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944A -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944A
KR20190141944A KR1020180068793A KR20180068793A KR20190141944A KR 20190141944 A KR20190141944 A KR 20190141944A KR 1020180068793 A KR1020180068793 A KR 1020180068793A KR 20180068793 A KR20180068793 A KR 20180068793A KR 20190141944 A KR20190141944 A KR 2019014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ll
clean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679B1 (ko
Inventor
성유경
성현찬
Original Assignee
성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유경 filed Critical 성유경
Priority to KR102018006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6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가나, 축사, 세차장 등지에 배치되어 지하수 등에 포함된 철분, 석회,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활용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된 필터층을 안정되게 세정하여 지속적인 여과효율이 갖도록 한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수를 필터층에 투과시켜 중공부 내로 유입하는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를 수납하며, 수납된 중공필터의 외측으로 공급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급수하는 원수 급수구와, 중공필터의 필터층을 투과한 정수를 배수하는 정수 배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와; 원수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관을 통해 필터부의 필터 하우징 내에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외벽을 세정하는 외부 세정유닛과, 상기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내벽을 세정(역세정)하는 내부 세정유닛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Water purifying system having Filter clean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나, 축사, 세차장 등지에 배치되어 지하수 등에 포함된 철분, 석회,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활용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이물질에 의해 막힘이 발생된 필터층을 안정되게 세정하여 지속적인 여과효율이 갖도록 한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농업과정에서 작물의 양호한 성장과 재배를 목적으로 강이나, 도랑, 하천, 못, 농수로 또는 기타 고인 물, 지하수 등의 농업용수를 퍼 올려 작물에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한 농업용수는 흙탕물인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각종 먼지나 특히 일정한 굵기의 모래 알갱이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오염상태의 용수를 그대로 펌핑 사용하게 되면, 특히 점적 재배용 물 공급노즐이나 스프링클러노즐, 농약 분무노즐, 기타 물 분사노즐 등에 모래알갱이가 막혀 불편하거나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물을 다량 사용하는 세차장 등지에서는 한번 사용한 물을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수로 버리지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최근에는 용수 배관라인 일단에 슬러지를 적절히 여과할 수 있는 정수 시스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종래의 정수 시스템은, 필터 하우징 내에 중공필터가 내설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원수를 공급하여 중공필터의 필터층의 외벽에서 내벽으로 원수를 투과되도록 하는 급수 펌프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중공필터의 필터층은 반복적인 원수의 여과과정에 다량의 이물질이 잔류하고,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 필터층의 막힘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필터층의 막힘이 발생되면 원수의 투과효율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정수 시스템의 성능의 저하를 야기하게 되며, 이에 당분야에서는 상기 중공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중공필터를 필터 하우징에서 취출하여 세척을 통해 필터층의 막힘을 해소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필터층의 막힘의 발생시 중공필터를 교체하면 유기비용이 증가하고, 또 중공필터를 필터 하우징에서 취출하여 세척하는 것 또한 시간과 노동이 요구되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중공필터의 내부에서 외부로 세척하는 것은 작업상의 어려움이 야기되고, 또 세척주기를 놓치게 되면 세척을 통한 필터층의 막힘을 해소하기 어려운 관계로, 중공필터의 교체가 요구된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주기적으로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필터층을 효율적으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 세정구조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66177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3628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051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0519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필터층의 외벽과 내벽에 잔류된 이물질을 안정되게 제거하여, 필터층의 여과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은,
원수를 필터층에 투과시켜 중공부 내로 유입하는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를 수납하며, 수납된 중공필터의 외측으로 공급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급수하는 원수 급수구와, 중공필터의 필터층을 투과한 정수를 배수하는 정수 배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와;
원수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관을 통해 필터부의 필터 하우징 내에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외벽을 세정하는 외부 세정유닛과, 상기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내벽을 세정(역세정)하는 내부 세정유닛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세정유닛은 필터 하우징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외부 세정관과 연결되며,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을 갖는 회동 연결체와; 상기 각 노즐관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정노즐은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노즐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세정유닛은 필터 하우징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내부 세정관과 연결되며,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을 갖는 회동 연결체와; 상기 각 노즐관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정노즐은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노즐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세정관에는 내부 세정관을 통해 내부 세정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이 연통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배수관에는 정수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 저수조와 급수펌프의 유입구 사이에는 정수 재순환관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세정유닛을 통한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 세정시, 정수 저장조에 저장된 정수가 내부 순환하면서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터층의 외경면과 필터의 내경면을 포함하는 필터층의 양면을 세정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형성하여, 필터층의 양면 세정을 통해 필터층에 잔류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제거하여 중공필터의 지속적인 여과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정구조를 구성하는 외벽 세정유닛과 내벽 세정유닛은, 전동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층의 내벽과 외벽을 각각 세정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또 필터층의 고른 세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공필터 필터층의 외벽 세정과정에 과다한 정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정수를 내부 순환하거나, 원수를 통해 중공필터 필터층을 세정함으로써, 중공필터 필터층의 내벽과 외벽의 세정과정에 불필요한 정수의 소모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한다.
특히, 중공필터 필터층의 내부 세정(역세정)과정에서는 정수가 내부 순환하여 필터층의 내부 세정을 도모하므로, 정수의 소모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의 외벽 세정을 도모하는 외부 세정유닛과, 중공필터의 내벽 세정을 도모하는 내부 세정유닛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외부 세척유닛과 내부 세척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 세정상태와 필터층 내벽 세정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의 외벽 세정을 도모하는 외부 세정유닛과, 중공필터의 내벽 세정을 도모하는 내부 세정유닛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외부 세척유닛과 내부 세척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에 있어,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 세정상태와 필터층 내벽 세정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1)은, 도 1과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수를 급수하는 급수펌프부(20)와; 상기 급수 펌프부(20)를 통해 급수되는 원수를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에 투과시켜 이물질이 제거된 원수인, 정수를 배출하는 필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는, 원수를 필터층(12)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투과시켜 필터층(12)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정수를 중공부 내로 유입하는 중공필터(11)와; 수납공간 내에 중공필터(11)를 수납하며 중공필터(11)의 외측공간에 급수되는 원수의 급수경로인 원수 급수구(13a)와, 중공필터(11)의 중공부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배수경로인 정수 배수구(13b)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펌프부(20)는 원수가 급수되는 원수관(21)과, 상기 원수관(21)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관(23)을 통해 필터부(10)의 필터 하우징(13) 내에 급수하는 급수펌프(22)를 포함하여, 급수펌프(22)의 펌핑작용에 의해 원수관(21)을 따라 유입된 원수는 공급관(23)을 따라 필터 하우징(13) 내에 강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이 급수 펌프부(20)의 급수작용에 의해 필터 하우징(13) 내로 급수된 원수는, 필터 하우징(13) 내에 배치된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을 외벽에서 내벽방향으로 투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필터층(12)을 투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정수는 중공필터(11)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여 정수 배수관(15)과 연결된 정수 배수구(13b)를 통해 배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수의 반복적인 여과에 의해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발생된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을 신속하게 세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새로이 부가하여, 부가된 필터 세정구조에 의한 필터층(12)의 주기적인 세정을 통해서 중공필터(11)의 지속적인 여과 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필터 세정구조는,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외벽과 내벽을 포함하는 필터층(12) 양면을 각각 세정하여, 필터층(12)에 잔류된 이물질의 보다 안정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필터(11)의 외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외벽을 세정하는 외부 세정유닛(30)과, 상기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내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내벽을 세정하는 내부 세정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에 의해 토출되는 세정수는, 원수, 또는 정수를 포함하며, 별도의 펌핑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펌프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와 정수를 세정수로 활용한 것을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층(12)의 양면 세정을 도모하는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을 회동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세정유닛(30, 40)들은 필터층(12)의 외벽, 또는 내벽을 선회하면서 필터층(12)의 고른 세정을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세정유닛(30, 40)들은 전동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모터 등의 구동원 없이 수압에 의해 자가 회전하면서 중공필터의 필터층의 외벽과 내벽을 고르게 세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와 함께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세정유닛(30)을 필터 하우징(13)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중공필터(11)의 외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32)을 갖는 회동 연결체(31)와; 상기 각 노즐관(42)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11)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연결체(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세정유닛(40)은 필터 하우징(11)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내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42)을 갖는 회동 연결체(41)와; 상기 각 노즐관(42)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11)의 내벽에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11)의 내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연결체(4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43)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유닛(30, 40)을 구성하는 회동 연결체(31, 41)는 세정관(34, 44)과 연통된 상태를 형성하면서 회동이 가능한 회동 커플링이나, 회동 니플, 또는 회동 커플링 등의 회동 연결구가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을 구성하는 각 회동 연결체(31, 41)에 복수의 세정노즐(33, 43)이 마련된 2개 이상의 노즐관(32, 42)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노즐관(32, 42)에는 별도 제작된 세정노즐을 조립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관(32, 42))을 국부적으로 절개하여 노즐관(32, 42) 자체에 세정노즐(33, 43)을 절개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3)과 연결된 원수 급수구(13a)에는 배수용 밸브(V4)가 마련된 배수관(14)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에 의한 필터층(12)의 세정을 마친 오수는 배수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노즐관(32, 42)에 형성된 세정노즐(33, 43)이 세정수를 마주하는 필터층의 외벽, 또는 내벽에 직교되게 토출하지 아니하고, 필터층(12)의 외벽, 또는 내벽에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노즐관(32, 42)을 포함하여 구성된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의 회동 연결체(31, 41)은 도 5와 도 6과 같이 세정노즐(33, 43)과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사이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외벽과 내벽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층(12)의 내벽, 또는 외벽을 내접된 상태로 선회하면서 고르게 세정한다.
즉, 상기 외부 세정유닛(30)은 급수 펌프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각 노즐관(32)에 형성된 세정노즐(33)들을 통해 타측방향으로 토출하여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면서, 마주하는 중공필터(11) 필터층(12) 외벽을 고르게 세정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세정유닛(40)은 급수 펌프부(2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각 노즐관(42)에 형성된 세정노즐(43)들을 통해 타측방향으로 토출하여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외부 세정유닛(40)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하면서, 중공필터(11) 필터층(12) 내벽을 고르게 세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급수 펌프부(20)를 개량하여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외벽 세정과정에는 정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원수를 통해 필터층(12)의 외벽 세정을 도모하고, 필터층(12)의 내벽 세척시는 정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를 내부 순환시켜 필터층(12)의 내벽 세척시 정수의 소모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펌프(22)의 급수구(21a)에, 외부 세정유닛(30)의 외부 세정관(34)과, 내부 세정유닛(40)의 내부 세정관(44), 및 필터 하우징(13)의 원수 급수구(13a)와 연통하는 공급관(23)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세정관(44)에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45)을 연통되게 배치한다.
또한, 상기 외부 세정관(34)과 내부 세정관(44), 및 공급관(23)에는 원수 공급용 밸브(V1)와, 외부 세정용 밸브(V2)와, 내부 세정용 밸브(V3)를 배치하여, 상기 각 밸브들의 선택적인 개폐작용에 의해 급수펌프(22)는 외부 세정유닛(30)과, 내부 세정유닛(40), 및 필터 하우징(13)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한다.
즉, 상기 중공필터(11)를 통한 원수의 여과과정에서는 외부 세정용 밸브(V2)와 내부 세정용 밸브(V3)는 차폐되고 원수 공급용 밸브(V1)는 개방되어, 급수펌프(22)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필터 하우징(13) 내에 급수되어 중공필터(11)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필터(11)의 외벽 세정시에는 원수 공급용 밸브(V1)와 내부 세정용 밸브(V3)는 차폐되고 외부 세정용 밸브(V2)는 개방되어 급수펌프(22)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외부 세정유닛(30)을 통해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외벽에 토출되어 중공필터(11)의 외부 세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 필터층(12)의 외벽을 세정한 세정수는 필터 하우징(13)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관(14)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중공필터(11)의 내벽 세정시에는 원수 공급용 밸브(V1)와 외부 세정용 밸브(V2)는 차폐되고 내부 세정용 밸브(V3)는 개방되어, 급수펌프(22)를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에 의해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내벽(12)이 세정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내벽세정 즉, 역세정 과정에 원수를 사용하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내벽에 유입될 수 있고, 이는 추후 이루어지는 원수의 여과과정에 정수의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외벽 세정시에는 원수를 사용하되, 상기 필터층(12)의 내벽 세정 즉, 역세정 과정에서는 정수를 사용함으로써, 역세정에 의한 필터층(12)의 재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정수된 정수를 사용하여 필터층(12)을 역세정함에 있어, 정수의 내부 순환구조를 형성하여서 정수의 사용량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수 배수관(15)의 배출구(15a)에 배출구(15a)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정수 차폐용 밸브(V4)을 배치하고, 상기 정수 배수관(15)에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수조(24)를 연통되게 배치하는 한편, 상기 정수 저수조(24)와 급수펌프(22)의 유입구(22b) 사이에는 정수 재순환관(25)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펌프(22)의 유입구(22b)에는 원수관(21)과 정수 재순환관(25)의 연통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입 제어용 밸브(V5, V6)를 배치하여, 유입 제어용 밸브(V5, V6)의 선택적인 제어에 의해 급수펌프(22)는 원수관(21)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나, 정수 재순환관(25)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선택적으로 유입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세정구조를 통한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세정과정을 상술하자면, 최초 상기 중공필터(11)의 외벽 세정시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수 공급용 밸브(V1)와 내부 세정용 밸브(V3)는 차폐되고 외부 세정용 밸브(V2)는 개방되어 급수펌프(22)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외부 세정유닛(30)을 통해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외벽에 토출되어 중공필터(11)의 외부 세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외부 세정유닛(30)은 세정노즐(33)을 통해 토출되는 원수를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하여, 토출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공필터(11) 필터층(12) 외벽을 고르게 세정하며, 상기 필터층(12) 외벽의 세정을 마친 원수는 배수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필터층(12)의 외벽 세정이 완료되면, 도 6과 같이 원수 공급용 밸브(V1)와 외부 세정용 밸브(V2)는 차폐되고 내부 세정용 밸브(V2)는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유입 제어용 밸브(V5, V6)에 의해 급수펌프(22)의 유입구(22b)는 원수관(21)은 차폐되고, 정수 재순환관(25)과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급수펌프(22)는 정수 저수조(24)에 저장된 정수를 펌핑하여 내부 세정유닛(40)으로 급수하여, 내부 세정유닛(40)은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 내벽에 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12)의 내부 세정 즉, 역세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내부 세정유닛(40)은 세정노즐(43)을 통해 토출되는 정수를 중공필터(11) 필터층(12)의 내벽에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여, 토출되는 정수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중공필터(11) 필터층(12) 내벽을 고르게 세정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세정유닛(40)은 각 세정노즐(43)을 통해 급수펌프(22)를 통해 급수되는 정수와, 공기 주입관(42)을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고압으로 토출하여서, 보다 안정된 필터층의 내부 세정, 즉 역세정을 도모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필터층(12)을 투과하여 필터층(12)의 외벽으로 배출된 세정수는 이물질이 다량 함유한 관계로 필터 하우징(12)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관(14)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중공필터(11)의 중공부(12) 내에 잔류된 정수는 정수 배수관(15)을 통해 정수 저수조(24) 내로 재 유입되어서, 급수펌프(22)를 통해 재펌핑되어 중공필터(11)의 내부세정(역세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에 의해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발생된 중공필터(11)의 필터층(12)을 주기적으로 양면 세정하여, 필터층(12)에 잔류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정되게 제거하여 중공필터(11)의 지속적인 여과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1.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10. 필터부 11. 중공필터
12. 필터층 13. 필터 하우징
13a. 원수 급수구 13b. 정수 배수구
14. 배수관 15. 정수 배수관
15a. 배출구
20. 급수 펌프부 21. 원수관
22. 급수펌프 22a. 급수구
22b. 유입구 23. 공급관
24. 정수 저수조 25. 정수 재순환관
30. 외부 세정유닛 31. 회동체
32. 노즐관 33. 세정노즐
34. 외부 세정관
40. 내부 세정유닛 41. 회동체
42. 노즐관 43. 세정노즐
44. 내부 세정관 45. 공기 주입관
V1. 원수 공급용 밸브 V2. 외부 세정용 밸브
V3. 내부 세정용 밸브 V4. 배수용 밸브
V5, V6. 유입 제어용 밸브

Claims (5)

  1. 원수를 필터층에 투과시켜 중공부 내로 유입하는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를 수납하며, 수납된 중공필터의 외측으로 공급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급수하는 원수 급수구와, 중공필터의 필터층을 투과한 정수를 배수하는 정수 배수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부와; 원수관을 따라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관을 통해 필터부의 필터 하우징 내에 급수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급수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외벽을 세정하는 외부 세정유닛과, 상기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에 세정수를 토출하여 필터층 내벽을 세정(역세정)하는 내부 세정유닛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세정유닛은 필터 하우징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외부 세정관과 연결되며,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을 갖는 회동 연결체와; 상기 각 노즐관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정노즐은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노즐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세정유닛은 필터 하우징 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내부 세정관과 연결되며,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과 근접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관을 갖는 회동 연결체와; 상기 각 노즐관에 배치되어 세정수를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에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정노즐은 중공필터의 필터층 외벽에 세정수를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하여, 중공필터의 외벽에 경사지게 토출되는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 노즐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세정관에는 내부 세정관을 통해 내부 세정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관이 연통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수관에는 정수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정수 저수조와 급수펌프의 유입구 사이에는 정수 재순환관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세정유닛을 통한 중공필터의 필터층 내벽 세정시, 정수 저장조에 저장된 정수가 내부 순환하면서 세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KR1020180068793A 2018-06-15 2018-06-15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KR10207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93A KR102070679B1 (ko) 2018-06-15 2018-06-15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93A KR102070679B1 (ko) 2018-06-15 2018-06-15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44A true KR20190141944A (ko) 2019-12-26
KR102070679B1 KR102070679B1 (ko) 2020-01-29

Family

ID=6910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793A KR102070679B1 (ko) 2018-06-15 2018-06-15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36B1 (ko) * 2023-04-21 2023-09-12 삼건세기(주) 녹제거 필터 시스템
CN117469758A (zh) * 2023-12-22 2024-01-30 新乡市仪盛电子科技有限公司 室内湿度控制通风除尘监视调节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9Y1 (ko) 2002-10-01 2003-01-10 주식회사 디아이 월류수용 와류형 분리기
KR200300516Y1 (ko) 2002-10-01 2003-01-14 주식회사 디아이 우수용 와류형 분리기
KR100661770B1 (ko) 2006-04-24 2006-12-28 이동헌 보호시설물 설치형 지하수 모래 제거장치
KR200436287Y1 (ko) 2006-08-25 2007-07-19 김재만 지하수의 모래 여과기
KR101352497B1 (ko) * 2012-08-21 2014-01-24 금호산업주식회사 막여과 공정의 물리세척 방법
JP2016034628A (ja)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大気社 浄化装置
KR20160135479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씨알스타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9Y1 (ko) 2002-10-01 2003-01-10 주식회사 디아이 월류수용 와류형 분리기
KR200300516Y1 (ko) 2002-10-01 2003-01-14 주식회사 디아이 우수용 와류형 분리기
KR100661770B1 (ko) 2006-04-24 2006-12-28 이동헌 보호시설물 설치형 지하수 모래 제거장치
KR200436287Y1 (ko) 2006-08-25 2007-07-19 김재만 지하수의 모래 여과기
KR101352497B1 (ko) * 2012-08-21 2014-01-24 금호산업주식회사 막여과 공정의 물리세척 방법
JP2016034628A (ja)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大気社 浄化装置
KR20160135479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씨알스타 필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36B1 (ko) * 2023-04-21 2023-09-12 삼건세기(주) 녹제거 필터 시스템
CN117469758A (zh) * 2023-12-22 2024-01-30 新乡市仪盛电子科技有限公司 室内湿度控制通风除尘监视调节系统
CN117469758B (zh) * 2023-12-22 2024-04-09 河南锐坤电子科技有限公司 室内湿度控制通风除尘监视调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679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338B1 (ko) 차량세척 및 폐수처리 정화장치
CN102120651B (zh) 用于污水净化的滤芯及含有该滤芯的污水净化装置
US20170072343A1 (en) Low Back Pressure Self Cleaning Filter
CN112429795A (zh) 一种生活污水多级循环过滤装置及过滤工艺
KR102096830B1 (ko)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KR102070679B1 (ko)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N210409769U (zh) 流水养殖槽高效固液分离装置
WO2009136448A1 (ja) 水回路の洗浄機構及びこの洗浄機構に用いられる濾過器
KR100766879B1 (ko) 표면세척기
JP5321450B2 (ja) 水処理装置給水配管の洗浄方法
CN105384282A (zh) 模块化净水装置、制造方法及快速排泥方法
JP3488535B2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CN213074077U (zh) 一种鱼塘过滤系统
CN113943060A (zh) 一种高层建筑集成式环保净水工艺
KR102124653B1 (ko) 여과막과 담체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 장치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KR101672517B1 (ko) 폐수열원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전처리장치
KR20020091520A (ko) 회전분사식 자동세정형 분사파이프를 구비한 에어필터시스템
CN220703314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过滤缸
CN110117138A (zh) 一种养殖污水循环过滤处理装置
JP6459608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180011277A (ko)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361846Y1 (ko) 구연산공급라인이 구비된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011697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스크린 필터
JP2003285072A (ja) 汚水の消毒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