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781B1 -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 Google Patents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781B1
KR101353781B1 KR1020120034895A KR20120034895A KR101353781B1 KR 101353781 B1 KR101353781 B1 KR 101353781B1 KR 1020120034895 A KR1020120034895 A KR 1020120034895A KR 20120034895 A KR20120034895 A KR 20120034895A KR 101353781 B1 KR101353781 B1 KR 10135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drinking water
water supply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89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2003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7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퍼 내의 사료를 하부 사료받침대에 제공함과 동시에 호퍼 중앙의 중심축을 통해서 식수가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고자,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내측의 사료공급수단과, 식수공급수단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중심에 직립하는 중공의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상단 개폐밸브를 통해 상수도관이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과; 상기 중심축 하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받침대의 중앙 돌출부 상면에 안착하며 둘레 면에 급수구멍이 형성된 식수분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The automatic supply water and feed}
본 발명은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퍼 내의 사료를 하부 사료받침대에 제공함과 동시에 호퍼 중앙의 중심축을 통해서 식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급이기는 농가나 축사에서 돼지, 소 등의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에게 사료 및 식수를 제공하며, 사료 및 식수의 급여방식에 따라서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 또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건식 급이기 등이 있다.
상기 식수 및 사료 급이기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바에 있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9245호(2004.11.23.) 내지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8419호(2010.04.02.),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2호(2010.04.02.) 이외에도 다수가 있으며, 이미 공지된 바에 따라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르는 식수 및 사료 급이기는 사료가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물에 젖게 되고 이때, 사료배출구 및 보호커버, 사료받침대의 중앙 돌출부 등에 흡착하고 또 굳어지게 되며 사료가 뭉치거나 정체되고 배출통로가 막히는 등 사료배출이 원만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더위로 인해 물장난이 심하므로 물이 과다하게 쏟아져 나와 허실이 심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오염이나 부패할 위험성이 높아 비위생적이며 이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나 세균, 유해균이 발생하는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가축이 물장난을 치거나 충격을 가하는 등, 식수의 낭비가 심하고 손상 및 파손을 자주 유발하였으며, 식수 및 사료의 허실이 많아질수록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9245호(2004.11.23., 등록) 2.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8419호(2010.04.02., 등록) 3. 국내등록특허 제10-0952282호(2010.04.0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 내의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함과 동시에 식수가 호퍼 중앙의 중심축을 통하여 사료받침대의 중앙에서부터 골고루 분산되게 하여 사료와 식수를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퍼 중앙의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식수에 의해 사료배출구 및 사료받침대 중앙의 돌출부에 누적되는 사료 및 사료찌꺼기를 제거하여 매우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사료 공급도 원활하게 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료받침대 내의 식수 및 사료를 물감지수단으로 감지함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제1 및 2 감지센서가 저수위(L1) 및 고수위(L2) 상태를 감지하여 식수 및 사료의 낭비를 줄이고 적정량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료받침대에 남은 사료 및 식수를 충분히 먹어 치운 후에야 비로소 식수 및 사료가 재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료의 허실을 줄이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내측의 사료공급수단과, 식수공급수단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중심에 직립하는 중공의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상단 개폐밸브를 통해 상수도관이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과; 상기 중심축 하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받침대의 중앙 돌출부 상면에 안착하며 둘레 면에 급수구멍이 형성된 식수분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의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결합하여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 및, 상기 회전지지구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지지구의 상부에서 중심축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원판과 사료배출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료배출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절너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수분배구는 스크레이퍼가 방사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가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내측의 사료공급수단과, 식수공급수단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부가 사료받침대의 요입부에 투입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하단에 힌지로 조립된 채, 내측의 수면이 상기 급수관의 출구에 닿아 급수관 내부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커버와; 상기 급수관의 상단에 구비되며 급수관의 내에 작용하는 수압의 변화에 따라 내측 고무판이 상수도관이 연결되는 후측 노즐을 개폐하도록 된 자동급수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퍼의 일측에 복수 개의 제1 및 2 감지봉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2 감지봉의 하부 제1 및 2 감지센서가 사료받침대의 요입부에 투입된 채, 식수 및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하기 위한 물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감지수단에 의해 컨트롤러가 구동모터 및 개폐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조절하게 되되, 상기 제1감지봉은 제1감지센서가 요입부에 근접한 상태로 구비된 채 사료 및 식수의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서 사료 및 식수 공급을 진행시키게 되며, 상기 제2감지봉은 제2감지센서가 제1감지센서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와 같이 공급되어 지는 사료 및 식수의 고수위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퍼 내의 사료를 하부 사료배출부를 통해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호퍼의 중심을 통해서 식수를 사료받침대에 골고루 투입함에 따라, 사료와 식수가 습식(액상) 또는 반습식 상태로 가축이 먹기 좋게 제공이 되며, 이때 사료배출구 및 사료받침대의 돌출부를 물로 씻어내리게 되면서 사료 찌꺼기 등을 분리시켜 청결하고 매우 위생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뿐만 아니라 급수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서 손상이나 오염의 위험성을 없애고 작동이 원활하며 특히, 하절기에는 가축의 물장난을 방지하여 식수 및 사료의 허실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호퍼 일측의 물감지수단으로 사료받침대 내의 식수 및 사료를 감지하되, 저수위 및 고수위를 감지하는 제1 및 2 감지센서에 의해 잔량을 감지하고 가축이 사료를 충분히 먹어서 비운 후에야 비로소 사료 및 식수가 공급됨으로 사료받침대에는 젖은 사료가 불필요하게 남아 있지 않게 됨은 물론 사료 및 식수의 허실을 방지하며,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일상적인 관리시 불필요한 컨트롤의 조절 및 급이기 조작 및 관리가 따르지 않아도 됨으로 인력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 및 제품의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급이기의 식수 및 사료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분배구(54)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수단(50a)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수단의 작동상태도.
본 발명의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12) 내측의 사료공급수단(20)과, 식수공급수단(50)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중심에 직립하는 중공의 중심축(22)과; 상기 중심축(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상단 개폐밸브(59)를 통해 상수도관(100)이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52)과; 상기 중심축(22) 하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받침대(15)의 중앙 돌출부(16) 상면에 안착하며 둘레 면에 급수구멍(55)이 형성된 식수분배구(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10)는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 내측에 구비되는 사료공급수단(20)과,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50)과, 상기 호퍼 일측의 물감지수단(60)과,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12)는 상부에 뚜껑을 가지는 원통형이고 아래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콘부(Cone) 아래로 사료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사료배출구의 외측 둘레에 보호커버(14)가 결합되고 그 아래에 사료받침대(15)가 구비된다.
상기 사료받침대(15)는 중앙에 원추형의 돌출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요입부(17)를 형성하여 사료 및 식수가 담기며, 상기 돌출부(16)가 사료배출부의 저면 내측으로 부분 삽입된 채 사료가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내려온다. 상기 사료받침대(15)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칸막이(18)가 중앙 호퍼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심축(22)의 일측에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의 중심축(2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와; 상기 중심축(22)의 상부에 결합하여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28) 및, 상기 회전지지구(28)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사료공급수단(20)은 호퍼의 중앙에 중심축(22)이 직립하고 상기 중심축(22)은 상부 지지대(19)에 구비되는 회전지지구(28) 및 와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돌출부(16)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채 상부의 구동모터(24)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하여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축의 구동기어(25)과 중심축의 축기어(26)가 서로 맞물려 연동하는 기어방식 또는 벨트/풀리, 체인/스프로킷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지지구(28)의 상부에서 중심축(22)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심축(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원판(36)과 사료배출구(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료배출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절너트(2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중심축(22)은 상부 회전지지구(28)의 상부에 조립되어 있는 조절너트(29)의 고정을 해제하고 일측 레버를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중심축(22)과 상기 충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원판(36)이 상/하 작동함과 동시에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사료의 토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원판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한 후에는 조절너트(29)를 고정시켜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조절너트(29)는 더블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22)은 중간부에 회전날개(30)를 가지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바(32)가 동일 간격으로 결합된 채 사료를 교반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하단부에 결합되는 원판(36) 및 가이드바(38)가 사료배출구에 구비된다. 이에, 상기 중심축(22) 및 원판(36)이 회전함과 동시에 원판 위의 사료가 가이드바(38)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아래로 추락하게 되고, 돌출부(16)의 경사면을 따라 요입부로 투입된다.
상기 식수공급수단(50)은 중공의 관체로 된 중심축(22)의 내부에 급수관(52)이 삽입되며, 상기 급수관(52)의 상단 개폐밸브(59)에 연결되어 있는 상수도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식수가 상기 중심축 하단에 구비되는 식수분배구(54)를 통해 골고루 공급된다. 상기 개폐밸브(59)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가 바람직하고 솔레노이드밸브가 가장 적합하며, 전선을 통해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식수분배구(54)는 둘레 면을 따라 급수구멍(55)들이 일정간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구멍(55)은 방사상으로 다수가 형성되며, 도 3에서처럼 관체의 둘레 면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채 물을 분사하도록 된다. 또는 상기 식수분배구(54)는 중심축(22)에 고정구(48)로 고정시켜 스크레이퍼가 함께 축 회전하면서 사료와 식수를 골고루 분배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수분배구(54)는 스크레이퍼(40,44)가 방사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의 제1, 제2스크레이퍼(40,44)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식수분배구(54)에 방사상으로 부착된다. 상기 제1스크레이퍼(40)는 가로바(42)의 선단에 세로로 세워진 채 상기 원판(36) 및 보호커버(14)의 저면에 흡착되는 사료찌꺼기를 분리시키며, 이때 하부 절곡부(41)가 보호커버의 저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이를 가축의 주둥이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크레이퍼(44)는 돌출부(16) 윗면에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구비된 채, 사료 찌꺼기가 누적되지 않게 분리시키며 가축이 먹기 좋게 요입부로 보낸다.
본 발명은,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복수 개의 제1 및 2 감지봉(62,62a)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2 감지봉(62,62a)의 하부 제1 및 2 감지센서(63,63a)가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투입된 채, 식수 및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70)에 신호하기 위한 물감지수단(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1 및 2 감지봉(62,62a) 하단의 제1 및 2 감지센서(63,63a)가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투입된 채 수분(물) 즉, 습식 상태의 식수 및 사료를 감지하며, 상부에 연결된 파이프(64) 및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컨트롤러(70)에 신호하게 되며, 이를 위해 금속성 사료받침대가 받침대 및 전선을 통해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는 상기의 사료받침대가 플라스틱이나 우레탄 등의 비전도성 소재인 경우에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컨트롤러에 접속된다.
상기 제1 및 2 감지봉(62,62a)은 하단에 노출된 제1 및 2 감지센서(63,63a)에 수분(물)이 접촉하면서 전류가 도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가축이 주둥이가 감지봉이나 감지센서에 접촉하게 되면 전류가 도통하면서 오작동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으로, 감지봉의 표면을 절연재 또는 비전도성 전기절연성 합성수지로 감싸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한다.
여기서, 상기 물감지수단(60)은 제1 및 2 감지봉(62,62a)이 두 개 또는 복수 개가 동일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호퍼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고정구(68) 및, 상기 칸막이(18)에 구비되는 하부 고정구(69)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고 상기 상부 고정구(68)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지봉의 높낮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70)는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스위치 및 수동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2 감지센서(63,63a)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고 구동모터(24) 및 개폐밸브(59)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물감지수단(60)에 의해 컨트롤러(70)가 구동모터(24) 및 개폐밸브(59)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조절하게 되되, 상기 제1감지봉(62)은 제1감지센서(63)가 요입부(17)에 근접한 상태로 구비된 채 사료 및 식수의 저수위(L1)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70)에서 사료 및 식수 공급을 진행시키게 되며, 상기 제2감지봉(62a)은 제2감지센서(63a)가 제1감지센서(63)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와 같이 공급되어 지는 사료 및 식수의 고수위(L2)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70)에서는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감지봉들 중에서 선택된 제1감지봉(62)의 제1감지센서(63)를 요입부 바닥에 근접하도록 저수위(L1)에 위치시키고, 또 다른 제2감지봉(62a)의 하부 제2감지센서(63a)가 저수위(L1) 보다도 높은 위치의 고수위(L2)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요입부에 사료 및 식수가 저수위가 되면 즉시 공급시켜 고수위(L2) 상태로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요입부의 바닥에 가까운 저수위(L1) 제1감지센서(63)에 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료 및 식수가 공급되어 지고, 역으로 상기의 고수위(L2)의 제2감지센서(63a)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공급이 중단된다. 이에, 상기 컨트롤러(70)에서는 식수 및 사료가 고수위(L2) 상태일 때는 릴레이(74)가 오프(Off) 상태이고, 가축이 사료를 먹으면 고수위의 제2감지센서(63a)가 먼저 노출이 되고 이후, 저수위의 제1감지센서(63)가 노출되면 릴레이가 온(On) 상태로 전환이 됨과 동시에 식수와 사료 공급이 시작된다. 이처럼, 상기 사료받침대에 남아 있는 사료 및 식수를 가축이 대부분 먹어치우게 되면서 사료찌꺼기 등이 남지 않게 되고 사료와 식수의 허실과 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사료받침대(15)의 내측 요입부(17)에는 제1감지센서(63) 또는 제2감지센서(63a)가 근접하는 부위에 보강재(66)를 부착하여서, 도전성 금속재로 된 사료받침대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물을 검출하는 감지센서의 전기분해작용으로 인해 부식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받침대(15)는 금속성 판재를 딥드로우잉 가공하여 제작이 되는데, 이때 판재는 원활한 딥드로우잉(Deep drawing) 가공을 위해서 두께가 1.0~1.5mm이내로 얇게 제한이 됨으로,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손상되면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12) 내측의 사료공급수단(20)과, 식수공급수단(50a)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부가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투입되는 급수관(52)과; 상기 급수관(52)의 하단에 힌지(58)로 조립된 채, 내측의 수면이 상기 급수관(52)의 출구(53)에 닿아 급수관(52) 내부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커버(56)와; 상기 급수관(52)의 상단에 구비되며 급수관(52)의 내에 작용하는 수압의 변화에 따라 내측 고무판(84)이 상수도관(100)이 연결되는 후측 노즐(81)을 개폐하도록 된 자동급수밸브(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식수공급수단(50a)은 상기 급수관(52)이 호퍼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채 요입부(17)에 투입되고 상기 급수관(5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커버(56)가 급수관의 저면 출구(53)를 개폐하게 되며, 상단에는 자동급수밸브(80)가 결합된다. 상기 자동급수밸브(80)는 후측 노즐에 상수도관(100)이 연결되고 개폐밸브(59)가 구비되며, 상기 자동급수밸브(80)는 본체 전방에 전면커버(83)가 결합되고 내측 고무판(84)이 노즐을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6)는 ')'형상으로 아래로 오목하고 상부에 돌출된 연결부(57)가 급수관에 힌지(58)로 조립되어 있어서, 도 7에서처럼 가축이 주둥이로 상기의 커버를 측방으로 젖히면 출구(53)가 개방된다. 동시에 상기 급수관 내부의 물이 아래로 쏟아짐과 동시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동급수밸브 내의 고무판(84)이 팽창하면서 노즐(81)에 분리하여 급수가 진행이 된다. 이때 출구에 묻은 사료 찌꺼기들이 수압에 의해 깨끗하게 씻겨져 분리되고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
역으로, 상기 커버(56)가 출구 저면에 복귀하면 내측의 수면이 출구(53)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관 내부에는 음(-)압이 작용하면서 고무판(84)이 노즐을 차단시켜 급수가 중단된다.
이때, 상기 자동급수밸브(80)는 후측 유출부(82)에 급수조절밸브(86)를 구비하여 급수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으며, 상기 커버(56)는 힌지(58)가 장방형의 구멍을 따라 상/하 높낮이 조절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82)의 하단에 급수관(52)가 연결되고 배관연결용 체결구(88)에 의해 누설되지 않게 연결 고정된다.
10:급이기 12:호퍼 13:사료배출구 14:보호커버
15:사료받침대 16:돌출부 17:요입부 18:칸막이
20:사료공급수단 22:중심축 24:구동모터 25:구동기어
26:축기어 28:회전지지구 29:조절너트 30:회전날개
32:가로바 36:원판 38:가이드바 40,44:스크레이퍼
41:절곡부 42:가로바 50:식수공급수단 52:급수관
53:출구 54:식수분배구 55:급수구멍 56:커버
57:연결부 58:힌지 59:개폐밸브 60:물감지수단
62:제1감지봉 62a:제2감지봉 63:제1감지센서 63a:제2감지센서
64:파이프 66:보강재 68,69:고정구 70:컨트롤러
72:타이머 74:릴레이 80:자동급수밸브 81:노즐
82:유출부 83:전면커버 84:고무판 86:급수조절밸브

Claims (7)

  1.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12) 내측의 사료공급수단(20)과, 식수공급수단(50)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중심에 직립하는 중공의 중심축(22)과;
    상기 중심축(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상단 개폐밸브(59)를 통해 상수도관(100)이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52)과;
    상기 중심축(22) 하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받침대(15)의 중앙 돌출부(16) 상면에 안착하며 둘레 면에 급수구멍(55)이 형성된 식수분배구(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2)의 일측에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의 중심축(2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와;
    상기 중심축(22)의 상부에 결합하여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구(28) 및, 상기 회전지지구(28)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구(28)의 상부에서 중심축(22)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심축(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원판(36)과 사료배출구(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료배출량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절너트(2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수분배구(54)는 스크레이퍼(40,44)가 방사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5. 사료가 담기는 호퍼(12)와, 상기 호퍼(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5)와, 상기 호퍼(12) 내측의 사료공급수단(20)과, 식수공급수단(50a)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로 된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부가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투입되는 급수관(52)과;
    상기 급수관(52)의 하단에 힌지(58)로 조립된 채, 내측의 수면이 상기 급수관(52)의 출구(53)에 닿아 급수관(52) 내부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커버(56)와;
    상기 급수관(52)의 상단에 구비되며 급수관(52)의 내에 작용하는 수압의 변화에 따라 내측 고무판(84)이 상수도관(100)이 연결되는 후측 노즐(81)을 개폐하도록 된 자동급수밸브(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6. 제1항, 제5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2)의 일측에 복수 개의 제1 및 2 감지봉(62,62a)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2 감지봉(62,62a)의 하부 제1 및 2 감지센서(63,63a)가 사료받침대(15)의 요입부(17)에 투입된 채, 식수 및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70)에 신호하기 위한 물감지수단(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지수단(60)에 의해 컨트롤러(70)가 구동모터(24) 및 개폐밸브(59)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조절하게 되되,
    상기 제1감지봉(62)은 제1감지센서(63)가 요입부(17)에 근접한 상태로 구비된 채 사료 및 식수의 저수위(L1)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70)에서 사료 및 식수 공급을 진행시키게 되며,
    상기 제2감지봉(62a)은 제2감지센서(63a)가 제1감지센서(63) 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와 같이 공급되어 지는 사료 및 식수의 고수위(L2)를 감지하여 신호함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70)에서는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20120034895A 2012-04-04 2012-04-04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35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95A KR101353781B1 (ko) 2012-04-04 2012-04-04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95A KR101353781B1 (ko) 2012-04-04 2012-04-04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89A KR20130112489A (ko) 2013-10-14
KR101353781B1 true KR101353781B1 (ko) 2014-01-27

Family

ID=4963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95A KR101353781B1 (ko) 2012-04-04 2012-04-04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761B (zh) * 2015-03-10 2018-08-17 嘉兴诺丁汉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喂料器
CN105409798A (zh) * 2015-10-22 2016-03-23 颍上庆丰农牧发展有限公司 一种小猪料槽
KR20180046815A (ko) * 2016-10-28 2018-05-09 이창현 급이기의 물 공급 제어방법
KR101963490B1 (ko) * 2017-01-11 2019-03-28 이창현 액상 사료 급여기
KR101963542B1 (ko) * 2018-10-16 2019-03-28 이창현 액상 사료 급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442135Y1 (ko) 2007-04-27 2008-10-10 이창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90092748A (ko) * 2009-07-31 2009-09-01 김기주 양돈용 사각 액상 급이기
KR20100116348A (ko)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442135Y1 (ko) 2007-04-27 2008-10-10 이창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00116348A (ko)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90092748A (ko) * 2009-07-31 2009-09-01 김기주 양돈용 사각 액상 급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89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17B1 (ko) 습식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353781B1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779304B1 (ko) 전자식 급이기의 물에 빠진 사료 해결방법
KR101388324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338672B1 (ko)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CN114009358B (zh) 一种生猪智能饲喂控制方法及设备
KR20180114751A (ko)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KR10146593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US4252083A (en) Livestock feeder system with water level control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465936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101737522B1 (ko) 축산용 사료 공급장치
CN105188354B (zh) 自动饲料饲喂器的供水装置
KR20170061545A (ko) 양돈용 액상사료 공급방법 및 공급시스템
KR20170120992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용 수위감지센서
KR20150074471A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410088B1 (ko) 식수 및 사료 급이기의 위생 사료받침대
KR100736321B1 (ko) 보온물탱크 및 위생급수기를 갖는 축사 설치용 자동급수시설
KR20090086176A (ko) 양돈용 액상 급이기
KR101245239B1 (ko) 축사용 급수통의 세척 및 배수 조절장치와 그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