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535B1 -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535B1
KR102391535B1 KR1020220001542A KR20220001542A KR102391535B1 KR 102391535 B1 KR102391535 B1 KR 102391535B1 KR 1020220001542 A KR1020220001542 A KR 1020220001542A KR 20220001542 A KR20220001542 A KR 20220001542A KR 102391535 B1 KR102391535 B1 KR 10239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ompanion animal
stopper
valve
nozz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0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개구되며 대칭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 및 상기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들 사이 바닥에 경사면을 가지며 돌출된 마운트(17)를 가지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사료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마운트(17)의 꼭지에 대응되게 위치된 노즐구멍(27)을 가지는 사료수용부(20)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폐쇄하는 연동밸브(30)와; 연동밸브(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료수용부(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밸브버튼(40)과; 사료수용부(20)와 밸브버튼(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밸브(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귀스프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ing feed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동작에 연동되어 일정량씩 사료가 공급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와 같은 반려동물은 인간과 정서적으로 많은 교감을 하기 때문에 정서적인 함양 목적이나 외로움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많은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자녀를 낳지 않고 자신에 충실하려는 부부들이 늘어남에 따라. 정서적인 부족함을 채우기 위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더더욱 늘어나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은 본능적으로 사료에 집착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만 방지를 위하여 정해진 시간에 일정한 양만큼의 사료를 주고 있다.
그런데, 반려동물을 두고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 정해진 시간에 사료를 주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반려동물이 여러번 먹을 양의 사료를 용기에 부어넣고 외출한다.
그런데 반려동물은 본능상 사료를 한꺼번에 먹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이 경우 시간이 지나면 배를 굶게 되는 상황이 되었고, 반려동물은 이상 행동을 함으로써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먹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동작에 연동되어 일정량씩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보호자가 장시간 동안 집을 비우더라도 사료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이 원할 때 사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라고 학습시킬 수 있어, 사료에 집착하고자 하는 성향을 바꿀 수 있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개구되며 대칭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 및 상기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들 사이 바닥에 경사면을 가지며 돌출된 마운트(17)를 가지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사료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운트(17)의 꼭지에 대응되게 위치된 노즐구멍(27)을 가지는 사료수용부(20);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폐쇄하는 연동밸브(30); 상기 연동밸브(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료수용부(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밸브버튼(40); 및 상기 사료수용부(20)와 밸브버튼(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밸브(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귀스프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용부(20) 상단에 승강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려 동물이 누를 때 상기 밸브버튼(40)을 연동하여 누르는 누름캡(6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용부(20)는, 사료가 수용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의 사료통(21)과, 상기 사료통(21)상부면의 테두리단(22)의 내측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홈부(23)와, 상기 홈부(23)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가이드관(24)과, 상기 상부가이드관(24)의 내측에 단차지게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사료통(21)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가이드관(25)과, 상기 테두리단(22)과 상부가이드관(24) 사이의 홈부(23) 바닥에 형성되는 사료투입공(26)과, 상기 사료통(21)의 바닥 중앙측에 형성되는 상기 노즐구멍(2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부(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용부(20)의 홈부(23) 바닥에 지지되어 눌리어지는 누름캡(60)에 연동되어 눌리어지는 버튼스위치(100)와; 상기 누름캡(60) 내부에 지지되어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115)를 가지는 스토퍼(110)와; 상기 버튼스위치(100)의 눌리어지는 횟수에 따라 스토퍼돌기(115)가 돌출되도록 스토퍼(110)를 작동시키는 스토퍼작동부(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사료가 수용된 사료수용부(20)의 노즐구멍(27)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연동밸브(30) 및 밸브버튼(40)을 채용함으로서, 보호자가 장시간 동안 집을 비우더라도 사료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어 반려동물이 굶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 노즐구멍(27)에 대응되는 마운트(17)를 채용함으로써, 노즐구멍(27)으로 토출되는 사료는 마운트(17)에 의하여 사이드배출구로 완벽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료가 베이스(1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70), 발광부(80) 및 소리발생부(90)를 채용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누를 수 있도록 용이하게 학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튼을 누를 때 사료가 공급된다라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스위치(100), 스토퍼(110) 및 스토퍼작동부(120)를 채용함으로써, 사료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사료 섭취에 의하여 반려동물이 비만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사료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사료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감지센서, 발광부 및 소리발생부가 한몸체로 설치된 누름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사료수용부에 버튼스위치, 스토퍼 및 스토퍼작동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누름캡이 눌리어질 때 버튼스위치가 연동되어 눌리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버튼스위치에 연동되어 스토퍼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료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사료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개구되며 대칭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 및 상기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들 사이 바닥에 경사면을 가지며 돌출된 마운트(17)를 가지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사료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마운트(17)의 꼭지에 대응되게 위치된 노즐구멍(27)을 가지는 사료수용부(20)와; 하방으로 이동시 노즐구멍(27)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이동시 노즐구멍(27)을 폐쇄하는 연동밸브(30)와; 연동밸브(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료수용부(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밸브버튼(40)과; 사료수용부(20)와 밸브버튼(40) 사이에 설치되어 연동밸브(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귀스프링(50)과; 사료수용부(20) 상단에 승강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반려 동물이 누를 때 밸브버튼(40)을 연동하여 누르는 누름캡(60);을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측방으로 형성되는 2 개, 또는 3 개 이상의 사이드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4 개의 사이드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며,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제1,2,3,4사이드배출구(11)(12)(13)(14)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마운트(17)는, 제1,2,3,4사이드배출구(11)(12)(13)(14) 사이의 베이스(10) 바닥 중앙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마운트(17)는 제1,2,3,4사이드배출구(11)(12)(13)(14)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구멍(27)으로 배출되는 사료는 제1,2,3,4사이드배출구(11)(12)(13)(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노즐구멍(27)으로 배출되는 사료가 제1,2,3,4사이드배출구(11)(12)(13)(14)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료수용부(20)는, 사료가 수용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의 사료통(21)과, 사료통(21)상부면의 테두리단(22)의 내측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홈부(23)와, 홈부(23)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가이드관(24)과, 상부가이드관(24)의 내측에 단차지게 위치된 것으로서 사료통(21)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가이드관(25)과, 테두리단(22)과 상부가이드관(24) 사이의 홈부(23) 바닥에 형성되는 사료투입공(26)과, 사료통(21)의 바닥 중앙측에 형성되는 상기 노즐구멍(27)을 포함한다.
테두리단(22)은 상부면이 사각 테두리형태를 이루며, 홈부(23) 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사료통(21)에 충진하기 위한 사료를 사료수용부(20)의 상부측으로 부어 공급할 때, 테두리단(22)의 상부면으로 떨어지는 사료는 홈부(23) 측으로 흘러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사료가 사료수용부(20)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료투입공(26)은 테두리단(22)과 상부가이드관(24) 사이의 홈부(23) 바닥에 헝성되며, 이에 따라 사료를 홈부(23)에 부어넣는 단순한 동작으로 사료를 사료통(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연동밸브(30)는, 하부가이드관(25)에 승강 가능하게 끼어져 상부가이드관(24) 내측으로 돌출되는 밸브로드(36)와, 밸브로드(36)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마운트(17)의 상부측에서 노즐구멍(2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헤드(37)를 포함한다.
밸브버튼(40)은 연동밸브(30)의 밸브로드(36) 상단에 결합되어 사료수용부(20)의 테두리단(22) 상부측으로 돌출된다.
복귀스프링(50)은, 밸브버튼(40)의 내측 천정과 상부가이드관(24)의 내측 바닥 사이에 설치되며, 평소 연동밸브(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누름캡(60)은, 납작하면서 사각형 표면을 가지는 캡 형태를 가지며, 반려동물에 의하여 눌리어질 때 밸브버튼(40)을 누르는 동작을 한다.
누름캡(60)은 테두리단(22) 내주면에 승강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단(22)의 내주면 모서리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모서리홈(22a)이 형성되고, 누름캡(60)의 4 모서리측에는 모서리홈(22a)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는 착탈돌기(6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누름캡(60)은 테두리단(22)에서 승강 가능하면서 착탈이 된다.
도 5는 도 1의 감지센서, 발광부 및 소리발생부가 한몸체로 설치된 누름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사료수용부에 버튼스위치, 스토퍼 및 스토퍼작동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누름캡이 눌리어질 때 버튼스위치가 연동되어 눌리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버튼스위치에 연동되어 스토퍼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는,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0)와;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80)와;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부(90)와; 사료수용부(20)의 홈부(23) 바닥에 지지되어 눌리어지는 누름캡(60)에 연동되어 눌리어지는 버튼스위치(100)와; 누름캡(60) 내부에 지지되어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115)를 가지는 스토퍼(110)와; 버튼스위치(100)의 눌리어지는 횟수에 따라 스토퍼돌기(115)가 돌출되도록 스토퍼(110)를 작동시키는 스토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70)는, 반려동물이 접근할 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의 반경 0.5m 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S)를 발생한다. 감지센서(70)는 누름캡(60)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발광부(80)는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발생한다. 발광부(80)는 누름캡(6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81)(82)(83)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70)의 주위에 링 형태로 LED 가 배치되어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발광부(80)는 다수의 LED(81)(82)(83)이 동시에 발광하거나 불특정 시점에 발광하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호기심을 유발하도록 한다.
소리발생부(90)는,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한다. 소리발생부(90)는 보호자의 목소리나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가진다.
버튼스위치(100)는 사료수용부(20)의 홈부(23) 바닥에 지지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누를 때 누름캡(60)의 하단에 연동되어 눌리어진다.
스토퍼(110)는 누름캡(60) 내부에 지지되어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115)를 가진다.
스토퍼작동부(120)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횟수, 예를 들면 5 분 동안 6 회 이상 버튼스위치(100)가 눌리어질 때, 스토퍼돌기(115)가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110)를 작동시키는 제1동작과, 스토퍼(110)를 작동시킨 후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분이 경과하면 스토퍼(110)의 작동을 해제하는 제2동작을 수행한다.
스토퍼작동부(120)가 제1동작을 할 때, 스토퍼(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115)를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면으로 돌출시켜 누름캡(60)이 더 이상 눌리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반복적으로 무수히 눌러 사료가 필요 이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이 비만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작동부(120)가 제2동작을 할 때, 스토퍼돌기(115)가 스토퍼(110) 내측으로 몰입되어 누름캡(60)이 눌리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사료가 수용된 사료수용부(20)의 노즐구멍(27)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연동밸브(30) 및 밸브버튼(40)을 채용함으로서, 보호자가 장시간 동안 집을 비우더라도 사료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어 반려동물이 굶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 노즐구멍(27)에 대응되는 마운트(17)를 채용함으로써, 노즐구멍(27)으로 토출되는 사료는 마운트(17)에 의하여 사이드배출구로 완벽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료가 베이스(1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70), 발광부(80) 및 소리발생부(90)를 채용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누름캡(60)을 누를 수 있도록 용이하게 학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튼을 누를 때 사료가 공급된다라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스위치(100), 스토퍼(110) 및 스토퍼작동부(120)를 채용함으로써, 사료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과도한 사료 섭취에 의하여 반려동물이 비만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베이스 17 ... 마운트
20 ... 사료수용부 21 ... 사료통
22 ... 테두리단 22a .... 모서리홈
23 ... 홈부 24 ... 상부가이드관
25 ... 하부가이드관 26 ... 사료투입공
27 ... 노즐구멍 30 ... 연동밸브
40 ... 밸브버튼 50 ... 복귀스프링
60 ... 누름캡 60a ... 착탈돌기
70 ... 감지센서 80 ... 발광부
90 ... 소리발생부 100 ... 버튼스위치
110 ... 스토퍼 115 ... 스토퍼돌기
120 ... 스토퍼작동부

Claims (6)

  1.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개구되며 대칭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 및 상기 다수개의 사이드배출구들 사이 바닥에 경사면을 가지며 돌출된 마운트(17)를 가지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사료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운트(17)의 꼭지에 대응되게 위치된 노즐구멍(27)을 가지는 사료수용부(20);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개방하고,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노즐구멍(27)을 폐쇄하는 연동밸브(30);
    상기 연동밸브(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료수용부(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밸브버튼(40); 및
    상기 사료수용부(20)와 밸브버튼(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밸브(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귀스프링(50);
    상기 사료수용부(20) 상단에 승강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반려 동물이 누를 때 상기 밸브버튼(40)을 연동하여 누르는 누름캡(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용부(20)는,
    사료가 수용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의 사료통(21)과,
    상기 사료통(21)상부면의 테두리단(22)의 내측에 몰입되게 형성되는 홈부(23)와,
    상기 홈부(23) 바닥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가이드관(24)과,
    상기 상부가이드관(24)의 내측에 단차지게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사료통(21)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가이드관(25)과,
    상기 테두리단(22)과 상부가이드관(24) 사이의 홈부(23) 바닥에 형성되는 사료투입공(26)과,
    상기 사료통(21)의 바닥 중앙측에 형성되는 상기 노즐구멍(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감지신호(S)에 연동되어 반려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용부(20)의 홈부(23) 바닥에 지지되어 눌리어지는 누름캡(60)에 연동되어 눌리어지는 버튼스위치(100)와;
    상기 누름캡(60) 내부에 지지되어 상부가이드관(24)의 상부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115)를 가지는 스토퍼(110)와;
    상기 버튼스위치(100)의 눌리어지는 횟수에 따라 스토퍼돌기(115)가 돌출되도록 스토퍼(110)를 작동시키는 스토퍼작동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KR1020220001542A 2022-01-05 2022-01-05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KR10239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42A KR102391535B1 (ko) 2022-01-05 2022-01-05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42A KR102391535B1 (ko) 2022-01-05 2022-01-05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535B1 true KR102391535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42A KR102391535B1 (ko) 2022-01-05 2022-01-05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934B1 (ko) * 2023-01-10 2023-04-10 (주)마미엘 반려 동물 자동 급식 및 훈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221B1 (ko) * 2007-06-25 2007-10-04 박종대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20210002763U (ko) * 2020-06-03 2021-12-10 정진화 애완동물과의 의사소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221B1 (ko) * 2007-06-25 2007-10-04 박종대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20210002763U (ko) * 2020-06-03 2021-12-10 정진화 애완동물과의 의사소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934B1 (ko) * 2023-01-10 2023-04-10 (주)마미엘 반려 동물 자동 급식 및 훈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535B1 (ko) 반려동물 사료 공급장치
US7856944B1 (en) Pet food feeding dish
US9545081B2 (en) Scent training device
US73957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access to animal food
US3720184A (en) Combination pet feeder for flowable solid material and liquid
US8646413B2 (en) Non-skid double-layer pet bowl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666167B1 (en) Dry particulate food dispenser
US10455804B2 (en) Toilet for cat
US20200128786A1 (en) Interactive intelligent pet feeding device
CN107926758A (zh) 一种小型宠物鸟自动喂食装置
CA2420502C (en) Animal behaviour training apparatus
US20130213965A1 (en) Garbage container
ATE391420T1 (de) Tränkeinrichtung für vögel
JPH06225660A (ja) 鳥飼育用給水器
US10517277B2 (en) Feed trough for poultry farming
WO2020173509A3 (zh) 一种宠物饮水设备
US3405686A (en) Watering system for newly hatched fowls
KR200463585Y1 (ko) 애완동물 사료공급기
KR20100004142A (ko) 축산용 급수니플
KR20190108690A (ko) 반려견의 사료 디스펜서
KR101730103B1 (ko) 사료 계량통의 사료 배출 장치
US11206809B1 (en) Fun pet feeder
CN213992033U (zh) 一种新型宠物喂食装置
US1141059A (en) Hog-feeder.
US848492A (en) Poultry feeder and wate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