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324B1 -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324B1
KR101388324B1 KR1020120108739A KR20120108739A KR101388324B1 KR 101388324 B1 KR101388324 B1 KR 101388324B1 KR 1020120108739 A KR1020120108739 A KR 1020120108739A KR 20120108739 A KR20120108739 A KR 20120108739A KR 101388324 B1 KR101388324 B1 KR 10138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supply
drinking water
ce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949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2010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3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돈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료배출부를 통해 적정량의 사료가 원활히 배출되면서 돼지가 먹기 좋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항상 위생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 둘레에 수조가 형성된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사료토출관체는, 내측 중앙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회전지지구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사료토출관체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구의 저면 중심에 슬리브가 세로로 결합되고 상기 사료받침대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중심봉이 결합하여 상기 슬리브가 중심봉에 끼워진 채 상/하 또는 회전 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구멍에는 누설방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The water and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양돈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료배출부를 통해 적정량의 사료가 원활히 배출되면서 돼지가 먹기 좋은 상태로 유지시키고 항상 위생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 소, 말, 닭 등(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을 사육하는 돈사나 축산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여기가 구비된다. 상기의 급여기는 식수가 별도로 공급되고 사료만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식 급여기와, 식수와 함께 사료를 공급하는 습식급여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의 습식급여기를 살펴보면, 호퍼 일측으로 설치되는 물공급관을 통해 식수를 사료받침대의 수조에 공급하도록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받침대는 호퍼의 사료배출부 아래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원형의 사료수납부를 중심으로 외측 둘레에 수조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사료배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사료수납부 윗면에 쌓이면서 돼지가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조에 투입되는 물공급관의 상단부에 식수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식수공급수단 혹은, 상기 물공급관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음수용 콕크(Cock), 니플(Nopple) 등을 통해 필요 시 제한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양돈용 습식 급여기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이미 선 제안된 바 있는 다수의 건들을 중에서, 국내특허등록 제10-0913645(2009.08.17.)호의 '양돈용 습식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가 대표적이다. 이는 받침대의 중앙부에 마련된 사료받침판의 가장자리에 추락방지 커버가 구비된 것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에 따른 급여기에서 사료와 식수를 받쳐주는 사료받침대는 대부분 원형이고 또, 사료받침대의 가장자리에 수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조의 물이 안쪽의 사료수납부로 쉽게 유입되면서 사료가 젖어 변질을 유발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사료수납부로 유입되는 물이 수조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사료배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에 스며들면서 사료배출부 내측(배출통로)으로 유입됨에 따라, 사료가 뭉치거나 굳어지는 등, 사료배출부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돼지의 경우 사료받침대에서 사료와 물을 번갈아가면서 먹는 과정에서 주둥이(코끝)를 위로 쳐드는 행동으로 인해, 상기 수조의 물이 사료수납부로 튀기거나 쉽게 유입되면서 사료가 물에 젖고 굳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1.국내특허등록 제10-0913645(2009.08.17.,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의 사료가 하부 사료토출관체를 통해 사료받침대로 원활히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사료받침대 가장자리의 수조로부터 중앙부의 사료수납부로 물 튀김을 차단시킴으로써, 배출통로에 사료가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료의 공급을 원활히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토출관체와 함께 내측의 스크레이퍼가 연동하면서 상기 사료토출관체의 하단에 마련되는 사료수납부의 중앙 돌출부의 사료배출통로에 사료가 정체되거나 또는, 가축의 주둥이에 묻은 물이 사료에 튀어 흡착하거나 딱딱하게 굳지않도록 방지하고 먹기 좋게 유지시킬 수 있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돼지가 사료와 물을 번갈아 먹으면서 주둥이(코끝)로 수조의 물을 밀어서 튀겨 넘김에 따라 사료수납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사료의 오염 및 허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 둘레에 수조가 형성된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를 통해 수조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사료토출관체는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지지구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에 결합되고 상기 사료받침대의 돌출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하향 돌출된 채 상/하 또는 회전 동작하며; 상기 사료조절바에 끼워지는 스프링에 의해 저면에 구비되는 누설방지구가 상기의 구멍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는, 수조와 사료수납부의 사이에 돌출테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테의 상단에 물튀김방지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는, 수조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조의 안쪽에 돌출테를 세로로 형성하고 이 돌출테의 안쪽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사료수납부를 가지는 사료수납부재를 투입하고 상기 사료수납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된 물튀김방지구가 돌출테에 끼움 조립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는, '∩'로 절곡된 물튀김방지구의 저면 끼움홈이 돌출테의 상단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물튀김방지구의 외측면이 바깥으로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토출관체의 내측에 스크레이퍼가 구비되되, 상기 스크레이퍼는 중심봉에 링부재가 끼워져 사료수납부 중앙의 돌출부에 안착하고 상기 링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L'자 절곡부재가 상기 회전지지구와 사료토출관체를 연결하는 지지대에 걸쳐져 연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퍼에서 배출된 사료가 사료수납부로 원활히 공급되며 사료가 물에 쉽게 젖지 않고 항상 먹기 좋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료는 물론 식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상 청결히 유지할 수 있으며, 사료와 물의 허실을 없애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돼지의 경우 식습관 중에 주둥이를 쳐드는 행동을 보이거나 요란스럽고 혼잡한 행동으로 인해 물이 사료에 튀기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료가 쉽게 물에 젖지 않게 하고 식수가 혼탁해지지 않게 되며 또, 사료와 식수를 항상 신선하게 제공하여 가축의 건강을 좋게 하고 성장발육을 촉진하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 및 제품의 가격을 낮추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료토출관체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사료의 부패를 방지하고, 기존의 사료배출부에도 간단하게 교체 및 설치할 수 있고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인 효과를 수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의 주요부를 부분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의 주요부를 부분적인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와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받침대(30a)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와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받침대(30b)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4)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2)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33) 둘레에 수조(32)가 형성된 사료받침대(30,30a,30b)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8)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부(4)의 하단에 조립되는 사료토출관체(12)는, 내측 중앙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회전지지구(14)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사료토출관체(12)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돌출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구(14)의 저면 중심에 슬리브(18)가 세로로 결합되고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의 돌출부(37) 중앙에 형성된 구멍(39)에 중심봉(40)이 결합하여 상기 슬리브(18)가 중심봉(40)에 끼워진 채 상/하 또는 회전 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구멍(39)에는 누설방지구(4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상기의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10)는 사료가 담기는 호퍼(2)의 하부 사료배출부(4)에 사료토출관체(12)가 구비되고, 상기 사료토출관체의 하부에 사료받침대(30)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식수공급관(8)이 수조(32)에 투입된 채 식수를 공급하게 되는 식수공급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받침대(30)는 상부에 칸막이(6)를 설치하여 호퍼(2)를 일정한 높이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료토출관체(12)는 사료배출부(4)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내측 중앙의 회전지지구(14)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20)가 결합하여 상/하 작동하면서 사료를 토출시키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지지구(14)는 상면의 결합구멍(16)에 사료조절바(20)를 세로로 삽입하고 측면의 체결구멍(17)과 통공(22)으로 체결구(23)를 끼워 서로 조립된다.
상기 사료토출관체(12)는 중앙의 회전지지구(14) 사이에 지지대(15)를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 고정되며, 합성수지(플라스틱), 우레탄 등으로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구성이 된다. 이로써,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고, 내충격력,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원가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급여가 원활하게 된다.
상기 회전돌출부(26)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사료토출관체(12)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돼지가 주둥이로 회전돌출부(26)를 움직여 사료토출관체(12)가 회전 또는 상/하로 유동하면서 돌출부와의 틈(배출통로) 사이로 사료가 토출된다.
상기 회전지지구(14)의 저면 중심에 슬리브(18)가 결합하여 세로로 하향 돌출되고 상기 슬리브(18)가 중심봉(40)에 끼워져 회전 접촉한다. 상기 중심봉(40)은 사료받침대(30)의 돌출부(37) 중앙 안착부(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9)에 세로로 결합되고, 이때 저면에서 끼워져 너트를 체결하여 수직으로 조립이 된다.
특히, 상기 구멍(39)에는 누설방지구(42)를 구비하여, 상면 또는 상/하면에 긴밀하게 접촉하면서 사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누설방지구(42)는 안착부(38)에 대응하는 평평한 와셔가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는 식수가 담기는 수조(32) 및 사료가 담기는 사료받침대(33)로 구성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33)의 가장자리에 수조(32)가 구비된다. 상기 사료수납부(33)는 평평하고 중앙부분에 콘(Cone)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37)가 사료배출관체의 저면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상기 사료토출관체(12)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소정의 배출통로로 사료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4)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2)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33) 둘레에 수조(32)가 형성된 사료받침대(30,30a,30b)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8)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는, 수조(32)와 사료수납부(33)의 사이에 돌출테(34,34')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테(34,34')의 상단에 물튀김방지구(35,35a,35b)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10)는 도면들에서처럼, 상기의 상기 사료받침대(30)는, 수조(32)와 사료수납부(33) 사이에 돌출테(3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34)는 사료수납부(33)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물튀김방지구(3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물튀김방지구(35)는 위로 갈수록 외측으로 비스듬히 확장되어 있어서, 상기 물튀김방지구에 의해 사료수납부로 침수가 방지된다. 즉, 돼지가 수조의 물을 먹는 중에 주둥이를 위로 쳐들거나 물을 튀기더라도 상기 물튀김방지구(35)의 바깥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또, 물이 사료수납부로 튀어 넘어들어오지 않게 효과적으로 차단이 되며, 물이 자연스럽게 수조로 회수가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 및 사료수납부의 형태에 따라 둥근 원형이나 삼각, 사각, 육각, 다각형 등으로 구성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30a)는, 수조부재(31)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조(32)의 안쪽에 돌출테(34')를 세로로 형성하고 이 돌출테(34')의 안쪽에 공간부(64)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64)에 사료수납부(33)를 가지는 사료수납부재(60)를 투입하고 상기 사료수납부재(60)의 테두리에 형성된 물튀김방지구(35a)가 돌출테(34')에 끼움 조립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도 5와 도 5a에서처럼, 상기 사료받침대(30a)는 중앙에 공간부(64)를 가지는 수조부재(31)와, 상기 공간부(64)에 결합되는 사료수납부재(60)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수조부재(31)는 상면에 오목한 수조(32)가 도넛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의 공간부(64)에 사료수납부재(60)가 끼움 조립된다.
상기 사료수납부재(60)는 사료수납부(33)의 중앙에 구멍(39)을 가지는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를 도 5a에서처럼 외측으로 둥글게 오므려 하향 개방된 끼움홈(62)을 상기 돌출테(34')의 상단에 끼움 조립함에 따라, 긴밀하게 밀착 조립된다. 또는 상기 돌출테의 상단 결합부위에 체결구(65)를 끼워 사료수납부재와 돌출테를 단단히 고정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받침대(30b)는, '∩'로 절곡된 물튀김방지구(35b)의 저면 끼움홈(62)이 돌출테(34)의 상단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물튀김방지구(35b)의 외측면(36)이 바깥으로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료받침대(30b)는 도 6 및 도 6a를 참조하면, 사료수납부의 가장자리에 '∩'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테(34)의 상단에 물튀김방지구(35b)를 끼움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튀김방지구(35b)는 도 6a에서처럼, 끼움홈(62)을 돌출테(34)의 상단에 끼움 조립되고, 내측면(66)이 돌출테 내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경사면으로 된 외측면(36)의 하단부가 돌출테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외측면(36)은 위로 갈수록 바깥으로 확장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의 수조의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아래로 흘려보낸다.
한편, 상기의 물튀김방지구(35a,35b)는 수조 및 돌출테에서 분리된 구성으로, 생산 및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간편하므로 인해, 기존의 사료받침대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교체도 편리하다. 특히 사료받침대의 경우 얇은 금속판재(스테인리스)를 드로우잉(Drawing) 가공하여 제작이 됨으로, 사료받침대의 수조 내지 사료받침대, 돌출부를 성형하기가 난해하고 가공성이 떨어지며 불량의 발생률이 높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물튀김방지구(35a,35b)는 별도 제작하여 조립하도록 구성이 됨으로, 가공성은 물론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며, 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토출관체(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크레이퍼(50)는, 상기 중심봉(40)에 끼워지는 링부재(52)에 'L'자 절곡부재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사료수납부(33) 중앙의 돌출부(37)에 안착한 채, 상기 회전지지구(14)와 사료토출관체(12)를 연결하는 지지대(15)에 절곡부재가 걸쳐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크레이퍼(50)는 사료토출관체(12)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중앙의 링부재(52)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L'자형 절곡부재가 지지대(15) 측면에 걸쳐진 채 연동하고, 저면이 상기 돌출부(37)의 윗면에 안착한 채 미끄럼 접촉하면서 사료찌꺼기 등을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5)는 사료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비스듬히 형성되는데, 저면을 돌출부(37)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부 윗면에 흡착되는 사료를 제거하게 되는 스크레이퍼 역할도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4)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2)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33) 둘레에 수조(32)가 형성된 사료받침대(30,30a,30b)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8)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부(4)의 하단에 조립되는 사료토출관체(12)는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지지구(14)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20)에 결합되고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의 돌출부(37) 중앙에 형성된 구멍(39)을 관통하여 하향 돌출된 채 상/하 또는 회전 동작하며; 상기 사료조절바(20)에 끼워지는 스프링(46)에 의해 저면에 구비되는 누설방지구(42)가 상기의 구멍(39)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료토출관체(12)는 회전지지구(14)의 중심 결합구멍(16)에 사료조절바(20)의 하단부를 삽입하면 고정핀(24)이 핀홈(19)에 맞물리고 회전지지구(14)의 저면에는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이에 상기 사료조절바(20)가 회전지지구 아래로 하향 노출된 채로 상기 돌출부(37)의 중앙 구멍(39)에 삽입되고 구멍 아래로 하향 돌출된다.
상기 사료조절바(20)에는 회전지지구(14)와 안착부(38) 사이에 스프링(46)이 끼워져 저면에 구비되는 누설방지구(42)를 눌러 상기 안착부(38) 중앙의 구멍(39)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사료조절바(20)에는 하부에 슬리브(18)를 끼우고 하단의 통공(22)에 체결구(25)를 결합하여 슬리브(18)가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18)는 구멍(39)에 삽입된 채, 상기 사료토출관체(12)의 작동에 따라 미끄럼 접촉하면서 작동을 원활히 하고 마찰을 적게 하여 마모를 방지하며 구멍을 통해 사료의 누설을 재차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구(23,25,65)는 볼트 또는 볼트/너트, 리벳, 핀, 분할핀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수공급수단은 물공급관체(8)의 상단에 외부의 수도관에 연결되는 자동수위조절장치 또는, 상기 물공급관체(8)의 하단에 급수용 니플 등을 구비함에 따라, 돼지에게 식수를 제한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수위조절장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바에 있는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18515호(2011.03.02.) 또는,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59182호(2011.06.17.)의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등을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가 될 것이다.
2:호퍼 4:사료배출부 6:칸막이
8:물공급관체 10: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12:사료토출관체 14:회전지지구 15:지지대
16:결합구멍 17:체결구멍 18:슬리브
20:사료조절바 22:통공 23,25,65:체결구
30,30a,30b:사료받침대 32:수조
33:사료수납부 34,34':돌출테 35,35a,35b:물튀김방지구
36:외측면 37:돌출부 38:안착부
39:구멍 40:중심봉 42:누설방지구
44:너트 50:스크레이퍼 52:링부재
60:사료수납부재 62:끼움홈 64:공간부
66:내측면

Claims (6)

  1. 내부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배출부(4)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 호퍼(2)와, 상기 사료배출부 아래에 구비되며 중앙의 사료수납부(33) 둘레에 수조(32)가 형성된 사료받침대(30,30a,30b)와, 상기 호퍼 일측에 구비되는 물공급관체(8)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공급수단으로 된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부(4)의 하단에 조립되는 사료토출관체(12)는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지지구(14)가 호퍼 중심부에 세로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조절바(20)에 결합되고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의 돌출부(37) 중앙에 형성된 구멍(39)을 관통하여 하향 돌출된 채 상/하 또는 회전 동작하며;
    상기 사료조절바(20)에 끼워지는 스프링(46)에 의해 저면에 구비되는 누설방지구(42)가 상기의 구멍(39)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30,30a,30b)는 수조(32)와 사료수납부(33)의 사이에 돌출테(34,34')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테(34,34')의 상단에 물튀김방지구(35,35a,35b)가 형성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30a)는 수조부재(31)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조(32)의 안쪽에 돌출테(34')를 세로로 형성하고 이 돌출테(34')의 안쪽에 공간부(64)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64)에 사료수납부(33)를 가지는 사료수납부재(60)를 투입하고 상기 사료수납부재(60)의 테두리에 형성된 물튀김방지구(35a)가 돌출테(34')에 끼움 조립하도록 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30b)는 '∩'로 절곡된 물튀김방지구(35b)의 저면 끼움홈(62)이 돌출테(34)의 상단에 끼움 조립되며 상기 물튀김방지구(35b)의 외측면(36)이 바깥으로 확장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토출관체(12)의 내측에 스크레이퍼(50)가 구비되되, 상기 스크레이퍼(50)는 중심봉(40)에 링부재(52)가 끼워져 사료수납부(33) 중앙의 돌출부(37)에 안착하고 상기 링부재(52)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L'자 절곡부재가 상기 회전지지구(14)와 사료토출관체(12)를 연결하는 지지대(15)에 걸쳐져 연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6. 삭제
KR1020120108739A 2012-09-28 2012-09-28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38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39A KR101388324B1 (ko) 2012-09-28 2012-09-28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39A KR101388324B1 (ko) 2012-09-28 2012-09-28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49A KR20140042949A (ko) 2014-04-08
KR101388324B1 true KR101388324B1 (ko) 2014-04-23

Family

ID=5065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39A KR101388324B1 (ko) 2012-09-28 2012-09-28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896A (ko)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126B1 (ko) * 2016-12-13 2018-09-04 정정복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애완동물용 급식대
US11590438B2 (en) 2018-09-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6127B2 (en) 2018-09-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3627B2 (en) 2018-09-19 2023-05-2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65202B2 (en) * 2018-09-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20200085012A1 (en) 2018-09-19 2020-03-1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having pump cover and filter
US11871732B2 (en) 2018-09-19 2024-01-1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160250B2 (en) 2018-09-19 2021-11-0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71058B2 (en) 2018-09-19 2023-10-0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2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2A (ko)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급수기
US11527906B2 (en) 2018-09-19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3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191252B2 (en) 2018-09-19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35Y1 (ko) * 2007-04-27 2008-10-10 이창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0913645B1 (ko) * 2007-08-02 2009-08-24 이창현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35Y1 (ko) * 2007-04-27 2008-10-10 이창현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0913645B1 (ko) * 2007-08-02 2009-08-24 이창현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896A (ko)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49A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324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US6119628A (en) Animal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US10271525B2 (en) Bird feeder with improved rain shield
JP2013501517A (ja) 飼料損失防止機能を有する養豚用給餌器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CA3010006C (en) Poultry feeder
KR101280103B1 (ko)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101353781B1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KR101737522B1 (ko) 축산용 사료 공급장치
KR101180553B1 (ko) 축산용 급수장치
KR200484080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70099490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146593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630603B1 (ko) 모돈급이기
US20080202437A1 (en) Unique Grill Pan With Auto Chick Grill For Chick Feeding
KR101465936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20170120992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용 수위감지센서
CN105360001A (zh) 一种集净水及双自动供水的牲畜饮水装置及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