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263B1 -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263B1
KR101829263B1 KR1020160077620A KR20160077620A KR101829263B1 KR 101829263 B1 KR101829263 B1 KR 101829263B1 KR 1020160077620 A KR1020160077620 A KR 1020160077620A KR 20160077620 A KR20160077620 A KR 20160077620A KR 101829263 B1 KR101829263 B1 KR 10182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upport
pipe
sen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399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102016007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의 지지관 일측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에 음수공급관을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관으로 사료 공급을 위한 센서의 동작은 물론 음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받침대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사료저장통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동시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공급토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관의 내부 공간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끝단에는 돼지들이 주둥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터치부가 마련된 센서로드, 상기 지지관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접점되며 상기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보내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의 일단에는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음수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음수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상기 지지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토록 하며 공급된 음수가 터치부에 부딪쳐 흩어지지 않도록 커버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FIXED QUANTITY FOOD}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센서의 지지관 일측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에 음수공급관을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관으로 사료 공급을 위한 센서의 동작은 물론 음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량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 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가축 사료 공급장치에는 통상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와, 음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수공급관이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사료받침대에는 프레임으로 터치센서관, 급수관, 니플이 달린 급수배관 등 여러가지의 장치가 부착되는 데, 이는 한정된 공간에 너무많은 장치들이 설치됨으로서 구조가 복잡해지고, 더불어 설치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장착에 사용되는 부품 증가로 인해 설치 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료받침대의 폭이 작을 경우 상기의 모든 구성이 사료받침대 내에 장착되어야 함으로 그 공간이 협소하여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각 장치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해주어야 함으로서 이를 지키지 못했을시 가축이 사용하기에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가축이 사료나 물을 먹기위해 터치센서를 쳐서 먹어야 하는 데 적응이 늦어서 제대로 먹이를 먹지못하고 장시간 굶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고 많은 적응 훈련이 필요하기도 한다.
또한 설치시 상하로 고정되어야 견고히 장착되므로 여러가지의 장착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소요되는 자재비와 설치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3-001214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센서의 지지관 일측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에 음수공급관을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관으로 사료 공급을 위한 센서의 동작은 물론 음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누전이나 감전 등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센서의 동작과 음수 공급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부를 커버로 포위 구성하여 상기 터치부에 음수가 부딪쳐 비산하지 않고 사료받침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축에게 호기심을 유발시켜 적응시간을 단축시키고 많은 사료 섭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지관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터치부에 부딪쳐 비산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사각지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받침대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사료저장통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동시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공급토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의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관의 내부 공간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끝단에는 돼지들이 주둥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터치부가 마련된 센서로드, 상기 지지관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접점되며 상기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보내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의 일단에는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음수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음수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상기 지지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관 선단에 연결 설치되며 (+)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단자관, 상기 단자관의 선단에 끼워져 있는 단자캡에 조립되며 (+)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접촉부로 구성하며, 상기 센서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단자관의 내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드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단자캡의 접촉부에 접촉하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가 더 포함되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관의 끝단에는 상기 터치부를 포위하는 커버가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로드와 접점부의 사이에는 절연로드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관의 끝단은 절곡시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센서로드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터치센서의 지지관 일측에 분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에 음수공급관을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관만 사료받침대의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사료와 음수를 공급할 수 있어 사료받침대 주변 공간을 최대한 넓혀 가축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편안하고 여유롭게 사료와 음수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지지관으로 음수를 공급하더라도 합선이나 감전 등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센서의 동작과 음수 공급을 함께 구현할 수 있으며, 더불어 지지관 끝단에 설치된 커버를 통해 음수가 터치부에 부딪쳐 비산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사료받침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공급된 음수의 방향을 사료받침대의 사각지대로 향하게 조립하여 가축의 입이 닿지 않는 부분을 세척하여 청결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터치센서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터치센서 주요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관의 끝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료정량 공급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14)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단 출구(13)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14)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12), 상기 사료저장통(10) 하단 출구(13)에 설치되며 터치센서(40)의 동작에 따라 전기적으로 동작하며 상기 사료저장통(10)의 출구(13)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20)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사료받침대(14)나 고정프레임에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터치센서(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터치센서(40)는 돼지가 터치부(50)를 주둥이로 밀어올리는 동작에 따라 제어부(미 도시 함)로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개폐부재(20)를 구동시키는 모터(21)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료저장통(10)의 출구(13)를 개방시켜 사료를 사료받침대(14)로 자동 배출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지지관(42), 센서로드(46) 및 단자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관(42)은 원통의 파이프로서 상기 사료받침대(14)의 고정프레임16)에 고정 설치되어 센서로드(46) 및 단자부(60)와 같은 구성품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관(42)의 내부에는 센서로드(46)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공간(4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관(42)은 내구성을 고려하여 금속성의 재질로 성형하되, 후술하는 음수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로드(46)는 상기 지지관(42)의 내부 공간(44)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재로서, 끝단에는 터치부(50)가 구비되고 그 선단은 상기 지지관(42)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접점부(48)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로드(46)는 그 직경을 상기 지지관(42)의 직경 보다 작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음수공급관(72)을 통해 상기 지지관(42)으로 공급되는 음수가 상기 센서로드(46)와 상기 지지관(42)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센서로드(46)와 접점부(48)는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절연로드(11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로드(46)의 선단에 절연로드(110)를 나사식으로 체결하고, 상기 절연로드의 선단에 상기 접점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센서로드(46)는 터치부(50)의 밀림 동작에 따라 위로 승강하며 단자부(60)와 전기적으로 접촉이 일어나는 데, 이때 센서로드(46)와 접점부(48) 사이를 본 발명과 같이 전기가 도통되지 않도록 절연로드(110)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센서로드(46)와 지지관(42) 사이로 통과하는 음수에 의한 합선 혹은 누전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관(42)의 내경에는 스토퍼(114)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14)는 센서로드(46)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여 특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센서로드(46)와 상기 절연로드(110) 사이에는 너트(112)가 설치되고, 상기 너트(112)와 상기 스토퍼(114) 사이에는 스프링(116)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116)은 센서로드(46)가 승강하여 접점부(48)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다음, 하강하는 과정에서 무게로 인한 센서로드(46)의 충격을 감쇄시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센서로드(46)의 하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관(42)의 선단에는 상부캡(118)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캡(118)과 단자부의 단자관(62) 사이에 완충링(120)이 끼워진다. 상기 완충링(120)은 터치 동작 후, 단자관(62)이 하강하여 상부캡(118)에 부딪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센서로드(46)의 선단에 결합된 접점부(48)는 상기 센서로드(46)의 승강 동작에 따라 단자부(60)와 접촉하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상기 접점부(48)는 상기 센서로드(46) 보다 큰 직경으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관(42)의 선단에 설치되어 지는 단자부(60)의 단자관(62) 내경에 항상 접촉된 상태에서 센서로드(46)의 승강동작에 따라 승강하는 과정에서 단자관(62)의 선단에 끼워져 있는 단자캡(64)에 조립된 접촉부(65)에 접촉하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터치부(50)는 상기 센서로드(46)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부(50)는 상기 지지관(42) 외부로 노출 구성되어 돼지들의 주둥이가 접촉되도록 하여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센서로드(46) 위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부(50)는 가축의 터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관(42)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60)는 상기 터치센서(40)의 지지관(42) 선단에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술한 센서로드(46)의 접점부(48)가 수용되며 (+)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단자관(62), 상기 단자관(62)의 선단에 끼워져 있는 단자캡(64)에 조립되며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접촉부(65)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한 단자부(60)는 상기 단자관(62)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관(62) 내경에 접촉하고 있는 센서로드(46)의 접점부(48)가 상기 센서로드(46)의 동작으로 승강하여 상기 접촉부(65)에 접촉이 일어나면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부(60)의 구성을 단자관 및 접촉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대표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외에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부의 구성으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한편, 상기 터치센서(40)를 구성하는 지지관(42)에는 분기관(70)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70)에는 음수공급관(72)이 연결 구성되어, 상기 음수공급관(72)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상기 지지관(42)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분기관(70)은 커플러를 통해 지지관(42)에 연결되거나 혹은 상기 지지관(42)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음수공급관(72)을 종래와 같이 사료받침대(14)의 고정프레임(16)에 따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센서(40)를 구성하는 지지관(42)에 연결되어 있는 분기관(70)에 연결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받침대(14)의 고정프레임(16)에는 하나의 지지관(42)만 설치하는 것만으로 터치신호는 물론 음수의 공급까지 함께 구현할 수 있음으로서 사료받침대(14)의 주변 공간을 최대한 넓혀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치지 않고 불편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사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수공급관(72)에서 공급되는 음수는 상기 분기관(70)을 통해 지지관(42) 내부 공간(44)으로 유입되며, 상기 지지관(42) 내부로 유입된 음수는 상기 지지관(42)과 센서로드(46) 사이를 통과하며 아래로 떨어져 사료받침대(14)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음수공급관(72)에는 전자밸브(74)를 설치하고, 상기 전자밸브(74)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동작하며 음수의 공급을 제어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관(42)의 끝단에는 커버(80)가 끼워진다. 상기 커버(80)는 상기 지지관(42) 끝단 외부로 노출된 터치부를 포위하도록 내부에 중공부(82)를 마련하여, 상기 지지관(42)과 센서로드(46) 사이를 통과한 음수가 상기 터치부(50)에 부딪쳐 사방으로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음수가 지지관(42) 아래의 사료받침대(14)로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단이다.
상기 커버(80)는 전체적으로 종모양을 가지도록 성형하여 내부에는 터치부(42)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82)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버(80)는 상기 지지관(42)의 외경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돼지들이 상기 터치부(50)를 주둥이로 밀어올릴 때, 상기 터치부(50)와 함께 위로 승강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커버(80)의 하강시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걸림턱(84)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80)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관(42)의 끝단을 절곡시키거나 엘보우등으로 절곡부(144)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144)에 관통 구멍(146)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146)으로 터치부(50)의 센서로드(46)가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물공급시 물이 터치부(50)에 부딪침없이 상기 지지관(42)의 절곡부(144)를 통해 사료받침대(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지관(42)의 절곡부(144) 절곡 방향은 사료받침대(14)중에서 가축의 입이 닿지 않는 사각지대를 향하도록 하여 배출되는 물을 통해 수시로 사료받침대(14)를 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터치부(50)를 주둥이로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터치부(50)에 연결된 센서로드(46)는 지지관(42)의 내부 공간(44)을 관통한 상태에서 위로 상승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센서로드(46)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접점부(48)는 단자부(60)의 단자관(62) 내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한 후, 상기 단자관(62)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단자캡(64)의 접촉부(65)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제어부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모터(21)로 전원을 인가시켜 개폐부재(20)를 회전 동작시킴으로서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된 사료를 사료공급관(12)을 통해 사료받침대(14)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료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는 설정된 제어회로에 따라 음수공급관(72)의 전자밸브(74)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음수공급관(72)은 개방되며 분기관(70)을 통해 음수를 지지관(42)으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지지관(42)으로 공급된 음수는 상기 지지관(42)과 센서로드(46) 사이를 통과한 후, 사료받침대(14)로 배출되어 짐으로서 하나의 터치센서(40)를 구성하는 지지관(42)만 사료받침대(14)의 고정프레임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사료와 음수를 사료받침대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10: 사료저장통 14: 사료받침대
20: 개폐부재 40: 터치센서
42: 지지관 46: 센서로드
48: 접점부 50: 터치부
60: 단자부 62: 단자관
64: 단자캡 65: 접촉부
70: 분기관
72: 음수공급관 80: 커버

Claims (5)

  1. 사료받침대 또는 상기 사료받침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사료저장통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구동시켜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로 공급토록 한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받침대 또는 상기 사료받침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관의 내부 공간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끝단에는 돼지들이 주둥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터치부가 마련된 센서로드와, 상기 지지관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로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접점되며 상기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보내는 단자부를 가진 터치센서와;
    상기 지지관의 일단에는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는 음수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음수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상기 지지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지관 선단에 연결 설치되며 (+)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단자관;
    상기 단자관의 선단에 끼워져 있는 단자캡에 조립되며 (+) 또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접촉부로 구성하며;
    상기 센서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단자관의 내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로드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단자캡의 접촉부에 접촉하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끝단에는 상기 터치부를 포위하는 커버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드와 접점부의 사이에는 절연로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끝단은 절곡시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센서로드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KR1020160077620A 2016-06-21 2016-06-21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KR10182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620A KR101829263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620A KR101829263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99A KR20170143399A (ko) 2017-12-29
KR101829263B1 true KR101829263B1 (ko) 2018-02-14

Family

ID=6093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620A KR101829263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4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터치 센서
KR20230080091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용 블레이드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290555B1 (ko) 2011-03-23 2013-08-07 이완섭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101480212B1 (ko) 2013-01-07 2015-01-13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590448B1 (ko) 2014-06-02 2016-02-01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55B1 (ko) 2011-03-23 2013-08-07 이완섭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101201545B1 (ko)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480212B1 (ko) 2013-01-07 2015-01-13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590448B1 (ko) 2014-06-02 2016-02-01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4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터치 센서
KR20230080091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용 블레이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99A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171A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er
KR10120154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829263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사료정량 공급장치
KR101556623B1 (ko) 사료 및 식수 자동 급이기
KR20160131343A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 공급용 터치센서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368051B1 (ko)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CN202617976U (zh) 一种自动控制喂食装置
CN106942080B (zh) 一种猪用自动喂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278123A (zh) 利用电位差的液体供料器的水自动供给装置
KR101338672B1 (ko)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CN210157845U (zh) 一种家禽养殖用定时投料机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EP3821705A1 (en) Water and feed mixing feeder in which sensor is provided
CN111501938B (zh) 智能马桶清洁消毒液投放装置的使用方法
KR20130112489A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609844B1 (ko) 모돈의 자동 급이장치
US2590266A (en) Hog waterer
KR101735027B1 (ko) 사료정량 공급장치의 터치 스위치
KR20160149054A (ko)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KR20130129535A (ko)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KR101718845B1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 공급용 터치센서
KR102167369B1 (ko) 가축용 자동 급이기
CN111501936A (zh) 智能马桶清洁消毒液投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