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448B1 -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448B1
KR101590448B1 KR1020140066732A KR20140066732A KR101590448B1 KR 101590448 B1 KR101590448 B1 KR 101590448B1 KR 1020140066732 A KR1020140066732 A KR 1020140066732A KR 20140066732 A KR20140066732 A KR 20140066732A KR 101590448 B1 KR101590448 B1 KR 10159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opening
discharging
couple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617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4006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4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먹이통의 사료토출관체를 통해 적정량의 사료가 정확히 토출되게 함으로써 사료의 허실을 줄이고 공급효율성을 향상시키게 하고자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배출부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 상기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 상기 사료안내구의 하부에 결합하여 사료를 받치는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에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사료안내구를 상하로 움직여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높이조절바; 상기 사료저장통에 부착하여 높이조절바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 상기 사료받침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사료받침판의 윗면에 쌓인 사료를 아래로 추락시키기 위한 제1스크레이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는 먹이통의 사료토출관체를 통해 적정량의 사료가 정확히 토출되게 함으로써 사료의 허실을 줄이고 공급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사나 축산농가와 같이 돼지나 소, 염소와 같은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을 여러 마리 사육하는 축사 등에서는 가축에게 사료 또는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이기가 구비된다.
상기 급이기는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주사료이송관체(1)에 결합된 상부 사료통(2)에 사료가 담기고 이 사료통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사료배출관체(3)를 통해 먹이통(4)에 사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먹이통의 일측 수조에는 급수관(7)을 구비하여 식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가축(돼지)이 사료가 빠져나오는 사료토출관체의 하부 출구를 주둥이로 계속 문지르거나 물고 흔드는 등 물과 타액이 묻어서 사료찌꺼기나 이물질이 흡착하게 되고 점점 굳어져 출구가 협소해지며 막히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사료가 오염이 되고 부패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 각종 질병이나 질환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새끼 돼지나 모돈의 경우 치명적인 설사병, 세균성 질환을 유발하는 등 폐사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1.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08301(2012.10.05.) 2.국내특허출원 제20-2002-0037395(2002.12.16.)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저장통의 내측에 구비되는 사료안내구를 상하로 이동시켜 공간부 및 사료가 담기는 량을 가변시킴과 함께 하부의 사료배출부를 통한 사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가축의 성장시기에 맞추어 적정량의 사료를 정확히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먹이통 상부 일정한 높이에 구비되는 사료저장통의 사료토출관체에 제2사료저장통을 구비하고 이 제2사료저장통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산판에 의해 사료가 한꺼번에 과다하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량 씩 토출하게 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료토출관체의 하부 중심봉의 동작에 따라 사료토출관체의 상부 사료통에 구비되는 사료개폐수단의 작동을 스위칭하게 됨으로 가축의 필요에 따라 적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첫 번째의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배출부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 상기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 상기 사료안내구의 하부에 결합하여 사료를 받치는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에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사료안내구를 상하로 움직여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높이조절바; 상기 사료저장통에 부착하여 높이조절바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 상기 사료받침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사료받침판의 윗면에 쌓인 사료를 아래로 추락시키기 위한 제1스크레이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사료안내구의 콘부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된 제2스크레이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부착되며 사료저장통 내의 사료를 혼합시키는 제3스크레이퍼; 상기 제3스크레이퍼와 모터축을 연결하는 유니버설조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판은 사료안내구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 및 끼움홈에 의해 서로 끼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번째의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배출부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 상기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상부캡이 주사료이송관체의 사료공급부에 결합된 채 사료저장통으로 사료가 공급이 되되, 상기 상부캡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료투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개폐수단; 상기 사료배출부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 상기 사료안내구의 하부에 설치하여 콘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2개폐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제2개폐수단은, 상기 사료투입부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1개폐구 및 상기 콘부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2개폐구; 상기 상부캡 또는 하부캡에 부착된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의 제1개폐구 및 제2개폐구를 상하로 구간 작동시켜 통로를 개폐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저장통은 사료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저장통의 상부 사료투입부에 결합된 채 상하로 신축하면서 공간부의 사료 투입량을 가변시키게 되는 커튼; 상기 커튼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료저장통의 외측에서 길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세 번째의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배출부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 상기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이 제2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2개폐구로 개폐하도록 되되, 상기 사료토출관체의 하단부 결합되는 제2사료저장통; 상기 제2사료저장통의 내측 중심에 구비되며 하부의 제2사료배출관체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상부 스위치를 스위칭하게 되는 중심봉; 상기 중심봉에 의해 스위칭하면서 제2개폐수단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스위치; 상기 중심봉에 다단으로 부착되는 분산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사료저장통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를 가지는 사료안내구; 상기 사료안내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료를 받치며 상기 중심봉에 끼워진 승강관체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는 사료받침판; 상기 사료받침판의 하부에 결합하여 제2사료배출관체의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사료받침판 위의 사료를 추락시키게 되는 사료토출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의 내측 사료안내구를 상하로 움직이거나 커튼으로 공간부에 담기는 사료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며 또 하부의 사료배출부를 통한 사료 배출을 원활히 하여 적정량의 사료를 정확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의 입구인 상부의 사료공급부와 하부 사료배출부를 제1 및 제2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투입량과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개폐구에 의한 개폐동작이 신속 정확한 장점이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토출관체에 제2사료저장통을 구비하여 사료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가축이 사료를 먹기 위해 사료토출관체의 하부에 노출되어 있는 사료토출바를 움직이게 되면 제2사료저장통의 하부 사료안내구를 통해 사료가 조금씩 배출되면서 불필요한 사료의 낭비를 줄이고 허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사료저장통의 내부에 분산판을 구비하여 상부 사료저장통의 사료가 추락하면서 분산판에 골고루 분산함과 함께 부드러워지고 사료가 다져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사료의 분진발생을 줄여 매우 위생적이다. 이와 함께 상기 분산판에 쌓여 있는 사료 무게로 인해 중심봉의 동작이 어려워짐으로 상기 제2사료저장통의 사료를 충분히 비운 후에야 비로소 중심봉의 동작이 쉬워지게 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사료저장통으로부터 신선한 사료를 공급받아 공급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먹이통에 담겨 있는 사료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사료 급여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내부 사료안내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38), 상기 사료배출부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22)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2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하부에 결합하여 사료를 받치는 사료받침판(30); 상기 사료받침판(30)에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사료안내구(20)를 상하로 움직여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높이조절바(34); 상기 사료저장통(10)에 부착하여 높이조절바(34)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 상기 사료받침판(3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에 결합되며 사료받침판(30)의 윗면에 쌓인 사료를 아래로 추락시키기 위한 제1스크레이퍼(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주사료이송관체(1)에 부착하여 사료를 공급받게 되는 사료저장통(10), 사료저장통의 내측에 구비되는 사료안내구(20) 및 사료받침판(3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조절바(34), 상기 사료받침판에 결합하여 사료를 토출시키게 되는 구동모터(40) 및 제1스크레이퍼(4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상단에 사료투입부(14)를 가지는 상부캡(12)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사료배출부(18)를 가지는 하부캡(16)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12)은 오목한 사료투입부(14)에 주사료이송관체(1)가 끼워져 연통하고 그 위에 커버(15)가 결합하여 나사 등의 체결구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배출부(18)에 사료토출관체(38)가 결합하여 사료가 하향 배출된다. 상기 상부캡(12)과 하부캡(16)에는 홈을 가지는 결합부(13,17)를 형성하여 사료저장통(10)의 끝단이 홈에 끼움 조립하게 된다. 상기의 하부캡(16)은 결합부(17) 일측에 개구부(19)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9)에 노브(35)가 결합하여 높이조절바(34)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사료안내구(20)는 사료저장통의 내측에 끼워져 내면을 따라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내측에 콘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콘부(22)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져 사료가 중앙으로 모여서 하부 사료받침판(30) 위에 쌓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판(30)은 사료안내구(2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6) 및 끼움홈(26)에 의해 서로 끼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사료받침판(30)은 사료안내구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가장자리에 마련된 개방공간으로 사료가 추락하게 되며, 사료받침판은 테두리에 돌출된 걸림턱(36)이 둘레면의 끼움홈(26)에 끼워져 맞물린 채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받침판(30)의 일측 결합부(32)에 높이조절바(34)가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높이조절바(34)가 고정관체를 통과한 채 노브(35)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노브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사료받침판의 밑면에 결합하여 모터커버(48)로 감싸지고 모터축(42)이 중앙 구멍을 통해 상향 노출하여 제1스크레이퍼(44)를 가지는 회전관체(46)가 결합된다. 이에 상기 제1스크레이퍼(44)는 사료받침판의 윗면에 안착한 채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가장자리 밖으로 밀어 추락시킨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결합되며 사료안내구(20)의 콘부(22)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된 제2스크레이퍼(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스크레이퍼(50)는 회전관체(46)에 조립되는 중심축(52)에 결합되고 콘부(22)에 대응하는 'L'자로 절곡 형성하여 경사면의 사료를 원활히 흘러보낸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부착되며 사료저장통(10) 내의 사료를 혼합시키는 제3스크레이퍼(60); 상기 제3스크레이퍼(60)와 모터축(42)을 연결하는 유니버설조인트(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3스크레이퍼(60)는 회전관체(46)의 상단에 결합하여 사료저장통의 내측 사료안내구 위에 있는 사료를 섞어서 뭉치지 않도록 하며 배출을 원활히 한다. 상기 제3스크레이퍼(60)는 긴 막대(62)에 다수의 날개(64)를 부착하여 사료가 골고루 혼합이 된다.
이때 상기 제3스크레이퍼(60)는 중심축(52)의 상단에 결합하여 공간부를 향해 위로 비스듬히 구비되며, 상기 제3스크레이퍼와 중심축을 연결하기 위한 유니버설조인트(54)가 구비된다.
상기 유니버설조인트(54)는 중심축(52)의 상단에 형성된 요크(56)와 연결축(57) 그리고 제3스크레이퍼(60)의 막대가 연결핀(58)으로 조립된 채 위로 비스듬히 세워지고 일정 범위 이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회전 동작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도 3에서처럼 사료안내구(20) 및 사료받침판(30)이 사료를 받치고 있고, 상기 사료안내구(20)를 통해 사료받침판(30) 위에서 대기중인 사료를 제1스크레이퍼(44)가 회전하면서 가장자리 외측으로 추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료저장통(10)은 높이조절바(34)를 위아래로 움직여서 사료안내구(2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내측 공간부(11)의 사료량을 가변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사료저장통에 담기는 사료량을 줄이거나 역으로, 아래로 내려서 늘릴 수 있게 되면서 가축의 성장시기나 사료 소비량, 기후변화 등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2]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 사료투입부(14)에 결합된 채 상하로 신축하면서 공간부(11)의 사료 투입량을 가변시키게 되는 커튼(70); 상기 커튼(70)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료저장통(10)의 외측에서 길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커튼(70)은 사료저장통(10)의 상부 사료투입부(14)에 결합된 채 상하로 신축하면서 공간부(11)의 사료 투입량을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커튼(70)은 상하로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사료저장통의 외부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커튼(70)의 말단에 연결된 로프(72)를 사료저장통(10)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길이조절구(74)에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구(74)는 로프(72)를 감아서 당기면 도 6에서처럼, 커튼이 위로 접히면서 사료투입부(14) 쪽으로 올라가서 원래의 공간부를 가진다. 역으로, 상기의 길이조절구에 감긴 로프를 풀면 커튼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길어짐으로 공간부가 협소해지기 때문에 사료가 담기는 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튼(70)은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체(자라바), 신축성 튜브관체, 다단으로 절첩되는 안테나식 신축관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튼(70)은 아래의 제3 실시 예에서처럼, 상기 사료저장통의 내측 공간부(11)에 격판(76)을 '-'자 또는 '+'자 형태로 설치하여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이 된다. 즉, 상기 커튼(70) 그리고 격판(76)으로 구획된 각 공간부로 사료가 나뉘게 됨으로 인해, 각 공간부에 담기는 사료량이 다르고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사료의 자중(압력)이 상대적으로 압력이 감소하고 사료의 굳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실시 예3]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개폐수단(80) 및 제2개폐수단(80a)은, 상기 사료투입부(14)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1개폐구(82) 및 상기 콘부(22)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2개폐구(82a); 상기 상부캡(12) 또는 하부캡(16)에 부착된 상부지지대(86) 및 하부지지대(86a)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의 제1개폐구(82) 및 제2개폐구(82a)를 상하로 구간 작동시켜 통로를 개폐하는 제1구동모터(84) 및 제2구동모터(84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개폐수단(80)는 사료저장통으로 투입되는 사료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것으로, 제1구동모터(84)의 제1작동축(85)에 결합된 제1개폐구(82)가 사료투입부(14)를 개폐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84)는 상부지지대(86)에 결합하여 상부캡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채 제1개폐구로 사료공급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2개폐수단(80a)은 사료저장통의 사료를 하부 사료배출부로 배출 또는 차단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구동모터(84a)의 제2작동축(85a)에 결합된 제2개폐구(82a)가 사료안내구(20)의 콘부(22)를 개폐한다. 상기 제2구동모터(84a)는 하부지지대(86a)에 결합하여 하부캡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채 제2개폐구로 콘부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84,84a)는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축이 직선으로 일정구간 왕복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또는 셋트락(솔밸브)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구(82,82a)는 위로 볼록한 원뿔형태로 사료공급부 또는 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통로를 차단하고 또는 역으로, 통로를 개방시에는 경사면을 따라 사료가 원활히 배출이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개폐구(82,82a)는 밑면에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사료배출부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사료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8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셀(88)은 사료저장통(10)의 무게를 측정하여 내부 사료의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컨트롤러는 무게 변화에 따른 사료의 변화량을 정확히 식별함과 함께 사료의 보충 유무를 판단하고 사료의 공급량을 정확한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사료가 빠져나가 기준 중량보다 가벼워지면 빠져나가는 양만큼 무게를 로드셀(88)이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하고 공급량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로드셀(88)은 상부캡(12)의 커버(15) 내측에 부착된 채 주사료이송관체(1)에 걸쳐진 채 사료저장통 및 사료 무게에 의한 압축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셀(88)은 사료저장통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의 일종으로, 로드셀의 타입이나 부착되는 위치 등에 따라 인장하중 측정방식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사료의 실제 중량을 가늠하기 위하여 사료의 부피(무게)를 수시로 실측하여 이를 기준으로 사료를 배출시키는 방법이 오류가 많은 점을 해소할 수 있고 필요한 사료 무게를 정확히 측정하여 가축에게 정량씩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4]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내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38), 상기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80a)이 제2구동모터(84a)에 의해 동작하는 제2개폐구(82a)로 개폐하도록 되되, 상기 사료토출관체(38)의 하단부 결합되는 제2사료저장통(90);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의 내측 중심에 구비되며 하부의 제2사료배출관체(92)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상부 스위치(110)를 스위칭하게 되는 중심봉(100); 상기 중심봉(100)에 의해 스위칭하면서 제2개폐수단(80a)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스위치(110); 상기 중심봉(100)에 다단으로 부착되는 분산판(1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22)를 가지는 사료안내구(2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료를 받치며 상기 중심봉(100)에 끼워진 승강관체(104)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는 사료받침판(30); 상기 사료받침판(30)에 결합하여 제2사료배출관체(92)의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사료받침판(30) 위의 사료를 추락시키게 되는 사료토출바(1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 내측에 제2개폐수단(80a)을 구비하여 사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2개폐수단(80a)은 제2구동모터(84a)에 의해 동작하는 제2개폐구(82a)로 콘부(22)를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은 사료토출관체(38)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사료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담기고, 하단의 제2사료배출관체(92)가 사료조(5) 내측에 위치한 채 사료토출바(112)를 움직임에 따라 사료가 하향 배출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은 하단에 제2사료배출관체(92)가 하향 개방되고 상단에는 사료토출관체에 결합되는 연결관체(9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배출관체(92)의 내측에 콘부(22)를 가지는 사료안내구(20) 및 사료받침판(30)을 구비하여 사료가 받치고 상기 사료받침판(30)에 결합된 사료토출바(112)가 제2사료배출관체(92) 아래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가축이 주둥이로 사료토출바(112)를 움직임에 따라 콘부(22)를 통해 사료받침판 위에 대기중에 있는 사료가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사료토출바(112)는 승강관체(104)에 결합하여 중심봉(100)에 끼워지고 사료안내구의 내측에서 중심봉을 따라 상하 및 회전 동작하게 되며, 상기 승강관체(104)의 상단에 결합된 스톱링(105)이 사료안내구의 상단에 안착한 채 더 이상 아래로 추락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톱링(105)을 승강관체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06)가 구비된다.
상기 분산판(102)은 중심봉(100)에 결합하여 사료토출관체를 통해 추락하는 사료를 단계적으로 받아서 제2사료저장통 내의 사료가 다져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사료의 분진발생을 줄인다. 상기 분산판(102)은 볼록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료가 가장자리로 골고루 분산하며, 중심봉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끼워지고 고정너트(103) 위에 안착하여 조립된다.
다음, 상기 사료안내구(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스크레이퍼(50)가 사료받침판(30) 또는 승강관체(104)에 결합된 채 연동하면서 사료 배출을 원활히 하며, 상기 제2스크레이퍼(50)는 콘부를 따라 절곡 형성하여 근접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의 내부에는 중심봉(100)이 통과하고 이 중심봉(100)의 하단접촉부(101)가 제2사료배출관체의 아래로 노출된 채, 가축이 주둥이로 들어올림에 따라 상단 스위치(110)를 스위칭한다. 이때, 상기 중심봉의 상부에는 센서보호관체(108)가 끼워지고 이 센서보호관체의 내측에 스위치(110)를 구비하여 중심봉에 의해 스위칭하게 된다. 상기 센서보호관체(108)는 지지대(109)가 방사상으로 결합하여 탄성클립에 걸쳐진 채 중심봉의 동작을 안내하며, 상부에 스위치를 감싸는 보호하는 커버(9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사료배출관체(92)과 연결관체(94)는 탄성클립(96)에 의해 제2사료저장통(90)과 조립되고 또는 역으로 분리가 간편하다. 이에 상기 탄성클립(96)은 'C'자형으로 제2사료저장통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면서 외 측면 고정돌기(98)가 결합구멍에 끼워져 맞물리게 된다. 또 상기 사료안내구(20)가 제2사료배출관체(92)의 내측에 삽입된 채 탄성클립으로 간편하게 조립되고 역으로 분리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사료토출관체(38)는 일부분이 신축관체(39)로 이루어져 사료저장통(10) 또는 제2사료저장통(9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신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110)의 신호에 따라 사료저장통의 상부 사료투입부를 개폐하는 상기의 제1개폐수단(80) 및 제1구동모터(8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미설명부호인 컨트롤러(120)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의 정량 자동공급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의 스위칭신호를 받아서 처리하고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 로드셀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사료공급량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기능을 하며, 조작스위치, 전원부, 타이머, 스피커, 전자(전기)회로부 등으로 구성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르면,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제2사료저장통(90)에 사료가 담겨 있는 상태에서는 분산판(102)에 사료의 무게가 작용하여 중심봉(100)의 하단접촉부(101)를 들어올리기가 어려워짐과 함께 스위치(110) 및 제2개폐수단(80a)의 동작이 제한되고 또 가축의 불필요한 장난이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사료토출바(112)를 움직여서 사료안내구 내의 사료가 흘러내려서 제2사료저장통이 사료가 비워질수록 작동봉의 동작이 쉬어짐과 함께 스위칭 동작이 원활해지면서 사료저장통의 사료 공급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1:주사료이송관체, 2:사료통, 3:사료배출관체, 4:먹이통, 5:사료조, 6:수조, 7:급수관체, 10:사료저장통, 11:공간부, 12:상부캡, 13,17:결합부, 14:사료투입부, 15:커버, 16:하부캡, 18:사료배출부, 19:개구부, 20:사료안내구, 22:콘부, 26:끼움홈, 30:사료받침판, 32:결합부, 34:높이조절바, 35:노브, 36:걸림턱, 38:사료토출관체, 39:신축관체, 40:구동모터, 42:모터축, 44:제1스크레이퍼, 46:회전관체, 48:모터커버, 50:제2스크레이퍼, 52:중심축, 54:유니버설조인트, 56:요크, 57:연결축, 58:연결핀, 60:제3스크레이퍼, 62:막대, 64:날개, 70:커튼, 72:로프, 74:길이조절구, 76:격판, 80:제1개폐수단, 80a:제2개폐수단, 82:제1개폐구, 82a:제2개폐구, 84:제1구동모터, 84a:제2구동모터, 85:제1작동축, 85a:제2작동축, 86:상부지지대, 86a:하부지지대, 88:로드셀, 90:제2사료저장통, 92:제2사료배출관체, 94:연결관체, 95:커버, 96:탄성클립, 98:고정돌기, 100:중심봉, 101:하단접촉부, 102:분산판, 103:고정너트, 104:승강관체, 105:스톱링, 106:고정구, 108:센서보호관체, 109:지지대, 110:스위치, 112:사료토출바, 120:컨트롤러

Claims (10)

  1.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38), 상기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22)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2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하부에 결합하여 사료를 받치는 사료받침판(30);
    상기 사료받침판(30)에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사료안내구(20)를 상하로 움직여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는 높이조절바(34);
    상기 사료저장통(10)에 부착하여 높이조절바(34)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
    상기 사료받침판(3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에 결합되며 사료받침판(30)의 윗면에 쌓인 사료를 아래로 추락시키기 위한 제1스크레이퍼(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결합되며 사료안내구(20)의 콘부(22)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된 제2스크레이퍼(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42)에 부착되며 사료저장통(10) 내의 사료를 혼합시키는 제3스크레이퍼(60);
    상기 제3스크레이퍼(60)와 모터축(42)을 연결하는 유니버설조인트(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판(30)은 사료안내구(2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6) 및 끼움홈(26)에 의해 서로 끼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5.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38), 상기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캡(12)이 주사료이송관체(1)의 사료투입부(14)에 결합된 채 사료저장통(10)으로 사료가 공급이 되되,
    상기 상부캡(12)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료투입부(14)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개폐수단(80);
    상기 사료배출부(18)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22)가 하향 개방되어 있는 사료안내구(2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하부에 설치하여 콘부(22)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2개폐수단(80a);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80) 및 제2개폐수단(80a)은,
    상기 사료투입부(14)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1개폐구(82) 및 상기 콘부(22)의 하단을 개폐하게 되는 제2개폐구(82a);
    상기 상부캡(12) 또는 하부캡(16)에 부착된 상부지지대(86) 및 하부지지대(86a)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의 제1개폐구(82) 및 제2개폐구(82a)를 상하로 구간 작동시켜 통로를 개폐하는 제1구동모터(84) 및 제2구동모터(84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사료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8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 사료투입부(14)에 결합된 채 상하로 신축하면서 공간부(11)의 사료 투입량을 가변시키게 되는 커튼(70);
    상기 커튼(70)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료저장통(10)의 외측에서 길이를 가변시키게 되는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9. 사료가 담기는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결합된 사료토출관체(38), 상기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사료배출수단으로 된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 사료배출부(18)에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80a)이 제2구동모터(84a)에 의해 동작하는 제2개폐구(82a)로 개폐하도록 되되,
    상기 사료토출관체(38)의 하단부 결합되는 제2사료저장통(90);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의 내측 중심에 구비되며 하부의 제2사료배출관체(92)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상부 스위치(110)를 스위칭하게 되는 중심봉(100);
    상기 중심봉(100)에 의해 스위칭하면서 제2개폐수단(80a)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스위치(110);
    상기 중심봉(100)에 다단으로 부착되는 분산판(1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료저장통(9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며 사료 배출을 안내하는 콘부(22)를 가지는 사료안내구(20);
    상기 사료안내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료를 받치며 상기 중심봉(100)에 끼워진 승강관체(104)에 결합하여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는 사료받침판(30);
    상기 사료받침판(30)에 결합하여 제2사료배출관체(92)의 아래로 노출된 채 외부 충격력에 의해 사료받침판(30) 위의 사료를 추락시키게 되는 사료토출바(1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0140066732A 2014-06-02 2014-06-02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59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32A KR101590448B1 (ko) 2014-06-02 2014-06-02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32A KR101590448B1 (ko) 2014-06-02 2014-06-02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17A KR20150138617A (ko) 2015-12-10
KR101590448B1 true KR101590448B1 (ko) 2016-02-01

Family

ID=5497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32A KR101590448B1 (ko) 2014-06-02 2014-06-02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63B1 (ko) 2016-06-21 2018-02-14 이창현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KR20180030277A (ko) 2016-09-12 2018-03-22 이찬익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육 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51B1 (ko) * 2017-08-09 2019-07-25 정종성 가축용 사료공급기
KR102095642B1 (ko) * 2017-09-19 2020-03-31 이준호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257Y1 (ko) 1999-08-31 2000-02-15 정용운 축사용 사료 급이통
KR200192019Y1 (ko) 2000-03-04 2000-08-16 김미화 가축사료공급용 자동급이기
KR200218801Y1 (ko) 1998-01-14 2001-05-02 신쾌승 축사용 사료 제한 급이기(Feed control dispenser for cattle shed)
KR101290555B1 (ko) 2011-03-23 2013-08-07 이완섭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73Y1 (ko) 2002-12-16 2003-03-04 이순민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01Y1 (ko) 1998-01-14 2001-05-02 신쾌승 축사용 사료 제한 급이기(Feed control dispenser for cattle shed)
KR200169257Y1 (ko) 1999-08-31 2000-02-15 정용운 축사용 사료 급이통
KR200192019Y1 (ko) 2000-03-04 2000-08-16 김미화 가축사료공급용 자동급이기
KR101290555B1 (ko) 2011-03-23 2013-08-07 이완섭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63B1 (ko) 2016-06-21 2018-02-14 이창현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KR20180030277A (ko) 2016-09-12 2018-03-22 이찬익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육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17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AU2001260074B2 (en) Automatic feeding device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556623B1 (ko) 사료 및 식수 자동 급이기
KR200419952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CN203675825U (zh) 一种新型干湿饲料自动搅拌的喂料设备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CA2952227C (en) Rotary livestock feeder with gravity flow feed openings
AU2001260074A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RU2647319C1 (ru) Кормуш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риводом для лактирующей свиноматки
KR20150062306A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200422989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20090092748A (ko) 양돈용 사각 액상 급이기
CN106577338B (zh) 一种母猪自由采食器
US20130139757A1 (en) Poultry feeding device
CA2359295A1 (en) Feed doser and regulator for troughs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CN207612888U (zh) 自动控制饮水和采食并用料槽
CN207767217U (zh) 一种双面自动喂料设备
CN106572648B (zh) 具有重力流式饲料开口的旋转式牲畜饲喂器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CN209861938U (zh) 一种喂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