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277A -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277A
KR20180011277A KR1020180000434A KR20180000434A KR20180011277A KR 20180011277 A KR20180011277 A KR 20180011277A KR 1020180000434 A KR1020180000434 A KR 1020180000434A KR 20180000434 A KR20180000434 A KR 20180000434A KR 20180011277 A KR20180011277 A KR 2018001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wastewater
storage unit
membrane fil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임대빈
Original Assignee
김영호
임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임대빈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8000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277A/ko
Publication of KR2018001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화 장치는 하폐수 저장부 및 정화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조, 상기 하폐수 저장부 내에 설치되는 여과부. 정화용 펌프 및 역세척용 펌프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는 적어도 하나의 망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용 펌프는, 정화 기능을 위해, 하폐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키고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정화수 저장부로 유출한다. 상기 세척용 펌프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역세척을 위해, 상기 정화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화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킨다.

Description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omitted}
본 발명은 하폐수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폐수 정화 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역세척 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효율적으로 하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 및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대두되는 문제 중 하나는 물 부족 현상이다. 물 부족은 절대적 수량이 부족한 경우뿐 아니라, 전체 수량 대비 상대적인 생활 용수가 부족한 경우도 포함하는데, 오염된 물의 무분별한 유출이 생활 용수의 부족의 큰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하폐수(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폐수’라는 용어는 하수, 오수, 폐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하에서 사용된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장에서 집수 및 처리하고 있다. 하폐수를 처리하여 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여과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인 방식이 있다.
전통적인 여과 기반 정화 방식은 하폐수를 자갈, 모래, 숯 등에 통과시키는 방식인데, 공극을 통해 하폐수 내의 오염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 여과 기반 정화 방식은 그 설비가 간편하여 적용이 용이하나, 정화 시간이 오래 걸려 그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여과 기반 정화 방식 중 다른 하나는 필터를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하폐수의 정화 속도가 빨라 효율성의 면에서 우수하며, 또한 필터의 성능이 자연물을 통한 여과 보다 높아 정화의 성능 면에서 우수하다. 다만, 필터를 통한 정화가 지속되다 보면 필터 자체의 성능이 저하되어 결국 정화 장치 전반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필터의 성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정화 장치 사용 중 필터를 세척함으로써 필터의 성능을 복구시킬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필터의 세척을 위해 별도의 용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정화 장치의 운용을 위해 별도의 용수가 공급될 것을 요구한다. 이 경우, 해당 정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범위가 협소해지기 때문에 정화 장치의 효용성이 저하되며, 세척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화 장치의 운용을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수원지로부터 용수를 끌어 세척용으로 활용할 경우 또다시 하폐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화 장치의 효율성 또한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터를 통한 하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보다 하폐수의 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세척 기능을 함께 지원하여 정화 장치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폐수 정화 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역세척 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하폐수 정화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화 장치는 하폐수 저장부 및 정화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조, 상기 하폐수 저장부 내에 설치되는 여과부. 정화용 펌프 및 역세척용 펌프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는 적어도 하나의 망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용 펌프는, 정화 기능을 위해, 하폐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키고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정화수 저장부로 유출한다. 상기 세척용 펌프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역세척을 위해, 상기 정화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화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킨다.
상기 정화용 펌프 및 상기 역세척용 펌프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단일 유입/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유입/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정화용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역세척용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T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Y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 및 상기 역세척용 펌프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특정 임계값 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세척용 펌프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역세척을 중단시키고 및 상기 정화용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정화 기능을 재개시킬 수 있다.
상기 하폐수 저장부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 동작 및 상기 역세척 동작을 통해 상기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슬러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슬러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저장부는 각 슬러지 배출구와 각기 연결될 수 있다.
정화 장치의 정화 기능 및 세척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정화 효율에 따라 제어부는 정화부의 역세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정화부에 의한 하폐수 정화 성능을 복구시킬 수 있으며 정화 장치에 의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를 통해 역세척 과정 중 정화부의 성능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복구되면 자동으로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화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정화, 세척 과정이 천이될 수 있어 운용이 간편하고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는 역세척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생활용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며,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물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폐수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보다 용이하게 활용 및 적용될 수 있다. 하폐수의 저장, 정화수의 저장이 단일 수조에 의해 지원되어 정화 및 역세척을 위해 별도의 장치 및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정화 장치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및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멤브레인 필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필터 및 펌프의 연결의 예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폐수 정화 장치(10)는 수조(100), 정화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0)는 하폐수 및/또는 정화수를 저장할 수 있는 챔버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조(100)는 하폐수 저장부(110) 및 정화수 저장부(120)로 그 기능 및 영역이 구분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하폐수 저장부(110) 및 정화수 저장부(120)는 내부 벽면을 통해 차단될 수 있다.
하폐수 저장부(110)에는 생활용수 또는 공업 용수가 사용된 후 오염된 하폐수가 정화되기 위해 유입된다. 하폐수 저장부(110)의 바닥면에는 정화 과정을 통해 걸러진 여과물 및/또는 슬러지를 유출시키기 위한 배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수 저장부(120)에는 하폐수 저장부(110)로 유입된 하폐수가 일련의 정화 과정을 거친 정화수가 유입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정화수 저장부(120)의 일 면에는 정화수 배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에 의하여 정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정화부(200)는 하폐수 저장부(110) 내에 위치하여 하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정화부(200)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망 필터 및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망 필터는 하폐수 저장부(110)의 양 측벽에 형성된 필터 고정부를 통해 하폐수 저장부(110)의 측벽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는 역시 상기 필터 고정부를 통해 하페수 저장부(110)의 측벽에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나, 하폐수 저장부(110) 내에 저장된 하폐수의 수위에 따라 그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화부(200)와 연결되어 정화 장치(10)의 정화 기능 및 세척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화부(200)에 의해 하폐수를 정화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정화부(200)를 세척하여 정화 기능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의 동작 및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폐수 저장부(110) 내에 정화부(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부(200)는 세 개의 망 필터(211, 212, 213) 및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망 필터의 개수 및 멤브레인 필터의 개수는 일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당 개수로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하폐수 저장부(110)의 양 측벽에는 복수의 필터 고정부(111)가 부착(형성)되어 있다. 망 필터(211, 212, 213) 및 멤브레인 필터(220)는 필터 고정부(11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정화용 펌프(310), 역세척용 펌프(320) 및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는 정화수 배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용 펌프(310)의 유입부는 멤브레인 필터의 유입/유출구와 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정화용 펌프(310)의 유출구는 정화수 저장부(120)로 정화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정화용 펌프(310)가 동작 중인 경우, 정화용 펌프(310)는 하폐수를 멤브레인 필터(220)의 유입/유출구 밖으로 흡입하도록 하는 강제력을 가한다. 이를 통해, 하폐수는 멤브레인 필터쪽 방향으로 인력을 받아 망 필터(211, 212, 213)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하폐수의 슬러지가 1차적으로 처리된다. 각 망필터의 공극의 크기는 다를 수 있으며, 멤브레인에 가까운 망 필터일수록 공극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망 필터를(211, 212, 213) 통해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슬러지를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며, 걸러진 슬러지는 하폐수 저장부의 바닥에 침전된다.
망 필터(211, 212, 213)를 모두 통과한 1차 처리된 하폐수는 멤브레인 필터(220) 내부로 흡입된다. 이 과정을 통해 하폐수는 최종적으로 정화되고, 하폐수 내의 슬러지들은 멤브레인 필터(220)를 통과하지 못하고 바닥에 침전된다. 정화용 펌프(310)의 흡입을 통해 정화된 물(정화수)은 정화수 저장부(120)로 유입된다.
멤브레인 필터(22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정화되는 과정에 있어서 슬러지가 멤브레인 필터(220)의 표면에 흡착되어 필터의 공극을 폐색 시키브로 정화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표면에 흡착된 슬러지는 정화용 펌프(310)의 흡입력에 의해 하폐수가 멤브레인 필터(220)를 통과하지 못하게 방해하고, 이는 하폐수 정화 기능의 효과를 저하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역세척용 펌프(320)를 통해 멤브레인 필터(220)를 세척할 수 있다.
역세척용 펌프(320)의 유입부는 정화수 배출부(330)와 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역세척용 펌프(320)의 유출부는 멤브레인 필터의 유입/유출구와 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역세척용 펌프(320)는 정화수 배출부(330)로부터 정화수를 공급받고 멤브레인 필터(220)의 유입/유출구로 유입 시킨다. 정화수 배출부(330)는 역세척용 펌프(320)로의 정화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밸브 및 정화수의 배출을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화 과정 또는 역세척 과정 진행 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정화수 배출부(330)로부터 공급된 정화수는 역세척용 튜브(320)에 의해 강제적으로 멤브레인 필터(220)의 유입/유출구로 유입되는데, 이를 통해 멤브레인 필터(220)의 역세척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멤브레인 필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역세척용 펌프(320)에 의해 유입된 정화수는 멤브레인 필터(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출되므로, 멤브레인 필터(220)의 외벽에 흡착되어 있는 슬러지가 분리되고, 분리된 슬러지는 하폐수 저장부의 바닥에 침전된다. 역세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멤브레인 필터(220)는 하폐수를 정화가 용이한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정화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서 하폐수의 정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부(300)에 의해 역세척 될 수 있다. 정화부(200)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는 정화수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정화수 배출부(330)에 의해서 생활 용수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화수 배출부(330)에 의해 정화부(200)의 역세척 용도로 정화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정화 및 역세척을 위한 멤브레인 필터(220), 정화용 펌프(310), 및 역세척용 펌프(320)간 연결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필터 및 펌프의 연결의 예시 도면이다.
멤브레인 필터(220)는 정화 과정시 정화수의 유출 및 역세척 과정시 정화수의 유입을 위한 단일 유입/유출구(221)를 가질 수 있다. 단일 유입/유출구는 정화 과정을 위한 정화용 펌프 및 역세척 과정을 위한 역세척용 펌프와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멤브레인 필터(220)의 유입/유출구(221)는 커넥터(40)를 통해 두 가지 종류의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40)의 제1 연결부(41)는 유입/유출구(221)와 연결되고, 제2 연결부(42)는 정화용 펌프(310)와 튜브를 통해 연결되고, 및 제3 연결부(43)는 역세척용 펌프(320)와 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40)를 통해 정화 및 역세척시 독자적으로 정화수가 멤브레인 필터(220)로부터 유출되거나 또는 멤브레인 필터(220)로 정화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정화 및 역세척 과정의 독립적 진행을 위해, 제2 연결부(42)-정화 펌프(310)를 연결하는 튜브 사이 및 제3 연결부(43)-역세척 펌프(320)를 연결하는 튜브 사이에 각기 차단 밸브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 있어서, 커넥터는 Y자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터는 1 to 2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예를 들어 T자 타입) 구조라면 본 발명의 정화 및 역세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한 정화 및 역세척 과정은 정화 장치 운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정화 및 역세척을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세척이 어느 수준 이상 완료되면 제어부는 역세척 동작에서 정화 동작으로 동작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멤브레인 필터(220) 및 역세척 펌프(320) 사이의 수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세척 과정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슬러지의 흡착으로 인해 유입/유출구(221)로 강제 주입된 정화수가 필터(220)의 외벽으로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에 필터(220) 및 역세척 펌프(320)간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역세척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슬러지가 분리되면 강제 주입된 정화수는 원활하게 필터(220)의 외벽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220) 및 역세척 펌프(320)간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특정 임계값 보다 낮으면 역세척 과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역세척 펌프(3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정화 펌프(310)를 다시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역세척 과정을 위해 개방했던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폐쇄시키고, 정화 과정을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의 동작을 통해 역세척 동작으로부터 정화 동작으로 자동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정화부(200)에 의한 정화 과정 및 역세척 과정 중에 하폐수 저장부의 바닥에 슬러지가 침전될 수 있다. 침전된 슬러지의 처리를 위해서 정화 장치(10)는 슬러지 저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저장부(400)는 수조(100) 아래에 설치되어 슬러지 배출구(111a, 111b, 111c)로부터 이송되는 슬러지를 유입 받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슬러지 저장부(400)는 내부적으로 독립적인 하나 이상의 저장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예시에서 슬러지 저장부(400)는 3개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각 공간은 각 슬러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망 필터(211, 212, 213)의 공극이 다르다면, 각 슬러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입자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 저장부(400)의 각 저장 공간에는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슬러지들이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정화 과정 진행 중 하폐수 저장부(110)의 하폐수 수위를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화 장치(10)는 하폐수 수위 확인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폐수 수위 확인부(113)는 하폐수 저장부(110)의 외벽에 형성되며, 하폐수 저장부(110)의 일 측벽의 하폐수 유출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폐수 수위 확인부(113)는 투명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폐수 저장부(110)의 수위만큼 유출구를 통해 투명관에 하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화 장치의 운용자는 현재 유입된 하폐수의 양을 정화 장치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폐수 수위 확인부와 유사하게, 정화 장치(10)는 정화수 수위 확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수 수위 확인부는 정화수 배출부(330)와 연결된 투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수 저장부(120)의 수위만큼 정화수 배출부(330)를 통해 투명관에 정화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화 장치의 운용자는 현재 정화된 정화수의 양을 정화 장치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에 따르면, 제어부(300)에 의하여 정화부(200)에 의한 하폐수 정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정화 효율에 따라 제어부(300)는 정화부(200)의 역세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정화부(200)에 의한 하폐수 정화 기능을 복구시킬 수 있다. 정화 과정을 통해 저하된 정화 기능을 주기적으로 복구시켜, 장치에 의한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역세척 과정 중 정화부(200)의 성능 복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복구되면 자동으로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화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정화 ? 세척 과정이 천이될 수 있어 운용이 간편하고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는 역세척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생활용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며,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된 물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폐수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보다 용이하게 활용 및 적용될 수 있다. 하폐수의 저장, 정화수의 저장이 단일 수조에 의해 지원되어 정화 및 역세척을 위해 별도의 장치 및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정화 장치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및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는,
    하폐수 저장부 및 정화수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조;
    상기 하폐수 저장부 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망 필터 및 적어도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정화용 펌프 및 역세척용 펌프;
    상기 정화 장치를 제어하고, 역세척 과정 중 정화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복구되면 자동으로 정화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정화 과정 중 상기 하폐수 저장부의 수위를 확인하는 하폐수 수위 확인부;및
    상기 정화수 저장부의 수위만큼 투명관에 정화수가 유입되어 외부에서 정화된 정화수의 양을 확인하는 정화수 수위 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폐수 수위 확인부는 투명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폐수 저장부의 수위만큼 유출구를 통해 상기 투명관에 하폐수가 유입됨으로써 외부에서 현재 유입된 하폐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화용 펌프는, 정화 기능을 위해, 하폐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키고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정화수를 상기 정화수 저장부로 유출하고, 및
    상기 역세척용 펌프는, 유입부가 정화수 공급과 차단 및 정화수의 배출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되는 정화수 배출부와 튜브를 통해 연결되며, 유출부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유입/유출구와 튜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역세척을 위해 상기 정화수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화수를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유입시키며,
    상기 정화용 펌프 및 상기 역세척용 펌프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단일 유입/유출구에 연결되되,
    상기 커넥터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유입/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정화용 펌프와 연결되고, 및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역세척용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 및 상기 역세척용 펌프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세척용 펌프의 구동을 중단시켜 상기 역세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정화용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정화 기능을 재개시키고,
    상기 정화수 배출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정화 과정 또는 역세척 과정 진행 여부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며, 상기 정화수 배출부로부터 공급된 정화수는 상기 역세척용 튜브에 의해 강제적으로 멤브레인 필터의 유입/유출구로 유입되어 역세척 과정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커넥터는 두 가지 종류의 펌프와 연결할 수 있도록 1 to 2 연결을 지원하는 형태로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와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의 간격은 120°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와 상기 제 3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의 간격은 120°보다 작고,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와 상기 제 3 연결부와 연결된 커넥터의 입구는 12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의 직경은 제 2 연결부의 직경 및 제 3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폐수 저장부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정화 동작 및 상기 역세척 동작을 통해 상기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켜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 저장부는 공극이 상이한 망필터가 장착된 3개의 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되는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상기 3개의 공간으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장치.
KR1020180000434A 2018-01-02 2018-01-02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11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34A KR20180011277A (ko) 2018-01-02 2018-01-02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34A KR20180011277A (ko) 2018-01-02 2018-01-02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27 Division 2016-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77A true KR20180011277A (ko) 2018-01-31

Family

ID=6108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434A KR20180011277A (ko) 2018-01-02 2018-01-02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32A (ko) 2020-12-11 2022-06-20 (주)대일이앤지 역세척 폐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32A (ko) 2020-12-11 2022-06-20 (주)대일이앤지 역세척 폐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899B1 (ko) 여과와 역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WO2007105851A1 (en) Water-treatment apparatus using membrane module submerged at inside of fiber filter
CN111565824A (zh) 用于处理商业和工业洗衣废水的方法和装置
KR20090028737A (ko) 유입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 반응조 및 막 여과 모듈을포함하는 장치
EP3423418A1 (en)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CN111228866A (zh) 一种在线自清洗介质过滤装置
US20060272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ter filter backflush
KR101285291B1 (ko)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KR101446273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80011277A (ko)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08439A (ja) 膜分離式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分離膜の洗浄方法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JP3623076B2 (ja) 給水装置
KR102157164B1 (ko) 침지형 분리막 여과와 역세 및 약품 침지세정 동시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64673B1 (ja) 濾過システム
JP2002066211A (ja) 吸着ろ過槽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WO2007076611A1 (en) Sand filte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US20040026343A1 (en) Filter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807564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KR200395995Y1 (ko) 사이폰 원리를 이용한 역세정 방식의 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