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054A -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054A
KR20160149054A KR1020150086050A KR20150086050A KR20160149054A KR 20160149054 A KR20160149054 A KR 20160149054A KR 1020150086050 A KR1020150086050 A KR 1020150086050A KR 20150086050 A KR20150086050 A KR 20150086050A KR 20160149054 A KR20160149054 A KR 2016014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negativ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08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054A/ko
Publication of KR2016014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려지는 PT병이나 정수기 물통 등을 음수 공급장치에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받침대의 수조로 공급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조에 설치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구멍이 관통 형성된 급수공급관, 상기 급수공급관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물통의 입구에 끼워지며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급수공급관의 급수구멍으로 배출시키는 밀폐관, 상기 밀폐관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관과 상기 물통의 입구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Supply Device of Water}
본 발명은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PT병이나 정수기 물통 등을 음수 공급장치에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축중에 돼지의 경우 모돈으로 부터 태어난 어린 자돈은 체내의 수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요즘의 경우 다산성(새끼를 많이 낳는 돼지) 모돈이 많으므로 모돈의 능력 이상으로 많은 자돈을 길러내는 추세다.
이는 어미돼지의 포유능력(젖을 먹여서 새끼를 키울 수 있는 능력)을 넘어버릴 정도로 많은 자돈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모돈 한마리에서 1년에 최대한 많은 자돈을 길러야 농가에서 이득이 되므로 많은 자돈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온갖 노력과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모돈의 젖꼭지의 갯수가 한정적으로서 그 이상의 자돈수를 길러내기란 결코 쉽지않은 일이다.
그리고 젖꼭지마다 유즙 분비가 다 정상적이지 못하므로 젖은 항상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많은 자돈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하거나 젖과 유사한 분유등 대용유를 따뜻한 물에 잘 혼합하여 공급해야 한다.
종래에는 다양한 물 공급장치가 있었으나 유지관리가 불편하여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많고 높은 가격을 주고 구입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그리고 상온에서 변질되기 쉬운 분유등을 공급하므로서 한 번 사용후에는 반드시 철저한 세척이 뒤따라야 하는 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각지대가 너무많아 세척이 쉽지가 않았고 물과 사료의 혼합도 쉽지 않았다.
음수공급기나 액상사료급이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위생과 청결이다.
즉, 음수나 액상사료를 공급후 제대로 세척하지 않고 다시 사용하면 어린 자돈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그 구조가 복잡 다단하여 1회 사용 후, 제대로 세척하여 사용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하루에 수차례 이런 작업을 반복하기란 쉽지 않기에 세척을 대충하고 그대로 사용하는게 대부분이거나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208146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려지는 PT병이나 정수기 물통 등을 음수 공급장치에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세척이나 소독이 쉬워 위생적으로 음수 및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받침대의 수조로 공급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조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구멍이 관통 형성된 급수공급관, 상기 급수공급관에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물통의 입구에 끼워지며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급수공급관의 급수구멍으로 배출시키는 밀폐관, 상기 밀폐관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관과 상기 물통의 입구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은 원뿔 형태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패킹의 외경을 테이퍼지게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공급관에는 내부에 상기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물통보호커버가 더 포함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는 바닥판이 부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단 모서리에는 유동방지핀을 더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다각형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받침대의 수조로 공급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조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구멍이 관통 형성된 급수공급관, 상기 급수공급관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물통의 입구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산이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물통의 입구를 상기 급수공급관의 상단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의 하단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 위에는 상기 체결구와 상기 물통의 입구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이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공급관의 외경에는 내부에 상기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물통보호커버가 더 포함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버려지는 PT병이나 정수기 물통 등을 음수 공급장치에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원 재활용 효과와 함께 세척이나 소독이 쉬워 위생적으로 음수 및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가축들에게 음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복잡하게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버려지는 PT병이나 정수기 물통을 이용토록 함으로서 자원 재활용 효과와 함께 세척이나 소독이 쉬워 위생적으로 음수 및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는 받침대(10), 급수공급관(20), 밀폐관(30), 패킹(40) 및 물통보호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10)는 음수 혹은 액상 사료를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담아내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음수 혹은 액상 사료가 담겨질 수 있도록 수조(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급수공급관(20)은 상기 받침대(10)의 수조(12)에 고정되며 물통(200)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받침대(10)의 수조로 공급하는 관이다. 상기 급수공급관(20)의 하단 둘레면에는 급수구멍(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멍(22)으로 상기 물통(200)에서 공급된 음수를 받침대(10)의 수조(12)로 급수시키게 된다.
상기 밀폐관(30)은 상기 급수공급관(2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관으로서 상기 밀폐관(30)의 선단은 물통(200)의 입구(210)로 삽입되고 그 하단은 수조(12)의 바닥면에 근접되어 진다.
상기 밀폐관(30)의 중앙에는 상기 물통(200)에 저장된 음수를 급수공급관(20)의 급수구멍(22)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32)가 관통 형성되고 그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유로(32)와 상기 급수공급관(20)의 급수구멍(22)을 연결하는 연결구멍(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관(30)의 하단 둘레면에는 받침턱(36)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36)은 상기 밀폐관(30) 외경에 끼워지는 패킹(40)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패킹(40)은 상기 밀폐관(30)과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 사이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 처리하는 부재로서 콘 타입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도록 그 외경을 테이퍼(42)지게 성형하고 그 중앙으로는 상기 밀폐관(30)이 끼워지기 위한 구멍(4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형상을 가진 패킹(40)은 물통(200)의 입구(210) 크기가 물통(200)의 종류별로 다른 것을 고려하여 입구 직경이 큰 물통은 패킹의 외경 아래 부분에 밀착되고, 입구 직경이 작은 물통은 패킹의 외경 윗 부분에 밀착되어 짐으로서 물통(200)의 입구(210) 크기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다양한 종류의 물통을 밀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킹(40)의 상단에는 너트(60)가 위치한다. 상기 너트(60)는 상기 밀폐관(30)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패킹(40)의 외부 이탈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물통보호커버(50)는 상기 급수공급관(20)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물통(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52)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물통보호커버(50)는 상기 밀폐관(30)에 끼워져 있는 물통(200)을 가축들이 주둥이로 밀거나 충격을 가해 물통(200)이 흔들려 밀폐관(30)에서 분리되거나 혹은 얇은 물통이 가축의 힘에 의해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필요 이상의 음수가 흘러 나오지 않도록 물통(2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음수 공급장치는 물통(200)의 입구(210)를 밀폐관(30)의 상단에 끼워넣게 되면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와 밀폐관(30) 사이는 패킹(40)으로 기밀 처리되고, 이와 동시에 물통(200)에 저장된 음수는 밀폐관(30)의 유로(32)를 통과하여 연결구멍(34)을 통해 급수공급관(20)의 급수구멍(22)으로 배출되어 받침대(10)의 수조(12)로 급수되어 지는 데, 이때 수조(12)에 급수되는 음수의 수위가 급수구멍(22) 위로 올라가면 공기가 차단되어 급수가 자동 차단되어 져 항상 일정량의 음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0)의 중앙에는 고정대(90)가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90)는 그 끝단을 밴딩(92) 구성하고, 상기 밴딩(92)부는 본 발명의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가 설치되어 지는 축사의 바닥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려지며 가축과의 충돌로 인한 받침대(10)의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받침대(10), 급수공급관(120),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 1실시 예와 같이 밀폐관(3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급수공급관(120)의 길이를 길게 성형하여 상기 급수공급관(120)의 상단에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가 끼워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급수공급관(120)의 외경에 상기 급수공급관(120)과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40)이 올려지기 위한 패킹받침대(124)를 더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2실시 예의 발명은 급수공급관(120)이 가지는 길이 만큼 물통(200)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높이 설치되어 짐으로서 별도의 물통 보호커버(5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축들이 주둥이로 물통(200)을 건드리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데 특징을 가진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받침대(10), 급수공급관(20), 밀폐관(30),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에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의 바닥판(70)을 더 부착하고, 상기 바닥판(70)의 하단 모서리에는 유동방지핀(72)이 설치되며, 상기 유동방지핀(72)은 본 발명의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가 설치되어 지는 축사의 바닥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며 가축과의 충돌로 인한 받침대(10)의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받침대를 넘어지지 않게 중앙부를 눌러서 바닥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없이 받침대를 간단히 설치하기 위한 방법이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받침대(10), 급수공급관(20), 밀폐관(30),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대(10)의 저면에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의 바닥판(80)을 일체화로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바닥판(80)의 하단 모서리에는 축사의 바닥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는 유동방지핀(82)을 돌출 형성하여 가축과의 충돌로 인한 받침대(10)의 유동을 방지토록 구성한다.
{실시 예 5}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받침대(10), 급수공급관(20), 밀폐관(30),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10)의 형상을 원형이 아니 다른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의 형태로 성형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외에 그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실시 예 6}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는 받침대(10), 급수공급관(320), 패킹(340) 및 물통보호커버(2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10)는 음수 혹은 액상 사료를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담아내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음수 혹은 액상 사료가 담겨질 수 있도록 수조(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급수공급관(320)은 상기 받침대(10)의 수조(12)에 고정되며 물통(200)에서 공급되는 음수를 받침대(10)의 수조(12)로 공급하는 관이다. 상기 급수공급관(320)의 하단 둘레면에는 급수구멍(3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멍(322)으로 상기 물통(200)에서 공급된 음수를 받침대(10)의 수조(12)로 급수시키게 된다.
상기 급수공급관(320)의 상단에는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334)이 형성된 체결구(330)가 일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330)의 구멍에는 물통(200)의 입구(2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체결 구성된다.
즉,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 외경에는 수나사산(2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330)의 구멍(332) 내주면에는 암나사산(334)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200)의 입구(210)가 상기 체결구(330)의 구멍(332)에 끼워지면 암, 수나사산(334, 212)이 서로 체결되며 물통(200)을 체결구(330)에 체결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330)의 구멍(332) 하단 내주면에는 단턱부(33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336)에는 기밀수단인 패킹(340)이 밀착되며 물통(200)에서 배출되는 음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물통보호커버(50)는 상기 급수공급관(320)의 내측 또는 외측중 어느 한곳에 끼워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물통(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52)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물통보호커버(250)는 상기 급수공급관(320)의 체결구(330)에 끼워져 있는 물통(200)을 가축들이 주둥이로 밀거나 충격을 가해 물통(200)이 흔들려 체결구(330)에서 분리되거나 혹은 필요 이상의 음수가 흘러 나오지 않도록 물통(200)을 지지하게 된다.
10: 받침대 20: 급수공급관
30: 밀폐관 40: 패킹
50: 물통보호커버

Claims (9)

  1.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받침대의 수조로 공급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조에 설치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구멍이 관통 형성된 급수공급관;
    상기 급수공급관에 연결되며 상단은 상기 물통의 입구에 끼워지며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급수공급관의 급수구멍으로 배출시키는 밀폐관;
    상기 밀폐관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관과 상기 물통의 입구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원뿔 형태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패킹의 외경을 테이퍼지게 성형하고, 그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관에는 내부에 상기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물통보호커버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는 바닥판이 부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단 모서리에는 유동방지핀이 더 돌출 형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다각형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7.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받침대의 수조로 공급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수조에 설치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물통에 저장된 음수를 상기 수조로 급수시키는 급수구멍이 관통 형성된 급수공급관;
    상기 급수공급관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물통의 입구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산이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물통의 입구를 상기 급수공급관의 상단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하단 내주면에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 위에는 상기 체결구와 상기 물통의 입구 사이를 기밀 처리하는 패킹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급관의 외경에는 내부에 상기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물통을 지지하는 물통보호커버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KR1020150086050A 2015-06-17 2015-06-17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KR20160149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50A KR20160149054A (ko) 2015-06-17 2015-06-17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50A KR20160149054A (ko) 2015-06-17 2015-06-17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054A true KR20160149054A (ko) 2016-12-27

Family

ID=5773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050A KR20160149054A (ko) 2015-06-17 2015-06-17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0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26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이송배관에 사료저장통을 연결하는 커버
KR20200102071A (ko)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및 바닥재 마모 방지장치
KR20220048222A (ko) * 2020-10-12 2022-04-19 (주) 디엔디이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146B1 (ko) 2011-06-17 2012-12-04 이창현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146B1 (ko) 2011-06-17 2012-12-04 이창현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26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이송배관에 사료저장통을 연결하는 커버
KR20200102071A (ko)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및 바닥재 마모 방지장치
KR20220048222A (ko) * 2020-10-12 2022-04-19 (주) 디엔디이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9284B1 (en) Hummingbird feeder having removable vessel unit
KR20160149054A (ko) 가축용 음수 및 액상 사료 공급기의 음수 공급장치
US6941893B2 (en) Fluid delivery system
US7204201B2 (en) Regulating feeder for a horse
KR20090004225U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US20010029899A1 (en) Hummingbird feeder
WO2015135664A1 (en) A device for improving mixing of a liquid and a powdered substance and a baby bottle comprising the device
US8151731B2 (en) Feeder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US2280410A (en) Nursing bag
KR200484080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70059106A (ko) 일회용 용기 교체 사용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급식기
US20100218726A1 (en) Animal water bottle cap dispenser device
CN206808419U (zh) 一种鸡喂养装置
KR101410088B1 (ko) 식수 및 사료 급이기의 위생 사료받침대
KR20150075724A (ko) 애완동물용 먹이통
KR20190027482A (ko) 애완동물용 먹이 공급기
US7222586B2 (en) Fluid delivery adapter
US20110139079A1 (en) Livestock nursing nipple
KR102620755B1 (ko) 흡입식 음수 공급용 급수 니플
CN207258371U (zh) 一种玉米赤霉醇在水产品中残留检测用试液瓶存储箱
KR101894246B1 (ko) 다용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급수기
CN106106202A (zh) 仔猪cu系统
KR200432876Y1 (ko) 디스펜서를 갖춘 애완동물용 먹이통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