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04Y1 -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04Y1
KR200383104Y1 KR20-2005-0003073U KR20050003073U KR200383104Y1 KR 200383104 Y1 KR200383104 Y1 KR 200383104Y1 KR 20050003073 U KR20050003073 U KR 20050003073U KR 200383104 Y1 KR200383104 Y1 KR 200383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line
filtration
pipe line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득
Original Assignee
김용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득 filed Critical 김용득
Priority to KR20-2005-0003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비와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며, 역세척시에 여재의 유출로 인한 여재의 낭비 및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재(4)가 충전되는 여과조(2)와, 해수가 공급되며 개폐밸브(V3)가 구비되어 여과조(2)의 상부로 연통되는 관로(L1)와, 여과조(2)의 하부에 연통되는 관로(L2)와, 개폐밸브(V2)를 거쳐서 상기 관로(L2)에 연결되며 양식수조로 연결되는 관로(L3)와, 상기 관로(L1)의 개폐밸브(V3) 후단에서 여과조(2)의 유입구와 분기되며 개폐밸브(V4)가 구비되며 외부로 연통되는 관로(L4)와, 관로(L1)와 관로(L2) 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1)가 구비되는 관로(L5)와, 관로(L2)와 관로(L4)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5)가 구비된 관로(L6)와, 상기 관로(L5) 상에서 개폐밸브(V1)에 인접설치되는 수동조작 유량제어밸브(V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Filter system for aquatic culture}
본 고안은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여 병설된 다수의 여과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제작비와 유지관리비가 절감되며, 역세척시에 여재의 유출로 인한 여재의 낭비 및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산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양식기술의 확산에 따라 바닷물을 끌여들여서 수생식물을 양식하는 양식장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닷물을 이용하여 수생식물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바다 속으로 연장되는 취수관을 부설하고 이 취수관을 통해 유입된 바닷물을 여과장치를 거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처리한 후에, 이를 고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양식수조로 공급하여 수생식물을 양식하게 된다. 또한, 양식수조에서 사용되어 먹이나 각종 약품 또는 배설물로 오염된 물은 여과장치, 생물학적 처리조 및 자외선 살균조를 거치면서 정화시켜서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방류된다. 그리고, 양식장용 여과장치로서는 여과조에 여재로서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유지관리비용이나 친환경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여과장치는 장시간의 여과작용을 통해 여재 내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물을 역방향으로 순환시켜서 여재로부터 이물질을 탈락시켜서 배출하는 역세척이 필요하며, 이러한 역세척 후에는 역세척시에 떠올라 잔류하는 이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세척수를 순방향으로 흘려보내는 린스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여과시스템은 여과조에 연결되는 급배수라인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제어하여 해수의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전술한 여과, 역세척 및 린스과정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자동제어가 가능한 유량조절밸브는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중에 고장 등으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가 높아 유지보수에 수고와 비용이 소요되며, 더욱이 이러한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고가의 콘트롤러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급수배수라인에 설치되는 밸브는 통상 개폐기능만 구비된 저렴하고 간단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여과조로 공급되는 유량의 조절이 곤란하였다.
그런데, 역세척시에는 고압의 세척수가 다량 역방향으로 유입되므로 여과조로부터 여재가 대량으로 유실되어, 여재의 낭비 및 및 여과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아울러, 필요 이상의 역세척수가 흐르게 되어 에너지낭비를 초래하였다. 또한, 하나의 펌프로 서로 다른 용량의 여과조에 물을 펌핑하는 경우에는 개개의 여과조의 용량에 따른 유량조절이 곤란하여 부득이 개개의 여과조(2)마다 별도의 펌프가 구비되었는데, 시설의 증설시에 개개의 여과조(2)마다 별도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은 제작코스트를 상승시키며, 여과조마다 개개의 펌프를 개폐작동시켜야 하므로 그만큼 유지관리에 많은 노력이 들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식장용 여과장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하나의 펌프로 다수의 여과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여과조의 역세척시에 여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여재의 손실과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재(4)가 충전되는 여과조(2)와, 해수가 공급되며 개폐밸브(V3)가 구비되어 여과조(2)의 상부로 연통되는 관로(L1)와, 여과조(2)의 하부에 연통되는 관로(L2)와, 개폐밸브(V2)를 거쳐서 상기 관로(L2)에 연결되며 양식수조로 연결되는 관로(L3)와, 상기 관로(L1)의 개폐밸브(V3) 후단에서 여과조(2)의 유입구와 분기되며 개폐밸브(V4)가 구비되며 외부로 연통되는 관로(L4)와, 관로(L1)와 관로(L2) 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1)가 구비되는 관로(L5)와, 관로(L2)와 관로(L4)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5)가 구비된 관로(L6)와, 상기 관로(L5) 상에서 개폐밸브(V1)에 인접설치되는 수동조작 유량제어밸브(V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여과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며, 도 2는 이러한 여과장치가 다수개 병렬설치된 전체 여과시스템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 등의 여재(4)가 충전된 여과조(2)에는 여과시킬 해수이나 순환수가 공급되는 관로(L1)과 개폐밸브(V3)를 거쳐서 여과조(2)의 상부 외측에서 여과조(2) 내부로 연통되고, 여과조(2)를 거쳐서 여과작용을 마친 처리수는 여과조(2) 저면에서 나오는 관로(L2) 및 개폐밸브(V2)를 거쳐 이에 연결된 관로(L3)를 통해 양식수조로 공급된다. 한편, 관로(L1)의 개폐밸브(V3)의 후단에서 여과조(2)의 유입구와 분기되는 관로(L4)에는 개폐밸브(V4)가 구비되며, 역세척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관로(L1)와 관로(L2) 사이에는 또 다른 관로(L5)가 연결되며, 이 관로(L5) 상에는 개폐밸브(V1)와 유량제어밸브(V6)가 직렬로 구비된다. 그리고, 관로(L2)와 관로(L4) 사이에는 개폐밸브(V5)가 구비된 관로(L6)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수를 취수하는 취수관(L10)에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펌프(10)가 연결되며, 이 펌프(10)의 후단에는 공급관(L11)이 접속되고, 이 공급관(L11)에는 병설된 다수의 여과조(2)로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관로(L1)가 분기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여과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관로(L3)는 집수관(L14)에 연결되어, 고가수조(5)에 수집된 후, 급수관(L16)을 통해 다수의 양식수조가 다수 수용되는 하우스(6)로 공급된다. 번호 L12는 비상시에 사용되는 보조취수관이고, 번호 12는 보조펌프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해수의 여과시에는 개폐밸브(V3,V2)가 열려서 해수 또는 양식수조로부터 순환된 순환수가 관로(L1)을 통해 여과조(2)의 상부로 유입되어 여재(4)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관로(L2)를 통해 도시안된 양식수조로 공급된다. 한편, 장시간의 여과작동을 통해 여재(4)에 이물질이 축적된 경우에는 역세척을 요하는데, 이 경우에 개폐밸브(V1,V4)는 완전히 개방시키고, 유량제어밸브(V6)는 상대적으로 큰 펌프(10)의 용량과 여과조(2)의 용량을 감안하여 적절한 유량을 얻도록 개방도를 설정하여 역세척시에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면, 펌프(10)에 의해 관로(L1)를 통해 공급된 해수 또는 순환수가 유량제어밸브(V6)에 의해 그 유량이 조절되어 관로(L5)와 관로(L2)를 거쳐 여과조(2)의 하부로 유입되어 여과조 내에서 상승하면서 여재(4)에 축적된 이물질을 탈락시키고, 역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밸브(V4)를 거쳐 관로(L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이와같이 유량제어밸브(V6)에 의해 필요한 양 만큼의 역세척수가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
한편, 역세척 후에는 여과조(2)의 여재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부유되므로 이를 행구기 위한 린스작동이 필요한데, 이러한 린스작동시에는 밸브(V3,V5)가 열려서, 관로(L1)를 통해 여과조(2)의 상부로 해수 또는 순환수를 공급하여 행구고, 행구어진 물은 관로(L6)와 밸브(V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역세척수가 공급되는 관로(L5)상에 개폐밸브(V1)와 별도로 유량제어밸브(V6)를 설치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펌프(10)에 의해 고압의 물이 대량으로 펌핑되더라도, 개개의 여과조(2)의 용량에 적합하게 유량제어밸브(V6)를 설정함으로써, 과도한 역세척수가 흘러서여재(4)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역세척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개개의 여과조(2)에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펌프(10) 하나를 이용하여 다수개 병설된 여과조(2)에 급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비가 감소되고, 하나의 대용량 펌프로 서로 다른 용량의 여과조(2)에 대한 최적화된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여과 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위 여과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여과조 4. 여재
L1∼L6. 관로 V1∼V6. 밸브

Claims (1)

  1. 여재(4)가 충전되는 여과조(2)와, 해수가 공급되며 개폐밸브(V3)가 구비되어 여과조(2)의 상부로 연통되는 관로(L1)와, 여과조(2)의 하부에 연통되는 관로(L2)와, 개폐밸브(V2)를 거쳐서 상기 관로(L2)에 연결되며 양식수조로 연결되는 관로(L3)와, 상기 관로(L1)의 개폐밸브(V3) 후단에서 여과조(2)의 유입구와 분기되며 개폐밸브(V4)가 구비되며 외부로 연통되는 관로(L4)와, 관로(L1)와 관로(L2) 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1)가 구비되는 관로(L5)와, 관로(L2)와 관로(L4)사이에 연결되며 개폐밸브(V5)가 구비된 관로(L6)와, 상기 관로(L5) 상에서 개폐밸브(V1)에 인접설치되는 수동조작 유량제어밸브(V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KR20-2005-0003073U 2005-02-01 2005-02-01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KR200383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73U KR200383104Y1 (ko) 2005-02-01 2005-02-01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73U KR200383104Y1 (ko) 2005-02-01 2005-02-01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04Y1 true KR200383104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73U KR200383104Y1 (ko) 2005-02-01 2005-02-01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2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양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1380A (ko) 2020-09-25 2022-04-01 유한회사 대진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2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양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45794B1 (ko) * 2019-11-27 2022-09-22 주식회사 제이제이앤컴퍼니스 양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1380A (ko) 2020-09-25 2022-04-01 유한회사 대진 육상 양식장용 해수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16458A (ja) フィルタモジュール用ドレイン/洗い流しシーケンス及びシステム
KR102505704B1 (ko) 노후 유수식 양식장을 이용하여 유수식과 순환여과식 양식장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양식시스템
US20110042311A1 (en) Membrane system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KR20090116023A (ko) 수족관의 수질 여과장치
CN104140172A (zh) 一种海水淡化预处理方法
KR20100033109A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30128866A (ko) 가압형 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KR20190141944A (ko)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N201768411U (zh) 上流式反洗悬浮滤材连续过滤装置
CN211486826U (zh) 一种降低反冲洗水耗的净水过滤系统
KR100957825B1 (ko) 외부 순환식 멤브레인을 이용한 중수 및 빗물 처리 시스템
KR102157164B1 (ko) 침지형 분리막 여과와 역세 및 약품 침지세정 동시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7649B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JPH08229362A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JP2624505B2 (ja) 気水洗浄型関放無弁式濾過装置
CN201768410U (zh) 上流式动态反洗悬浮滤材连续过滤装置
KR200425783Y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CN211885749U (zh) 一种污水过滤处理装置
CN105986433A (zh) 洗衣机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200384920Y1 (ko) 호소수용 취수 및 정수 장치의 자동화시스템
CN109157884A (zh) 一种电镀液过滤装置、冲洗方法和系统
KR20180011277A (ko)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9580B1 (ko) 다단계식 운하 수질개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갑문식운하의 선박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