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911B1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8911B1 KR101548911B1 KR1020130068214A KR20130068214A KR101548911B1 KR 101548911 B1 KR101548911 B1 KR 101548911B1 KR 1020130068214 A KR1020130068214 A KR 1020130068214A KR 20130068214 A KR20130068214 A KR 20130068214A KR 101548911 B1 KR101548911 B1 KR 101548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bag
- raw water
- stora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장백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저렴하며 위생적인 정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는, 원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장착되며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면서 제1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백,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저장부로 수용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저장백이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는, 원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장착되며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면서 제1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백,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저장부로 수용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저장백이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장치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통해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정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장치를 통해 정화된 정수는 정수장치를 구성하는 저장통의 내부공간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통은 압축공기가 미리 충진되어 있는 압력통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파우셋과 연결된다.
그리고, 파우셋에 구비되는 밸브를 열면 상기 압력통의 압축공기가 저장통을 가압하게 되어 저장통 내부의 정수가 파우셋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저장통의 내부는 정수에 의해 물때가 쌓이게 되어 위생성을 위해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통의 내부에 압축 공기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통을 교체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이 다수인이 사용하는 공공건물 및 대형음식점 등 위생성을 요하는 장소에서 정수장치를 소홀히 관리하여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압축공기는 기체이기 때문에 압력통의 내부에 완벽하게 밀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저장백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저렴하며 위생적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는, 원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장착되며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면서 제1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백,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저장부로 수용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저장백이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백의 일측에는 저장백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덮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 출입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저장백은 내부에 저장되는 정수의 양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상기 저장백의 내부에 정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원수가 팽창되는 저장백에 밀려 필터부를 거쳐 저장백의 내부공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백과 저장부의 사이에 원수가 고립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원수 고립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수 고립 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저장백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과 간격유지부에는 원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이동 안내홀과 간격유지부의 이동 안내홀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는,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가 저장백을 항상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파우셋의 밸브만 열면 원수의 수압을 통해 저장백의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저장백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비닐 재질로 형성하고, 이러한 저장백을 덮개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저장백의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서 원수를 제거하기만 하면 새로운 저장백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정수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수반된다.
그리고, 저장백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생적인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부와 저장백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에 적용된 저장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1)는, 원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저장부(10)와, 상기 저장부(10)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100a)에 장착되며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20)와,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면서 제1연결관(100a)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20)를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백(30)과, 상기 제1연결관(100a)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와 원수 공급부(60)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10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 공급부는 통상의 수도전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0)는 싱크대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부(10)는 반드시 싱크대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대형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냉온수기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1)가 싱크대(5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원수 공급부가 수도전으로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싱크대(50)의 상면에는 파우셋(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파우셋(11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필터부(20)는 수도전(6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속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나 녹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세디멘트 필터(21)와, 상기 세디멘트 필터(21)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 등과 같은 유기화학 물질을 흡착하는 프리 카본 필터(22)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22)를 통과한 원수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23)와,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에서 미처리된 각종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포스트 카본 필터(24)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도전(60)과 저장부(10)와 세디멘트 필터(21)와 프리 카본 필터(22)와 멤브레인 필터(23)와 포스트 카본필터(24) 및 파우셋(11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제1연결관(100a)을 통해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100a)은 다수개로 분할형성되며 그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이나 'ㄴ'자 형상 또는 'ㅏ'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매개관(12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수도전(60)에는 정수장치(1)에 공급되는 원수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통해 수도전(60)의 통로를 개방하면 수도전(60)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정수장치(1)에 공급되고, 이와 반대로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통해 수도전(60)의 통로를 밀폐하면 정수장치(1)에 공급되는 원수가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수도전(60)과 고압펌프(80) 사이의 어느 구간에도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리 카본 필터(22)와 멤브레인 필터(2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관(100a)에는 고압펌프(80)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고압펌프(80)의 펌핑력에 의해 프리 카본 필터(22) 내부의 물이 멤브레인 필터(23)를 거쳐 저장백(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와 포스트 카본필터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관(100a)에는 저장백(30)의 내부에 정수가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90)가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감지센서(90)는 상기 저장백(30)의 내부 압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있다가 저장백(30)의 내부에 많은 양의 정수가 공급되어, 저장백(30)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값과 같거나 높을 경우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90)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압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잠궈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더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상기 저장백(30)이 한계치 이상으로 팽창되어 터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저장백(30)의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양이 줄어들어 저장백(30)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값보다 낮을 경우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90)에서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압펌프(80)가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고압펌프(80)는 펌핑력을 통해 프리 카본 필터(22)의 내부에 머물고 있는 원수가 멤브레인 필터(23)를 거쳐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와 압력감지센서(90) 사이에는 체크밸브(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가 저장공간(31) 내부의 정수가 고압펌프(8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의 하부에는 폐수관(130)이 연결설치되어 있어,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에 의해 걸러진 이온성 중금속 등의 이물질은 폐수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형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저장부(10)는 원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는 일측에 제2연결관(100b)과 연결설치되는 입출수관(10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관(100b)은 저장부(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면서 세디멘트 필터(21)와 수도전(6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100a)과 연결설치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도전(60)에서 배출되는 원수는 입출수관(10b)을 통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유입되거나, 입출수관(10b)과 세디멘트 필터(21)와 프리 카본 필터(22)와 고압펌프(80)와 멤브레인 필터(23)를 순차적으로 거쳐 여과된 후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저장백(3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관(100b)이 설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디멘트 필터(21)와 프리 카본 필터(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 또는 프리 카본 필터(22)와 고압펌프(8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0)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을 청소하거나 저장백(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0)에는 상기 개구된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11)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덮개(11)는 상기 저장부(10)와 동일하게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10)에 장착되므로 인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저장백(30)과 원수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11)를 저장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일 예로, 상기 덮개(11)의 하부 외주면에 수 나사부(11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10)의 개구된 부분에는 암 나사부(10a)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11)의 수 나사부(11a)가 저장부(10)의 암 나사부(10a)와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1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수 나사부(11a)가 암 나사부(10a)에 결속되도록 하여 상기 덮개(11)를 저장부(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1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11)를 저장부(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덮개(11)의 중앙부분 아래에서 설명되는 저장백(30)의 정수 출입부(31)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11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 된다.
한편, 상기 저장백(30)은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백(30)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신축성이 있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저장백(30)은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정수의 양이 많아지면 팽창되고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정수의 양이 줄어들면 수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저장백(30)의 일측 중앙부분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저장백(3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정수 출입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와 포스트 카본 필터(24)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100a)의 일측은 상기 정수 출입부(31)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필터부(20)를 통해 여과된 정수가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출입부(31)는 상기 덮개(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 출입부(31)의 외주연에는 수 나사부(31a)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덮개(11)의 고정홀(111) 내주연에는 상기 정수 출입부(31)의 수 나사부(31a)와 맞물리는 암 나사부(11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정수 출입부(31)가 고정홀(111)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정수 출입부(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정수 출입부(31)의 수 나사부(31a)가 고정홀(111)의 암 나사부(111a)에 맞물려 상기 정수 출입부(31)가 덮개(11)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정수 출입부(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정수 출입부(31)가 고정홀(11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정수 출입부(31)를 덮개(1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도전(60)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의 일부는 입출수관(10b)을 통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고 또 다른 일부는 세디멘트 필터(21)에 공급된다.
상기 세디멘트 필터(21)는 수도전(60)으로부터 배출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입자나 녹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 등을 걸러낸다.
상기 세디멘트 필터(21)를 통과한 물은 제1연결관(100a)을 통과하여 프리 카본 필터(22)에 공급되며, 상기 프리 카본 필터(22)에서는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 등과 같은 유기화학 물질을 흡착한다.
상기 프리 카본 필터(22)를 통과한 물은 고압펌프(80)의 펌핑력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23)에 공급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23)에서는 원수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렇게 멤브레인 필터(23)를 통과한 정수는 고압펌프(80)의 펌핑력에 의해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공급 및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감지센서(90)는 저장백(30)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정수가 저장되면 제어부를 통해 고압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잠궈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더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우셋(110)의 레버(110a)를 일방향으로 돌려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24)와 파우셋(110)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관(100a)의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면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는 압력차가 발생되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가 저장백(3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저장백(30)이 수축되어 저장백(30) 내의 정수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정수는 포스트 카본 필터(24)와 파우셋(110)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정수가 포스트 카본 필터(24)를 거치는 과정에서 멤브레인 필터(23)에서 미처리된 각종 세균 및 냄새가 제거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파우셋(110)의 레버(110a)를 돌려 상기 파우셋(110)과 포스트 카본 필터(24)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100a)의 통로가 밀폐되도록 하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는 압력차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저장백(30)에서 정수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센서(90)는 저장백(30)의 내부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됨에 따라 저장백(3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압펌프(80)를 작동시켜 프리 카본 필터(22)의 내부에 머물고 있는 원수가 멤브레인 필터(23)를 거쳐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충진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정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원수는 팽창되는 저장백(30)에 밀려 입출수관(10b)을 통해 저장부(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외부로 배출된 원수는 세디멘트 필터(21)와 프리 카본 필터(22)와 고압펌프(80)와 멤브레인 필터(23)를 거쳐 여과된 후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1)는, 상기 덮개(11)가 저장부(10)에서 간편하게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저장백(30)을 덮개(11)에서 간편하게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저장백(30)의 교체시기가 되었을 경우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서 원수를 제거하기만 하면 새로운 저장백(30)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정수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저장백(30)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위생적인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저장백(30)과 저장부(10)의 사이에 원수가 고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수 고립 방지부(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원수 고립 방지부(40)는 다시 하우징(41)과 간격유지부(42)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하우징(41)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은 저장부(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10)와 하우징(41)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41)의 내부공간에는 저장백(30)이 수용된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42)는 상기 하우징(41)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저장부(10)의 내벽면과 맞닿는다.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42)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42)는 상기 하우징(4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하우징(41)과 간격유지부(42)에는 원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 안내홀(411,4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안내홀(411)은 하우징(4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안내홀(421)은 간격유지부(4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안내홀(411,421)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수도전(60)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는 상기 입출수관(10b)을 통해 저장부(10)의 내부공간에 원활하게 유입된 다음 이동 안내홀(421)들을 통과하여 간격유지부(42)들의 사이로 계속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수의 일부는 이동 안내홀(4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동 안내홀(421)을 통해 하우징(4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파우셋(110)의 레버(110a)를 일방향으로 돌려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24)와 파우셋(110)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관(100a)의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면 상기 간격유지부(42)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원수는 하우징(41)의 외면을 고루게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41)의 전체가 저장백(30)을 고루게 가압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우징(4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원수는 저장백(30)의 외면을 직접 가압하여 저장백(30) 내의 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백(30)의 내부공간에 정수가 유입됨에 따라 저장백(30)이 팽창될 경우 상기 하우징(4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원수는 저장백(30)에 밀려 이동 안내홀(421,4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간격유지부(42)들의 사이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원수는 저장백(30)의 외면과 하우징(41)의 사이에 고립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저장부 10a,111a : 암 나사부
11 : 덮개 111 : 고정홀
11a,31a : 수 나사부 20 : 필터부
21 : 세디멘트 필터 22 : 프리 카본 필터
23 : 멤브레인 필터 24 : 포스트 카본 필터
30 : 저장백 31 : 정수 출입부
40 : 원수 고립 방지 41 : 하우징
42 : 간격유지부 411,421 : 이동안내홀
50 : 싱크대 60 : 수도전
70 : 솔레노이드 밸브 80 : 고압펌프
90 : 압력감지센서 100a : 제1연결관
100b : 제2연결관 110 : 파우셋
110a : 레버 120 : 매개관
130 : 폐수관
11 : 덮개 111 : 고정홀
11a,31a : 수 나사부 20 : 필터부
21 : 세디멘트 필터 22 : 프리 카본 필터
23 : 멤브레인 필터 24 : 포스트 카본 필터
30 : 저장백 31 : 정수 출입부
40 : 원수 고립 방지 41 : 하우징
42 : 간격유지부 411,421 : 이동안내홀
50 : 싱크대 60 : 수도전
70 : 솔레노이드 밸브 80 : 고압펌프
90 : 압력감지센서 100a : 제1연결관
100b : 제2연결관 110 : 파우셋
110a : 레버 120 : 매개관
130 : 폐수관
Claims (5)
- 원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에 장착되며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면서 제1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백,
상기 저장부와 원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저장부로 수용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저장백이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저장백은 내부에 저장되는 정수의 양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상기 저장백의 내부에 정수가 충진될 경우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가 팽창되는 저장백에 밀려 필터부로 공급되는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저장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백의 일측에는 저장백의 내부공간 및 필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덮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 출입부가 돌출 형성된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저장백과 저장부의 사이에 원수가 고립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원수 고립 방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수 고립 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저장백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간격유지부
를 포함하는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제4항에서,
상기 하우징과 간격유지부에는 원수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이동 안내홀과 간격유지부의 이동 안내홀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214A KR101548911B1 (ko) | 2013-06-14 | 2013-06-14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PCT/KR2014/005171 WO2014200285A1 (ko) | 2013-06-14 | 2014-06-12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CN201480033645.3A CN105283237A (zh) | 2013-06-14 | 2014-06-12 | 利用水压的净水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214A KR101548911B1 (ko) | 2013-06-14 | 2013-06-14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5730A KR20140145730A (ko) | 2014-12-24 |
KR101548911B1 true KR101548911B1 (ko) | 2015-09-01 |
Family
ID=5202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8214A KR101548911B1 (ko) | 2013-06-14 | 2013-06-14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8911B1 (ko) |
CN (1) | CN105283237A (ko) |
WO (1) | WO20142002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6117B1 (ko) * | 2015-09-08 | 2022-08-26 | 코웨이 주식회사 |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CN113786732A (zh) * | 2021-10-21 | 2021-12-14 | 佛山市惠特普环保科技有限公司 | 净水设备用的驱动储水罐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7284A (en) * | 1990-04-27 | 1991-05-21 | Environmental Water Technology, Inc. | Fluid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purifying fluids |
KR950000844Y1 (ko) * | 1991-09-03 | 1995-02-13 | 주식회사 금성사 | 가정용 정수장치의 압력 저수조 |
JP2911845B2 (ja) * | 1997-01-31 | 1999-06-23 | 上田サーボ機械株式会社 | 炭酸飲料水収容容器の加圧装置 |
CN205035079U (zh) * | 2015-06-29 | 2016-02-17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储水装置及净水机 |
-
2013
- 2013-06-14 KR KR1020130068214A patent/KR1015489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6-12 WO PCT/KR2014/005171 patent/WO201420028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12 CN CN201480033645.3A patent/CN10528323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200285A1 (ko) | 2014-12-18 |
CN105283237A (zh) | 2016-01-27 |
KR20140145730A (ko) | 2014-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4654B2 (en) |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 |
RU2447920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 |
TW201714837A (zh) | 水處理系統 | |
JPH06246109A (ja) | 水ろ過器カートリッジ | |
US20080185323A1 (en) | Water Treatment System | |
EP3094395A2 (en) | Fluid filter insert and fluid spreader | |
US9630856B2 (en) | Water filter faucet and cartridge therefor | |
US20140061117A1 (en) | Water filter with multiple internal filtration modules | |
KR101548911B1 (ko) |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 |
JP3174016U (ja) | 逆浸透膜式浄水器 | |
KR20070018151A (ko) | 정수기용 필터장치 | |
WO2005016827A2 (en) | Compact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JP5603961B2 (ja) | 冷温水供給装置 | |
KR101009654B1 (ko) | 정수필터장치 | |
JP2015013691A (ja) | 冷温水供給装置 | |
KR20090025019A (ko) | 정수기용 감압밸브 | |
JP2007125534A (ja) | 浄水器用フィルタケース並びに該フィルタケースを利用したフィルタを備える浄水器 | |
JP2017504481A (ja) | 水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0809869B1 (ko) | 은이 첨가된 세라믹 필터와 광촉매를 갖는 이온 정수기 | |
KR20200016485A (ko) | 수전용 카트리지타입 정수장치 | |
JP5640372B2 (ja) | 水処理装置 | |
KR20160021710A (ko) | 정수장치 | |
JP2006000803A (ja) | 浄水器 | |
US20050133431A1 (en) |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 |
JP2018065087A (ja) | 海水・淡水兼用浄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