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976B1 - 카본필터 - Google Patents

카본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976B1
KR102010976B1 KR1020120155712A KR20120155712A KR102010976B1 KR 102010976 B1 KR102010976 B1 KR 102010976B1 KR 1020120155712 A KR1020120155712 A KR 1020120155712A KR 20120155712 A KR20120155712 A KR 20120155712A KR 102010976 B1 KR102010976 B1 KR 10201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lter
water
filtra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713A (ko
Inventor
김서영
한두원
윤성한
이현철
류근상
이준영
임순호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여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는 카본필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본필터는 물이 유입되어 내부를 유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하우징(200); 및 상기 필터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포함하는 여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부(300)는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310,320)를 포함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물을 여과시키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본필터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도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본필터{CARBON FILTER}
본 발명은 활성탄 등과 같은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된 카본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여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본필터에 관한 것이다.
카본필터는 활성탄 등의 카본입자에 의해서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도록 구성된 정수필터이다. 이러한 카본필터에는 활성탄 등의 카본입자가 입자형태로 있거나 입자 보다는 큰 크기인 알갱이 형태로 있거나 또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탄소부재를 이루어서 구비된다.
그리고, 카본필터에 유입된 물은 입자형태나 알갱이 형태 또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탄소부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이러한 카본필터는 정수기에는 전처리 카본필터와 후처리 카본필터 2개가 구비되어 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성분을 여과한다.
전술한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탄소부재를 카본필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여과될 물이 카본필터의 일측에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도록 구성되면, 대략 탄소부재의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도 물의 유입측의 탄소부재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여과에 더 많이 사용되고 유출측의 탄소부재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여과에 더 많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여과될 물이 카본필터의 일측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면, 물의 유입측의 탄소부재의 부분만을 물의 여과에 사용하고 탄소부재의 나머지 부분, 즉 물의 유입측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은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탄소부재의 일부만을 물의 여과에 사용하게 되면, 여과에 사용되는 탄소부재의 부분은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급격하게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탄소부재의 다른 부분은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카본필터의 수명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카본필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포함된 염소성분과 냄새성분은 여과시킬 수 있으나, 일부 입자상 물질과 세균은 여과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본필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을 여과시키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카본필터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도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카본필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여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카본필터는 물이 유입되어 내부를 유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하우징; 및 필터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포함하는 여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과부는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포함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하우징은 물이 상부로 유입되고 상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필터하우징의 물 유입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고밀도 탄소부재와 물의 유동방향으로 고밀도 탄소부재 다음에 위치하는 저밀도 탄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필터하우징의 물 유입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변경밀도탄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부재는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부재는 내부에 탄소부재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며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필터하우징에 구비된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부재의 유로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캡; 및 캡이 연결되며 탄소부재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유입구가 구비되며 유출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유입부; 및 유출구가 구비되며 탄소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지지하는 유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탄소부재 전에 또는 탄소부재 다음에 위치하여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여과하는 부가여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여과부재는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여과부재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여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여과층은 복수번 절곡되어 이루어져 다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여과부재는 1㎛ 내지 2㎛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입자상 물질과 일부 세균을 여과하는 제1여과층; 및 물의 유동방향으로 제1여과층의 다음에 위치하고 0.02㎛ 내지 1㎛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세균과 일부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층;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여과부재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제2여과층 다음에 위치하며 제1여과층과 제2여과층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3여과층;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여과부재는 부직포 집합체나 섬유막 또는 합성수지막이나 부직포 집합체와 섬유막의 조합 또는 부직포 집합체와 합성수지막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탄소부재의 밀도는 0.4g/cm3 내지 0.8g/cm3 이고, 저밀도 탄소부재의 밀도는 0.2g/cm3 내지 0.6g/cm3 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여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므로,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도 여과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2개의 고밀도 탄소부재를 포함하는 카본필터와 고밀도 탄소부재와 저밀도 탄소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 및 2개의 저밀도 탄소부재를 포함하는 탄소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비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유입유량의 변화에 따른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비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카본필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카본입자로 이루어지며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를 사용하여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100)는 필터하우징(200)과, 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200)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어 내부를 유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하우징(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상부로 유입되고 상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터하우징(20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캡(210)과 하우징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210)에는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I)와 유출구(O)가 구비될 수 있다. 캡(210)의 유입구(I)는 예컨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이나 침전필터나 멤브레인필터 등의 다른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의 유출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캡(210)의 유입구(I)는 전술한 침전필터나 멤브레인필터 등의 다른 정수필터도 끼워져서 연결되는 정수필터 조립모듈(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필터나 멤브레인필터 등 다른 정수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I)에 유입될 수 있다.
캡(210)의 유출구(O)는, 예컨대 멤브레인필터 등의 다른 정수필터의 유입구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다른 정수필터가 끼워져서 연결된 정수필터 조립모듈에 끼어져서 연결되거나 또는 정수탱크 등의 물저장부재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또는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10)의 유입구(O)에 의해서 유입되고 후술할 여과부(300)에 의해서 여과된 물은 캡(210)의 유출구(O)를 통해 유출되어 다른 정수필터의 유입구에 유입되거나 정수탱크 등의 물저장부재에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캡(210)은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부(211)와 유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1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I)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구(O)가 관통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I)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캡(210)의 유입부(211)에 구멍의 형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I)의 형상이나 개수 또는 배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형상이나 개수 또는 배치형태라면 니플 형상 등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나 개수 또는 배치형태라도 가능하다.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부(212)에는 유출구(O)가 구비될 수 있다. 유출구(O)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니플의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출구(O)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출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유출부(212)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소부재(310,320,3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출부(212)는 탄소부재(310,320) 중 후술할 바와 같이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출부(212)는 변경밀도탄소부재(310')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이를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220)는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캡(21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탄소부재(310,320,3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10)의 유입구(I)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하우징본체(220)를 유동하고 여과부(300)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캡(210)의 유출구(O)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여과부(300)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하우징(200) 내부, 즉 전술한 필터하우징(200)의 하우징본체(2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소부재(310,320,310')는 카본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탄소부재(310,320,310')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면서 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 입자가 탄소부재(310,320,310')에 흡착되어 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물이 여과될 수 있다.
이러한 탄소부재(310,320,310')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은 필터하우징(200)을 유동하면서 일부씩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탄소부재(310,320,310')의 내부에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R)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로(R)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필터하우징(200)에 구비된 전술한 유출구(O)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한 물은 탄소부재(310,320,310')의 유로(R)를 유동하고 유로(R)에 연결된 유출구(O)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300)가 복수개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포함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탄소부재(310,320,310')의 유로(R)는 유로연결부재(35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탄소부재(310,320,3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들을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부재(351,352,353)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여과부(300)는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310,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부(300)는 하나 이상의 고밀도 탄소부재(310)와 하나 이상의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밀도 탄소부재(31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필터하우징(200)의 물 유입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200)의 캡(210)에 포함되는 유출부(212)에 의해서 일측이 지지되어 필터하우징(200)의 유입구(I)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 탄소부재(320)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고밀도 탄소부재(31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타측과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일측은 지지부재(351,35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연결부재(350)에 의해서 고밀도 탄소부재(310)와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유로(R)가 연결되어 저밀도 탄소부재(320)가 물의 유동방향으로 고밀도 탄소부재(310)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I)를 통해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은 고밀도 탄소부재(310)를 따라 필터하우징(200)을 유동하면서 일부가 먼저 고밀도 탄소부재(3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고밀도 탄소부재(31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밀도 탄소부재(320)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밀도 탄소부재(320)로 유동한 물은 압력이 유입압력보다 낮다고 하더라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따라 유동하면서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기공크기는, 예컨대 0.2㎛ 내지 2㎛일 수 있다.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기공크기가 0.2㎛ 미만이면, 기공크기가 작기 때문에 고밀도 탄소부재(310)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유량의 물이 통과하게 되고, 저밀도 탄소부재(310)로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물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기공크기가 2㎛ 보다 크면, 기공크기가 크기 때문에 고밀도 탄소부재(310)로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물이 통과하게 되어 저밀도 탄소부재(310)로는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도록 하는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기공크기는 0.2㎛ 내지 2㎛ 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기공크기는, 예컨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기공크기가 1㎛ 미만이면, 고밀도 탄소부재(31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이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통과해야만 하나, 기공크기가 작아서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이 탄소부재(310,320)를 통과하지 못하고 정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기공크기가 10㎛ 보다 크면,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대부분의 물이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통과하기 때문에,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이 정체하지 않으면서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는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기공크기는 1㎛ 내지 10㎛ 가 바람직하다.
이외에,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300)는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여과부(300)는 필터하우징(200)의 물 유입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변경밀도탄소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의 일부는 유입압력에 의해서 변경밀도탄소부재(310')의 고밀도부분을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하우징(200)에 유입된 물의 나머지는 변경밀도탄소부재(310')를 따라 필터하우징(200)을 유동하여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변경밀도탄소부재(310')의 부분을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탄소부재(310,320,31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탄소부재(310,320,31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하기 때문에,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본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는 0.4g/cm3 내지 0.8g/cm3 이고,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는 0.2g/cm3 내지 0.6g/cm3 일 수 있다.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가 0.4g/cm3 보다 작으면, 전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저밀도 탄소부재(320)는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야만 하기 때문에,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는 0.2g/cm3 보다 더 낮아야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가 0.2g/cm3 보다 더 낮아지면, 낮은 밀도로 인해서 저밀도 탄소부재(320)에 의해서 물의 여과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저밀도 탄소부재(320)에서 물의 여과가 이루어지기 위한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는 0.4g/cm3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하여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는 0.2g/cm3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가 0.8g/cm3 보다 높으면, 높은 밀도에 의해서 고밀도 탄소부재(310)에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고밀도 탄소부재(310)에 의해서 물의 여과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가 0.6g/cm3 을 초과하면, 전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가 0.8g/cm3 를 초과해야만 한다.
따라서, 고밀도 탄소부재(310)에 의한 물의 여과를 위해서 고밀도 탄소부재(310)에 물이 유입되기 위한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는 0.8g/cm3 이하가 바람직하고, 이에 대응하여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는 0.6g/cm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카본필터(100)의 필터하우징(200)으로의 물의 유입유량은 1L/min 내지 40L/min 일 수 있다.
물의 유입유량이 1L/min 보다 작으면, 고밀도 탄소부재(310)와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함께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카본필터(100)의 물의 유입측의 반대측까지 물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물의 유입유량이 40L/min 을 초과하면, 물이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통과하더라도 비교적 빠른 속도로 통과하기 때문에, 탄소부재(310,320)에서 물의 여과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탄소부재(310,320) 전체를 물의 충분한 여과에 사용하기 위한 카본필터(100)로의 물의 유입유량은 1L/min 내지 40L/min 가 바람직하다.
도6에서 CASE1은 밀도가 0.5g/cm3이어서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2개의 고밀도 탄소부재(A,B)를 포함하는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CASE2는 고밀도 탄소부재(A)와 밀도가 0.43g/cm3이어서 상대적으로 저밀도인 저밀도 탄소부재(B)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CASE3는 상대적으로 저밀도인 2개의 저밀도 탄소부재(A,B)를 포함하는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밀도 탄소부재(A)와 저밀도 탄소부재(B)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가 2개의 고밀도 탄소부재(A,B)를 포함하는 카본필터나 2개의 저밀도 탄소부재(A,B)를 포함하는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보다 균일하다.
따라서, 밀도가 같은 탄소부재를 포함하는 카본필터보다 밀도가 다른 카본필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에서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7에서 좌측은 물의 유입유량이 3L/min인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내다. 또한, 중앙은 물의 유입유량이 6L/min인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은 물의 유입유량이 8L/min인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유동해석을 나타낸다.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의 유입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의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가 더 균일해진다. 그러므로, 탄소부재 표면에서의 물의 유속분포가 거의 균일한 물의 유입유량을 사용유량으로 하면, 예컨대 도7에 도시된 경우에는 8L/min을 사용유량으로 하면,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본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100)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가여과부재(33O,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의 유동방향으로 탄소부재(310,320,310') 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소부재(310,320,31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탄소부재(310,320,310') 다음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가여과부재(330,340)는 탄소부재(310,320,310')의 유로(R)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여과부재(330,340)에 의해서 탄소부재(310,320,310')에 의해서 여과되지 못하는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이 여과될 수 있다.
부가여과부재(330,340)가 도1과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의 유동방향으로 탄소부재(310,320,310')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탄소부재(310,320,310')에 의한 물이 여과전에 부가여과부재(330,340)에 의해서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 등의 소정량의 물질이 여과되기 때문에, 탄소부재(310,320,310')의 일부에 여과물질이 쌓여서 탄소부재(310,320,310')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가여과부재(330,340)가 물의 유동방향을 탄소부재(310,320,310') 다음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탄소부재(310,320,310')에서 나온 미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이 부가여과부재(330,340)에 의해서 여과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여과부재(330,340)는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이 부가여과부재(330,340)의 적어도 일부에 쌓여서 부가여과부재(330,340)가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가여과부재(330,340)의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고 수명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부직포 집합체, 즉 하나 이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여과부재(330,340)가 부직포 복합체로 이루어지면, 물이 부가여과부재(330,340)를 지그재그로 유동하면서 통과하기 때문에, 유동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물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여과하는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여과부재(330,340)는 전술한 부직포 복합체 이외에도 섬유막 또는 합성수지막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직포 복합체와 섬유막의 조합 또는 부직포 복합체와 합성수지막의 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여과층(331,332,333,341,342,3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여과층(331,332,333,341,342,343)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번 절곡되어 이루어져 다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가여과부재(330,340)는 제1여과층(331,341)과 제2여과층(332,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여과층(331,341)에는 1㎛ 내지 2㎛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제1여과층(331,341)을 통과하면 물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일부 세균이 여과될 수 있다.
제1여과층(331,341)에 형성된 구멍 크기가 1㎛ 미만이면, 1㎛ 보다 작은 입자상 물질과 일부 세균도 제1여과층(331,341)에 의해서 여과되어 제1여과층(331,341)에 축적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많은 양의 입자상 물질과 세균이 제1여과층(331,341)에 축적되어 제1여과층(331,341)의 적어도 일부가 조기에 막힐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제1여과층(331,341)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며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제1여과층(331,341)에 형성된 구멍 크기가 2㎛ 보다 크면, 제1여과층(331,341)에 의해서 2㎛ 이상의 입자상 물질과 세균도 여과되지 못하기 때문에, 후술할 제2여과층(332,342)에서 여과시킬 입자상 물질과 세균이 많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의 입자상 물질과 세균이 제2여과층(332,342)의 일부에 축적되어 제2여과층(332,342)의 적어도 일부가 조기에 막힐 수 있다. 그리고, 제2여과층(332,342)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며 수명이 감소된다.
따라서, 제1여과층(331,341)과 제2여과층(332,342)의 적어도 일부가 조기에 막히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며 수명이 감소되지 않을 제1여과층(331,341)의 구멍(411)의 크기는 1㎛ 내지 2㎛가 바람직하다.
제2여과층(332,342)은 물의 유동방향으로 제1여과층(331,341)의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여과층(331,341)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제2여과층(332,342)을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여과층(332,342)은 제1여과층(331,341)의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여과층(332,342)에는 0.02㎛ 내지 1㎛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균과 일부 입자상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2여과층(332,342)에 형성된 구멍 크기가 0.02㎛ 미만이면, 구멍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물이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과하더라도 물에 포함된 세균과 일부 입자상 물질이 제2여과층(332,342)에 조금만 축적되어도 제2여과층(332,342)의 적어도 일부가 조기에 막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제2여과층(332,342)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며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여과층(332,342)의 구멍 크기가 1㎛ 보다 크면, 1㎛ 보다 작은 입자상 물질과 세균은 여과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한 크기의 입자상 물질과 세균은 여과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여과층(332,342)의 적어도 일부가 조기에 막히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며 수명이 감소되지 않고 미세한 크기의 입자상 물질과 세균을 여과시킬 수 있는 제2여과층(332,342)의 구멍 크기는 0.02㎛ 내지 1㎛가 바람직하다.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여과층(333,34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여과층(333,343)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제2여과층(332,342)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3여과층(333,343)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여과층(332,342)의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여과층(333,343)에는 제1여과층(331,341)과 제2여과층(332,34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3여과층(333,343)은 예컨대 메쉬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3여과층(333,343)에 의해서 제1여과층(331,341)과 제2여과층(332,342)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원활하게 탄소부재(310,320,310')로 유동하거나 유로(R)에 유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필터를 사용하면, 물을 여과시키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탄소부재 전체를 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카본필터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본필터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도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카본필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카본필터 200 : 필터하우징
210 : 캡 211 : 유입부
211a : 관통공 212 : 유출부
220 : 하우징본체 300 : 여과부
310 : 고밀도 탄소부재 310' : 변경밀도탄소부재
320 : 저밀도 탄소부재 330, 340 : 부가여과부
331, 341 : 제1여과층 332, 342 : 제2여과층
333, 343 : 제3여과층 350 : 유로연결부재
351,352,353 : 지지부재 I : 유입구
O : 유출구 R : 유로

Claims (17)

  1. 물이 유입되어 내부를 유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하우징(200); 및
    상기 필터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포함하는 여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부(300)는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310,320)를 포함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200)은 물이 상부로 유입되고 상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과부(300)는 상기 필터하우징(200)의 물 유입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고밀도 탄소부재(310)와 물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고밀도 탄소부재(310) 다음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저밀도 탄소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2. 삭제
  3. 삭제
  4. 물이 유입되어 내부를 유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필터하우징(200); 및
    상기 필터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카본입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320,310')를 포함하는 여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부(300)는 밀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소부재(310,320)를 포함하거나, 부분별로 밀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소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200)은 물이 상부로 유입되고 상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과부(300)는 상기 필터하우징(200)의 물 유입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변경밀도탄소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부재(310,320,310')는 일렬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부재(310,320,310')는 내부에 상기 탄소부재(310,320,310')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며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200)에 구비된 유출구(O)에 연결되는 유로(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부재(310,320,310')의 유로(R)는 유로연결부재(35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필터하우징(200)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I)와 유출되는 유출구(O)가 구비된 캡(210); 및
    상기 캡(210)이 연결되며 상기 탄소부재(310,320,310')가 구비되는 하우징본체(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210)은
    상기 유입구(I)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구(O)가 관통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된 유입부(211); 및
    상기 유출구(O)가 구비되며 상기 탄소부재(310,320,3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지지하는 유출부(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300)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탄소부재(310,320,310') 전에 또는 상기 탄소부재(310,320,310') 다음에 위치하여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여과하는 부가여과부재(330,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여과부재(330,340)는 입자상 물질 또는 세균을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여과층(331,332,333,341,342,3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331,332,333,341,342,343)은 복수번 절곡되어 이루어져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여과부재(330,340)는
    1㎛ 내지 2㎛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입자상 물질과 일부 세균을 여과하는 제1여과층(331,341); 및
    물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여과층(331,341)의 다음에 위치하고 0.02㎛ 내지 1㎛ 크기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세균과 일부 입자상 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층(332,3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2여과층(332,342) 다음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여과층(331,341)과 제2여과층(332,34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보다 크기가 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3여과층(33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여과부재(330,340)는 부직포 집합체나 섬유막 또는 합성수지막이나 부직포 집합체와 섬유막의 조합 또는 부직포 집합체와 합성수지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탄소부재(310)의 밀도는 0.4g/cm3 내지 0.8g/cm3 이고, 상기 저밀도 탄소부재(320)의 밀도는 0.2g/cm3 내지 0.6g/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필터.
KR1020120155712A 2012-08-14 2012-12-28 카본필터 KR102010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15 2012-08-14
KR20120089015 2012-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13A KR20140022713A (ko) 2014-02-25
KR102010976B1 true KR102010976B1 (ko) 2019-08-14

Family

ID=5026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712A KR102010976B1 (ko) 2012-08-14 2012-12-28 카본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97Y1 (ko) * 2017-03-17 2018-12-13 주식회사 창명산업 산업 연소 가스용 집진 필터백
KR20210047535A (ko) *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KR20210135816A (ko) 2020-05-06 202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376601B1 (ko) * 2021-06-30 2022-03-21 주식회사 제이엔에이 수처리 샤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30B1 (ko) * 2005-12-28 2007-08-22 영성산업 주식회사 정수용 복합필터
WO2009021028A2 (en) * 2007-08-07 2009-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filtration systems
KR101088862B1 (ko) * 2009-05-25 2011-12-06 (주)원봉 정수기용 복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13A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276B2 (en) Filtration architecture for optimized performance
KR102010976B1 (ko) 카본필터
JP5992784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10019151A (ja) 燃料用フィルタ
JP2008274806A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US20110265655A1 (en) Combination Filter
KR102138010B1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KR20120025112A (ko) 필터카트리지
KR20150067664A (ko) 정수필터
RU2617775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20150025526A (ko) 정수필터
JP2015174062A (ja) 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処理方法
JP6761661B2 (ja) 水栓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
KR20200035028A (ko) 액체 필터 및 액체 필터를 포함한 탱크 필터 시스템
JP2015202443A (ja) 油水分離処理システム及び油水分離処理方法
US20170259199A1 (en) Filter Element
WO2016092643A1 (ja) 油水分離処理システム、油水分離処理方法及び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KR20140022513A (ko) 카본필터
JP2015029949A (ja) 油水分離処理システム、油水分離処理方法及び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KR20090116438A (ko) 정수기용 필터
JP2007092756A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KR101957683B1 (ko) 카본필터
US20160339361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06000798A (ja) イオン交換フィルタ
JP2009024111A (ja) 選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