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21B1 -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21B1
KR100761221B1 KR1020070062318A KR20070062318A KR100761221B1 KR 100761221 B1 KR100761221 B1 KR 100761221B1 KR 1020070062318 A KR1020070062318 A KR 1020070062318A KR 20070062318 A KR20070062318 A KR 20070062318A KR 100761221 B1 KR100761221 B1 KR 10076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upport
support tube
handle
fe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박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대 filed Critical 박종대
Priority to KR102007006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9/00Animal husbandry
    • Y10S119/90Feed saving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종래의 급이기는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높이조절 구멍에 핀을 끼워주는 것에 의해 간헐적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사료의 적절한 배출상태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사료의 낭비가 심하고 먹이통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먹이통(10)의 중앙에 지지관(2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관(20)의 내부에 고정축(30)이 끼워지되 이 고정축(30)의 하단부에는 후크(3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누름레버(34)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2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30)이 상방으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6)과 누름관(38)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관(20)에 사료통(40)이 설치된 축산용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20) 외측의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회전동작하며, 내면에 암나사부(52)가 형성된 조절핸들(50)과; 상기 지지관(20)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통(40)에 방사상 지지틀(42)로 연결되며, 외부에 상기 조절핸들(50)의 암나사부(52)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2)가 형성된 허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핸들(50)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료통(40) 하단과 먹이통(10)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축산용 급이기, 사료, 배출, 회전, 조절

Description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A feed exhaust controlling device for stock raising hopp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축산용 급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축산용 급이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사료 배출량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먹이통 12 : 사료받이부
14 : 콘(cone)부 20 : 지지관
22 : 와셔 24 : 너트
30 : 고정축 32 : 후크
34 : 누름레버 36 : 스프링
38 : 누름관 40 : 사료통
42 : 지지틀 50 : 조절핸들
52 : 암나사부 60 : 허브
62 : 수나사부 70 : 지지체
71 : 수나사부 72 : 지지관체
73,74 : 패킹 75,76 : 고정너트
80 : 고정홀더 82 : 다각형 홈
84 : 절개홈 86 : 고정홈
90 : 회전 날개 100 : 뚜껑
본 발명은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먹이통의 상부에 사료통이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먹이통 중앙의 콘부와 사료통 하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사료가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사료통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허브가 설치되고, 상기 먹이통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관에는 상기 허브에 나사결합되는 조절핸들이 임의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이 조절핸들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료통 하단과 먹이통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낭비를 막고 항상 신선한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축산용 급이기는 바닥에 놓이는 먹이통의 중앙 상부에 역 고깔 형태의 사료통이 설치되되, 이 사료통은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높이조절 구멍에 핀을 선택적으로 끼워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 하단과 먹이통 사이의 간격이 간헐적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서 사료의 적절한 배출상태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사료의 낭비가 심하고 급이기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돼지의 경우에는 초기이유자돈, 이유자돈, 육성돈, 비육돈 등 성장상태(시기)에 따라서 사료의 성상(사료의 입자 굵기 등)이 각기 다르므로 사료통 하단과 먹이통 사이의 간격을 아주 미세하게 조절하지 않을 경우, 사료가 아예 나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아니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가 쏟아져 나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사료의 낭비는 물론 급이기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용 급이기에서 사료의 다양한 종류나 성상에 무관하게 사료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먹이통의 중앙에 지지관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관의 내부에 고정축이 끼워지되 이 고정축의 하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누름레버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이 상방으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누름관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관에 사료통이 설치된 축산용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 외측의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회전동작하며,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절핸들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통에 방사상 지지틀로 연결되며, 외부에 상기 조절핸들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허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핸들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료통 하단과 먹이통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축산용 급이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축산용 급이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먹이통(10)의 중앙에 지지관(2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관(20)의 내부에 고정축(30)이 끼워지되 이 고정축(30)의 하단부에는 후크(3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누름레버(34)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2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30)이 상방으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6)과 누름관(38)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관(20)에 사료통(40)이 설치된 축산용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20) 외측의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회전동작하며, 내면에 암나사부(52)가 형성된 조절핸들(50)과; 상기 지지관(20)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통(40)에 방사상 지지틀(42)로 연결되며, 외부에 상기 조절핸 들(50)의 암나사부(52)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2)가 형성된 허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핸들(50)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료통(40) 하단과 먹이통(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핸들(50)은 지지관(20)의 외부에 끼워져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는 지지체(70)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체(70)는 외부에 수나사부(71)가 형성된 단관형의 지지관체(72)와, 이 지지관체(72)의 상,하부에 끼워지는 패킹(73,74)과, 상기 지지관체(72)의 상,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패킹(73,74)을 조임으로써 지지관체(72)를 지지관(20)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너트(75,7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핸들(50)은 위에서 설명한 지지체(70)의 상,하 고정너트(75,76) 사이에 끼여 상,하로는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이 조절핸들(50)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이 조절핸들(50)에 나사결합된 허브(60)의 높낮이가 조절되며, 이 허브(60)는 사료통(40)에 결합된 지지틀(4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조절핸들(50)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4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핸들(50)은 다각형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료통(40)의 방사상 지지틀(42)에는 고정홀더(80)가 설치되되, 이 고정홀더(80)는 내측에 상기 조절핸들(50)이 끼워지는 다각형 홈(82)이 형성되고, 이 다각형 홈(82)의 외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홈(84)이 형성되어 조절핸들(50)의 회전조절시 다각형 홈(82)이 벌어짐으로써 조절핸들(50)을 다단계로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홀더(80)에 의해 조절핸들(50)과 허브(60)와의 나사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86은 고정홀더(80)의 하부 외곽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이 고정홈(86)은 지지틀(42)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90은 사료통(40)의 하부 외측에 고정 부착되는 회전 날개(90)로, 돼지 등이 먹이통(10)의 받이부(12)에 떨어진 사료를 먹으면서 코로 회전날개(90)의 돌출부(92)를 좌,우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사료통(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인바, 사료통(40)의 회전동작에 의해 사료통(40)의 하단과 먹이통(10)의 콘부(14) 사이의 틈새에 밀려 있던 사료가 원심력을 받아 자동적으로 받이부(12)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 부호 100은 사료통(40) 위에 씌워지는 뚜껑이다.
상기 회전 날개(90)의 돌출부(92) 개수는 먹이통(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사상 칸막이틀(도시 안 됨)의 분할구역 개수와 일치되지 않게 즉, 분할구역과 돌출부(92)가 항상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형성하여 돼지가 사료를 먹을 때 앞 부분에 위치하는 돌출부(92)를 코로 건드려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배출이 원 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통(40)에 사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조절핸들(50)을 돌려 사료의 종류나 성상에 따른 배출량을 확인하면서 사료통(40)의 하단과 먹이통(10)의 콘부(14) 사이의 간격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면 되며, 이때 고정축(30)은 누름레버(34)를 눌러 하단의 후크(32)를 축사의 바닥틀(110)에 걸어줌으로써 급이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된다.
한편,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사료통(40)이 회전되지 않도록 붙잡은 상태에서 조절핸들(50)을 왼방향 또는 오른 방향으로 돌려주면 되는데, 이때 조절핸들(50)은 고정홀더(80)의 다각형 홈(82)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조절핸들(50)이 절개홈(84)을 벌리면서 한번에 약 60도 정도씩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사료통(4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한꺼번에 간격을 많이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홀더(80)를 들어올려 지지틀(42)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조절핸들(50)을 돌려주면 저항 없이 한꺼번에 많이 돌려줄 수 있으므로 높낮이의 조절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암수나사방식으로 이루어진 조절핸들과 허브에 의해 먹이통의 콘부와 사료통의 하단부 사이의 틈새를 연속적이면서도 미세하 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료통은 회전이 용이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료의 종류나 성상에 상관없이 사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돼지가 사료를 먹는데 크게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며, 사료의 낭비도 없고, 먹이통에 사료가 잔류하지 않으므로 먹이통의 관리도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먹이통(10)의 중앙에 지지관(2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관(20)의 내부에 고정축(30)이 끼워지되 이 고정축(30)의 하단부에는 후크(3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누름레버(34)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2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30)이 상방으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6)과 누름관(38)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관(20)에 사료통(40)이 설치된 축산용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20) 외측의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어 회전동작하며, 내면에 암나사부(52)가 형성된 조절핸들(50)과;
    상기 지지관(20)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사료통(40)에 방사상 지지틀(42)로 연결되며, 외부에 상기 조절핸들(50)의 암나사부(52)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2)가 형성된 허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핸들(50)을 돌려주는 것에 의해 사료통(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료통(40) 하단과 먹이통(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핸들(50)은 지지관(20)의 외부에 끼워져 임의 높이에서 고정되는 지지체(70)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70)는 외부에 수나사부(71)가 형성된 단관형의 지지관체(72)와, 이 지지관체(72)의 상,하부에 끼워지는 패킹(73,74)과, 상기 지지관체(72)의 상,하단부에 나사결합되어 패킹(73,74)을 조임으로써 지지관체(72)를 지지관(20)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너트(75,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핸들(50)은 지지체(70)의 상,하 고정너트(75,76) 사이에 끼여 상,하로는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핸들(50)은 다각형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료통(40)의 방사상 지지틀(42)에는 고정홀더(80)가 설치되되, 이 고정홀더(80)는 내측에 상기 조절핸들(50)이 끼워지는 다각형 홈(82)이 형성되고, 이 다각형 홈(82)의 외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홈(84)이 형성되어 조절핸들(50)의 회전조절시 다각형 홈(82)이 벌어짐으로써 조절핸들(50)을 다단계로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1020070062318A 2007-06-25 2007-06-25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10076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18A KR100761221B1 (ko) 2007-06-25 2007-06-25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18A KR100761221B1 (ko) 2007-06-25 2007-06-25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221B1 true KR100761221B1 (ko) 2007-10-04

Family

ID=3941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18A KR100761221B1 (ko) 2007-06-25 2007-06-25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42B1 (ko) 2009-02-25 2011-10-05 이창현 축산용 사료급여기
KR102391535B1 (ko) * 2022-01-05 2022-04-27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17Y1 (ko) * 2000-02-15 2000-07-15 서수원 자물쇠 보호케이스
KR200265118Y1 (ko) * 2001-02-05 2002-02-25 주식회사 려암 자돈용자동급이기
KR200316988Y1 (ko) * 2003-04-03 2003-06-19 박종대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200360438Y1 (ko) * 2004-06-16 2004-08-30 박종대 사료급이기의 공급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17Y1 (ko) * 2000-02-15 2000-07-15 서수원 자물쇠 보호케이스
KR200265118Y1 (ko) * 2001-02-05 2002-02-25 주식회사 려암 자돈용자동급이기
KR200316988Y1 (ko) * 2003-04-03 2003-06-19 박종대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200360438Y1 (ko) * 2004-06-16 2004-08-30 박종대 사료급이기의 공급량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42B1 (ko) 2009-02-25 2011-10-05 이창현 축산용 사료급여기
KR102391535B1 (ko) * 2022-01-05 2022-04-27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194C2 (ru) Вращающаяся кормушка для домашнего скота с отверстиями для подачи корма самотеком
EP3599836B1 (en) Feeder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US8302563B2 (en) Sow feeder
KR20140090350A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US6691640B1 (en) Animal feeder insert with desiccant cavity
CN106804504A (zh) 可调节控制的自动喂鱼装置
KR101693466B1 (ko)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JP2008029306A (ja) 家畜用給餌器
KR200484080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US9220236B2 (en) Sow gestation tube feeder
KR200468326Y1 (ko)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ES2770079T3 (es) Alimentador de ganado rotatorio con aberturas de alimentación de flujo por gravedad
KR200217412Y1 (ko) 양식어류의 자동 사료투척기
KR20070072436A (ko) 양돈용 액상 급이기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101427557B1 (ko) 모돈 자유 급이기
KR20100090539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US4953504A (en) Animal feeder
KR200299023Y1 (ko) 양어장의 사료 자동공급기
US6467429B1 (en) Variable dimension poultry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