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227B1 - 양돈용 사료공급기 - Google Patents

양돈용 사료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227B1
KR101979227B1 KR1020170095599A KR20170095599A KR101979227B1 KR 101979227 B1 KR101979227 B1 KR 101979227B1 KR 1020170095599 A KR1020170095599 A KR 1020170095599A KR 20170095599 A KR20170095599 A KR 20170095599A KR 101979227 B1 KR101979227 B1 KR 10197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late
feeder
support shaf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518A (ko
Inventor
임진수
김유림
Original Assignee
임진수
김유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수, 김유림 filed Critical 임진수
Priority to KR102017009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돈용 사료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료받이통 내부로 돌출된 밀대를 일측으로 밀어서 밀대와 일체로 구성된 사료공급판이 기울어지게 하여 발생된 틈으로 상부에 적재된 사료를 통과시켜 공급되도록 하되, 사료공급판 상부에 위치한 사료저장통에는 회전에 의해 개구정도를 조절하면서 상부에 적재된 사료의 하중을 외벽으로 분산시켜 제거하는 하중분산장치가 더 장착되어 적재된 사료의 중량이 사료공급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밀대에 의한 사료공급판의 기울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원활한 사료공급이 가능한 양돈용 사료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돈용 사료공급기{FEEDING DEVICE FOR PIGS}
본 발명은 양돈용 사료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료받이통 내부로 돌출된 밀대를 일측으로 밀어서 밀대와 일체로 구성된 사료공급판이 기울어지게 하여 발생된 틈으로 상부에 적재된 사료를 통과시켜 공급되도록 하되, 사료공급판 상부에 위치한 사료저장통에는 회전에 의해 개구정도를 조절하면서 상부에 적재된 사료의 하중을 외벽으로 분산시켜 제거하는 하중분산장치가 더 장착되어 적재된 사료의 중량이 사료공급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밀대에 의한 사료공급판의 기울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원활한 사료공급이 가능한 양돈용 사료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업은 사육하는 가축에게 매일 먹이를 공급해야한다. 특히 식용으로 사육하는 경우에는 최대한 많은 사료를 섭취시켜 성장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먹이 공급이 중요하다.
상기 종래 사료공급은 규모가 작은 축산 규모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대규모의 축산에서는 사료공급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기계적으로 사료를 대량 공급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축이 원하지 않을 경우에도 미리 사료가 공급되므로 잔량의 사료는 주위환경에 따라 오염될 수 있으며, 재섭취시 가축질병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축 스스로가 원할 때 사료가 공급되어 섭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즉, 통체 하부에 가축이 건드리면 개방되는 밸브구조가 마련된 사료공급기를 제공하여 가축이 원할만큼 사료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료섭취량을 증가로 체중증강 및 성장속도를 향상시켜 다량의 육질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방법도 다량의 사료가 적재되면, 적재된 사료의 하중이 밸브 구조중 사료차단판에 전달되어 압박이 이루어지므로, 사료차단판의 들림을 방해하여 사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895호(2012.09.28.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사료 정량 공급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임펠러가 내장되고,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외부에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장용기; 상기 본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배출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는 내측으로 경사지다 일자로 형성되며, 경사진 부분은 상기 임펠러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져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공급된 사료가 상기 임펠러와 상기 본체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모터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되,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들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들에 각각에 대응되는 회전축에는 무게 감지 센서가 결합되어 상기 각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상기 사료의 무게를 감지 및 상기 콘트롤러에 감지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1은 일정시간마다 모터에 의해 날개를 회전시켜 일정량만큼 사료를 낙하시켜 공급되는 것으로, 가축이 원하는 시간에 공급하거나 원하는 량을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축의 중량을 단기간 증가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특2003-0088283호(2003.11.19.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조절급이기를 제안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소정의 돈사에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이송관을 구비한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조절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사료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일정량의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조와; 상기 사료저장조 하부에 지면과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며 돼지들이 직접 공급된 사료를 먹을 수 있는 구유조와; 상기 사료저장조와 상기 구유조 사이에 마련되어, 저장된 사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일정량을 균등하게 상기 구유조에게 공급하는 사료공급부와; 상기 사료저장조와 상기 구유조를 일체형으로 상하로 배치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사료공급부 하부에 공급되는 사료를 상기 구유조에게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사료낙하파이프와; 상기 구유조 인근에 위치한 돼지들을 감지하여 상기 사료공급부를 동작시키는 사료공급제어부와;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사료공급부를 동작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사료공급제어부의 제어동작이 유효하게 설정하는 자동콘트롤러P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2는 돼지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사료공급부를 구동시켜 사료를 일정량으로 공급되게 한 것으로, 자동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가축이 원할 때 연속적으로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지만, 자동화에 의해 장치비용이 증가되고 전기공급라인에 문제가 발생시에는 사료공급이 중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료공급을 가축이 원할 때 공급이 가능하면서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거하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장치비용을 절감시켜 보급화가 가능한 저비용의 사료공급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895호(2012.09.28.등록) : 사료 정량 공급장치 한국공개특허 특2003-0088283호(2003.11.19.공개) :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조절급이기
이에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공급기는,
터치봉이 형성된 밸브구조에 의해 돼지가 원할 때 사료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다량 적재된 사료 중량이 개폐가 이루어지는 밸브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단순구조를 갖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공급기는,
양돈스톨에 설치되어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기에 있어서, 전면벽의 상부에 돼지 머리가 내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는 공급된 사료가 안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료받이통과; 상기 사료받이 통의 상부면에 연통되게 일체로 설치되는 통체로, 내부면에는 동일수평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사료유입관과; 상기 사료유입관의 걸림돌기에 안치되는 사료공급판과, 상단이 사료공급판의 저면중앙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이 사료받이통으로 길게 내입되어 돼지가 코로 미는 밀대로 이루어진 사료공급밸브와; 상기 사료유입관의 상부로 커플러에 의해 연속연결되고 내부에 다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저장통과; 상기 사료저장통 하부에서 사료저장통 내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중심부분에 배치되어 상부에 적재된 사료하중을 전달받으면서 이격된 틈으로는 사료를 일부 하부로 투입하게 하는 판형의 분산판부와, 중앙부분이 분산판부 저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양단이 사료저장통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진 하중분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료공급밸브의 사료공급판은 상부로 볼록한 돔형태로 형성하여 사료를 양측의 틈으로 안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장치는, 사료저장통 내경과 근접한 직경을 갖는 차단판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차단판부는 분산판부와 직교되면서 동심원을 갖도록 분산판부와 결합되어 지지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은 일단이 사료저장통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연장된 단부에 "T"자 형태의 회전조절대를 설치하여 회전조절대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이 회전되어 차단판부를 수평배치하거나 분산판부를 수평배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대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사료저장통 외면에는 회전조절대와 근접하여 형성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90도로 꺾인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면에서 수직으로 통공되어 회전조절대 중 수직으로 배치된 바를 삽입하는 잠금통공으로 구성되어 회전조절대를 고정시키는 잠금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대는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장축부는 차단판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하고,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한쪽으로만 연장된 단축부는 분산판부와 동일평면상에 배치하여 사료저장통 내부의 열림과 폐구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공급기는,
사료공급밸브 상부에 하중분산장치를 장착하여 적재된 사료중량이 하중분산장치에 의해 대부분 외벽으로 분산제거되고 사료공급밸브에는 소량의 하중만 전달되기 때문에 밸브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중분산장치는 적재된 사료하중을 분산제거하는 분산모드 이외에 차단모드를 더 구성하여 적재된 사료를 옮길 필요없이 하부에 장착한 사료받이통을 분리세척 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사료공급기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유입관과 사료공급밸브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및 수평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산장치 및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개략측면도 및 개략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사료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양돈용 사료공급기(10)는, 사료가 안치되는 사료받이통(20)과, 사료받이통에 연통설치되어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유입관(30)과, 상기 사료유입관에 설치되어 사료공급을 단속하는 사료공급밸브(40)와, 사료유입관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통(50)과, 저장된 사료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료받이통(20)은 전면으로 돼지의 머리가 내입되는 크기의 개구부(21)가 형성되고, 공급된 사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벽으로 둘러쌓인 수용공간(22)이 형성된다. 사료받이통의 저면 중 사료유입관을 통해 사료가 낙하하는 부분의 바닥면은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낙하하는 사료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려서 전방에 쌓이게 함으로써 돼지가 용이하게 섭취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유입관(30)은 사료받이통에서 개구부가 형성된 전방과 반대되는 후방측의 상부에 연통설치되어 사료를 공급하게 한다. 상기 사료유입관(30)은 하단이 사료받이통의 상부에 접합되거나, 사료받이통 상부을 삽통하여 하단 일부가 사료받이통의 수용공간으로 내입되어 사료의 공급안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사료유입관(30)의 하단부를 역삼각뿔대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료유입관이 사료받이통으로 내입되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고, 사료가 가운데로 모아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사료유입관(30) 내부에는 사료공급밸브(40)를 안치하기 위한 걸림돌기(31)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1)는 사료유입관(30)의 내벽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사료유입관 하단과 근접된 부분에 설치되어 안치되는 사료공급밸브(40) 일부가 하단으로 통해 외부로 표출됨이 용이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료공급밸브(40)는 사료유입관의 걸림돌기(31)에 안치되는 사료공급판(41)과, 상기 사료공급판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료유입관 하단을 통해 하부로 표출되는 밀대(42)로 구성된다.
상기 사료공급판(41)은 사료유입관(30)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되 사료공급판의 가장자리와 사료유입관 내벽 사이의 간격은 공급되는 사료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 예컨대 5~20%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사료공급판(41)이 수평으로 배치될 때에는 사료공급판(41)과 사료유입관(30) 내벽 사이의 틈이 작아서 사료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고, 사료공급판(41)이 기울어질 때에는 사료공급판과 사료유입관 내벽 사이의 틈이 확장되어 사료가 사료받이통에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공급판(41)은 판체 형태 보다는 상부로 돌출된 돔형태로 형성하여 사료가 가장자리로 밀려나서 틈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며, 사료공급판에 전달되는 하중을 양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밀대(42)는 사료공급판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봉체로, 상단은 사료공급판(41)에 일체로 결합되고 밀대 하단은 사료유입관 하단을 통과하여 사료받이통(20)의 수용공간까지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밀대(42)는 사료받이통(20)에 머리를 내입한 돼지가 입으로 밀었을 때 후방으로 밀리면서 회동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밀대의 경사배치에 의해 사료공급판(41)도 수평면에서 일측이 상부로 들려지게 되며, 그 틈으로 사료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대(42)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사료유입관의 내벽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아닌 회동하여 경사진 구조로 제공되어야 사료공급판과 사료유입관 내벽 사이의 틈이 크게 발생되어 사료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사료공급판(41)이 외압에 의해 용이하게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밀대 중 사료유입관의 걸림돌기(31)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부의 길이가 상부의 길이보다 2배이상 길게 형성하고 하부에서 측면외압이 작용되는 구조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밀대(42)가 사료유입관의 중심에서 어느 일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되, 걸림돌기와는 일정간격으로 유격이 발생되도록 하여 다수의 걸림돌기(31) 사이에 밀대(42)가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예컨대 도 3a와 같이 걸림돌기(31) 중 사료유입관 중심으로 돌출된 단부는 하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걸림돌기 단부 중 상부에서 힌지회동이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회동되는 밀대가 걸림돌기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위는 걸림돌기(31) 단부의 하부 이외에 상부를 경사지게 절단시켜 밀대(42) 측면과 접하는 걸림돌기 단부의 면적을 최소화해 힌지점으로 작용하게 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밀대 회전시 밀대가 걸림돌기의 단부에 걸리지 않게 하므로써 밀대의 회동과정에서 걸림 또는 저항을 최소화해 밀대의 기울기를 최대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직교되게 결합된 사료공급판도 최대 기울기로 경사를 제공하여 사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사료유입관(30)의 중심에는 밀대(42)가 삽통되는 거치고리(32)를 배치시키고, 걸림돌기(31)는 사료유입관(30) 내벽과 거치고리(32)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료저장통(50)은 사료유입관(30) 상부로 연속 연결시킨 것으로, 연결부위는 커플러(51)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료저장통(50)은 하나의 관체를 수직으로 길게 형성하여 다량의 사료가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부의 면적을 확장시켜 사료가 저장되도록 하는 호퍼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저장통은 돼지스톨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기타 시설물에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장치(60)는 사료저장통(50) 내측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고 사료저장통 내경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크기로 사료저장통과 동일축상으로 설치되는 분산판부(61)와, 상기 분산판부를 사료저장통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축(6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62)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성하여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분산판부(61)은 사료저장통(50) 내경에 대해 40~80% 크기로 형성하여 두 부재의 이격틈을 통해 사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산판부(61)는 사료저장통(50)에 저장된 다량의 사료에서 발생된 하중을 직접 전달받아 분산시킴으로써 사료공급판(41)에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밀대(42) 회동에 의한 사료공급판(41)의 들림이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사료공급밸브의 사료공급판(41)에 사료저장통의 사료 하중이 직접 전달되면 밀대(42)를 밀어 회동시켜 사료공급판(41)을 들어올리는데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료의 원활한 공급이 어렵고, 밀대의 회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료저장통(50)의 사료 저장량을 줄이면 사료공급판에 전달되는 하중은 줄어들지만 사료저장통에 사료를 자주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분산판부의 설치만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축은 분산판부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분산판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을 지지축의 축과 동일축으로 설정하여 지지축 양측으로 분산판부가 동일한 크길 돌출되게 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분산판부를 동일하게 반원을 분리시키고 각각을 지지축의 양측에 동일평면상으로 배치되게 부착시키거나, 지지축 중심에 통공을 형성하여 원판의 분산판부를 삽입해 분산판부 중심을 지지축과 부착되거나, 원판의 분산판부 중 중심을 지나는 라인의 양측에 지지축을 각각 부착시켜 지지축의 축과 분산판부의 중심통과라인이 동일축상에 배치되게 하는 등 다양한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표적으로 분산판부 저면에 부착된 것으로 기재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상기 결합구조를 모두 포함하여 표현한 결합구조이다.
상기 하중분산장치(60)는 분산판부(6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차단판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분산판부(61)는 사료저장통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하나의 지지축(62)에 결합되고, 상기 분산판부(6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는 사료저장통 내경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차단판부(63)가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지지축(62)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축(62)은 사료저장통 외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표출되도록 해 외부에서 지지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축(62)의 회전으로 분산판부(61)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사료를 일정량씩 하부로 배출되게 하거나, 차단판부(63)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사료의 하부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부(63)는 사료저장통(50)의 사료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완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세척을 위해 사료받이통(20)을 분리할 때 간단하게 사료차단에 의해 사료받이통의 분리세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62)에는 사료저장통 외부로 표출된 단부에 회전조절대(64)를 설치하고, 회전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내부의 분산판부(61) 또는 차단판부(63)의 위치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회전조절대(64)는 "T"자 형태로 지지축(62) 단부에 지지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조절대(64)는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장축부(641)는 차단판부(63)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하고,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한쪽으로만 연장된 단축부(642)는 분산판부(61)와 동일평면상에 배치하여 회전조절대(64)의 회전방향만 봐도 내부의 차단판부(63)와 분산판부(61)의 배치형태가 어떤지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조절대(64)는 도시된 형태 이외에 "T"형태를 내포하도록 환형손잡이가 더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조절대(6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고정수단(70)으로는 사료저장통(50) 외면에서 회전조절대(64)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걸림고리(71)와, 회전조절대(64)와 걸림고리(71)를 결합시키는 잠금대(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고리(7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 단부측이 사료저장통 외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내부 통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잠금대(72)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고리에 삽입되는 몸체부(721)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90도로 꺾여 연장부(722)로 구성되어 걸림고리(71)에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하고, 상기 연장부(722)에는 수직으로 잠금통공(723)을 천공하여 회전조절대(64) 중 수직으로 배치된 장축부(641) 또는 단축부(642)를 끼워서 회전조절대(64)의 회전을 방지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료공급기(10)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기(10)는, 사료 수용공간(22)이 구비된 사료받이통(20)과, 상기 사료받이통의 후방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가 연통된 사료유입관(30)과, 상기 사료유입관에 안치되는 사료공급판(41)과 사료공급판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사료받이통으로 연장된 밀대(42)로 구성된 사료공급밸브(40)와, 상기 사료유입관 상단에 연속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사료저장통(50)과, 상기 사료저장통 하부에 설치되고 분산판부(61)와 차단판부(63)를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적재된 사료의 하중을 외벽인 사료저장통으로 분산시키는 하중분산장치(60)와, 상기 하중분산장치(60)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사료저장통의 회전조절대(64)를 회전시켜 하중분산장치의 분산판부(61)를 수평으로 배치시킨 다음 고정수단인 잠금대(72)에 회전조절대(64)를 끼우면서 걸림고리(71)에 삽입하여 회전조절대(64)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료저장통(50)에 사료를 투입하면 사료는 사료저장통 하단의 분산판부(61)를 통과하여 사료공급밸브(40)인 사료공급판(41) 상부에 적층된다. 이때 분산판부(61)는 그 상부에 적재된 사료의 하중을 전달받아 사료저장통(50)으로 분산시켜 제거하므로, 실질적으로 사료공급판(41)에 전달되는 하중은 분산판부와 사료공급판 사이에 적재된 사료의 량 만큼만 전달된다.
이와같이 세팅된 사료공급기(10)는 돼지가 사료공급밸브의 밀대(42)를 밀면 밀대가 경사지게 회동하면서 이에 일체로 결합된 사료공급판(41)도 경사지게 회동하여 틈이 발생되고, 그 틈으로 사료가 통과되어 공급이 이루어지며, 밀대(42)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 사료공급판(41)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사료공급이 차단된다.
아울러 사료받이통(20)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잠금대(72)를 해체한 다음 회전조절대(64)를 회전시켜 장축부(641)를 수평으로 배치한 다음 잠금대(72)를 다시 장착하여 회전조절대(64)를 고정시키면 사료저장통(50)에서 사료유입관(30)으로 사료공급이 차단되므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밀대(42)를 밀어도 사료받이통(20)으로 사료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사료받이통(20) 또는 사료받이통과 이에 일체로 결합된 사료유입관(30)을 사료저장통(50)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다시 사료저장통에 장착한 다음 회전조절대를 회전시켜 분산판부(61)를 수평배치해 사료유입관으로 사료 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중분산장치에 의해 사료공급밸브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료저장통에 적재되는 사료량을 증가시켜 사료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돼지가 원할 때 자동으로 사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 제공이 가능하다.
10 : 사료공급기
20 : 사료받이통
21 : 개구부 22 : 수용공간
30 : 사료유입관
31 : 걸림돌기 32 : 거치고리
40 : 사료공급밸브
41 : 사료공급판 42 : 밀대
50 : 사료저장통
51 : 커플러
60 : 하중분산장치
61 : 분산판부 62 : 지지축
63 : 차단판부 64 : 회전조절대
641 : 장축부 642 : 단축부
70 : 고정수단
71 : 걸림고리 72 : 잠금대
721 : 몸체부 722 : 연장부
723 : 잠금통공

Claims (5)

  1. 양돈스톨에 설치되어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기에 있어서,
    전면벽의 상부에 돼지 머리가 내입될 수 있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는 공급된 사료가 안치되는 수용공간(22)이 형성된 사료받이통(20)과;
    상기 사료받이통의 상부면에 연통되게 일체로 설치되는 통체로, 내부면에는 동일수평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돌기(3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사료유입관(30)과;
    상기 사료유입관의 걸림돌기(31)에 안치되는 사료공급판(41)과, 상단이 사료공급판의 중앙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이 사료받이통으로 표출되도록 연장되어 돼지가 코로 밀게 하는 밀대(42)로 이루어진 사료공급밸브(40)와;
    상기 사료유입관의 상부로 커플러(51)에 의해 연속연결되고 내부에 다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저장통(50)과;
    상기 사료저장통 하부에서 사료저장통 내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중심부분에 배치되어 상부에 적재된 사료의 하중을 전달받으면서 이격된 틈으로는 사료를 하부로 소량 통과시키는 판형의 분산판부(61)와, 중앙부분이 분산판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양단이 사료저장통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축(62)으로 이루어진 하중분산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중분산장치(60)는,
    사료저장통 내경과 근접한 직경을 갖는 차단판부(63)가 더 구비되되 상기 차단판부는 분산판부와 직교되면서 동심원을 갖도록 분산판부와 지지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62)은 일단이 사료저장통(50)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연장된 단부에 "T"자 형태의 회전조절대(64)를 설치하여 회전조절대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이 회전되어 차단판부(63)를 수평배치하거나 분산판부(61)를 수평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밸브의 사료공급판(41)은 상부로 볼록한 돔형태로 형성하여 사료를 양측의 틈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대(64)는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장축부(641)는 차단판부(63)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하고, "T"자 형태 중 지지축과 연결된 지점에서 한쪽으로만 연장된 단축부(642)는 분산판부(61)와 동일평면상에 배치하여 회전조절대의 배치를 통해 사료저장통 내부의 열림과 폐구를 확인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대(64)의 회전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이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수단(70)은, 사료저장통 외면에는 회전조절대(64)와 근접하여 형성된 걸림고리(71)와;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몸체부(721)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90도로 꺾인 연장부(722)와, 상기 연장부의 면에서 수직으로 통공되어 회전조절대 중 수직으로 배치된 부분을 삽입하는 잠금통공(723)으로 구성되어 회전조절대(64)를 고정시키는 잠금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
KR1020170095599A 2017-07-27 2017-07-27 양돈용 사료공급기 KR10197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99A KR101979227B1 (ko) 2017-07-27 2017-07-27 양돈용 사료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99A KR101979227B1 (ko) 2017-07-27 2017-07-27 양돈용 사료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18A KR20190012518A (ko) 2019-02-11
KR101979227B1 true KR101979227B1 (ko) 2019-05-16

Family

ID=6537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99A KR101979227B1 (ko) 2017-07-27 2017-07-27 양돈용 사료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2589A (zh) * 2021-03-26 2022-09-30 上海亮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艺术雕塑的硅胶制作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95Y1 (ko) * 2012-03-23 2012-10-10 김성환 사료 정량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54B1 (ko) 2002-05-14 2005-02-05 대한민국 돼지 사료공급을 위한 자동조절급이기
KR101608711B1 (ko) * 2013-12-24 2016-04-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720792B1 (ko) * 2015-07-22 2017-04-10 주식회사 연합축산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95Y1 (ko) * 2012-03-23 2012-10-10 김성환 사료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18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7443B1 (en) Pet feeding dish and system
US7798098B1 (en) Animal feeder
US7730851B2 (en) Animal feeder device
US4353329A (en) Rotary self-feeder
KR100798563B1 (ko) 자동사료공급장치
EP3275310B1 (en) Baffle for an animal feeding device
US4651679A (en) Pelletized material feeder and water combination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JPH0244490B2 (ko)
CA2952227C (en) Rotary livestock feeder with gravity flow feed openings
US6959664B1 (en) Limited flow feeding tube
US11116185B2 (en) Feeder
EP1716750A1 (en) A livestock feeding assembly
KR100232021B1 (ko) 사료공급장치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US6659040B1 (en) Self-metering feed dispensing system
CN213246303U (zh) 一种猪场双料混合饲喂器
KR20170009480A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EP3154336B1 (en) Rotary livestock feeder with gravity flow feed openings
KR20170075217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20220080653A (ko) 사료 손실이 방지되는 닭사료통
KR102523241B1 (ko) 가금류용 사료통
KR20160004275U (ko) 양돈용 급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