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92B1 -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92B1
KR101720792B1 KR1020150103984A KR20150103984A KR101720792B1 KR 101720792 B1 KR101720792 B1 KR 101720792B1 KR 1020150103984 A KR1020150103984 A KR 1020150103984A KR 20150103984 A KR20150103984 A KR 20150103984A KR 101720792 B1 KR101720792 B1 KR 10172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ower cap
reservoir
opening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402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10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의 걸림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료가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개폐부재를 하부캡 내부 배출구에서 외부로 분리시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된 사료 받침대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하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사료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사료를 상기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 사료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개방구를 개방시켜 구성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캡의 내부 배출구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device of supply pig feed}
본 발명은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의 걸림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료가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양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서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로는 평판 위에 쌓인 사료를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사료받침대로 추락시키는 방식 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 공급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사료의 이송 및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3년 01월 07일 자로 출원하여 2014년 07월 1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명칭: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공급관체를 통해 먹이통에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배출구에 개폐구가 결합되며 개폐구의 내측에 축 결합된 개량컵이 외측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간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씩 제한적으로 방출시켜 상기의 먹이통에 공급하게 되는 사료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첫 번째로, 종래 계량컵은 컵의 상부와 하부의 지름이 같거나 비슷한 크기로 제작됨에 따라 사료가 사료 저장통 내부에 저장되어 일정기간 동안 머물러 있으므로서 사료 저장통의 내,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거나 수분 등이 스며들어 사료 저장통의 내측 벽면에 굳어져서 눌러붙어 모터의 회전시 사료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사료의 설정된 공급량이 불규칙하게 되면서 사료의 정확한 양을 공급할 수 없어 가축의 생산성에 막대한 손실을 야기시키게 된다.
즉, 자동 사료공급장치는 하루에 일정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에 정해진 양만큼 사료가 공급되어져 가축이 그 양을 먹어야 하는 데, 이는 모터로 보내진 전기의 시간으로 모터의 회전수가 계산되고 모터의 회전수만큼 배출되는 사료의 양을 가늠하여 사료 급여 프로그램을 설정하게 된다.
사료저장통 내측의 사료가 원활하게 아래로 배출되어야 하는 데 사료저장통의 상부에만 사료가 얹혀있고 아래쪽에는 사료가 없는 상태로서 구동모터가 사료는 배출하지 못하고 공회전만 하게 되면서 컨트롤러는 사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 시간대에는 더 이상 사료를 공급하지 않게 된다.
이런 경우는 관리자가 문제점을 알고 처리를 해줄때까지 사료는 공급되지 않아 가축은 결국 굶게되는 등의 생산성의 차질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유지 점검 작업을 병행하여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종래 사료 정량 공급장치의 사료저장통의 내부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사료저장통에 가득 채울 수 밖에 없으므로 가축이 하루에 섭취하는 양이 적을때는 한번(1회) 사료저장통에 가득 채운 사료는 2일씩 두고 먹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가축에게 신선한 사료를 줄 수 없으므로 섭취량이 저하되거나 온도차이로 인한 수분등이 사료와 혼합되면서 사료가 변질되고 사료 저장통의 내측 벽면에 굳어져서 원활한 사료의 배출이 어렵게하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로, 종래의 사료 저장량 공급장치의 사료 저장통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곰팡이등 유해균이 번식하여 가축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는 포유중인 모돈의 경우 유질이 변질되어 어린 자돈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수시로 사료 저장통을 분해하여 세척해 주어야 하나 구조상 불가능한 방법이다.
네 번째로, 구동모터가 구동시 회전하면서 사료 저장통 내측의 사료를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는 개폐부재에 끼여있는 사료 잔량을 깨끗이 청소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가 원활하게 하강하여 모터의 구동시 정확한양의 사료가 배출되어 가축이 필요한 시간대에 정확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활한 사료배출이 가능한 정량 공급할 수 있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축이 시기별로 요구하는 사료양에 따라 사료 저장통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쉽고 간단하게 조절하여 항상 신선한 사료를 공급하며 사료 저장통 내부에서 사료가 굳어져서 정확한 사료배출을 방해하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 저장통을 분해하지 않고 사료 저장통 내측 벽면에 밀착하여 상, 하로 움직이면서 벽면에 쌓인 이물질을 수시로 간단히 청소할 수 있는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부캡의 일측에 구성된 구동모터가 회전시 사료 저장통 내부의 사료를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불레이드를 가지는 개폐부재를 외부에서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측의 이물질이나 찌꺼기 등을 청소하여 원활한 사료 배출이 가능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저장통과 상부캡이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적재시나 운반시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송이 쉽고 그 비용이 대폭 감소함으로 경쟁력이 우수하며 사료저장통과 상부캡의 연결부가 기밀성을 더욱 좋게하여 수분의 침투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원활한 사료 배출이 가능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블레이드를 굽힘이 자유로운 재질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를 통로부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상기 통로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사료속에 곡류 알갱이등이 걸려서 구동모터에 부하를 일으키는 현상을 없애고, 기밀성을 높혀 수분이나 습기가 사료저장통 내부로 침투하여 사료가 굳어져서 사료의 원활한 배출이 어렵게 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원활한 사료 배출이 가능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된 사료 받침대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하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사료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사료를 상기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 사료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개방구를 개방시켜 구성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캡의 내부 배출구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하며,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하부캡의 일측 개방구를 덮어주는 마감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하되, 그 길이는 상기 하부캡의 배출구 직경보다 크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료 저장통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구조로 사료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가 얹힘 없이 하부로 원활하게 하강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시 정확한 양의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양의 사료를 가축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원활한 사료 배출이 가능한 정량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료저장통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료 저장통에 1회에 저장되는 사료를 수일동안 먹게하지 않고 적정량의 사료만 사료저장통으로 공급받아 항상 신선한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사료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가 장시간 머물러 있지 않음으로서 사료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료 저장통 내부 벽면에 눌러붙은 이물질을 간단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신선한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며 질병으로 부터 가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축이 일정기간 동안 정량 공급장치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사료저장통 내부를 물로 세척하기가 곤란한 구조로 개폐부재의 사각지대에 남아 있는 사료 잔량이 부패되어 다음번에 이용하는 개체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바,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마감캡을 열고 개폐부재를 빼내서 청소후 사용함으로서 가축이 질병으로 부터 안전할 수 있으며 신선한 먹이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굳어서 구동모터가 부하를 받아 고장나거나 제대로 작동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사료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료 저장통은 상부캡과 일체형으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차곡차곡 포개지며 이는 적재나 운반이 쉽고 그 부피가 적어 운송물류비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상부캡과 사료저장통 상부의 연결부가 없으므로 기밀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여 수분 침투를 더욱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사료 배출구로부터 사료 저장통으로 유입되는 습기나 수분을 차단하여 사료 저장통 내의 사료가 굳어짐을 방지하고 사료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개폐부재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공급수단의 개폐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블레이드와 배출구 내면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청소수단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6a 내지 도 6c는 사료저장량 조절튜브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80)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상, 하부캡(14, 20) 그리고 사료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혹은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사료저장통(10)은 그 외면이 테이퍼(10a)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료를 정체됨 없이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료 저장통(10)에 저장된 사료는 일정시간 동안 사료저장통(10)에 머물러 있다가 돼지의 사료 공급시간대에 사료 받침대(80)로 공급되어져 돼지가 먹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대부분의 사료 저장통(10)은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같은 파이프를 생산하여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사료 저장통으로 사용하거나 또 다른 형태로 상부가 하부보다 그 직경이 넓은 형상으로서 사료의 흐름이 좋지 못하다.
축사에는 습도가 높고 온도차가 심하며, 특히 겨울철의 경우 추위로부터 가축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축사를 밀폐시켜 놓는 경우가 많으므로 축사 내부의 습도가 많이 상승한다.
또한 사료저장통(10)에 공급되는 사료는 축사 외부의 대형 사료 저장조로부터 사료공급관(200)을 타고 유입되어 축사 내부의 사료저장통(10)에 공급되어 지는 데, 이때 축사 외부에서 차갑게 보관되어 있던 사료가 따뜻한 축사 내부로 들어오면서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생기는 데 특히, 사료저장통(10)에 들어와서 결로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한다. 즉, 사료저장통(10) 하부에 사료공급수단(30)이 제대로 작동하더라도 사료가 굳어져서 서로 엉키고 아래로 배출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처럼 사료저장통(10)의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면 결로가 있더라도 사료 자체의 무게로 인해 자연스럽게 하강이 쉬워진다. 이는 사료를 원활히 배출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사료저장통(10)의 구조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제작할 경우, 운송이나 적재시 각 사료저장통(10)을 따로 운송 및 적재할 필요없이 사료저장통(10) 내부로 여러개의 사료저장통(10)을 차곡차곡 끼워넣어 포갤 수 있어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송에 따른 간편함과 함께 적재시 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4)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캡(14)의 중앙 하단에는 사료공급구(16)가 형성되며, 상기 사료공급구(16)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구(16)를 통해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공급관(200)이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사료공급구(16)는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14) 내부에 조립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14)과 사료저장통(10)을 별도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료저장통(1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캡(14)을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일체화로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20)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2)에는 사료배출관(26)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사료를 아래의 사료받침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하부캡(20)이 끼워지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단 둘레면에는 수분유입 방지턱부(1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분유입 방지턱부(13)는 상기 하부캡(20)과 상기 사료저장통(10) 사이 틈새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어 사료를 응고시키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통해 정해진 양만 사료받침대로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2는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은 컨트롤부(미 도 시 함)의 신호로 인가되는 전원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하는 구동모터(32), 상기 구동모터(32)에 축(32a) 결합되며 상기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22)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재(34)는 슬리브(38)와, 상기 슬리브(38)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40)로 구성하며, 상기 슬리브(38)의 끝단에는 홈(38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홈(38a)으로 전술한 구동모터의 축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40)는 하부캡(20)의 배출구(22) 내면에 끝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3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개방시켜 사료를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슬리브(38)와 블레이드(40)로 구성된 개폐부재(34)는 휨이 자유롭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블레이드(40)와 하부캡(20)의 배출구(22) 내면 사이로 사료 알갱이가 끼여질 때, 상기 블레이드(40)가 탄력적으로 휘어진 후, 회전 동작하도록 하여 사료 알갱이에 걸려 상기 블레이드(40)의 회전이 멈춰 사료의 공급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블레이드(40)는 휨이 자유롭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40)의 길이를 배출구(22)의 반지름보다 크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22)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기 블레이드(40)의 끝단(40a)이 일부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배출구(22)의 내면에 사료 잔량이 남는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료배출관(26)으로 부터 올라오는 습기나 수분을 차단시켜 사료가 굳어져서 사료의 원활한 배출이 어렵게 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원활한 사료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료공급수단(30)의 개폐부재(34)는 필요에 따라 하부캡(20) 내부에서 외부로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통상 사료저장통(10)이 일정기간 가축이 입식되지 않아 비어있을 때, 사료공급수단(30)의 개폐부재(34) 및 배출구(22) 내면에 남아 있는 사료 잔량이 수분 등을 머금어 부패된다. 이때 사료 공급수단(30)인 개폐부재(34)를 분리시켜야만 청소가 가능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캡(20)의 일측은 개방구(24)가 형성되도록 개방시켜 구성하고, 상기 하부캡(20)의 내부 배출구(22)에 설치되어 지는 개폐부재(34)의 슬리브(38) 끝단에는 홈(38a)이 형성되고, 상기 홈(38a)에는 상기 하부캡(20)의 타측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구동모터(32)의 축(32a)에서 분리 가능하게 삽입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38)의 선단에는 결합구(39)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39)는 상기 하부캡(20)의 개방구(24)를 덮어주는 마감캡(42)에 조립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청소를 위해 개폐부재(34)를 하부캡(20) 외부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마감캡(4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돌려서 일측 방향으로 빼내면 슬리브(38) 및 상기 슬리브(38) 외경에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40)로 구성된 개폐부재(34)는 구동모터(32)의 축(32a)은 서로 분리된 후, 하부캡(20)의 내부 배출구(2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캡(20) 외부로 간편히 분리되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2)의 축(32a)과 상기 슬리브(38)의 홈(38a)은 다각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구동모터(32)의 동력이 슬리브(38)로 전달은 되되, 분리 작업시에는 구동모터(32)의 축(32a)에서 슬리브(38)가 간편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는 청소수단(50)이 더 설치된다.
통상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은 항상 사료 분진이 눌러 붙어 있으므로 청소가 쉽지 않다. 청소를 하려면 상부캡(14)이나 하부캡(20)을 분리하고서 청소를 해줘야 하지만 이는 불가능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수단(50)은 작동바(56)를 상, 하 작동시키는 동작에 따라 링타입의 부재가 사료저장통(10)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 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눌러 붙은 사료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청소수단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청소수단(50)은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재(52), 상기 탄성링부재(52)의 내면 둘레가 끼워지며 상기 탄성링부재(52)를 지지하는 링홀더(54), 상기 링홀더(54)에 선단이 결합되고 그 끝단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캡(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 구성되어 외부에서 전해지는 힘으로 상기 탄성링부재(52)를 상, 하 이동시키는 작동바(56), 상기 작동바(56)와 상기 하부캡(20)을 연결하며 상기 작동바(56)의 상, 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스토퍼(60)는 하부캡(20)외에 사료저장통(10) 측면이나 혹은 상부캡(14)과 작동바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링부재(52)의 외면 둘레는 첨예부가 형성되도로 구성하여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 하부 직경 차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접혀지며 간섭없이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작동바(56) 및 상기 하부캡(20)(혹은 필요에 따라 사료저장통(10) 측면이나 상부캡(14))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볼트(62), 상기 볼트(62)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정, 역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볼트(62)의 외경 나사산을 타고 전, 후 이동하며 상기 작동바(56)를 상기 하부캡(20)에 압박시키는 노브(6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링부재(52)의 중앙에는 바타입의 안착부(58)가 위치하며, 상기 안착부(58)의 끝단은 상기 링홀더(54)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사료양조절튜브(70)의 출구를 받쳐주게 된다.
상기한 청소수단(50)은 관리자가 작동바(56)를 손으로 잡고 위, 아래로 작동시키면 상기 탄성링부재(52)가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눌러 붙어 있는 사료를 긁어가며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56)의 동작에 따라 안착부(58)에 올려져 있는 사료양조절튜브(70) 역시 작동바의 상, 하 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료양조절투브(70)의 출구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료저장통(10)으로 공급되는 사료양을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청소수단(50)은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청소하는 필수구성인 링부재(152)의 구조를 사출성형 또는 밴드를 이용하여 링형태로 말아 제작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링부재(152)의 양단부는 절개시킨 상태에서 일단에는 가이드돌기(152a)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52a)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홈(152b)을 형성하여 사료저장통(10)의 상, 하 직경 차이에 맞추어 상기 링부재(152)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 타입의 링부재(152)에도 작동바(156)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링부재(152)의 중앙에 안착부(158)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료양조절튜브(70)를 받쳐주도록 구성한다.
또 한편으로, 도 5c에서와 같이, 청소수단은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청소하는 필수구성인 링부재(252)의 구조를 와이어(혹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링 형태로 말아 제작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링부재(252)의 양단부는 절개시킨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맞대어준 상태에서 사료저장통(10)의 상, 하 직경 차이에 맞추어 상기 링부재(252)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를 이용한 링부재(252)에도 작동바(256)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링부재(252)의 중앙에 안착부(258)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료양조절튜브(70)를 받쳐주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에는 사료저장량조절튜브(70)가 설치된다.
통상 모돈의 경우 번식시기에 따라서 그 양이 수시로 변하고 하루에 공급되는 사료가 적은 시기가 많다. 이는 건강하고 튼튼한 자돈을 생산함과 동시에 모돈의 체형을 제대로 갖추어 번식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자돈을 분만한 후, 7일에서 10일 이후 부터는 많은 유량을 분비하기 위해 무제한으로 사료를 공급하게 되는 데, 즉, 사료를 적게주는 시기와 많이 주는 시기가 하나의 사료저장통(10)에서 이루어지므로 사료저장통(10)의 크기는 많이주는 시기에 맞추어 그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사료저장통(10)이 너무 작으면 그만큼 사료를 자주 채워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인력손실이 따르고 너무 크면 사료를 적게 먹게 되므로 그 신선도가 떨어지고 사료 굳음이 더 심각해 질 수 있다. 대부분의 사료저장통에 저장되는 사료는 자동으로 공급하게 되는 데, 상부 캡의 내부 사료공급구까지 차게 되고 사료공급구(16)까지 차게 되면 다음번에 사료저장통(10)에 사료가 공급되는 구조이다. 그리하여 사료를 적게 줘야하는 시기에는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는 사료양을 제어해 줌으로서 가축에게 항상 신선한 자료를 급여할 수 있고 사료저장통(10)에서 사료가 굳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는 그 크기를 달리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이형관튜브나 주름관이나 비닐관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의 사료공급튜브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사료저장량을 조절할 방법이 필요없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또한 별도의 조절장치없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승할 때에만 전술한 청소수단을 구성하는 안착부에 안치되어 도움을 받는다.
상기한 사료저장량 조절수단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첨부된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이형관(70a~70d)을 안테나식으로 다수개 수직으로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제일 상측에 위치하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입구에 해당하는 단위이형관(70a)은 전술한 상부캡(14)의 사료공급구(16)에 연결 구성하고 제일 하측에 위치하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출구에 해당하는 단위이형관(70d)은 전술한 청소수단(50)의 안착부(58)에 올려놓도록 구성하여, 상기 청소수단(50)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각 단위 이형관(70a~70d)이 안테나식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높이를 조절토록 함으로서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는 주름관(170)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주름관(170)의 입구는 전술한 상부캡(14)의 사료공급부(16)에 연결 구성하고 그 출구는 청소수단(50)의 안착부(58)에 올려놓도록 구성하여, 상기 청소수단(50)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주름관(170)은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출구 높이를 조절토록 함으로서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사료저장량 조절수단(70)은 비닐튜브(270)로 제작하여 청소수단(50)의 상, 하 이동 동작에 따라 비닐튜브(270)는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출구 높이를 조절토록 함으로서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진 사료저장량 조절튜브를 통해 사료가상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를 거쳐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공급는 과정에서 상기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출구 위쪽으로는 사료가 쌓이지 않으며, 이를 통해 사료저장량 조절튜브(70)의 출구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사료의 정량 공급은 상부캡(14)에 설치된 사료공급관(200)을 통해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일정량의 사료가 공급되고 나면 하부캡(20)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공급수단(30)은 컨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하며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개방시켜 정해진 시간동안 사료를 정량 공급하게 된다.
즉, 컨트롤부의 신호로 사료공급수단(30)인 구동모터(32)가 구동하여 개폐부재(34)인 슬리브(38)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슬리브(38) 외경에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40)는 하부캡(30)의 배출구(22) 내면에 끝단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3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구동모터(32)가 구동하는 시간동안 상기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개방시켜 사료를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료저장통(10)의 내부 벽면에 눌러 붙어 있는 사료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관리자는 작동바(56)를 손으로 잡고 위, 아래로 움직여주면 상기 작동바(56)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링부재(52)는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측 벽면에 눌러 붙어 있는 사료를 긁어가며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 한편으로, 모돈의 번식시기나 기타 모돈의 체형에 맞추어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청소수단(50)의 작동바(56)를 잡고 다시 위, 아래로 움직여주면 상기 청소수단(50)의 탄성링부재(52) 센터에 구비된 안착부(58)에 안착되어 있는 사료저장량조절튜브(70)는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사료저장량조절튜브(70)의 출구 높이를 조정함으로서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는 사료의 저장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사료공급수단의 개폐부재(34) 및 배출구(22) 내면에 남아 있는 사료 잔량을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관리자는 마감캡(42)을 손으로 돌리거나 하여 일측 방향으로 빼내면 상기 마감캡(42)에 연결된 슬리브(38)는 구동모터(32)의 축(32a)에서 분리되어지고, 이와 함께 슬리브(38) 및 상기 슬리브(38) 외경에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40)로 이루어진 개폐부재(34)는 하부캡(20)의 내부 배출구(2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캡(20) 외부로 간편히 분리되어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사료저장통 14: 상부캡
16: 사료공급구 20: 하부캡
22: 배출구 24: 개방구
30: 사료공급수단 32: 구동모터
34: 개폐부재
38: 슬리브 40: 블레이드
42: 마감캡 50: 청소수단
52: 탄성링부재 70: 사료저장량 조절튜브

Claims (3)

  1. 바닥면에 설치된 사료 받침대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하는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사료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사료를 상기 사료 받침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의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구동모터의 축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탄성재질로서 그 길이는 상기 하부캡의 배출구 직경보다 크게 제작된 블레이드로 구성하며, 상기 슬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하부캡의 일측 개방구를 덮어주는 마감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료를 배출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하부캡의 일측에는 개방구를 개방시켜 구성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캡의 내부 배출구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03984A 2015-07-22 2015-07-22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2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984A KR101720792B1 (ko) 2015-07-22 2015-07-22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984A KR101720792B1 (ko) 2015-07-22 2015-07-22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402A KR20170011402A (ko) 2017-02-02
KR101720792B1 true KR101720792B1 (ko) 2017-04-10

Family

ID=5815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984A KR101720792B1 (ko) 2015-07-22 2015-07-22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27B1 (ko) * 2017-07-27 2019-05-16 임진수 양돈용 사료공급기
KR102624008B1 (ko) 2021-06-17 2024-01-11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저장량 조절장치
KR20230155265A (ko) 2022-05-03 2023-11-10 주식회사 연합축산 신선한 먹이 공급이 가능한 사료 저장량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31Y1 (ko) * 1999-09-02 2000-02-15 에프에이지 한화 베어링주식회사 흡착방지형 시일부재를 가진 밀봉형 베어링
KR101003402B1 (ko) * 2008-09-29 2010-12-23 주식회사 예명인더스트리 사료 배합기
KR101480212B1 (ko) 2013-01-07 2015-01-13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402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9233B1 (en) Automatic feeder with feeding pipe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KR101794667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RU2647319C1 (ru) Кормуш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риводом для лактирующей свиноматки
US4799455A (en) Farrowing crate creep feeder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US7963250B2 (en) Animal feeder
KR100952282B1 (ko) 축산용 급여기의 위치조절식 급수조
KR101353781B1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090092748A (ko) 양돈용 사각 액상 급이기
CA2768153C (en) Sow lactation feeder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630603B1 (ko) 모돈급이기
KR101609844B1 (ko) 모돈의 자동 급이장치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634335B1 (ko) 내구성이 높고 안전한 먹이 공급이 가능한 가축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427557B1 (ko) 모돈 자유 급이기
KR20170002650U (ko) 축산용 자동 급이기
KR102644771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용 블레이드 구조
KR102131499B1 (ko) 사료이송배관에 사료저장통을 연결하는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