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21B1 - 용수 여과기 - Google Patents

용수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21B1
KR102403521B1 KR1020200057864A KR20200057864A KR102403521B1 KR 102403521 B1 KR102403521 B1 KR 102403521B1 KR 1020200057864 A KR1020200057864 A KR 1020200057864A KR 20200057864 A KR20200057864 A KR 20200057864A KR 102403521 B1 KR102403521 B1 KR 10240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pe
water
c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966A (ko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이인용
워터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용, 워터알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인용
Priority to KR102020005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이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부와, 상기 제1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확관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되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과 이격된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물이 출수되는 출구(170)를 형성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와 상기 아우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확관부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의 외측으로 안내하고 일면이 상기 입구를 향하고 타면이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을 향하는 용수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에 수용되는 일단이 상기 용수 가이드를 향하며 타단이 상기 출구를 향하는 이너 필터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용수 여과기{WATER FILTER}
본 개시는 용수를 정화하기 위한 용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수경 시설이란 일반적으로 분수나 호수, 인공폭포 등이나 벽천, 생태연못, 저수지와 같이 용수를 이용하여 만든 시설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경시설이 설치됨에 따라 수경 시설에서 사용되는 용수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용수 여과기는 각종 이물질이 함유된 용수를 여과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연못, 호수, 댐, 저수지 등으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정수하는 것에 의해 물을 정화하는 일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68526호(2018년07월19일 공고)에 개시된 호소 정화장치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호소 정화장치는 마이크로필터, 활성탄필터, 모래 여과기, 나노 필터, 중공사막 필터, 역 삼투압 필터, 연수기, 활성탄 여과기 등이 적용되어 물에 포함된 입자를 여과시켜 처리수를 생성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호소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물에 포함된 입자를 제거하고,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기물, 독성 물질 등)을 산화 분해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68526호(2018년07월19일 공고)
본 실시예는 정수 영역이 최대화될 수 있고, 용수 정화능력이 높으며 컴팩트화가 가능한 용수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배관이 연결되는 제1 배관 연결부와, 상기 제1 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확관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관과 이격된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물이 출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와 상기 아우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확관부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의 외측으로 안내하고 일면이 상기 입구를 향하고 타면이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을 향하는 용수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에 수용되는 일단이 상기 용수 가이드를 향하며 타단이 상기 출구를 향하는 이너 필터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수 가이드의 일면은 상기 입구를 향해 볼록한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수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필터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필터의 통공은 상기 아우터 필터의 통공 보다 작은 용수 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필터와 상기 이너 필터 각각은 상기 축관부를 향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용수 가이드는 아우터 필터가 결합되는 아우터 가이드와, 아우터 가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이너 필터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수 가이드는 아우터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를 잇는 이너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수 여과기는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필터가 안착되는 제1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필터가 안착되는 제2 끼움부가 형성된 필터 시트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시트의 일면은 제2 케이스와 제3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차폐벽과,
상기 제1 끼움부와 제2끼움부 사이에 형성된 이너 차폐벽과, 상기 이너 필터에서 출수된 용수가 통과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관에 연결된 입구밸브와 상기 입구밸브(310)에 연결된 입구배관, 상기 입구배관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밸브, 상기 바이패스 밸브 및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된 제2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제2배관과 연결된 출구밸브(260)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관에는 드레인관이 돌출되고, 상기 드레인관에는 드레인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입구밸브와 출구밸브가 오픈일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드레인밸브는 클로즈되며, 상기 입구밸브와 출구밸브가 클로즈일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드레인밸브는 오픈되는 용수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용수 여과기는 제1배관이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부와, 상기 제1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확관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투시창(1252')과 제2케이스에 결합되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과 이격된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물이 출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와 공간에 수용되고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와 아우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확관부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의 외측으로 안내하고 일면이 상기 입구를 향하고 타면이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을 향하는 용수 가이드와 아우터 필터 내측에 수용되어 일단이 용수 가이드를 향하며 타단이 상기 출구를 향하는 이너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수 가이드는 아우터 필터가 결합되는 아우터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상기 이너 필터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 및 아우터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를 잇는 이너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수 여과기는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필터가 안착되는 제1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필터가 안착되는 제2 끼움부가 형성된 필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는 제1배관에 연결된 입구밸브와 입구밸브에 연결된 입구배관과
입구배관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배관과 제1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밸브와 바이패스밸브 및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된 제2바이패스 배관과 제2배관과 연결된 출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제1 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는 제1 케이스를 통과한 용수가 용수 가이드를 통과하므로, 용수를 필터링 하기위한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용수 가이드의 일면이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를 향해 볼록하므로,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를 손쉽게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용수 가이브와 아우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를 구비하여, 제1 케이스에서 유입되는 용수로부터 아우터 필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이너 필터의 통공이 아우터 필터의 통공보다 작으므로, 정수 과정에서 컴팩트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역세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이너 필터와 아우터 필터가 안착되는 끼움부를 제공하여 상기 필터들을 흔들리지 않게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는 제2 케이스와 제3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차폐벽과 제1 끼움부와 제2 끼움부 사이에 이너 차폐벽을 구비하여 제1 케이스에서 유입되는 용수가 모두 아우터 필터 및 이너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정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를 갖는 용수 시스템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수 가이드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필터 시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용수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용수 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례 일 뿐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개시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청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를 갖는 용수 시스템이 도시된 도를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용수 시스템은, 펌프(13) 및 용수 여과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3)와 용수 여과기(14)는 하우징(15)에 수용될 수 있고, 펌프(13)와 용수 여과기(14) 및 하우징(15)은 용수(W)에 잠기게 설치된 수처리 모듈로 기능할 수 있다.
펌프(13)는 용수(W)를 용수 여과기(14)로 펌핑할 수 있고, 용수 여과기(14)로 펌핑된 용수는 용수 여과기(14)를 통과하면서 정수될 수 있고, 용수 여과기(14)에서는 정수된 물이 출수될 수 있다.
용수 시스템은 용수 여과기(1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1)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11)는 펌프(13) 및 용수 여과기(14)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에는 전선(12)이 연결될 수 있고, 전선(12)는 펌프(13) 및 용수 여과기(14)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용수 시스템에는 용수 여과기(14)의 용수 여과기(14)의 역세 과정을 위한 용수가 통과하는 오수 배관(16)을 포함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를 제어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1)가 제어신호를 전선(12)을 통해 펌프(13) 및 용수 여과기(14)로 전송하면, 용수 여과기(14)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정수 또는 세척 과정을 수행하기 하여 용수 여과기(14)에 포함된 밸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1)는 정수를 위하여 용수 여과기(14)의 입구밸브(310, 도 2 참조)와 출구밸브(320, 도 2 참조)가 오픈되고, 바이패스밸브(300, 도 2 참조) 및 드레인 밸브(340, 도 2 참조)는 클로즈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용수 여과기(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1)는 용수 여과기(14)의 세척을 위하여 용수 여과기(14)의 입구밸브(310)와 출구밸브(320)가 클로즈일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330) 및 드레인밸브(340)가 오픈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용수 여과기(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용수 여과기(14)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용수 여과기(14)는 도 2를 참조하면, 서로 이격된 제1배관(210)과 제2배관(250)의 사이에서 제1배관(210)과 제2배관(25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배관(210)을 통과한 용수는 용수 여과기(14)를 통과하면서 정수될 수 있고, 용수 여과기(14)에서 정수된 용수는 제2배관(250)으로 출수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제1배관(210)과 제2배관(250)이 이격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제1배관(210)에 연결된 입구밸브(310)와, 입구밸브(310)에 연결된 입구배관(220)과, 입구배관(220)에 연결된 제1 바이패스 배관(230)과, 제1 바이패스 배관(230)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330)와 바이패스 밸브(330) 및 제2 배관(250)에 각각 연결된 제2 바이패스 배관(240)과 제2 배관(250)과 연결된 출구밸브(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관(210)에는 드레인관(2101)이 돌출되고, 드레인관(2101)에는 드레인밸브(340)가 연결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에 구비된 입구밸브(310), 출구밸브(320), 바이패스 밸브(330) 및 드레인 밸브(340)는 용수 여과기(14)가 컨트롤러(11)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Orifice)가 결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수 여과기(14)는 용수가 통과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잇다.
용수 여과기(14)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 및 제3 케이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제1배관(210)이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부(1102)와, 상기 제1배관 연결부(1102)에서 확장된 확관부(1101)를 가지고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160)를 형성할 수 있다.
확관부(1101)는 용수의 유동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제1배관(210)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수를 제2 케이스(120)로 전달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는 확관부(1101)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12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를 통과한 용수를 후술하는 아우터 필터(121)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아우터 필터(121) 및 이너 필터(122)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공간(1201)이 형성될 수 있고, 공간(1201)에는 제1 케이스(110)를 통과한 용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아우터 필터(121) 및 이너 필터(122)가 배치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된 용수 가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스(130)는 제2 케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케이스(130)에는 제2 케이스(120)에 결합되는 축관부(1301), 축관부(1301)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1배관(210)과 이격된 제2배관(250)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1302) 및 용수가 출수되는 출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축관부(1301)는 용수 유동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3 케이스(130)는 제2 케이스(120)에서 필터링 된 용수를 모아서 제2 배관(250)으로 전달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3 케이스(130)의 축관부(1301)의 크기는 제2 배관(250)의 크기와 알맞게 형성되어, 제2 케이스(120)로부터 유입되는 필터링 된 용수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3 케이스(130)의 축관부(1301)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 용수는 제2 배관(2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제1 케이스(110)의 제1배관 연결부(1102)에서 확장된 확관부(1101)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1101)는 제2 케이스(120)와 연결되므로 제2 케이스(120)의 내경은 제1 케이스(110)의 입구(16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3 케이스(130)는 제2 케이스(120)와 연결된 필터 시트 연결부(1303)에서 축소된 축관부(1301)을 가지므로, 제2 케이스(120)의 내경은 제3 케이스(130)의 출구(17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용수여과기가 도시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10)는 확관부(1101)에서 연장되어 제2 케이스(120)와 연결되는 제2 케이스 연결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10)는 제1 케이스(110)의 제2 케이스 연결부(1103)와 연결되는 제1 케이스 연결부(1202)를 구비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는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된 용수 가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수 가이드(140)의 일면은 제1 케이스(110)의 제2 케이스 연결부(1103)와 접촉되고, 용수 가이드(140)의 타면은 제2 케이스(120)의 제1케이스 연결부(1202)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공간(1201)이 형성될 수 있고, 공간(1201)에는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12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이란 비어 있는 공간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적용예에 따라 홀, 보이드 등으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아우터 필터(121)는 제1 케이스(110)의 확관부(1101)를 지나 제2 케이스(120)로 유입된 용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로써, 아우터 필터(121)의 중공 표면에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아우터 필터(121) 내측에 수용된 이너 필터(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필터(122)의 일단(1221)은 상기 용수 가이드(140)를 향할 수 있고, 이너 필터(122)의 타단(1222)은 출구(170)를 향할 수 있다.
이너 필터(122)는 아우터 필터(121)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용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로써, 이너 필터(122)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너 필터(122)는 아우터 필터(121)와 같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너 필터(122)에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필터(121)와 상기 이너 필터(122) 각각은 축관부(1301)를 향할 수 있다.
한편, 이너 필터(122)는 아우터 필터(121)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용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하게 되는데, 이때 아우터 필터(121)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용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은 아우터 필터(121)의 통공 크기보다 입자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너 필터(122)는 1차적으로 필터링 된 용수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하여 이너 필터(122)의 통공은 상기 아우터 필터(121)의 통공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용수 여과기(14)는 아우터 필터(121)에 결합된 용수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은 확관부(1101)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121)의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의 일면(145)은 입구(160)를 향할 수 있고, 용수 가이드(140)의 타면(146)은 아우터 필터(121)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는 제1 배관(210)으로부터 제1 케이스(110)으로 유입된 용수를 제2 케이스(120)의 내둘레와 아우터 필터(121)의 외둘레 사이로 가이드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는 용수가 이너 필터(122)를 향해 직접 유동되지 않게 막을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는 제2 케이스(120)로 유입된 용수와 아우터 필터(121)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용수 가이드(140)가 제1 케이스(110)으로 유입된 용수를 제2 케이스(120)로 가이드 할 때, 용수로 인해 용수 가이드(140)가 받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수 가이드(140)의 일면(145)은 상기 입구(160)를 향해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수 여과기(14)의 용수 가이드(140)는 상기 아우터 필터(121)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결합부(143)는 이너 필터(122)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용수 가이드(140)의 구성을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수 가이드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용수 가이드(140)는 아우터 필터(121)가 결합되는 아우터 가이드(141)와, 아우터 가이드(141)에서 돌출되고 제1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커넥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수 가이드(140)는 이너 필터(122)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용수 가이드(14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우터 커넥터(144)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를 연결할 수 있다. 아우터 커넥터(144)의 일면은 제1 케이스(110)와 접촉되고, 아우터 커넥터(144)의 타면은 제2 케이스와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커넥터(144) 내둘레면 중 일부분은 아우터 가이드(141)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 가이드(141)를 지지할 수 있다.
아우터 커넥터(144)의 내둘레면과 아우터 가이드(141)의 외둘레면 사이에는 용수가 유입될 수 있는 가이드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S1)은 제1 케이스(110)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제2 케이스(120)로 유동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제1 케이스(110)에서 유동된 용수가 제2 케이스(120)로 누수 없이 유동되기 위하여, 아우터 커넥터(144) 내둘레면의 직경(D1)은 아우터 가이드(141) 외둘레면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으며, 아우터 커넥터(144) 내둘레면의 직경(D1)은 제2 케이스 연결부(1103) 내둘레면의 직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가이드(141)는 입구(16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그 단면적이 입구(160)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141)의 외면(145)는 상기 언급하였던 용수 가이드(140)의 일면(145)일 수 있으며 아우터 가이드(141)의 외면(145)은 입구(160)를 통하여 유입되는 용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141)의 내면은 아우터 필터(121)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는 이너 필터(122)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42)는 아우터 필터(121)를 통과한 용수가 이너 필터(122)를 통과하지 않고 제3 케이스(13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42)는 단면적이 입구(160) 방향으로 감소하는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의 타면(146)은 이너 가이드(142)의 내면일 수 있으며 이너 가이드(142)는 용접으로 이너 필터(122)와 결합될 수 있다.
용수 가이드(140)는 상기 아우터 가이드(141)와 이너 가이드(142)를 잇는 이너 커넥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커넥터(143)는 이너 필터(122) 일단에 결합된 이너 가이드(142)가 일정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이너 커넥터(143)는 아우터 가이드(141)와 이너 가이드(142)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용수 가이드(140)는 이너 가이드(142)의 외둘레가 아우터 필터(121)의 내둘레에 접촉될 경우 아우터 필터에 의하여 이너 가이드(142)가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이너 커넥터(143) 없이 용수 가이드(140)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3에서 용수 여과기(14)의 나머지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용수 여과기(14)의 제2 케이스(120)는 제3 케이스(130)과 결합하기 위한 제3 케이스 연결부(1203)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케이스(130)는 제2 케이스(120)의 제3 케이스 연결부(1203)와 결합하기 위한 필터 시트 연결부(1303)을 구비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제2 케이스(120)와 제3 케이스(130) 사이에 배치된 필터 시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시트(150)는 제2 케이스(120)와 제3 케이스(130)를 연결할 수 있고, 제2 케이스(120) 공간(1201)에 수용된 아우터 필터(121)와 이너 필터(122)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 시트(150)는 제2 케이스(120)의 제3 케이스 연결부(1203)와 연결되고, 필터 시트(150)는 제3 케이스(130)의 필터 시트 연결부(1303)와 연결되므로 제2 케이스(120), 필터시트(150) 및 제3 케이스(130)는 결합될 수 있다. 이하 필터 시트(15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필터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필터 시트(150)는 제2 케이스(120)의 공간(1201)에 수용된 아우터 필터(12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우터 필터(121)가 안착되는 제1 끼움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시트(150)는 제2 케이스(120)의 공간(1201)에 수용된 이너 필터(12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너 필터(122)가 안착되는 제2 끼움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시트(150)의 일면은 제2케이스(120)와 제3케이스(130)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차폐벽(153)과 제1 끼움부(151)와 제2끼움부(152) 사이에 형성된 이너 차폐벽(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우터 차폐벽(153)과 이너 차폐벽(154)는 제2 케이스(120)로 유입된 용수가 아우터 필터(121)와 이너 필터(122)를 통과하지 않은 채, 제3 케이스(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의 필터 시트(150)는 제2 케이스(120)로 유입된 용수가 아우터 필터(121)를 통과하고, 2차적으로 이너 필터(122)를 통과하여 정화된 용수가 제3 케이스(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필터(122)에서 출수된 용수는 필터 시트(150)의 중공부(155)를 통과하여 제3 케이스(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 시트(150)의 중공부(155)에는 아우터 필터(121)와 이너 필터(122)를 통과한 용수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필터 시트(150)의 중공부(155)의 크기는 아우터 필터(121)과 결합되는 용수 가이드(140)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용수 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수 여과기(14)의 제2 케이스(120)는 이너 케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24)는 투명 재질일 수 있고, 내부에 상기 공간(1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24)는 폴리염화 비닐(PVC)로 이루어진 투명 플라스틱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용수 여과기(14)는 이너 케이스(124)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5)는 제1 케이스(110) 및 제3 케이스(130)와 동일 재질일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5)의 일측에는 개구부(125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너 케이스(124)와 아우터 케이스(12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2 케이스(120)를 구성할 수 있고, 제2케이스(120)는 아우터 케이스(125)에 배치되어 개구부(1251)를 개폐하는 도어(1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251)는 용수 여과기(14)의 이너 케이스(124)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아우터 케이스(125)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케이스(124)의 내부에는 공간(120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201)에는 용수가 지나갈 수 있다.
도어(1252)는 아우터 케이스(125)에 배치되어 개구부(1251)에 노출된 이너 케이스(124)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125)의 외주면에는 개구부(1251)를 개폐하는 도어(12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1253)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이너 케이스(124) 내부의 공간(1201)에 흐르는 용수를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아우터 케이스(125)는 스테인레스(STS)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8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용수 여과기가 도시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용수 여과기(14)를 구성하는 제2케이스(120')는 확관부(1101)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1201)이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개구부(125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케이스(120')는 개구부(1251)가 형성된 이외의 기타 구성이 본 발명 일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용수 여과기(14)는 제2케이스(120')의 개구부(1251)에 배치된 투시창(1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1252')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외부에서 투시창(1252')을 통해 제2케이스(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용수 시스템은 정수 모드와 세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 모드는 펌프(13)를 통하여 공급된 용수가 용수 여과기(14)를 지나 정화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세척 모드는 흔히 말하는 역세과정으로, 정수 모드의 동작에 따라 아우터 필터 및 이너 필터에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정수모드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개시의 용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1)는 정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용수 여과기(14)에 전송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컨트롤러(11)로부터 정수 모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입구밸브(310)와 출구밸브(320)를 열고, 바이패스 밸브(330)와 드레인 밸브(340)는 잠글 수 있다.
이후, 펌프(13)에 의하여 용수가 공급되면, 용수는 제1 배관(210)을 지나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로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제2 케이스(120)로 유입된 용수는 아우터 필터(121)와 이너 필터(122)에서 순차적으로 필터링된 후, 필터 시트(150)의 중공부(155)를 통과할 수 있다. 중공부(155)를 통과한 용수는 제3 케이스(130)와 제2 배관(250)을 지나 용수 여과기(14)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세척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의 용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1)는 세척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용수 여과기(14)에 전송할 수 있다.
용수 여과기(14)는 컨트롤러(11)로부터 세척 모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입구밸브(310)와 출구밸브(320)를 잠그고, 바이패스 밸브(330)와 드레인 밸브(340)를 열 수 있다.
펌프(13)에 의하여 용수가 공급되면, 용수는 입구밸브(310)가 잠겨 있으므로, 입구 배관(220)에서 제1 배관(210)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제1 바이패스 배관(230)으로 유입된다.
제1 바이패스 배관(230)으로 유입된 용수는 제2 바이패스 배관(240)을 지나 제 2 배관(250)으로 유입되고 용수는, 출구 밸브(320)가 잠겨 있으므로, 제3 케이스(130)로 유입된다.
제3 케이스(130)로 유입된 용수는 이너 필터(122)와 아우터 필터(121)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이너 필터(122) 및 아우터 필터(121)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오염물질을 제1 배관(210)으로 운반할 수 있다.
오염물질이 포함된 용수는 제1 배관(210)에 돌출되어 형성된 드레인관(2101)으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오수 배관(16)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210 : 제1 배관 1102 : 제1배관 연결부
1101 : 확관부 160 : 입구
110 : 제1 케이스 120 : 제2 케이스
130 : 제3 케이스 1301 : 축관부
250 : 제2 배관 1302 : 제2 배관 연결부
170 : 출구 121 : 아우터 필터
122 : 이너필터 140 : 용수 가이드

Claims (15)

  1. 제1배관이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부와, 상기 제1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확관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되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과 이격된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물이 출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3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와;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필터가 안착되는 제1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필터가 안착되는 제2 끼움부가 형성된 필터 시트;와
    상기 아우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확관부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의 외측으로 안내하고 일면이 상기 입구를 향하고 타면이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을 향하는 용수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용수 가이드를 향하며 타단이 상기 출구를 향하는 이너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필터가 결합되는 아우터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상기 이너 필터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를 잇는 이너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가이드의 일면은 상기 입구를 향해 볼록한 용수 여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필터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필터의 통공은 상기 아우터 필터의 통공 보다 작은 용수 과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필터와 상기 이너 필터 각각은 상기 축관부를 향하는 용수 여과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트의 일면은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차폐벽과,
    상기 제1 끼움부와 제2끼움부 사이에 형성된 이너 차폐벽과,
    상기 이너 필터에서 출수된 용수가 통과하는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에 연결된 입구밸브와;
    상기 입구밸브에 연결된 입구배관과;
    상기 입구배관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밸브와;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된 제2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2배관과 연결된 출구밸브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에는 드레인관이 돌출되고, 상기 드레인관에는 드레인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입구밸브와 상기 출구밸브가 오픈일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상기 드레인밸브는 클로즈되며,
    상기 입구밸브와 상기 출구밸브가 클로즈일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상기 드레인밸브는 오픈되는 용수 여과기.
  12. 제1배관이 연결되는 제1배관 연결부와, 상기 제1배관 연결부에서 확장된 확관부를 갖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확관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투시창과;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되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과 이격된 제2배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 연결부가 형성되고 물이 출수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3 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중공 형상을 갖는 아우터 필터와;
    상기 아우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확관부와 이격되어 물을 상기 아우터 필터의 외측으로 안내하고 일면이 상기 입구를 향하고 타면이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을 향하는 용수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필터 내측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용수 가이드를 향하며 타단이 상기 출구를 향하는 이너 필터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필터가 결합되는 아우터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가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아우터 커넥터와;
    상기 이너 필터가 결합되는 이너 가이드 및
    상기 아우터 가이드와 이너 가이드를 잇는 이너 커넥터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필터가 안착되는 제1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필터가 안착되는 제2 끼움부가 형성된 필터 시트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에 연결된 입구밸브와;
    상기 입구밸브에 연결된 입구배관과;
    상기 입구배관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1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밸브와;
    상기 바이패스밸브 및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된 제2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2배관과 연결된 출구밸브를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
KR1020200057864A 2020-05-14 2020-05-14 용수 여과기 KR10240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864A KR102403521B1 (ko) 2020-05-14 2020-05-14 용수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864A KR102403521B1 (ko) 2020-05-14 2020-05-14 용수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66A KR20210140966A (ko) 2021-11-23
KR102403521B1 true KR102403521B1 (ko) 2022-05-31

Family

ID=7869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864A KR102403521B1 (ko) 2020-05-14 2020-05-14 용수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150A (ja) * 2000-10-20 2002-06-21 Nelson Ind Inc フィルタ
JP2011183257A (ja) * 2010-03-05 2011-09-22 Conhira Co Ltd 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67B1 (ko) * 2012-10-10 2014-11-03 주식회사 지우 스팀여과용 증기필터 및 그 증기필터가 장착된 스팀여과기
KR101868526B1 (ko) 2017-11-27 2018-07-19 장명옥 호소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4150A (ja) * 2000-10-20 2002-06-21 Nelson Ind Inc フィルタ
JP2011183257A (ja) * 2010-03-05 2011-09-22 Conhira Co Ltd 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966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5181B1 (en) Self-cleaning fluid filter system
RU211937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истой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200487B1 (en) In-line, in-pool water purification system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US20070144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KR20080110724A (ko) 잉여 초여과 장치
KR20140053830A (ko)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JP3815645B2 (ja) 浸漬型平膜分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583005B1 (ko)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NZ587435A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by drawing through filtration membranes with pump providing a backwash to membranes actuated by treatment tank level
JP6383715B2 (ja) 水槽用フィルター
KR102403521B1 (ko) 용수 여과기
EP4154960A1 (en) Hybrid filter assembly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20180041517A (ko) 연속 자세식 스트레이너
JPH10216419A (ja) 汚水浄化装置
KR19990070114A (ko) 고투수성한외여과막모듈을이용한중앙정수시스템
WO2000027510A1 (en) Method for filtration with membrane
KR101444881B1 (ko) 수 처리 모듈용 밸브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190031973A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2459933B1 (ko)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
KR20180011277A (ko)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