tube TU and a connector CN.
  • the tube TU connected to the pump 1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CN,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needle N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needle holder 140. Therefore, the chemical liquid discharged from the pump 160 is discharged through the needle ND via the tube TU and the connector CN. To this end, the needle holder 140 is coupled to the needle ND.
  • the needle holder 1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utton 120, and a spring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needle holder 140 and the button 120.
  • the button 120, the spring 130, and the needle holder 140 may be aligned along the axis AX.
  • the axis AX may be parallel to the Z axis of the drawing.
  • the chemical storage unit 170 and the pump 160 are shown to be in a schematic stat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s and / or arrangements shown in the drawings.
  • 3 and 4 are perspective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of the button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button 1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R1 about the axis AX.
  • the rotary groove 122 is formed on the surface 121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button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button 120.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button 120 by inserting a fingernail or a coin into the rotary groove 122.
  • the button 120 may have a cylindrical side surface 123, and a ring member OR is inser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side surface 123.
  • the ring member OR may have an O-ring, which may prevent the leakage of the chemical liquid between the button 120 and the opening 111 of the first casing 110.
  • the ring member OR may provide a predetermined resistance to this pressing when the button 120 is pressed by the user, and / or may function to prevent the button 120 from easily popping out after being pressed. .
  • a fastening opening 127 may be formed at the side surface 123. At least one pair of the fastening openings 127 may be provided at symmetrical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123.
  • the fastening opening 127 may be position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123, and thus a fastening table 123a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fastening opening 127.
  • the fastening opening 127 is fastened to a stopp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fastener 123a is caught by the stopper to prevent the button 120 from being separated.
  • the fastening opening 127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X-Y plan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surface 123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R1 while the button 120 is fastened to the stopper.
  • a second groove 128b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ide surface 123, and when the button 120 is coupled to the needle holder 140, the connector CN passes through the second groove 128b. 123 may be penetrated.
  • a first coupling part 125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button 120, for example, a surface opposite to the needle holder 140.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5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needle hold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needle holder 140 and the first-first coupling projection spaced to face each other It may have a 125a and the first-second coupling protrusion 125b, and a gap 125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first coupling protrusion 125a and the first-second coupling protrusion 125b.
  • the first coupling part 125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as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0, and the user pushes the button 120.
  • 5 to 7 are perspective, side and bottom views, respectively, of the needle holder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needle holder 140 has a body 141 having a substantially disc shape to facilitate rotatio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R1.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CN connected to the pump 16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41.
  • the needle ND is coupled to the body 14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utton 120, and the needle 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CN and eventually communicates with the tube TU. As shown in FIG. 7, the needle ND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49 of the body 141.
  • a support 145 may be erected in the Z-axis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or CN of the body 141.
  • the support 145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body 141, and prevents the needle holder 140 from being slid to one side by the tension of the tube TU, and the needle holder 140. It may serv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K) of the needle (ND).
  • the second coupling part 142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25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42a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button 12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may have a -2 engaging projection (142b).
  • the 2-1 coupling protrusion 142a and the 2-2 coupling protrusion 142b are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5 as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0, and the user rotates the button 120.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utton 120 can be transmitted to the needle holder 140 may be any shape.
  • the first coupling part 125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first coupling between the 2-1 coupling protrusion 142a and the 2-2 coupling protrusion 142b is performed.
  • the gap 125c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 125a and the 1-2th coupling protrusion 125b. 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part 125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2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spring 130 shown in Figure 2 is fixed between the button 120 and the needle holder 14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5 is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2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 the spring 130 may be coupled between the button 120 and the needle holder 140 in a compressed state to some ex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may not press the button 120.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120 and the needle holder 140 in a normal state, not a compressed state.
  • the guiding groove 144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146. As shown in FIGS. 5 to 7, the guiding groove 144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support 146. It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R1). The guiding groove 144 may be formed in a shape cut into the body 141 to a predetermined width, the body 141 in the needle (ND) insertion direction (K), for example, Z-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t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 the guiding groove 144 is provided to allow the guiding member 155 to be described later to pass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needle holder 140 is rotated. That is, in the second state, the guiding member 155 is fitted into the guiding groove 144, and at this time, the needle holder 140 is moved along the needle ND insertion direction K by the spring 130. Can be slid.
  • the first support 146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upport groove 146a formed in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Z-axis direction on a surface of the body 141 facing the insertion direction K.
  • the support groove 146a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ing groove 144.
  • a support stopper 146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groove 146a and the guiding groove 144.
  • the support stopper 146b may be provided in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groove 146a is formed.
  • the support groove 146a is supported by a guiding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first state, and the support stopper 146b is formed when the needle holder 140 is conver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at is, a needle holder (
  • a certain degree of resistance may be provided to the rotation. 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button with a force greater than this resistance force, the needle holder 140 is rota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R1).
  • FIG. 8 and 9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respectively, of the second casing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econd casing 150.
  • the second casing 150 coupled with the first casing 110 may include a base 151.
  • the base 151 may be part of the second casing 150,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casing 150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casing 150.
  • a needle through hole 153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base 151 to allow the needle to pass therethrough.
  • a portion of the guide wall 152 may be formed with a cutout groove 152h cut from the base 151 to the opposite end thereof.
  • the connector CN of the needle holder 140 may pass through the cutting groove 152h.
  • a second support 154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in the above-described first state is formed.
  • the second support 154 may include a 2-1 support portion 154a and a 2-2 support portion 154b.
  • the 2-1 support portion 154a and the 2-2 support portion 154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2-1 support portion 154a is located downstrea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needle holder.
  • the second-2 support part 154b may be locat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needle holder.
  • the needle holder 140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needle holder 140 is not rotated, the needle holder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151 of the second casing 150. . In this state, the needle is before insertion into the patient's body.
  • the first support 146 of the needle holder 140 may be in contact with and support the second support 154 of the guiding member 155.
  • the first support 146 and the second support 154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grooves 146a and the second-first support part 154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upport stopper 146b and the 2-2nd support part 154b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in the first state, the needle holder 140 may be stably supported at the end of the guiding member 155.
  • the guiding groove 144 and the guiding member 155 have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in the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 the first width W1 may exceed the second width W2 so that the guiding member 155 may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guiding groove 144.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needle holder to be driven toward the base by instantaneously dissipating the compressed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needle coupled to the needle holder can be instantaneously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patient.
  • Needle cover assembly 190 may include a cover plate 191, the cover plate 191 may be provided as a flat plate, one end of the handle (191a) to the user to handle the handle (191a) Needle cover assembly 190 can be used to separate the casing.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rug injection devices used to inject a drug solution into a patient's body, such as an insulin injection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니들 홀더가 일시에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환자에게 순간 삽입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 주입 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이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해 주입되는 약액은 환자가 장기간 복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는 약액 주입 장치의 니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삽입되는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이 토출되는 니들을 갖고 이 니들이 환자의 몸에 삽입되어야 하는 데, 이 과정에서 환자는 니들의 삽입으로 인한 고통을 필연적으로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니들 삽입에 대한 고통은 환자가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해 공포감을 갖게 하며, 결과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니들 삽입에 대한 고통 및 공포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된 니들 홀더와,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를 지지하는 가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와, 상기 제1 서포트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는, 상기 니들의 삽입 방향을 향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딩 홈과 연결되는 서포트 홈과, 상기 서포트 홈과 상기 가이딩 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서포트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포트는,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에 위치한 제2-1 서포트부 및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한 제2-2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서포트부가 상기 제2-2 서포트부보다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니들 홀더를 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딩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니들 홀더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한 니들 홀더와,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케이싱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로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베이스를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를 가이딩하도록 구비된 가이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에 인접하고 상기 가이딩 부재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니들 홀더가 일시에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환자에게 순간 삽입될 수 있다.
니들의 순간 삽입으로 인해, 환자가 받는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니들에 의한 환자의 공포감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약액을 제공받아야 하는 환자가 약액 주입 장치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환자에게 약액이 원활히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및/또는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액 주입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니들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니들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싱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니들 홀더 및 가이딩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는, 일 면에 버튼(120)이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타 면으로는 니들 커버 조립체(1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120)은 사용자가 가압 및/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있다. 상기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니들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100)를 사용할 때에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케이싱은 서로 결합되는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110)은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를 몸에 장착한 후에도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 되며, 일부에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111)를 통해 버튼(120)이 통과되고, 버튼(120)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는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50)의 사이, 즉, 케이싱의 내부에는, 버튼(120), 스프링(130), 니들 홀더(140), 펌프(160) 및 약액 저장부(170)가 위치할 수 있다.
약액 저장부(17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약액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저장조만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약액은 예컨대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약액 저장부(170)는 펌프(160)에 튜브와 같은 액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160)는 약액을 니들 홀더(140)의 방향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펌핑 주기에 따라 일정한 양의 약액을 펌핑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160)는 도시되지 아니한 별도의 전원 및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약액 저장부(170)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니들 홀더(140)로 토출한다.
상기 펌프(16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상기 펌프(160)는 튜브(TU) 및 커넥터(CN)를 거쳐 니들 홀더(140)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160)에 연결된 튜브(TU)는 커넥터(CN)에 연결되고, 이는 니들 홀더(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니들(ND)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60)로부터 토출된 약액은 튜브(TU) 및 커넥터(CN)를 거쳐 니들(ND)을 통해 토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니들 홀더(140)는 니들(ND)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니들 홀더(140)는 버튼(1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니들 홀더(140)와 버튼(120)의 사이에는 스프링(130)이 개재될 수 있다. 버튼(120), 스프링(130) 및 니들 홀더(140)는 축(AX)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축(AX)은 도면의 Z축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액 저장부(170) 및 펌프(160)는 개략적인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나타낸 것으로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상 및/또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120)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버튼(120)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축(AX)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버튼(120)의 Z축 방향의 표면(121)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120)을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회전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회전 홈(122)에 손톱 또는 동전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버튼(120)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0)은 원통형 측면(123)을 구비할 수 있는 데, 이 측면(123) 상단부근에는 링 부재(OR)가 삽입되어 있다. 이 링 부재(OR)는 오링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버튼(120)과 제1 케이싱(110)의 개구(111) 사이로 약액이 누수될 염려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링 부재(OR)는 버튼(120)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때에 이 가압에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버튼(120)이 눌러진 후에 쉽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체결 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측면(123)의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측면(123)의 Z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체결 개구(127)에 가장자리는 체결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개구(127)는 후술하는 스토퍼에 체결되고, 이 때 체결대(123a)가 스토퍼에 걸리게 됨으로써 버튼(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개구(127)는 버튼(120)이 스토퍼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123)의 외주면을 따라 X-Y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의 체결 개구(127)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 홈(12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홈(128a)은 체결 개구(127)가 스토퍼에 체결될 때에 소정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체결 개구(127)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123)에는 제2 홈(128b)이 더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버튼(120)이 니들 홀더(140)와 결합했을 때에 커넥터(CN)가 제2 홈(128b)을 통해 측면(123)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버튼(120)의 내측, 예컨대 니들 홀더(140)에 대향된 면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25)는 후술하는 니들 홀더(140)의 제2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니들 홀더(14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된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를 갖고, 상기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의 사이에 간극(125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합부(125)는 후술하는 제2 결합부와 반드시 고정적으로 체결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에 따라 제2 결합부와 맞물리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할 때에 버튼(120)의 회전력을 니들 홀더(14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140)의 사시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홀더(140)는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대략 원판 형태의 몸체(141)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60)와 연결된 커넥터(CN)는 상기 몸체(14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41)에는 버튼(120)과 반대측 방향을 향해 니들(ND)이 결합되어 있는 데, 이 니들(ND)은 커넥터(CN)와 연결되고, 결국 튜브(TU)와 연통된다. 상기 니들(ND)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141)의 바닥면(149) 정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141)의 커넥터(CN)와 결합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지지대(145)가 Z축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5)는 몸체(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튜브(TU)의 장력에 의해 니들 홀더(140)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니들 홀더(140)가 니들(ND)의 삽입 방향(K)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의 버튼(120)을 향한 면에는 제2 결합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142)는 전술한 제1 결합부(125)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버튼(12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는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에 따라 제1 결합부(125)와 맞물리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할 때에 버튼(120)의 회전력이 니들 홀더(14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제1 결합부(125)와 제2 결합부(142)가 서로 결합할 때에 상기 제2-1 결합 돌기(142a) 및 제2-2 결합 돌기(142b)의 사이로 상기 제1-1 결합 돌기(125a)와 제1-2 결합 돌기(125b)의 사이에 간극(125c)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25)와 제2 결합부(142)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스프링(130)은 일단으로 제1 결합부(125)가 삽입되고 타단으로 제2 결합부(142)가 삽입되어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30)은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의 사이에 압축 상태가 아닌 정상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니들 홀더(140)는 제1 서포트(146) 및 가이딩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146)는 니들 홀더(140)가 회전하기 전인 제1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155, 도 8 참조)에 지지되어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140)는 베이스(151)로부터 Z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 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제1 서포트(146)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는 데,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제1 서포트(146)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R1)에 반대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상기 몸체(141)에 소정의 너비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몸체(141)를 니들(ND) 삽입 방향(K), 예컨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은 니들 홀더(140)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155)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끼워지게 되고, 이 때 스프링(130)에 의해 니들 홀더(140)는 니들(ND) 삽입 방향(K)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서포트(146)는 몸체(141)의 상기 삽입 방향(K)을 향한 면에 Z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 서포트 홈(146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서포트 홈(146a)는 상기 가이딩 홈(144)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서포트 홈(146a)과 가이딩 홈(144)의 사이에는 서포트 스토퍼(146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스토퍼(146b)는 서포트 홈(146a)이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146a)에는 제1 상태에서 후술하는 가이딩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서포트 스토퍼(146b)는 상기 니들 홀더(14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될 때, 즉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에 이 회전에 소정 정도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저항력 이상의 힘으로 버튼을 회전시키면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싱(150)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은 제2 케이싱(150)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제1 케이싱(110)과 결합되는 제2 케이싱(150)은 베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는 제2 케이싱(150)의 일부일 수 있는 데, 제2 케이싱(150)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제2 케이싱(150)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51)의 대략 중앙부에는 니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니들 관통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니들 관통공(153)의 주위로는 대략 원통 형상의 가이드 월(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152)은 베이스(151)로부터 제1 케이싱을 향해 Z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월(152)의 평면 외경은 버튼(120)의 측면(123) 내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120)이 눌려졌을 때에 버튼(120)의 측면(123)이 가이드 월(152)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결국 버튼(120)이 가이드 월(152)을 따라 니들 홀더(140)를 향한 방향, 즉, 니들 삽입 방향(K)을 따라 직선 형태의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152)의 일부에는 도 8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151)로부터 그 반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절개홈(152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52h)을 통해 니들 홀더(140)의 커넥터(CN)가 통과될 수 있다.
가이드 월(152)의 내측면에는 가이딩 부재(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부재(155)는 니들 삽입 방향(K), 예컨대 도 8의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레일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 부재(155)는 전술한 제2 상태에서 가이딩 홈(144)에 삽입되고, 니들 홀더(140)는 가이딩 부재(155)를 따라 삽입 방향(K)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딩 부재(155)의 일단, 즉, 가이딩 부재(155)의 제1 케이싱(110)을 향한 단부에는 전술한 제1 상태에서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포트(154)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제2-1 서포트부(154a) 및 제2-2 서포트부(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 및 제2-2 서포트부(154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데,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는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서포트부(154b)는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1 서포트부(154a)가 상기 제2-2 서포트부(154b)보다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 말미암아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에 이 회전에 소정 정도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저항력 이상의 힘으로 버튼을 회전시키면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 월(152)의 외측면에는 스토퍼(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7)는 가이드 월(152)의 외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될 수 있는 데,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월(152)의 외주면을 따라 X-Y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7)는 상기 버튼(120)의 Z축 방향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Z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된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버튼(120)의 체결 개구(127)에 삽입되며, 체결대(123a)가 제1 스토퍼(157a) 및 제2 스토퍼(157b)에 걸려 있게 되어 버튼(120)이 삽입 방향(K)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57a)는 버튼(120)이 가압되기 전 상태에서 체결 개구(127)에 체결되고, 제2 스토퍼(157b)는 버튼(120)이 가압된 상태에서 체결 개구(127)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 약액 주입 장치(100)를 사용할 부위에 제2 케이싱(150)의 외면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20)을 가압함으로써 버튼(120)과 니들 홀더(140)가 서로 결합하고,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130)의 탄성에 의해 니들 홀더(140)가 니들(ND) 삽입 방향(K)으로 슬라이딩되어 니들(ND)의 순간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버튼(120)의 가압에 따라 스프링(130)은 충분히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스프링(130)의 탄성을 이용한 니들(ND)의 순간 삽입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니들(ND)의 순간 삽입으로 말미암아 환자의 통증과 공포감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도 11a에서 볼 수 있듯이, 니들 홀더(140)가 회전하지 않은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는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니들은 환자의 몸에 삽입되기 전이 된다. 이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의 제1 서포트(146)는 가이딩 부재(155)의 제2 서포트(154)와 맞닿아 서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포트(146)와 제2 서포트(154)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고, 이에 따라 서포트 홈(146a)과 제2-1 서포트부(154a)가 서로 접하고, 서포트 스토퍼(146b)와 제2-2 서포트부(154b)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상태에서 니들 홀더(140)는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딩 부재(155)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함으로써 니들 홀더(140)가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서포트 스토퍼(146b)와 제2-1 서포트부(154a)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대 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니들 홀더(140)에 줄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 저항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버튼(120)을 돌림으로써 니들 홀더(140)에 상기 저항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가해지면 서포트 스토퍼(146b)가 제2-1 서포트부(154a)를 넘어 지나가게 되고, 가이딩 홈(144)으로 가이딩 부재(155)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 홈(144)과 가이딩 부재(155)는 각각 X축 방향으로 제1 너비(W1)및 제2 너비(W2)를 갖는다.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너비(W1)는 제2 너비(W2)를 초과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버튼(120)을 회전함으로써 니들 홀더(140)가 완전히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가 되면 도 11b에서 볼 수 있듯이, 니들 홀더(140)는, 가이딩 홈(144)에 가이딩 부재(155)가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딩 부재(155)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를 향해 니들 홀더(140)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나들(ND)은 환자의 몸에 삽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스프링의 압축된 힘을 순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니들 홀더가 베이스를 향해 구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니들 홀더에 결합된 니들이 환자의 몸에 순간 삽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주고, 사용자에게 이 저항력을 넘는 회전력을 버튼에 가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니들 홀더의 제1 서포트(146)와 가이딩 부재(155)의 제2 서포트(154)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에 의한 니들 홀더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니들 홀더가 빠르기 슬라이딩 구동하고, 이에 따라 니들이 환자의 몸에 순간 삽입 가능하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니들 커버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커버 조립체(190)의 사시도이다.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커버 플레이트(191)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커버 플레이트(191)는 평판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이 손잡이(191a)가 되어 사용자가 이 손잡이(191a)를 이용해 니들 커버 조립체(190)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니들 커버 조립체(190)는 니들 커버(19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니들 커버(192)는 제2 케이싱(150)의 베이스(151)에 구비된 니들 관통공(153)에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니들 커버(192)는 밀폐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밀폐 공간으로 니들의 첨단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밀폐 공간은 공기는 통과하나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부분 또는 체적 변화가 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전, 니들 내부 및/또는 튜브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프라이밍(Priming) 작업 시 약액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슐린 주입 장치와 같이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약액 주입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니들과 결합된 니들 홀더;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를 지지하는 가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 및
    상기 제1 서포트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는,
    상기 니들의 삽입 방향을 향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딩 홈과 연결되는 서포트 홈; 및
    상기 서포트 홈과 상기 가이딩 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서포트 스토퍼;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는,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에 위치한 제2-1 서포트부 및 상기 니들 홀더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한 제2-2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서포트부가 상기 제2-2 서포트부보다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니들 홀더를 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딩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버튼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7.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버튼;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한 니들 홀더;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니들 홀더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니들 홀더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는 상기 케이싱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로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니들 홀더가 상기 베이스를 향해 구동하도록 구비된 약액 주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니들 홀더를 가이딩하도록 구비된 가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홀더는,
    제1 상태에서 상기 가이딩 부재에 지지되는 제1 서포트; 및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니들 홀더가 회전된 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에 인접하고 상기 가이딩 부재가 지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 서포트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PCT/KR2017/002071 2016-02-29 2017-02-24 약액 주입 장치 WO20171508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760254.7A EP3409309B1 (en) 2016-02-29 2017-02-24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CN201780014055.XA CN108697854B (zh) 2016-02-29 2017-02-24 药液注射装置
US16/080,652 US10786622B2 (en) 2016-02-29 2017-02-24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CN202110402346.4A CN113082364B (zh) 2016-02-29 2017-02-24 药液注射装置
JP2018564715A JP6768085B2 (ja) 2016-02-29 2017-02-24 薬液注入装置
US17/003,108 US11752259B2 (en) 2016-02-29 2020-08-26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US18/231,161 US20230405222A1 (en) 2016-02-29 2023-08-07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676A KR101754981B1 (ko) 2016-02-29 2016-02-29 약액 주입 장치
KR10-2016-0024676 2016-02-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080,652 A-371-Of-International US10786622B2 (en) 2016-02-29 2017-02-24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US17/003,108 Continuation US11752259B2 (en) 2016-02-29 2020-08-26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850A1 true WO2017150850A1 (ko) 2017-09-08

Family

ID=5935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071 WO2017150850A1 (ko) 2016-02-29 2017-02-24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786622B2 (ko)
EP (1) EP3409309B1 (ko)
JP (1) JP6768085B2 (ko)
KR (1) KR101754981B1 (ko)
CN (2) CN113082364B (ko)
WO (1) WO2017150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81B1 (ko) 2016-02-29 2017-07-06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 장치
USD956217S1 (en) * 2019-10-31 2022-06-28 Eoflow Co., Ltd. Medicine inj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78A (ko) * 2001-07-30 2004-05-10 테크파르마 리첸싱 아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투여장치
JP3993529B2 (ja) * 2002-05-16 2007-10-17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採血システム
KR20090109581A (ko) * 2007-03-09 2009-10-20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자동 주사 장치의 지연 기구
JP2013504403A (ja) * 2009-09-15 2013-02-0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自己注射器
JP2014510571A (ja) * 2011-02-09 2014-05-01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皮下注入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336A (en) * 1968-04-30 1971-03-23 Daniel R Hershberg Syringe
DE20103363U1 (de) * 2001-02-26 2001-05-17 Braun Melsungen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 Injektionsnadel
US20040122378A1 (en) * 2002-12-19 2004-06-24 Fu-Yu Hsu Safety hypodermic syringe
DE102006042236A1 (de) * 2006-09-06 2008-03-27 Tecpharma Licensing Ag Nadelschutzvorrichtung mit blockierter Schutzposition
WO2012025639A1 (en) * 2010-08-27 2012-03-01 Novo Nordisk A/S Medical injection device
US8795234B2 (en) 2010-11-30 2014-08-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spring-activated ballistic insertion for drug infusion device
ES2797528T3 (es) * 2011-02-09 2020-12-02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infusión con inserción automática y retracción de la aguja introductora
CN203494005U (zh) * 2011-02-09 2014-03-26 贝克顿·迪金森公司 单件式导管及输液系统
GB2510093A (en) * 2012-10-04 2014-07-30 Owen Mumford Ltd Pen injector with a mechanism for expelling therapeutic material by negative pressure
US9078983B2 (en) 2013-08-19 2015-07-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refilled safety pen needle
US9872633B2 (en) * 2014-09-29 2018-01-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nnula insertion detection
KR101754981B1 (ko) 2016-02-29 2017-07-06 중소기업은행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78A (ko) * 2001-07-30 2004-05-10 테크파르마 리첸싱 아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투여장치
JP3993529B2 (ja) * 2002-05-16 2007-10-17 エフ ホフマン−ラ ロッシュ アクチェン ゲゼルシャフト 採血システム
KR20090109581A (ko) * 2007-03-09 2009-10-20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자동 주사 장치의 지연 기구
JP2013504403A (ja) * 2009-09-15 2013-02-0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自己注射器
JP2014510571A (ja) * 2011-02-09 2014-05-01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皮下注入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8085B2 (ja) 2020-10-14
US11752259B2 (en) 2023-09-12
EP3409309A1 (en) 2018-12-05
KR101754981B1 (ko) 2017-07-06
EP3409309A4 (en) 2019-10-23
CN108697854A (zh) 2018-10-23
CN113082364A (zh) 2021-07-09
US10786622B2 (en) 2020-09-29
EP3409309B1 (en) 2023-12-20
JP2019509867A (ja) 2019-04-11
US20230405222A1 (en) 2023-12-21
CN113082364B (zh) 2022-12-23
US20190015586A1 (en) 2019-01-17
US20210038806A1 (en) 2021-02-11
CN108697854B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5333A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619178B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18043927A1 (ko) 전기 삼투 펌프
WO2017150845A1 (ko) 커버체 및 이를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WO2018048100A1 (ko) 약액 주입장치
WO2017150850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18174454A1 (ko) 멀티 니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WO2013180422A1 (ko)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WO2013100233A1 (ko) 카테타 시술용 가이드 와이어 삽입기
WO2018074789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16190526A1 (ko)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WO2021015444A1 (ko)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WO2013165094A1 (ko) 개선된 구조의 의료용 액체 공급장치
JP2015156902A (ja) 薬液注入装置
WO2021075630A1 (ko) 액체 디스펜서
WO2023132507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2231096A1 (ko) 약물 주입기용 어댑터
WO2020226430A2 (ko) 약물 혼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약물 혼합 키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3120795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1066566A2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3132493A1 (ko) 레저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WO2021132968A2 (ko) 길이 단축형 휴대용 자동주사 장치
WO2021086048A2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JP2002369886A (ja) 側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471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0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0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829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602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