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117B1 -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117B1
KR102436117B1 KR1020150127111A KR20150127111A KR102436117B1 KR 102436117 B1 KR102436117 B1 KR 102436117B1 KR 1020150127111 A KR1020150127111 A KR 1020150127111A KR 20150127111 A KR20150127111 A KR 20150127111A KR 102436117 B1 KR102436117 B1 KR 10243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opening
closing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135A (ko
Inventor
권태성
주원일
윤성한
문형민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1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탱크는 제1유출입구가 형성된 외부탱크; 및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입구에 구비되는 제1개폐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기간 사용 후 교체가능한 내부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PURIFIE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탱크와 외부탱크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탱크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 즉 정수를 저장하는 것이다.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콕크 등의 물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종래의 정수탱크는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된다고 하더라도,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유입이나 물때가 끼는 것 등에 의해서 정수탱크가 오염되어서, 정수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되었다.
이와 같이 정수탱크의 위생성이 저하되면, 사용자에게 깨끗하지 못한 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정수탱크는 수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서, 휴대하는 것도 어려웠었다. 따라서, 수처리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용처에서 정수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수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탱크가 외부탱크와 외부탱크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탱크를 포함하고 내부탱크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수탱크를 수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탱크는 제1유출입구가 형성된 외부탱크; 및 외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유출입구에 구비되는 제1개폐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기간 사용 후 교체가능한 내부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탱크에는 제1개폐연결부를 통해 정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탱크에는 제2개폐연결부가 구비되는 제2유출입구가 더 형성되며, 외부탱크는 제2개폐연결부를 통해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거친 일부 처리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탱크에 정수가 유입되면서 외부탱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출되고, 외부탱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입되면서 내부탱크로부터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며 정수가 유동하는 제1연결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개폐연결부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며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동하는 제2연결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개폐연결부가 제1,2연결관에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제1,2개폐연결부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제1유출입구에 구비되며 제1연결유로가 형성된 제1개폐연결바디; 제1연결유로를 개폐하도록 제1개폐연결바디에 구비되는 제1개폐부재; 및 제1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제1개폐연결바디에 연결되는 제1피팅부재; 및 제1피팅부재에 구비되어 내부탱크에 구비되는 탱크유출입관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콜릿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연결부는 제2유출입구에 구비되며 제2연결유로가 형성된 제2개폐연결바디; 제2연결유로를 개폐하도록 제2개폐연결바디에 구비되는 제2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에는 탱크유출입관이 콜릿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일측에 콜릿부재가 끼워져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분리보조부재와, 분리보조부재의 타측이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탱크는 정수의 유출입에 따라 신축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가 저장되도록 내부탱크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부피는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외부탱크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부피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는 탱크본체와, 탱크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탱크본체에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나,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상기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거친 일부 처리수가 유출입되도록 여과부에 연결되는 전술한 정수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탱크가 외부탱크와 외부탱크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탱크를 포함하고 내부탱크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가 저장되는 내부탱크를 소정 기간 사용하면 새로운 내부탱크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장치에 정수탱크를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탱크에 정수가 저장된 정수탱크를 수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하고 사용처에서 정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외부탱크에 포함되는 탱크본체와 덮개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외부탱크의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내부탱크를 외부탱크의 덮개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과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수탱크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외부탱크에 포함되는 탱크본체와 덮개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외부탱크의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내부탱크를 외부탱크의 덮개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가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일실시예는 외부탱크(200)와 내부탱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탱크(200)에는 제1유출입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탱크(200)의 제1유출입구(221)에는 제1개폐연결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부(400)에는 내부탱크(30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부(400)를 통해 내부탱크(300)에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가 내부탱크(300)에 저장되거나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개폐연결부(400)에는 수처리장치(10)에 구비되며 정수가 유동하는 제1연결관(L1)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관(L1)과 제1개폐연결부(400)를 통해,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정수가 내부탱크(300)에 유입되거나,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탱크(300)에 정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연결부(400)에 물배출관(LWT)을 연결하면,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제1개폐연결부(400)와 물배출관(LWT)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탱크(200)에는 제2유출입구(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외부탱크(200)의 제2유출입구(222)에는 제2개폐연결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부(500)를 통해 외부탱크(200)에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외부탱크(200)에 저장된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외부탱크(2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개폐연결부(500)에는 수처리장치(10)에 구비되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하는 제2연결관(L2)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연결부(500)와 제2연결관(L2)을 통해, 외부탱크(200)에 저장된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수처리장치(10)에 유입된 원수 또는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외부탱크(200)에 유입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탱크(300)에 정수가 유입되면서 외부탱크(20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탱크(20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내부탱크(300)로부터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2개폐연결부(400,500)가 상기 제1,2연결관(L1,L2)에 각각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제1,2개폐연결부(400,500)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2개폐연결부(400,500)가 제1,2연결관(L1,L2)에 각각 연결되도록 정수탱크(100)가 수처리장치(10)에 설치되면, 제1,2개폐연결부(400,500)가 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탱크(100)를 수처리장치(10)에 설치하기만 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정수탱크(100)와 수처리장치(10) 사이에 정수와,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100)를 수처리장치(10)로부터 분리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정수탱크(100)와 수처리장치(10) 사이에 정수와,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탱크(100)를 수처리장치(10)에 설치하여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한 후, 정수탱크(100)를 수처리장치(10)로부터 분리하여,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에 정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정수탱크(100)만을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탱크(100)를 사용처로 가지고 가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폐연결부(400)에 물배출관(LWT)을 연결하여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개폐연결부(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연결바디(410), 제1개폐부재(420) 및, 제1탄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연결바디(410)는 외부탱크(200)의 제1유출입구(2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한 부분은 제1유출입구(221)의 일측에서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1유출입구(221)의 타측에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부탱크(200)의 제1유출입구(221)에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에는 제1연결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제1연결유로(411)를 정수가 유동하여 내부탱크(300)에 정수가 유입되거나 내부탱크(300)로부터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일측에는 제1피팅부재(44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10)의 제1연결관(L1)이 제1피팅부재(440)를 통과하여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제1연결유로(411)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일측과 제1피팅부재(440) 사이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가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일측과 제1피팅부재(440) 사이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개폐부재(420)는 제1연결유로(411)를 개폐하도록 제1개폐연결바디(4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유로(411)에는 제1개폐구멍(4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재(420)는 제1연결유로(411)의 제1개폐구멍(411a)을 개폐하도록 제1연결유로(41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부재(420)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개폐부재(420)에 의해서 제1연결유로(411)의 제1개폐구멍(411a)이 닫혔을 때, 제1개폐부재(420)와 제1개폐구멍(411a) 사이로 정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30)는 제1개폐부재(4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개폐부재(4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코일스프링 등 주지의 어떠한 탄성부재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10)의 제1연결관(L1)이 제1피팅부재(440)를 통과하여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제1연결유로(411)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제1개폐부재(420)가 제1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하여 제1연결유로(411)의 제1개폐구멍(411a)이 열릴 수 있다.
또한, 수처리장치(10)의 제1연결관(L1)이 제1피팅부재(440)로부터 분리되면, 제1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420)가 이동하여 제1연결유로(411)의 제1개폐구멍(411a)을 닫을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타측에도 제1피팅부재(4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타측과 제1피팅부재(440) 사이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가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타측과 제1피팅부재(440) 사이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타측에 연결된 제1피팅부재(440)에는 콜릿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콜릿부재(45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탱크(300)에 구비되는 탱크유출입관(310)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탱크(300)의 탱크유출입관(310)은 콜릿부재(450)와 제1피팅부재(440)를 통과하여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제1연결유로(411)의 타측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탱크(300)의 탱크유출입관(310)이 콜릿부재(450)와 제1피팅부재(440)를 통해 제1개폐연결바디(410)의 제1연결유로(411)의 타측에 연결되면, 탱크유출입관(310)이 콜릿부재(450)에 의해서 제1연결유로(4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탱크유출입관(310)이 제1연결유로(41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탱크유출입관(310)에 외력이 작용하면, 콜릿부재(450)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탱크유출입관(310)을 더 조이게 된다. 이에 따라, 탱크유출입관(310)이 제1연결유로(4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내부탱크(300)와 제1연결유로(411)의 분리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를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탱크(200)에는 분리보조부재(230)와, 걸림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리보조부재(230)의 일측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유출입관(310)이 콜릿부재(450)로부터 분리될 때, 콜릿부재(450)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탱크유출입관(310)이 콜릿부재(450)로부터 분리될 때, 탱크유출입관(310)에 제1연결유로(41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콜릿부재(450)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콜릿부재(450)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콜릿부재(450)가 탱크유출입관(310)을 조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유출입관(310)을 용이하게 콜릿부재(450)로부터 분리하여 탱크유출입관(310)을 제1연결유로(4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보조부재(230)의 일측에는 콜릿부재(450)가 끼워지는 끼움구멍(23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240)에는 분리보조부재(230)의 타측이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걸림부재(2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상일 수 있고, 분리보조부재(230)의 타측에는 걸림부재(240)가 걸리는 걸림구멍(2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보조부재(230)의 타측이 용이하게 걸림부재(240)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분리보조부재(230)의 끼움구멍(231)에 콜릿부재(450)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부(5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연결바디(510), 제2개폐부재(520) 및, 제2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연결바디(510)는 외부탱크(200)의 제2유출입구(222)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바디(5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한 부분은 제2유출입구(222)의 일측에서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제2유출입구(222)의 타측에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부탱크(200)의 제2유출입구(222)에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개폐연결바디(510)에는 제2연결유로(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제2연결유로(511)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하여 외부탱크(20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거나 외부탱크(20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일측에는 제2피팅부재(54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10)의 제2연결관(L2)이 제2피팅부재(540)를 통과하여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제2연결유로(511)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일측과 제2피팅부재(540) 사이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일측과 제2피팅부재(540) 사이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개폐부재(520)는 제2연결유로(511)를 개폐하도록 제2개폐연결바디(5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연결유로(511)에는 제2개폐구멍(5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재(520)는 제2연결유로(511)의 제2개폐구멍(511a)을 개폐하도록 제2연결유로(51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개폐부재(520)에는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개폐부재(520)에 의해서 제2연결유로(511)의 제2개폐구멍(511a)이 닫혔을 때, 제2개폐부재(520)와 제2개폐구멍(511a) 사이로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30)는 제2개폐부재(5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5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개폐부재(5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코일스프링 등 주지의 어떠한 탄성부재라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10)의 제2연결관(L2)이 제2피팅부재(540)를 통과하여 제2개폐연결바디(510)의 제2연결유로(511)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제2개폐부재(520)가 제2탄성부재(5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하여 제2연결유로(511)의 제2개폐구멍(511a)이 열릴 수 있다.
또한, 수처리장치(10)의 제2연결관(L2)이 제2피팅부재(540)로부터 분리되면, 제2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520)가 이동하여 제2연결유로(511)의 제2개폐구멍(511a)을 닫을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탱크(200)는 탱크본체(210)와, 탱크본체(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탱크본체(210)에 연결되는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210)에는 걸림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220)에는 락킹부재(250)가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락킹부재(250)에는 탱크본체(210)의 걸림턱(211)에 걸리는 걸림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220)의 락킹부재(250)가 탱크본체(210)의 걸림턱(211)에 걸리도록 하여, 덮개(220)가 탱크본체(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탱크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탱크본체(210)와 덮개(220) 사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탱크(200)에 저장되는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탱크본체(210)와 덮개(220) 사이를 통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덮개(220)에는 전술한 제1,2유출입구(221,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2유출입구(221,222)는 탱크본체(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유출입구(221)는 덮개(220) 또는 탱크본체(210)에 형성되고 제2유출입구(222)는 탱크본체(210) 또는 덮개(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외부탱크(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탱크(300)는 외부탱크(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탱크(300)는 외부탱크(200)의 제1유출입구(221)에 구비되는 제1개폐연결부(4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소정기간 사용한 내부탱크(300)를 새로운 내부탱크(300)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탱크(300)가 이에 저장되는 정수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내부탱크(300)의 위생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내부탱크(300)는 정수의 유출입에 따라 신축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탱크(300)를 이루는 소재는, 예컨대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탱크(300)를 한 번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1회용으로 만들 수 있어서 내부탱크(3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정수탱크(100)의 무게가 감소되어, 정수탱크(100)를 수처리장치(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휴대할 수 있다.
정수가 저장되도록 내부탱크(300)에 형성된 내부공간(S1)의 부피는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저장되도록 외부탱크(200)에 형성된 내부공간(S2)의 부피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탱크(300)의 내부공간(S1)에 정수가 꽉 찬 상태에서, 외부탱크(200)의 내부공간(S2)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조금만 유입되더라도,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도 원수 또는 생활용수의 외부탱크(200)로의 유입에 의한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원수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처리장치
이하, 도10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1과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의 일실시예는 여과부(20)와 전술한 정수탱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21,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부(20)는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들며, 여과되지 못한 물은 생활용수로 배출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전술한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 외에도,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 전에 위치하는 전처리필터(22)와, 후에 위치하는 후처리필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필터(22),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 및, 후처리필터(23)는 연결관(LC)에 의해서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원수공급관(LRW)이 연결관(LC)에 의해서 전처리필터(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원수공급관(LRW)을 통해 전처리필터(22)에 유입될 수 있다.
원수공급관(LRW)에는 감압밸브(VPR)가 구비되어, 원수가 소정의 요구되는 압력으로 감압되어 전처리필터(22)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전처리필터(22)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를 연결하는 연결관(LC)에는 제1공급밸브(VF1)가 구비될 수 있다.
도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밸브(VF1)가 열린 경우에는, 원수공급관(LRW)을 통해 여과부(20), 즉 여과부(20)의 전처리필터(22)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급밸브(VF1)가 닫힌 경우에는, 원수공급관(LRW)을 통한 여과부(20)로의 원수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후처리필터(23)는 연결관(LC)에 의해서 전술한 제1연결관(L1)과, 정수배출관(LPW)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배출관(LPW)에는 정수배출밸브(VPW)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배출밸브(VPW)가 닫힌 경우에는, 전처리필터(22)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 및 후처리필터(23)에서 차례로 여과된 정수는 제1연결관(L1)을 통해 정수탱크(100), 즉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배출밸브(VPW)가 열린 경우에는,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에 저장된 정수가 제1연결관(L1)과 정수배출관(LPW)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에는 후처리필터(23)에 연결되는 연결관(LC) 이외에도 생활용수관(LLW)이 연결될 수 있다. 생활용수관(LLW)에는 생활용수밸브(VLW)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VLW)에 의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에서 물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소정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생활용수관(LLW)은 전술한 제2연결관(L2)과, 드레인관(LD)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관(LD)에는 드레인밸브(V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연결관(LDC)이 원수공급관(LRW)과 드레인관(LD)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연결관(LDC)에는 제2공급밸브(VF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공급밸브(VF2)가 닫히고 드레인밸브(VD)가 열린 경우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 멤브레인필터(21)에서 배출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관(LLW)과 드레인관(L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탱크(100), 즉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로부터 유출된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제2연결관(L2)과 드레인관(L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밸브(VF2)가 열리고 드레인밸브(VD)가 닫힌 경우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드레인연결관(LDC)과 드레인관(LD) 및 제2연결관(L2)을 통해 정수탱크(100), 즉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 멤브레인필터(21)에서 배출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관(LLW) 및 제2연결관(L2)을 통해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21)와 후처리필터(23)를 연결하는 연결관(LC)과, 생활용수관(LLW)에는 체크밸브(VC)가 구비되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정수탱크(100)는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정수나,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도록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의 제1,2유출입구(221,222)에 구비되는 제1,2개폐연결부(400,500)는 각각 수처리장치(10)의 제1,2연결관(L1,L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탱크(100)의 내부탱크(300)는 제1개폐연결부(400)를 통해 수처리장치(10)의 제1연결관(L1)에 연결되어 정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는 제2개폐연결부(500)를 통해 수처리장치(10)의 제2연결관(L2)에 연결되어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할 수 있다.
정수탱크(10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전술한 것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정수탱크(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정수탱크(100)의 외부탱크(200)에 원수나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부탱크(200)에는 원수나 생활용수 이외에도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의 일부에서 여과된 일부 처리수가 유출입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정수탱크가 외부탱크와 외부탱크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탱크를 포함하고 내부탱크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수가 저장되는 내부탱크를 소정 기간 사용하면 새로운 내부탱크로 교체할 수 있고, 정수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고, 수처리장치에 정수탱크를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내부탱크에 정수가 저장된 정수탱크를 수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하고 사용처에서 정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여과부
21 :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 22 : 전처리필터
23 : 후처리필터 100 : 정수탱크
200 : 외부탱크 210 : 탱크본체
211 : 걸림턱 220 : 덮개
221 : 제1유출입구 222 : 제2유출입구
230 : 분리보조부재 231 : 끼움구멍
232 : 걸림구멍 240 : 걸림부재
250 : 락킹부재 251 : 걸림돌기
300 : 내부탱크 310 : 탱크유출입관
400 : 제1개폐연결부 410 : 제1개폐연결바디
411 : 제1연결유로 411a : 제1개폐구멍
420 : 제1개폐부재 430 : 제1탄성부재
440 : 제1피팅부재 450 : 콜릿부재
500 : 제2개폐연결부 510 : 제2개폐연결바디
511 : 제2연결유로 511a : 제2개폐구멍
520 : 제2개폐부재 530 : 제2탄성부재
540 : 제2피팅부재 R : 밀봉부재
L1 : 제1연결관 L2 : 제2연결관
LRW : 원수공급관 LC : 연결관
LLW : 생활용수관 LD : 드레인관
LDC : 드레인연결관 LPW : 정수배출관
LWT : 물배출관 VPR : 감압밸브
VF1 : 제1공급밸브 VF2 : 제2공급밸브
VD : 드레인밸브 VPW : 정수배출밸브
VLW : 생활용수밸브 VC : 체크밸브
S1, S2 : 내부공간

Claims (17)

  1. 제1유출입구가 형성된 외부탱크; 및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출입구에 구비되는 제1개폐연결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기간 사용 후 교체가능한 내부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수처리장치의 제1연결관에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제1개폐연결부가 열리거나 닫히며,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상기 제1유출입구에 구비되며 제1연결유로가 형성된 제1개폐연결바디;
    상기 제1개폐연결바디에 연결되는 제1피팅부재; 및
    상기 제1피팅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탱크에 구비되는 탱크유출입관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콜릿부재를 포함하는 정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에는 상기 제1개폐연결부를 통해 정수가 유출입하는 정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에는 제2개폐연결부가 구비되는 제2유출입구가 더 형성되며, 상기 외부탱크는 상기 제2개폐연결부를 통해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거친 일부 처리수가 유출입하는 정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에 정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외부탱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출되고, 상기 외부탱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내부탱크로부터 정수가 유출되는 정수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은 상기 수처리장치의 정수가 유동하며,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개폐연결부는 상기 수처리장치에 구비되며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유동하는 제2연결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정수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연결부가 상기 제2연결관에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제2개폐연결부가 열리거나 닫히는 정수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개폐연결바디에 구비되는 제1개폐부재; 및
    상기 제1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정수탱크.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연결부는
    상기 제2유출입구에 구비되며 제2연결유로가 형성된 제2개폐연결바디;
    상기 제2연결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개폐연결바디에 구비되는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제2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정수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에는 상기 탱크유출입관이 상기 콜릿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돕는 분리보조부재가 구비되는 정수탱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에는 상기 탱크유출입관이 상기 콜릿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일측에 상기 콜릿부재가 끼워져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분리보조부재와, 상기 분리보조부재의 타측이 걸리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정수탱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는 정수의 유출입에 따라 신축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정수탱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는 비닐을 포함하는 정수탱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정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내부탱크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부피는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일부 처리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외부탱크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부피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탱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탱크본체에 연결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정수탱크.
  16.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나, 원수 또는 생활용수나 상기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거친 일부 처리수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3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수탱크;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50127111A 2015-09-08 2015-09-08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43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11A KR102436117B1 (ko) 2015-09-08 2015-09-08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11A KR102436117B1 (ko) 2015-09-08 2015-09-08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35A KR20170030135A (ko) 2017-03-17
KR102436117B1 true KR102436117B1 (ko) 2022-08-26

Family

ID=5850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111A KR102436117B1 (ko) 2015-09-08 2015-09-08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117B1 (ko) * 2017-03-30 2023-10-0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844U (ko) * 1993-06-16 1995-01-03 고광선 화이트펜이 부설된 볼펜
KR101548911B1 (ko) * 2013-06-14 2015-09-01 문성수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135A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9772A1 (en) Filter assembly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RU2009137417A (ru) Узел хранения фильтрованной воды для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воды, нак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воды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варианты)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EP3219372A2 (en) Pre-filter with a detachable filter core for un-interruptible water supply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30130941A (ko) 회전식 필터 커넥터
US20140158590A1 (en)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CN107106948B (zh) 水处理设备
KR102436117B1 (ko)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CN208525950U (zh) 一种多级可调式沐浴净水器
KR20130035546A (ko) 직수식 정수기
KR20160000190A (ko) 다이아프램형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30073109A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60037713A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60109967A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CN210206102U (zh) 过滤装置和具有其的净水机
KR101306776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20170119646A (ko) 정수필터가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
KR101593810B1 (ko) 개폐가 용이한 필터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