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217A -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217A
KR20170075217A KR1020150184587A KR20150184587A KR20170075217A KR 20170075217 A KR20170075217 A KR 20170075217A KR 1020150184587 A KR1020150184587 A KR 1020150184587A KR 20150184587 A KR20150184587 A KR 20150184587A KR 20170075217 A KR20170075217 A KR 2017007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ing
dispersion cap
cap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18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217A/ko
Publication of KR2017007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41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means of stirring mechanisms or agitators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에 저장되어 지는 사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정량의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상면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제작하여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부를 통해 사료를 사료공급수단의 상단 외곽으로 흘려보내는 사료분산캡이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Provender provision construct for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저장통에 저장되어 지는 사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정량의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량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 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로는 평판 위에 쌓인 사료를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사료받침대로 추락시키는 방식 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 공급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사료의 이송 및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3년 01월 07일자로 출원하여 2014년 07월 1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명칭: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공급관체를 통해 먹이통에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사료 및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배출구에 개폐구가 결합되며 개폐구의 내측에 축 결합된 개량컵(24)이 외측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간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씩 제한적으로 방출시켜 상기의 먹이통에 공급하게 되는 사료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즉, 사료저장통에 저장되는 사료는 그 저장량에 따라 사료공급수단으로 전해지는 하중의 차이가 발생하는 데, 만일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저장된 양만큼의 큰 하중이 사료공급수단으로 전해지게 됨으로서 모터에 많은 부하가 전해져 모터의 구동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속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사료의 저장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사료만 먹이통으로 공급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적은 양의 하중이 사료공급수단으로 전해지게 되며, 이때에는 모터의 부하가 줄어들어 블레이드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이를 통해 사료의 저장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사료가 먹이통으로 공급됨으로서 사료의 저장량에 따라 사료의 정확한 양을 공급할 수 없어 가축의 생산성에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저장통에 저장되어 지는 사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정량의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상면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제작하여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부를 통해 사료를 사료공급수단의 상단 외곽으로 흘려보내는 사료분산캡이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료분산캡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블레이드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를 포위하며 상기 사료분산캡을 상기 사료공급수단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파이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분산캡의 상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사료분산캡을 상기 사료공급수단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를 상기 돌기부에 체결 고정시키는 볼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사료공급수단의 상단에 사료분산캡을 설치하여 사료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상기 사료분산캡이 일차적으로 지탱한 상태에서 아래의 사료공급수단으로 흘려보내도록 함으로서 사료의 무게로 인한 블레이드의 회전속도가 틀려져 사료의 공급량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정해진 양의 사료를 사료받침대로 공급하여 가축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공급수단 및 사료분산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공급수단 및 사료분산캡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사료공급수단 및 사료분산캡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100)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24)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상, 하부캡(14, 20) 그리고 사료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혹은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사료저장통(10)은 그 외면이 테이퍼(10a)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10a)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료를 정체됨 없이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운송이나 적재시 각 사료저장통을 따로 운송 및 적재할 필요없이 사료저장통 내부로 여러개의 사료저장통을 차곡차곡 끼워넣어 포갤 수 있어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운송에 따른 간편함과 함께 적재시 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캡(14)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캡(14)의 중앙 하단에는 사료공급구(16)가 형성되며, 상기 사료공급구(16)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구(16)를 통해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공급관(200)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14)과 사료저장통(10)을 별도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료저장통(1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캡(14)을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상단에 일체화로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20)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개방된 하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2)에는 사료배출관(26)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사료를 아래의 사료받침대(24)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하부캡(20)의 배출구(22)를 통해 정해진 양만 사료받침대(24)로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료공급수단 및 사료분산캡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사료공급수단 및 사료분산캡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공급수단(30)은 사료받침판(32), 상부커버(38), 블레이드(44) 및 스크레이퍼(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받침판(32)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12)을 구획시킨 상태에서 사료가 하부캡(20)으로 통과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부재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수용공간(34)이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그 외면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료받침판(32)의 바닥면 일측에는 배출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36)은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블레이드(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사료받침대(24)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38)는 상기 사료받침판(32)의 개방된 상면에 덮혀지는 부재로서 일측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0)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 사이사이에는 힘살부(42)가 형성되는 데, 상기 힘살부(42)는 상기 상부커버(38)를 보호함과 더불어 블레이드(44)의 회전시 일정량의 사료가 담길수 있도록 사료를 깍음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레이드(44)는 상기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6)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를 통해 수용공간(34)으로 유입된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배출구멍(36)쪽으로 강제 이송시켜 하여 사료를 상기 배출구멍(36)을 통해 사료받침대(24)로 강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44)와 구동모터(46)의 동력전달구조는 상기 구동모터(46)의 축에 구동기어(48)를 결합하고, 상기 구동기어(48)에는 피동기어(50)가 맞물리도록 하며, 상기 피동기어(50)에는 회전축(52)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52)에 상기 블레이드(44)가 결합되어 구동모터(46)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6)와 구동 및 피동기어(48, 50)는 케이스로 포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구조를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 및 피동기어(48, 50)외에 웜과 웜기어를 통한 연결구조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 구동모터(46)의 동력이 블레이드(44)로 원할히 전달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의 동력전달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블레이드(44)의 상단에는 돌기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45)는 상기 상부커버(38)를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노출된 블레이드(44)의 돌기부(45)에는 스크레이퍼(56)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56)는 상기 블레이드(44)의 돌기부(45)에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상부커버(38)에 쌓여있는 사료를 상기 상부커버(38)의 유입구(40)쪽으로 끌고가며 사료를 사료받침판(32)의 수용공간(34)으로 강제 유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사료공급수단(30)은 별도의 습기차단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사료받침대(24)에서 발생한 습기가 사료저장통(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상단에는 사료분산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사료분산수단은 사료저장통에 담겨져 있는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사료를 외곽으로 분산시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가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유도하여 사료를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사료분산수단은 깔대기 모양의 사료분산캡(70)형을 구성한다. 상기 사료분산캡(70)은 사료공급수단(3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70a)에서 하단(70b)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제작한다.
상기한 사료분산캡(70)은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된 사료를 지탱하며 사료의 무게가 사료공급수단(30)으로 전해지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그 둘레의 경사면부(72)를 통해 지탱중인 사료를 아래쪽의 사료공급수단(30)으로 분산 공급하게 된다.
즉, 사료저장통(10)의 저장된 사료의 양이 많으면 사료의 하중으로 인해 사료공급수단(30)인 모터(46)에 많은 부하가 전해져 블레이드(44)의 회전속도가 떨어져 사료의 공급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반대로 저장된 사료의 양이 적으면 블레이드(44)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사료의 공급량이 늘어나 정량의 사료 공급이 불가능한 바, 본 발명에서는 사료공급수단(30)의 상면에 사료분산캡(70)을 설치하여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된 사료의 하중이 사료공급수단(30)으로 전해지지 않도록 지탱한 상태에서 지탱중에 있는 사료를 둘레의 경사면부(72)를 따라 아래의 사료공급수단으(30)로 분산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서 모터(46)에 부하 발생없이 블레이드(44)를 항상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사료분산캡과 사료공급수단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하기에서 2가지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분산캡(70)과 사료공급수단(30)의 연결구조는 사료분산캡(7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멍(74)을 통과하여 상기 사료공급수단(30)의 블레이드(44)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45)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78), 상기 고정볼트(78)를 포위하며 상기 사료분산캡(70)을 상기 사료공급수단(30)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파이프(76)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사료공급수단(30) 위에 설치된 사료분산캡(70)은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지탱중인 사료를 외곽 경사면부(72)를 따라 아래의 사료공급수단(30)으로 흘려보내 사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회전하는 블레이드(44)를 이용하여 사료받침대(24)로 항상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사료분산캡과 사료공급수단의 다른 실시 예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분산캡(170)과 사료공급수단(30)은 상기 사료분산캡(170)의 상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4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45)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사료분산캡(170)을 상기 사료공급수단(30)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관체(172), 상기 지지관체(172)를 상기 돌기부(45)에 체결 고정시키는 볼트(174)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관체(172)의 개방된 상면은 캡으로 밀폐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료공급수단 위에 설치된 사료분산캡 역시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지탱중인 사료를 외곽 경사면부를 따라 사료공급수단으로 흘려보내 사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아래의 사료받침대로 항상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10: 사료저장통 12: 공간
14: 상부캡 20: 하부캡
24: 사료받침대 30: 사료공급수단
32: 사료받침판 34: 수용공간
36: 배출구멍 38: 상부커버
40: 유입구 44: 블레이드
46: 구동모터 52: 회전축
56: 스크레이퍼 70: 사료분산캡
72: 경사면부 74: 체결구멍
76: 지지파이프

Claims (3)

  1. 사료저장통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에 채워져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상면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제작하여 상기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지탱한 상태에서 그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부를 통해 사료를 사료공급수단의 상단 외곽으로 흘려보내는 사료분산캡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분산캡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사료공급수단의 블레이드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를 포위하며 상기 사료분산캡을 상기 사료공급수단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파이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분산캡의 상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사료분산캡을 상기 사료공급수단 위에 지탱시키는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를 상기 돌기부에 체결 고정시키는 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 공급장치.
KR1020150184587A 2015-12-23 2015-12-23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70075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87A KR20170075217A (ko) 2015-12-23 2015-12-23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87A KR20170075217A (ko) 2015-12-23 2015-12-23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17A true KR20170075217A (ko) 2017-07-03

Family

ID=5935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587A KR20170075217A (ko) 2015-12-23 2015-12-23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2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93B1 (ko) *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00130012A (ko) * 2019-05-10 2020-11-18 세메스 주식회사 파우더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설비 코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93B1 (ko) * 2018-08-22 2019-09-27 주식회사 다운 분말 정량공급장치
KR20200130012A (ko) * 2019-05-10 2020-11-18 세메스 주식회사 파우더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설비 코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101940521B1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1288012B1 (ko) 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
KR20160120902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693466B1 (ko)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KR20170075217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9584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CN104798694A (zh) 下料机
KR101318657B1 (ko)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KR102012081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1818821B1 (ko)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KR20180114482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US8651052B1 (en) Powdered bran feeder
KR20170009480A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80049532A (ko) 사료 정량공급장치
CN211210944U (zh) 仔猪精准料仓
US20200229394A1 (en) Animal feeding apparatus
KR101963542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RU228997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емиксов и кормовых смесей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102442499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 혼합 비율 조절장치
KR20200067086A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