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670B1 -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670B1
KR101338670B1 KR1020120113552A KR20120113552A KR101338670B1 KR 101338670 B1 KR101338670 B1 KR 101338670B1 KR 1020120113552 A KR1020120113552 A KR 1020120113552A KR 20120113552 A KR20120113552 A KR 20120113552A KR 101338670 B1 KR101338670 B1 KR 10133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rotective cover
nipple
water
sto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2011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용 배관에 장착되는 급수니플의 사용빈도에 따라 콕크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급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자 본 발명은, 물공급관체에 끼워진 채 상/하로 유동하는 보호커버가 니플몸체를 감싸도록 된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있어서, 상기 니플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톱링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을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Water supply nipple}
본 발명은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용 배관에 장착되는 급수니플의 사용빈도에 따라 콕크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급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니플은 물 공급용 배관의 말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을 공급 또는 자동으로 차단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한적인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에서 돼지나 소 등의 가축에게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수도와 연결되는 물공급관체의 말단 또는, 급이기의 급수파이프 등에 급수니플을 장착하여 음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는 건물, 사무실, 가정, 기계장치 등의 수도시설에도 급수니플을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을 제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매우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급수니플은 니플몸체의 일측에 노출되어 있는 콕크가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어 있어서, 가축의 주둥이로 상기의 콕크를 작동시킴에 따라 급수통로가 개방되고 물을 방출하게 되며, 상기의 콕크를 놓으면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된다.
이러한 상기의 급수니플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로는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바에 있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94907(2010.11.10.)호 등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가 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급수니플의 경우에 돼지가 주둥이나 발로 콕크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킴에 따라, 물의 배출량이 많아지고 물은 물론 사료(습식)의 허실이 심해지며 특히, 하절기에는 물장난을 심하게 치는 등, 주변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이고 오수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로 인해,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3(2010.04.02.)호를 제안함에 따라, 상기의 선행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는 급수니플의 니플몸체를 감싸는 보호커버가 물공급관체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불필요한 콕크의 작동을 방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또한 상기 보호커버가 아래로 내려와서 음수 적응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음수 부족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또, 적정한 기후인 가을이나 봄까지는 보호커버가 큰 작용을 하지 않게 되고 이때는 보호커버를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위해서는 급수니플을 분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1.국내등록특허 제10-0994907(2010.11.10.) 2.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3(2010.04.02.)
본 발명의 목적은 계절이나 기후변화, 물 사용량에 따라 보호커버의 높낮이를 가변시키면서 콕크의 노출빈도(정도)를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보호커버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가축이 주둥이나 발로 급수니플을 치는 등, 콕크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고 급수니플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물공급관체에 끼워진 채 상/하로 유동하는 보호커버가 니플몸체를 감싸도록 된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있어서, 상기 니플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톱링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니플몸체의 상단에 안착하는 스톱링 위에 상기 보호커버의 상단부가 걸쳐지되, 상기 보호커버의 세로홈에 제1 내지 제3홈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링의 착탈부가 탄력적으로 오므려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커버는, 하단부가 아래로 갈수록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관체에 삽입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정 기후(봄부터 가을)에는 보호커버를 위로 완전히 올린 상태에서 콕크의 사용이 불편함이 없게 유지하고 또는, 온도가 높은 여름철과 같이 상대적으로 물 사용량이 많은 시기에는 보호커버를 아래로 내림에 따라 상기의 보호커버를 주동이로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콕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급수니플의 사용빈도에 따라 급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가축이 발이나 주둥이로 불필요하게 콕크를 누르거나 충격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급수니플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오염을 예방하여 매우 위생적이며, 물은 물론 사료의 허실을 현저히 줄이고 오수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호커버가 종(鐘)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둥이를 걸쳐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고, 보호커버를 움직이면 맑은 종소리를 발생시켜 돼지로 하여금 호기심을 유발시켜서 식수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게 유도하게 되며, 급수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공급관체 내부에 부력체를 구비하여 배관 내면에 이물질의 흡착하거나 물이끼 등을 발생을 예방하며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니플 및 보호커버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니플의 보호커버를 위로 올려 콕크가 노출된 상태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본 발명은, 물공급관체(16)에 끼워진 채 상/하로 유동하는 보호커버(20)가 니플몸체(12)를 감싸도록 된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있어서, 상기 니플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톱링(32)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급수니플(10)은 물공급관체(16)의 끝단에 니플몸체(12)가 부착되고, 상기 보호커버(20)가 물공급관체(16)에 끼워진 채 상기의 니플몸체(12)를 감싸게 된다.
상기 급수니플(10)은 니플몸체(12)의 하단에 돌출된 콕크(14)를 밀어 젖힘에 따라, 상기 콕크와 연결된 니플몸체 내측의 밸브 및 밸브시트(미도시)가 개방되면서 급수통로를 통해 하부로 물이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니플(10)은 앞서 설명되어 진, 국내등록특허 제10-0994907(2010.11.10.)호 또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3(2010.04.02.)호의 '축산용 급수니플'이 바람직하며, 콕크를 가지는 통상의 급수용 니플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단부(22) 중앙의 구멍으로 물공급관체에 끼워지고 상기 상단부(22)에 내측으로 절곡된 테두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링(32)은 물공급관체(16)에 끼워진 채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니플몸체(12)의 상단부(13')에 안착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20)의 상단부(22)가 스톱링(32) 위에 걸쳐진 채 니플몸체를 덮고 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0)는 스톱링(32)에 의해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높이조절수단(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상기 니플몸체(12)의 상단에 안착하는 스톱링(32) 위에 상기 보호커버(20)의 상단부(22)가 걸쳐지되, 상기 보호커버(20)의 세로홈(24)에 제1 내지 제3홈부(25a,25b,25c)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링(32)의 착탈부(34)가 탄력적으로 오므려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의 홈부(25a,25b,25c)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보호커버(20)의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세로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홈(24)의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 내지 제3홈부(25a,25b,25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스톱링(32)은 탄성을 가지는 링부재의 일측에 부분 절개된 착탈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34)는 외측으로 절곡된 채 홈부 외측으로 돌출하여 손가락으로 잡기가 용이하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스톱링(32)은 보호커버(20)의 제1홈부(25a)에 착탈부(34)가 끼워져 맞물린 상태에서 니플몸체의 상단부(13')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20)가 도 2를 참조하면, 니플몸체를 감싼 채 하단부(21)가 아래로 내려와 콕크를 부분적으로 노출하거나 또는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이후 돼지가 물을 먹을 때에는 주둥이로 상기의 보호커버를 들어올려 콕크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도 3에서처럼, 상기 스톱링(32)을 제3홈부(25c)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보호커버(20)가 상대적으로 위로 들린 상태로 니플몸체 위에 걸쳐지게 됨은 물론 상기 보호커버의 아래로 콕크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어서, 콕크의 작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커버(20)는, 하단부(21)가 아래로 갈수록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보호커버(20)의 하단부(21)가 아래로 갈수록 확장된 테두리를 형성하여 주둥이를 걸쳐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는 마치 종(鐘) 형상으로 구성이 되고, 스테인리스, 동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성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보호커버를 움직이면 맑은 종소리를 발생시킴에 따라, 돼지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시켜 식수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며, 급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는 상부 측면에 부분적으로 절개된 개구부(28)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8)를 통해 니플몸체(1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의 너트부(13)가 노출되면서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워 니플몸체를 풀거나 역으로, 조이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물공급관체(16)는 사료 급여기의 호퍼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부력체(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급수니플이 개방된 상태로 물이 지속적으로 방출이 되면 상기 부력체에 의해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이 된다. 상기 부력체(40)는 물보다 가벼운 부력(浮力)을 가지며 상기 물공급관체의 내부 지름 보다 다소 작은 규격(지름)으로 구성이 된다.
즉, 상기 부력체(40)는 평상시 자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물공급관체(4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급수니플(10)이 개방됨과 동시에 물의 흐름에 따라 하강하게 되고 니플몸체(12)의 상단 입구(18)에 안착하여 차단함으로써, 급수가 중단되는 것이다.
상기 부력체(40)는 물공급관체(파이프)의 내부에서 유동하기 적합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이 바람직하며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표면에 돌기 또는 홈(凹凸)을 형성시켜, 이물질의 제거율이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부력체(40)에 의해 물공급관체 내면에 이물질의 흡착을 방지하고 물이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10:급수니플 12:니플몸체 13:너트부 14:콕크
16:물공급관체 18:입구 20:보호커버 21:하단부
22:상단부 24:세로홈 25a,25b,25c:홈부 28:개구부
30:높이조절수단 32:스톱링 34:착탈부 40:부력체

Claims (4)

  1. 물공급관체(16)에 끼워진 채 상/하로 유동하는 보호커버(20)가 니플몸체(12)를 감싸도록 된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에 있어서,
    상기 니플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톱링(32)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상기 니플몸체(12)의 상단에 안착하는 스톱링(32) 위에 상기 보호커버(20)의 상단부(22)가 걸쳐지되,
    상기 보호커버(20)의 세로홈(24)에 제1 내지 제3홈부(25a,25b,25c)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링(32)의 착탈부(34)가 탄력적으로 오므려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의 홈부(25a,25b,25c)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0)는,
    하단부(21)가 아래로 갈수록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체(16)에 삽입되는 부력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1020120113552A 2012-10-12 2012-10-12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10133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552A KR101338670B1 (ko) 2012-10-12 2012-10-12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552A KR101338670B1 (ko) 2012-10-12 2012-10-12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70B1 true KR101338670B1 (ko) 2013-12-09

Family

ID=4998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552A KR101338670B1 (ko) 2012-10-12 2012-10-12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7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82963A (ko) * 2018-01-05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23955A (ko) * 2017-08-30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40948A (ko) * 2019-04-11 2019-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88349A (ko) * 2018-01-18 2019-07-2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20190089145A (ko) * 2019-07-23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104301A (ko) * 2019-09-02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9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5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875786B2 (en) 2018-01-15 2020-12-29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2451790B1 (ko) * 2022-04-27 2022-10-07 박종대 양돈용 친환경 워터컵
KR102452735B1 (ko) * 2022-04-27 2022-10-07 박종대 양돈용 친환경 위생 노즐
KR20230091415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연합축산 축산용 급수 니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221A (en) * 1981-10-05 1983-11-22 Alpha Poultry & Livestock Equip., Inc. Nipple waterer and valve
KR100952283B1 (ko) 2007-12-13 2010-04-12 이창현 축산용 급수니플
KR100994907B1 (ko) 2008-09-10 2010-11-16 이창현 축산용 급수니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221A (en) * 1981-10-05 1983-11-22 Alpha Poultry & Livestock Equip., Inc. Nipple waterer and valve
KR100952283B1 (ko) 2007-12-13 2010-04-12 이창현 축산용 급수니플
KR100994907B1 (ko) 2008-09-10 2010-11-16 이창현 축산용 급수니플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623B2 (en) 2017-01-11 2020-04-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US10343888B2 (en) 2017-01-11 2019-07-09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23955A (ko) * 2017-08-30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926204B2 (en) 2017-08-30 2021-02-23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US10905988B2 (en) 2017-08-3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Purification device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82963A (ko) * 2018-01-05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07820B1 (ko) * 2018-01-05 2018-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875786B2 (en) 2018-01-15 2020-12-29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20190088349A (ko) * 2018-01-18 2019-07-2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102010890B1 (ko) 2018-01-18 2019-08-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급수전
KR102068226B1 (ko) 2019-04-11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40948A (ko) * 2019-04-11 2019-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3B1 (ko) 2019-07-23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089145A (ko) * 2019-07-23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104301A (ko) * 2019-09-02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111599B1 (ko) 2019-09-02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5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51559A (ko) * 2020-05-06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3924B1 (ko)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32820B1 (ko) 2020-05-06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091415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연합축산 축산용 급수 니플
KR102655531B1 (ko) 2021-12-16 2024-04-09 주식회사 연합축산 축산용 급수 니플
KR102451790B1 (ko) * 2022-04-27 2022-10-07 박종대 양돈용 친환경 워터컵
KR102452735B1 (ko) * 2022-04-27 2022-10-07 박종대 양돈용 친환경 위생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670B1 (ko)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JPH04316435A (ja) 飼育用の給水装置
CN203346990U (zh) 落地式蹲便器
KR101280103B1 (ko)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50033264A (ko) 축산용 자동 급수제한장치
KR20100004142A (ko) 축산용 급수니플
KR101553213B1 (ko) 자동 급수제한장치
US9907295B2 (en) Pivotal cover assembly for a poultry drinker
US2474469A (en) Poultry drip fountain
WO2010115247A3 (en) High capacity air admittance valve for sanitary waste pipe system
US3563207A (en) Poultry watering cup
US2113205A (en) Flush tank accessory
CN202565973U (zh) 家禽饮水器
CN208402884U (zh) 适于鸽子饲养的清洁舒适的自动加水器
CN205857302U (zh) 医用洗手池
CN104221939B (zh) 鸭用饮水器
CN103380735A (zh) 简易自动给水器
US20160345538A1 (en) Drinking Device
AU752825B2 (en) A drinking bowl for a pet animal
CN102246706A (zh) 水量自动控制型悬盖式喂水槽
KR102451790B1 (ko) 양돈용 친환경 워터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