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10B1 -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10B1
KR102653910B1 KR1020200160886A KR20200160886A KR102653910B1 KR 102653910 B1 KR102653910 B1 KR 102653910B1 KR 1020200160886 A KR1020200160886 A KR 1020200160886A KR 20200160886 A KR20200160886 A KR 20200160886A KR 102653910 B1 KR102653910 B1 KR 10265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inlet
filter unit
pump
par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116A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이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배 filed Critical 이종배
Priority to KR102020016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전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필터부, 전단이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고, 상기 폐수를 수용하는 저장실,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우회부 및 상기 우회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OPTICAL SHOP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등에 사용되는 렌즈는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등의 원재료를 연마기로 연마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상기한 원재료를 가공하는 경우 가공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경우 가공기 또는 렌즈가 상기한 가공열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어 가공열을 식혀주기 위해 가공기 및 렌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물을 공급하여 가공열을 식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의 원재료는 유리, 플라스틱 등이라고 하였는데, 가공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가 분말처럼 나오게 되고, 따라서 사용된 폐수에는 이러한 입자(이하 이물질)가 섞인 상태로 하수구로 흘려보내거나 일정 장소에 임시 저장했다 폐기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0680653호(이하 종래기술)는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인데, 사용된 연마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마기로 공급될 연마수가 저장되는 물탱크(130);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연마수를 소정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연마기로 송출하는 제1펌프(110); 상기 연마기에서 회수된 연마수를 여과처리하여 상기 물탱크로 리턴시키는 필터유닛(160); 상기 연마기의 연마수를 소정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필터유닛으로 송출하는 제2펌프(120); 및,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소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 제1,2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압력제어유닛(170);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유닛(170)은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171)와, 그 압력게이지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1,2펌프에 대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기(172)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연마기가 구동되고 따라서 상기 연마수가 공급되는 과정 중에 사용된 연마수를 필터로 공급하는 펌프 등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오버플로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되, 오버플로우를 억제할 수 있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 및 정화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전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필터부, 전단이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고, 상기 폐수를 수용하는 저장실,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우회부 및 상기 우회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수용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용통은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통 형상이고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 및 조립했을 때 상기 여과부재를 감싸도록 통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분할체 및 이웃하는 상기 분할체를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다수의 상기 분할체 중 일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 다수의 상기 분할체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대응부 및, 다수의 분할체 전단 둘레 및 후단 둘레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유입부 및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우회부를 포함함으로써, 유입부로 유입되는 폐수를 필터로 이동시키는 펌프 등의 구동이 정지되어도 유입부에 수용되는 폐수를 저장실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어 유입부에서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통은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필터부에서 나오는 정화수를 용이하게 저장실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했을 때 상기 여과부재를 감싸도록 통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분할체 및 이웃하는 상기 분할체를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여과부재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여과부재를 수용통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가 일 측에 배치되는 분할체에 구비되는 체결부, 타 측에 배치되는 분할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대응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웃하는 분할체가 의도치 않게 힌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여과부재가 의도치 않게 케이스에서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가 다수의 분할체 전단 둘레 및 하단 둘레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함으로써, 케이스에서 여과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차단벽 및 후단부가 하향 경사진 바닥부를 포함하는 제1펌프를 포함함으로써, 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유입부, 우회부, 제1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수용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힌지 회동되는 분할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체결부 및 체결대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듀얼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펌프의 분해도면이다.
도 11은 제1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연통)" 또는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연통)"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유입부, 우회부, 제1펌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수용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R)는 안경원에서 렌즈의 원재료(유리, 플라스틱 등)를 가공(절삭, 연마 등)을 수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가공열을 식혀주기 위해 가공기 및 렌즈(원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되어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R))는 유입부(1), 필터부(2), 저장실(3), 우회부(4) 및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유입부(1)는 폐수가 유입되는 것이다. 유입부(1)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는 후술하는 필터부(2)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9)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유입부(1)는 상기 하우징(9)의 내측 수용 공간에 구비된 통일 수 있으며, 상측이 개구되어 하우징(9)의 외측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때 유입부(1)는 상측 개구된 부분을 통해 가공기 및 렌즈(원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되어 기 사용된 폐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기 사용된 폐수는 이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본 장치에서 순환(이동)되는 물은 후술하는 필터부(2) 전단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혼합된 폐수와 필터부(2)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정화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단과 후술하는 후단은 본 장치에서 폐수 및 정화수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서, 물은 전단(유입부(1) 측)에서 후단(후술하는 공급부(7) 또는 배출부(8) 측) 측으로 이동한다.
필터부(2)는 전단이 상기 유입부(1)와 연통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전단이 유입부(1)와 연통되고 후단이 필터부(2)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부(1) 및 필터부(2) 사이에 구비되고, 유입부(1) 측의 폐수를 상기 필터부(2)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펌프(6)는 상기한 하우징(9)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펌프(6) 및 후술하는 제2펌프(10)는 듀얼펌프(DP)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1펌프(6)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구(611a) 및 출구(611b)가 형성된 외륜(611), 내륜(612), 상기 외륜(611)의 입구(611a) 및 출구(611b) 사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내륜(612)과 연결되는 차단벽(613)을 포함하는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단벽(613)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내륜(612)의 외측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일 수 있다(도 9 및 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바디(61)는 상기 외륜(611), 내륜(612) 및 차단벽(613)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의 폐수는 상기 입구(611a)를 통해 외륜(611), 내륜(612) 및 차단벽(613)이 형성하는 회전 경로(615)에 진입하다.
이때 제1펌프(6)는 바디(61)의 내륜(612)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축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재(미도시)와 축결합되고 바디(61)와 후술하는 덮개(62)가 형성하는 공간에 내장되는 임펠러(63)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63)가 축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회전 경로(615)의 폐수는 원심력에 의해 출구(611b) 측으로 이동한다.
제1펌프(6)는 상기 회전 경로(615)의 상부측을 덮도록 바디(61)와 결합되는 덮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차단벽(613)은 내륜(612)의 외측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륜(611)에서 연장되되, 회전 경로(615)에서 폐수의 이동 방향과 반대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차단벽(613)에서 외륜(611)에 연결되는 부분이 내륜(612)과 연결되는 끝단보다 후단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경로(615)에서 이동하는 폐수가 출구(611b)로 이동할 때, 폐수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614)는 후단부가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바닥부(614)의 후단부는 출구(611b) 측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후단이 전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후단부가 하향 경시짐으로써, 출구(611b) 측으로 진입하는 폐수의 유속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제1펌프(6)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차단벽(613) 및 하향 경사진 바닥부(614)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입부(1)의 폐수를 필터부(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필터부(2)는 마찬가지로 하우징(9)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장치는 하우징(9)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되 상기 필터부(2)가 내삽 되어 수용되는 수용통(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하우징(9)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방이 개구된 수용통(5)을 포함함으로써, 필터부(2)의 인입 및 인출이 쉽도록 하여 필터부(2)의 유지보수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필터부(2)는 수용통(5)의 전방측 개구된 부분을 통해 수용통(5)에 수용되고, 수용통(5)은 길이 방향(수용통(5)의 경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출구(51)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2)의 전방에는 주입구(211)가 형성되어 호스(H)를 매개로 제1펌프(6)와 연통될 수 있다. 필터부(2)는 상기 유입부(1)를 통해 유입된 상기 폐수에 섞여진 이물질을 걸러내고 정화수를 후단 측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펌프(6)를 통해 필터부(2)로 유입된 폐수는 필터부(2)에서 이물질이 걸러져 정화수가 필터부(2)의 후단 측으로 배출되고, 정화수는 수용통(5)의 배출구(51)를 통해 후술하는 저장실(3)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2)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장치에서 필터부(2)가 수용되는 수용통(5)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출구(51)를 형성하여 정화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실(3)은 전단이 필터부(2)와 연통되고, 정화수를 수용한다. 예시적으로 저장실(3)은 상기 하우징(9)의 내측에서 하측에 구비되어 필터부(2)에서 배출된 정화수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저장실(3)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측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저장실(3)에 수용된 정화수는 하우징(9)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펌프(10)를 통해 후단이 가공기 및 렌즈(원재료) 측과 연통되는 공급부(7)로 이동하여 가공기 및 렌즈(원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재공급되거나, 배출부(8)를 통해 하수처리장치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펌프(10)는 상기한 제1펌프(6)와 상응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데, 제1펌프(10)가 제1펌프(6)와 상이한 구성일 경우 해당 분야에서 통상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우회부(4)는 유입부(1) 및 저장실(3)을 연통시킨다. 우회부(4)는 예시적으로 파이프, 튜브 등일 수 있다. 개폐부(미도시)는 상기 우회부(4)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밸브 등일 수 있으며, 파이프, 튜브 등을 개폐시키는 밸브 등의 구성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하였듯이, 유입부(1)의 폐수는 제1펌프(6)를 통해 필터부(2)를 경유하여 저장실(3)로 공급되고, 저장실(3)의 정화수는 배출부(8)를 통해 하수처리장치 등으로 배출되거나 제2펌프(10)를 통해 공급부(7)로 이동한다고 하였는데, 듀얼펌프(DP)(제1펌프(6) 및 제2펌프(10))가 구동되지 않거나 듀얼펌프(DP)를 유지보수 할 필요성이 있거나 필터부(2)를 유지보수 할 필요성이 있는 등의 경우 가공기 측에서 공급되는 폐수를 제1펌프(6)를 통해 필터부(2)로 이동시키지 않고 저장실(3)로 바로 이동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본 장치는 우회부(4)를 포함함으로써, 유입부(1)에 유입된 폐수를 바로 저장실(3)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펌프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부(1)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할 수 있고, 듀얼펌프(DP) 및 필터부(2)의 유지보수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유입부(1)의 폐수가 저장실(3)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부(1)는 저장실(3)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힌지 회동되는 분할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체결부 및 체결대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필터부(2)는 통 형상이고, 폐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필터부(2)는 부직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여과부재(21)는 상기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21)는 전단에서 후단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내측에 전단에서 후단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21)의 전단 측에는 주입구(211)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과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1펌프(6)와 연통되는 호스(H)가 상기 주입구(211)에 연결되어 여과부재(21)의 중공 측으로 폐수가 이동될 수 있다.
폐수의 이물질은 여과부재(21)에 걸러지고 중력 또는 폐수의 자체 압력 등에 의해 정화수가 여과부재(21)의 외측(중공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용통(5)의 배출구(51)를 통해 상기한 저장실(3)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는 조립했을 때 상기 여과부재(21)를 감싸도록 통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분할체(221)를 포함하는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2)는 여과부재(21)와 마찬가지로 전단 측-후단 측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분할체(221)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통공(221a)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재(21)에서 배출되는 정화수가 상기 통공(221a)을 통해 배출되어 수용통(5)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과부재(21)는 부직포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부직포는 폐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수분 등을 흡수하여 팽창할 수 있고, 부직포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수용통(5)에서 여과부재(21)의 인출이 어려워 여과부재(21)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이때 본 장치는 상기 여과부재(21)를 감싸는 케이스(22)를 포함함으로써, 여과부재(21)가 외측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하여 수용통(5)으로부터 여과부재(21)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여과부재(21)의 유지보수가 쉽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2)는 이웃하는 분할체(221)를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수단(2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힌지수단(222)은 이웃하는 분할체(221)가 전단 측-후단 측의 길이 방향(도 8을 기준으로 평면-저면측 방향)을 가지는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힌지 회동되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22) 내측에 수용된 여과부재(21)가 팽창하여도 이웃하는 분할체(221)를 힌지 회동시켜 케이스(22)가 오픈되도록 하여 여과부재(21)를 케이스(22) 내측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케이스(22) 내측에 여과부재(21)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2)는 다수의 분할체(221) 중 일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223), 다수의 분할체(221)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체결부(22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대응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 및 타 측 각각은 상기 다수의 분할체(221)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연결하는 양단을 각각 포함하는 양 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223)는 힌지결합부일 수 있으며, 체결대응부(224)는 상기 힌지결합부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대응부일 수 있다. 힌지결합부 및 힌지대응부는 축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축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힌지결합부 및 힌지대응부는 상호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에서 케이스(22)가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223) 및 체결대응부(224)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분할체(221)의 힌지 회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수의 분할체(221)가 힌지 회동하여 원치 않게 내측에 수용된 여과부재(21)가 케이스(22) 내측에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2)는 다수의 분할체(221) 전단 둘레(도 8의 평면측단 둘레) 및 후단 둘레(도 8의 저면측단 둘레)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이탈방지턱(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22) 내측에 수용된 여과부재(21)가 전단 측 또는 후단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R
유입부: 1 필터부: 2
여과부재: 21 주입구: 211
케이스: 22 분할체: 221
통공: 221a 힌지수단: 222
체결부: 223 체결대응부: 224
이탈방지턱: 225 저장실: 3
우회부: 4 수용통: 5
배출구: 51 제1펌프: 6
바디: 61 외륜: 611
입구: 611a 출구: 611b
내륜: 612 차단벽: 613
바닥부: 614 회전 경로: 615
덮개: 62 임펠러: 63
공급부: 7 배출부: 8
하우징: 9 제2펌프: 10

Claims (4)

  1. 안경원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전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필터부;
    전단이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화수를 수용하는 저장실;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우회부; 및
    상기 우회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전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제1펌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펌프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외륜, 내륜, 상기 외륜의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내륜과 연결되는 차단벽 및, 상기 외륜 및 상기 내륜의 하단을 연결하되 후단이 전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후단부가 하향 경사진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는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외륜, 상기 내륜 및 상기 차단벽이 형성하는 회전 경로를 통해 출구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외륜에서 연장되되, 상기 회전 경로에서 상기 폐수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내륜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수용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용통은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통 형상이고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부재; 및
    조립했을 때 상기 여과부재를 감싸도록 통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분할체 및 이웃하는 상기 분할체를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다수의 상기 분할체 중 일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 다수의 상기 분할체 중 타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대응부 및, 다수의 분할체 전단 둘레 및 후단 둘레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원 폐수 정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60886A 2020-11-26 2020-11-26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KR10265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86A KR102653910B1 (ko) 2020-11-26 2020-11-26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86A KR102653910B1 (ko) 2020-11-26 2020-11-26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116A KR20220073116A (ko) 2022-06-03
KR102653910B1 true KR102653910B1 (ko) 2024-04-01

Family

ID=8198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886A KR102653910B1 (ko) 2020-11-26 2020-11-26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496Y1 (ko) * 2005-09-23 2005-12-01 이종배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0647205B1 (ko) * 2005-12-07 2006-11-23 윌로펌프 주식회사 2단 웨스코 펌프
KR200490471Y1 (ko) * 2019-04-30 2019-12-03 (주)우진펌프테크 수중펌프용 스트레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661A (ja) * 1994-05-18 1995-11-28 Janome Sewing Mach Co Ltd 浴槽湯の清浄化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496Y1 (ko) * 2005-09-23 2005-12-01 이종배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0647205B1 (ko) * 2005-12-07 2006-11-23 윌로펌프 주식회사 2단 웨스코 펌프
KR200490471Y1 (ko) * 2019-04-30 2019-12-03 (주)우진펌프테크 수중펌프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116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595T3 (es) Filtro de enjuague para lavado a contracorriente.
JP6387449B2 (ja) 液体回収フィルタ
US8496817B2 (en) Dechlorinator and method of dechlorination
JP2011005456A (ja) フィルタ装置
JP461616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US11452951B2 (en) Disposable filter unit for a system allowing for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water or separation of water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2653910B1 (ko) 안경원 폐수 정화장치
JP2017086009A (ja) 水槽用フィルター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20240010721A (ko) 자가-세정 여과 장치
JP4522163B2 (ja)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装置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CN109224581A (zh) 刮刀式过滤器
JP2011079100A (ja) フィルタ装置
TWI526238B (zh) 使用深層過濾器之過濾單元及使用深層過濾器之過濾裝置
KR101894544B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SE532512C2 (sv) Anordning och filterkassett för filtrering av vätskeformigt medium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2403521B1 (ko) 용수 여과기
WO2024070864A1 (ja) 水処理装置
CN220891193U (zh) 用于滤芯的阀门、滤芯和净水装置
KR20100013051U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KR102459933B1 (ko)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
KR200338958Y1 (ko) 수도 직결식 정수기의 공기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