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657B1 -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 Google Patents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657B1
KR101318657B1 KR1020130049677A KR20130049677A KR101318657B1 KR 101318657 B1 KR101318657 B1 KR 101318657B1 KR 1020130049677 A KR1020130049677 A KR 1020130049677A KR 20130049677 A KR20130049677 A KR 20130049677A KR 101318657 B1 KR101318657 B1 KR 10131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trough
coupled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도
Original Assignee
김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도 filed Critical 김성도
Priority to KR102013004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에 관한 것윽로, 가축이 오고가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사각 및 원형파이프로 결합되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는 게이트프레임(100)과; 상기 게이트프레임(100) 일측 외측으로 가축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구유(210)가 설치된 구유프레임(200)과; 상기 구유프레임(200) 내에 설치된 구유(210)에 사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되는 사료급여수단(300)과; 상기 사료급여수단(300)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사료공급을 제어하며, 정량측정된 사료를 구유(210)로 제공하도록 마련된 자동정량급여수단(400)과;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구유(2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부터 상기 구유(2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의 반대편측의 구유프레임(200)측 중앙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수단(5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Livestock feed automatic quantitativ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가 저장된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사료를 정량측정수단을 통해 수용하여 정량측정하고, 정량측정수단에 의해 수용되어 정량측정된 가축에게 필요로하는 일회제공량 사료를 구유내로 공급함으로써, 가축사육에 최적화된 사료공급이 가능하고, 사료비용의 과도한 지출을 방지함은 물론, 가축이 사료를 더 섭취하기 위해 머리를 치받는 돌발행동으로 인한 사료의 배출이 불가능하여 가축의 돌발행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축의 보호 및 장비의 사용수명연장 및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가축의 사료섭취량을 통제하고, 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축에게 급여하여 과도한 사료의 섭취를 줄이고, 이를 통해 사료 및 가축생육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도록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급여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자동급여기는 일단이 개방되어 가축이 오가가도록 형성된 게이트프레임과, 상기 게이트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어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구유, 및 상기 구유에 일정량의 사료를 제공하는 사료급여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료급여수단은 사료가 저장되고, 하부로 저장된 사료가 배출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일단이 구유 내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구유 바깥측의 하우징의 외측으로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어 모터에 축결합되고, 호퍼에 저장된 사료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을 통해 구유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의 구유 내측으로 개방된 단부 직하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구유에 저장되도록 안내유도하는 안내호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호퍼는 가축의 종류 또는 사료급여수단의 규격이나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생략이 가능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호퍼에서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축의 영양상태 또는 연령에 따라 자유롭게 사료량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료급여수단은 하우징의 끝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가축이 구유에 제공된 사료를 섭취한 후 이를 만족하지 못하고 게이트프레임 내에서 몸부림을 치면, 이때 발생한 진동에 의해 하우징과 스크류 사이의 공간에 의해 소량의 사료가 더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가축은 이러한 현상을 통해 게이트프레임이나 사료급여수단을 치받으면 사료가 더 배출된다는 학습효과로 인해 일정량의 먹이를 섭취한 후 수회 치받아 사료를 더 섭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이와 같은 가축의 돌발행동으로 인해 사료급여수단 뿐만 아니라 주변 장치들이 파손되거나 오작동되어 유비보수비용의 증대와 사용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가축의 돌발행동으로 인해 가축의 두부나 몸에 상해나 상처를 입을 수 있어 가축의 식용으로서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사료를 정량으로 섭취하지 못하고 과도한 사료의 섭취로 인해 사료비용의 증가와 계획된 가축사육에 문제가 발생되어 수익성에서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자동정량급여수단을 통해 가축의 치받는 행동으로 인한 사료의 추가 제공이 불가능하여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사료급여가 정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불필요한 사료비의 증가를 방지함은 물론, 사료의 정량 급여를 통한 계획된 가축사육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여 품질높은 가축사육이 가능하며,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의 제한으로 주변장치 및 급여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최소화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됨과 함께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축산사료의 자동정량급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는 가축이 오고가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사각 및 원형파이프로 결합되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는 게이트프레임(100)과; 상기 게이트프레임(100) 일측 외측으로 가축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구유(210)가 설치된 구유프레임(200)과; 상기 구유프레임(200) 내에 설치된 구유(210)에 사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되는 사료급여수단(300)과; 상기 사료급여수단(300)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사료공급을 제어하며, 정량측정된 사료를 구유(210)로 제공하도록 마련된 자동정량급여수단(400)과;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구유(2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부터 상기 구유(2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의 반대편측의 구유프레임(200)측 중앙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수단(5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은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결합되어 사료를 저장하는 저장호퍼(310)와;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45°각도의 기울기로 상기 저장호퍼 하부면에 막혀있는 하단측 외주연과 연통되어 결합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하단으로 결합되는 감속기가 구비된 이송모터(330)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모터(33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저장호퍼(310)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이송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의 하단으로부터 개방된 상단으로 사료를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 이송배출하도록 마련된 이송스크류(340)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상단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40)와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40)의 상단이 결합되어 이송스크류가 회전에 따른 유동없이 축선상에서 올바르게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기준 베어링(35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은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하부로 상기 구유프레임(200)에 중앙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이송스크류(340)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전방측면에 개폐가능한 개폐도어(4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410) 상부에 구비되는 정량측정함체(420)와; 상기 구유프레임(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의 개폐도어(422)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수단(430)과; 상기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정량측정함체(42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로드셀(440)과;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작동을 ON/OFF 하고,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이송모터(330)와 상기 개폐수단(43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개폐수단(430)은 편심편(434)이 모터축에 결합된 개폐모터(432)와; 상기 개폐도어(422)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편(436)과; 일단은 상기 개폐모터(432)의 편심편(434)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편(436)에 링크결합되는 링크축(438);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수단(500)은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 직하로 형성된 가이드깔데기(510)와; 상기 가이드깔데기(510) 하단과 연통되고, 상기 구유(210)로 연통되며, 상기 구유프레임(200) 전면 중앙으로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520);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스크류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측정함체에 담겨져 가축에게 제공될 정확한 사료의 량을 정량측정하고, 정량측정함체에 정량으로 담겨진 측정된 사료만을 개페도어의 개폐를 통해 구유로 제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자동정량급여수단을 통해 가축의 치받는 행동으로 인한 사료의 추가 제공이 불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사료급여가 항상 정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불필요한 사료비의 증가를 방지함은 물론, 사료의 정량 급여를 통한 계획된 가축사육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여 품질 높은 가축사육이 가능하며,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의 제한으로 주변장치 및 급여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최소화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됨과 함께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주요부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자동정량급여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계폐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자동정량급여수단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주요부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자동정량급여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계폐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의 자동정량급여수단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의 이송스크류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자동정량급여수단의 정량측정함체에 담겨져 정량측정하고, 정량측정함체에 담겨진 측정된 사료만을 개페도어의 개폐를 통해 구유로 제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프레임(100), 구유프레임(200), 사료급여수단(300), 자동정량급여수단(400), 가이드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은 가축이 오고가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사각 및 원형파이프로 결합되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은 후술되는 구유프레임(200)의 구유 내에 공급되는 사료를 섭취하도록 가축이 안내유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유프레임(200)은 상기 게이트프레임(100) 일측 외측으로 형성되고, 가축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구유(210)가 가축이 사료를 먹기 좋은 높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유프레임(200)도 전술한 상기 게이트프레임(100)과 동일하게 사각 및 원형의 파이프를 결합하여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은 상기 구유프레임(200) 내에 설치된 구유(210)에 사료를 제공하여 가축이 섭취하도록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호퍼(310),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이송모터(330), 이송스크류(340), 기준 베어링(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호퍼(310)는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결합되어 사료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호퍼(310)에 저장된 가축 사료는 후술되는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과 연통된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은 후술되는 이송스크류가 결합되어 저장호퍼에 저장된 사료를 후술되는 자동정량급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45°각도의 기울기로 상기 저장호퍼 하부면에 막혀있는 하단측 외주연과 연통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은 저장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개방된 상단부로 공급하도록 형성시 45도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은 사료의 공급을 마친 후, 외부 충격으로 인해 사료가 과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송모터(330)는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하단으로 감속기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모터(330)는 후술되는 자동정량급여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기준으로 작동이 ON/OFF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40)는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모터(33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저장호퍼(310)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이송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의 하단으로부터 개방된 상단으로 사료를 후술되는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 이송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기준 베어링(350)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상단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40)와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40)의 상단이 결합되어 이송스크류가 회전에 따른 유동없이 축선상에서 올바르게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은 전술한 사료급여수단(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가축에게 필요로하는 정량을 측정하여 제공하고, 외부 충격이나 가축의 돌발행동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사료공급을 제어하며, 정량측정된 사료를 구유(210)로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플레이트(410), 정량측정함체(420), 개폐수단(430), 로드셀(440), 컨트롤러(45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410)는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하부로 상기 구유프레임(200)에 중앙 좌우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플레이트(410)는 후술되는 정량측정함체와 로드셀이 결합되어 정량측정함체로 유입되는 사료의 량을 로드셀에 의해 정량측정이 가능하도록 받침 역할을 한다.
상기 정량측정함체(420)는 사료급여수단(300)의 이송스크류를 통해 저장호퍼에 저장된 사료를 공급받을 시, 공급된 사료를 구유로 직투입하지 않고, 가축에게 제공될 정량을 측정하여 구유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40)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전방측면에 개폐가능한 개폐도어(4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41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430)은 상기 구유프레임(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의 개폐도어(42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편(434)이 모터축에 결합된 개폐모터(432)가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준비하고, 전술한 상기 개폐도어(422)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편(436)을 형성하여 일단은 상기 개폐모터(432)의 편심편(434)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편(436)에 링크결합되도록 링크축(438)을 형성한다.
따라서, 개폐모터(432)가 회전력을 발생하면 모터축 단부에 결합된 편심편(434)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하고, 편심편(434)에 링크결합된 링크축(438)이 편심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화시켜 링크축(438)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된 링크편(436)측을 직선상으로 잡아당겨지면서 개폐도어가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모터(432)의 구동도 전술한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된 사료의 량을 후술되는 로드셀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통해 후술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로드셀(440)은 상기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정량측정함체(42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을 측정한다.
상기 컨트롤러(450)는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작동을 ON/OFF 하고,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이송모터(330)와 상기 개폐수단(430)을 제어한다.
상기 가이드수단(500)은 도 2 및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구유(2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부터 상기 구유(2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의 반대편측의 구유프레임(200)측 중앙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500)은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 직하로 가이드깔데기(510)가 형성되어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의 개폐도어의 개방에 따라 쏟아지는 사료를 후술되는 가이드파이프(520)를 통해 안내배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파이프(520)는 상기 가이드깔데기(510) 하단과 연통되고, 상기 구유(210)로 연통되며, 상기 구유프레임(200) 전면 중앙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파이프(520)는 사료가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부터 직하로 낙하하면 사료가 구유로부터 팅겨져 소실되는 문제로 인해 정량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호퍼(310)에 저장된 사료가 저장호퍼(310)의 하부를 통해 연통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의 하단측으로 공급된다. 이후, 이송모터(330)의 작동에 따라 이송스크류(340)가 회전하고,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사료는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상단으로 사료가 이송되면 사료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구유측으로 낙하한다. 이때, 사료가 구유측으로 낙하되는 위치에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의 정량측정함체(420)로 공급되고, 정량측정함체(420) 내부에 사료가 수용되어 요구되는 정량으로 사료가 충전되면 로드셀은 정량측정값을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전송된 측정값에 따라 개폐모터(432)가 작동하고, 개폐모터(432)의 모터축에 결합된 편심편(434)의 편심회전하면서 링크축(438)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하여 링크편(436)을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링크편(436)과 일체로 형성된 개폐도어(422)가 선회되어 개방되면 정량측정함체(420)에 정량수용된 사료가 개폐도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어 가이드깔데기(510)를 통해 가이드파이프(520)를 거쳐 구유(21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개폐도어(422)의 개방과 함께 사료가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면은 30도 각도에서 45도 각도 범위내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가축에게 정량 사료의 급여가 가능함에 따라 가축이 게이트프레임(100)과 구유프레임(200)을 치받는 행동으로 인한 사료의 추가 제공이 불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사료급여가 정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불필요한 사료비의 증가를 방지함은 물론, 사료의 정량 급여를 통한 계획된 가축사육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여 품질높은 가축사육이 가능하며, 가축의 학습성 돌발행동의 제한으로 주변장치 및 급여장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이 최소화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됨과 함께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100 : 게이트프레임 200 : 구유프레임
210 : 구유 300 : 사료급여수단
310 : 저장호퍼 320 :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
330 : 이송모터 340 : 이송스크류
350 : 기준베어링 400 : 자동정량급여수단
410 : 받침플레이트 420 : 정량측정함체
422 : 개폐도어 430 : 개폐수단
432 : 개폐모터 434 : 편심편
436 : 링크편 438 : 링크축
440 : 로드셀 450 : 컨트롤러
500 : 가이드수단 510 : 가이드깔데기
520 : 가이드파이프

Claims (5)

  1. 가축이 오고가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사각 및 원형파이프로 결합되어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는 게이트프레임(100)과; 상기 게이트프레임(100) 일측 외측으로 가축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구유(210)가 설치된 구유프레임(200)과; 상기 구유프레임(200) 내에 설치된 구유(210)에 사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되는 사료급여수단(300)과; 상기 사료급여수단(300)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측정하여 측정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사료공급을 제어하며, 정량측정된 사료를 구유(210)로 제공하도록 마련된 자동정량급여수단(400)과;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구유(2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부터 상기 구유(2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상기 게이트프레임(100)의 반대편측의 구유프레임(200)측 중앙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수단(500);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은 상기 구유프레임(200) 상부에 결합되어 사료를 저장하는 저장호퍼(310)와; 하단이 막혀있고,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45°각도의 기울기로 상기 저장호퍼 하부면에 막혀있는 하단측 외주연과 연통되어 결합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하단으로 결합되는 감속기가 구비된 이송모터(330)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모터(33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저장호퍼(310)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이송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의 하단으로부터 개방된 상단으로 사료를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으로 이송배출하도록 마련된 이송스크류(340)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 상단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40)와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40)의 상단이 결합되어 이송스크류가 회전에 따른 유동없이 축선상에서 올바르게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기준 베어링(3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은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하부로 상기 구유프레임(200)에 중앙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이송스크류(340)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 하우징(32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전방측면에 개폐가능한 개폐도어(42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410) 상부에 구비되는 정량측정함체(420)와; 상기 구유프레임(2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의 개폐도어(422)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수단(430)과; 상기 받침플레이트(410)와 상기 정량측정함체(42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로드셀(440)과; 상기 사료급여수단(300)의 작동을 ON/OFF 하고,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 상기 정량측정함체(420)에 수용되는 사료의 정량측정에 따른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이송모터(330)와 상기 개폐수단(43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50);로 형성되되,
    상기 개폐수단(430)은 편심편(434)이 모터축에 결합된 개폐모터(432)와; 상기 개폐도어(422)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편(436)과; 일단은 상기 개폐모터(432)의 편심편(434)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편(436)에 링크결합되는 링크축(438);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500)은 상기 자동정량급여수단(400) 직하로 형성된 가이드깔데기(510)와; 상기 가이드깔데기(510) 하단과 연통되고, 상기 구유(210)로 연통되며, 상기 구유프레임(200) 전면 중앙으로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5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49677A 2013-05-02 2013-05-02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KR10131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677A KR101318657B1 (ko) 2013-05-02 2013-05-02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677A KR101318657B1 (ko) 2013-05-02 2013-05-02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657B1 true KR101318657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677A KR101318657B1 (ko) 2013-05-02 2013-05-02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6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91B1 (ko) * 1995-04-11 2004-07-16 스테베 요한존 그라운드박힘고정의수행을위한방법및장치
KR20150145089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다운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664018B1 (ko) * 2015-02-27 2016-10-31 주식회사 토브스 자동 사료 공급 장치
CN112273258A (zh) * 2020-10-28 2021-01-29 宁英琪 一种畜牧用饲料定量式畜牧投喂设备及其投喂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797A (ko) * 2009-12-23 2011-06-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797A (ko) * 2009-12-23 2011-06-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 군사용 사양 관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91B1 (ko) * 1995-04-11 2004-07-16 스테베 요한존 그라운드박힘고정의수행을위한방법및장치
KR20150145089A (ko)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다운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678495B1 (ko) * 2014-06-18 2016-11-22 주식회사 다운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664018B1 (ko) * 2015-02-27 2016-10-31 주식회사 토브스 자동 사료 공급 장치
CN112273258A (zh) * 2020-10-28 2021-01-29 宁英琪 一种畜牧用饲料定量式畜牧投喂设备及其投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657B1 (ko)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US9277730B2 (en) Plunger gate animal feeder attachment
US20130186342A1 (en) corn bank double gate internal feeder attachment
KR200450955Y1 (ko) 자동사료공급장치
CN106719031B (zh) 滚筒式投食装置的定量投食方法
KR101368051B1 (ko)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KR101571266B1 (ko) 사료 자동공급장치
EP1704776A1 (en) A feeder and a feeding method protecting feedstuff from moisture
CN203136749U (zh) 一种母猪精确饲喂装置
US20120085288A1 (en) Animal Feeder System with Remote Communication
US20230157258A1 (en) Pet feeder
AU2009290153B2 (en) A livestock feed delivery system with sensor
KR20120022035A (ko) 돈용 사료급여장치
KR101693466B1 (ko)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RU2701847C1 (ru) Кормушка для свиноматки с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ей корма
CN205346387U (zh) 一种给料机构
KR101678495B1 (ko)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ES2345585B1 (es) Sistema para suministrar alimento a animales de granja.
KR200468326Y1 (ko)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WO2002100195A1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alimento integral para ganado
KR100423928B1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KR20160080882A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2112928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CN204598963U (zh) 一种定位栏定量筒
KR20170075217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