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173Y1 -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173Y1
KR200306173Y1 KR20-2002-0037395U KR20020037395U KR200306173Y1 KR 200306173 Y1 KR200306173 Y1 KR 200306173Y1 KR 20020037395 U KR20020037395 U KR 20020037395U KR 200306173 Y1 KR200306173 Y1 KR 200306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extraction
hinge shaft
discharge
dischar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민
Original Assignee
이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민 filed Critical 이순민
Priority to KR20-2002-0037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료 저장통 하단의 배출구에 힌지축을 통해 유동 가능하게 추출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는 연결편을 형성하여 사각 관체형의 배출가이드를 일체로 결합시켜 돼지가 코를 이용하여 배출가이드를 미는 경우 전후로의 유동을 통해 힌지축을 전후로 회동시키면서 힌지축에 일체로 고정된 추출부재를 움직여 사료를 건드려 저어주도록 함으로써 사료저장통 내부의 사료를 추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료 저장통의 상측으로 노출된 조절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추출량조절구를 구비시켜 배출가이드의 유동범위의 조절을 통해 사료의 추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료가 배출가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급식통으로 인입될 수 있고 배출가이드를 전후방향에서 작동시킬 수 있어 급이 방향이 전 후 양방향에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효율이 향상되며 돼지가 스스로 필요할 때 원하는 량만큼의 사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료의 과다 추출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the withdrawal apparatus of provision system of meals for hog raising}
본 고안은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료 호퍼의 배출구에 힌지축을 통해 유동 가능하게 추출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는 연결편을 형성하여 사각 관체형의 배출가이드를 일체로 결합시켜 돼지가 코를 이용하여 배출가이드를 미는 경우 전후로의 유동을 통해 힌지축을 전후로 회동시키면서 힌지축에 일체로 고정된 추출부재를 움직여 사료를 건드려 저어주도록 함으로써 사료 호퍼 내부의 사료를 추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료 호퍼의 상측으로 노출된 조절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추출량조절구를 구비시켜 배출가이드의 유동범위의 조절을 통해 사료의 추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료가 배출가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급식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배출가이드를 전후방향에서 작동시킬 수 있어 급이 방향이 전 후 양방향에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효율이 향상되며 돼지가 스스로 필요할 때 원하는 량만큼의 사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료의 과다 추출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양돈 사육장내에 비치된 사료 급식통에 사육사가 사료를 직접 운반하여 사료를 공급하게 하는 재래식에 있어서는 사료공급 시마다 일일히 사료를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양돈이 많을 경우에는 인건비의 과다 지출로 인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많았다.
또한 양돈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대단위 양돈 사육장에 있어서는 양돈발육에 필요한 사료 및 식수 등을 손쉽게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통을 설치하고 있다.
이 양돈 사육용 사료 공급통은 사료를 저장 공급하는 사료 호퍼와 식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그리고 먹이통으로 이루어져 사료 및 식수가 공급되는 사료공급부 및 급수밸브를 양돈 스스로 선택적으로 개폐작동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먹이통에는 사료공급부 및 급수밸브가 구비되어 양돈이 비교적 용이하게 작동시켜 공급물을 받아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사료의 저장통으로 추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레버를 회동시킴에 따라서 사료가 호퍼로부터 계속적으로 사료가 추출되는 것이어서 적당량의 제어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호퍼 내에서 3일 내지 4일이 경과되면 사료가 굳어서 사료가 제대로 추출되지 않아 작업자가 일일이 휘어져 주거나 호퍼를 타격하여 진동시키는 등의 번거로움을 노출하였으며 장시간 사료의 배출이 지연되면 사료의 부패가 초래되어 사료의 낭비 또는 양돈의 질병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이외에도 사료 호퍼의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추출부재와 일체로 고정되는 판상의 푸시레버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돼지가 푸쉬레버가 밀어 작동시키면 추출부재가 사료 호퍼내의 사료를 휘저으면서 푸쉬레버의 미는 힘만큼 사료가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추출구에 사료가 막히는 일이 없이적당량의 사료를 급식통에 용이하게 추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있으나 이는 푸시레버의 작동방향이 일측에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급이 부위가 한 방향으로 제한됨으로 장치당 급이할 수 있는 양돈수가 적어 급이장치의 소요대수가 많아지게 되어 유지 보수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으며,
또한 추출량의 조절을 위해 조절롯드와 너트 및 브라켓, 탄발 스프링 등의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제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잦아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추출부재로 저어놓은 사료가 낙하되어 경사진 추출판을 타고 미끌어져 내림으로써 외부로 추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추출량이 적을 경우 추출판에서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여 되어 사용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급수통에서의 수위가 과다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접된 급식통으로 넘쳐 들어가 사료를 적시거나 오염시켜 취급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료가 배출가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급식부로로 인입될 수 있고 양돈의 급이가 양방향에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돼지가 스스로 필요할 때 원하는 량만큼의 사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사료의 과다 추출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사료의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료 호퍼 하단의 배출구에축설되는 힌지축의 상,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사료를 저어주기 위한 사료 교반편과 사료받이판에 낙하된 사료를 사료 추출구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배출판으로 구성되는 추출부재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편을 통해 힌지축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돼지가 미는 경우 전후로의 유동을 통해 힌지축의 추출부재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추출되는 사료의 배출통로기능을 하는 사각 관체형의 배출가이드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료 호퍼의 상측으로 노출된 노브의 회전을 통해 상하로 작동되는 조절봉과, 이 조절봉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조절봉의 회전에 따라 돌출길이가 조절되어 배출가이드의 회동범위의 조절하기 위한 돌출핀으로 구성되는 추출량조절구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급식부의 양측에 형성된 급수부의 양 측면에 천공되며 과급수 시 자동 배수되어 물이 급식부로 넘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를 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사료 추출구조를 보이는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료 추출과정을 보이는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추출부재와 연결편을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사료 호퍼 2:지지대
3:급이통 3A:급식부
3B:급수부 3C:격판
4:급수봉 4A:급수니플
10:사료받이판 11:배출구
12:사료추출구 20:추출부재
21:힌지축 22:사료 교반편
23:배출판 30:연결편
40:배출 가이드 41:플랜지
50:추출량조절구 51:조절봉
51':노브 52:돌출핀
60:배수구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사료 추출구조를 보이는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료 추출과정을 보이는 작동상태의 단면도로서 이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료를 저장 공급하기 위한 공지 형상의 사료 호퍼(1)의 양측방으로 지지대(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료 호퍼(1)의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로 지지대(2)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중간에 위치되는 급식부(3A)와 그 양측으로 격판(3C)을 통해 분리 구성되는 한 조의 급수부(3B)로 구성되는 급이통(3)과, 상기 사료 호퍼(1)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급수부(3B)의 내부로 급수니플(4A)을 위치시키는 급수봉(4)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료 호퍼(1) 하단에 구성되는 관체상의 배출구(11)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일체로 용접 구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한 조의 사료추출구(12)을 구성하며 배출사료를 일시적으로 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료받이판(10)과;
상기 배출구(11)의 양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힌지축(21)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사료를 저어주기 위한 사료 교반편(22)과, 힌지축(21)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사료받이판(10)상에 재치된 사료를 사료 추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배출판(23)으로 구성되는 추출부재(20)와;
상기 힌지축(21)의 양단부에 일체로 종으로 고정 설치되는 연결편(30)과;
상기 연결편(30)에 일체로 고정되며 돼지가 미는 경우 전후로의 유동을 통해 힌지축(21)을 회동시켜 상기 추출부재(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추출되는 사료의 배출통로기능을 하며 상연부에 플랜지(41)를 절곡 구성하는 사각 관체형의 배출가이드(40)와;
상기 사료호퍼(1)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에서 노브(51')의 조작을 통해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조절봉(51)과, 이 조절봉(5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조절봉(51)의 승강에 따라 돌출길이가 조절되면서 배출가이드(40)의 플랜지(41)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을 통해 배출가이드(40)의 회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조의 돌출핀(52)으로 구성되는 추출량조절구(50)와;
상기 급수부(3B)의 측면 적소에 천공되며 과급수 시 자동 배수되어 물이 급식부(3A)로 넘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대(2)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켜 사료 호퍼(1)를 고정 설치하게되는 것으로 배출 가이드(40)는 급식부(3A)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사료의 배출 시 타 부위로의 사료 이탈이 없도록 한다.
상기 급수봉(4)의 급수니플(4A)은 급수부(3B)의 한가운데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급수되는 물이 급식부(3A)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급이통(3)은 반분상태로 전 후방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양돈의 급이가 양방향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의 실선은 사료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서 배출가이드(40)가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사료는 단지 사료받이판(10)에 쌓여져 있게되어 배출구(11)가 막혀있게 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돼지가 배출가이드(40)를 밀게 되면 전후로 유동되는 배출가이드(40)가 힌지축(21)을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힌지축(21)에 형성된 사료 교반편(22)과 배출판(23)이 회동되는 것으로 사료 교반편(22)은 접촉되고 있는 배출구(11)내의 사료를 저어 밑으로 하강시키게 되고 배출판(23)은 전후로 회동되면서 사료받이판(10)상에 쌓여있는 사료를 사료추출구(12)를 통해 밖으로 밀어내며, 사료추출구(12) 밖으로 밀려나온 사료는 관체상의 배출 가이드(40)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는 상태에서 급식부(3A)로 낙하되어 쌓이게 되는 것으로, 사료추출구(12)를 통과한 사료는 일단 은폐된 상태로 배출가이드(40)의 내부를 거치면서 급식부(3A)에 근접된 곳까지 이송된 다음 배출가이드(40)를 벗어남과 동시에 곧 바로 급식부(3A)로 신속하게 투입될 수 있게 됨으로 그 만큼 외부의 영향을 덜 받게되어 외부로의 이탈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곳에 투입될 수 있게된다.
한편 배출가이드(40)의 미는 힘이 제거되면 중력에 의해 배출가이드(40)가 수직으로 세워지며 이에 따라 교반편(22)과 배출판(23)도 초기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위치 고정되며 사료호퍼(1)내의 사료는 사료받이판(10)상에 쌓여진 채로 있게 되어 배출이 정지된다.
한편 배출가이드(40)의 유동 폭 즉 회동각의 범위를 조절하면 교반편(22)과 배출판(23)의 운동 폭을 조절할 수 있게되어 사료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 상기 사료호퍼(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노브(51')를 돌려주면 돌림방향에 따라 사료호퍼(1)에 나사 체결된 조절봉(51)이 나사의 병진운동을 통해 회전과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하단의 돌출핀(52)을 올려주거나 내려오도록 하게되는 것으로 돌출핀(52)이 하강되면 돌출핀(52)의 단부와 배출가이드(40)의 플랜지(41)와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배출가이드(40)의 회동범위가 축소되어 교반편(22)과 배출판(23)의 운동 폭을 축소시켜 배출량을 줄여줄 수있으며 그 반대로 돌출핀(52)을 올려주면 배출가이드(40)의 플랜지(41)와의 거리가 멀어 짐으로써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배출가이드(40)의 회동범위가 확장되어 교반편(22)과 배출판(23)의 운동 폭을 증가시켜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급수봉(4)을 통해 급수부(3B)로 공급되는 물이 격판(3C)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기존에는 물이 급식부(3A)로 넘쳐 유입되어 사료를 적셔버리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격판(3C)이상의 물은 자동으로 배수구(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료가 배출가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급식부로로 인입될 수 있어 사료의 낭비억제와 관리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고 양돈의 급이가 전 후 양방향에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여 대당 급이 할 수 있는 양돈수가 증가되어 사용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돼지가 스스로 필요할 때 원하는 량만큼의 사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료의 과다 추출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사료를 저장 공급하기 위한 공지 형상의 사료 호퍼(1)의 양측방으로 지지대(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료 호퍼(1)의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로 지지대(2)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중간에 위치되는 급식부(3A)와 그 양측으로 격판(3C)을 통해 분리 구성되는 한 조의 급수부(3B)로 구성되는 급이통(3)과, 상기 사료 호퍼(1)의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급수통(3B)의 내부로 급수니플(4A)을 위치시키는 급수봉(4)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료 호퍼(1) 하단에 구성되는 관체상의 배출구(11) 하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일체로 용접 구성되어 전, 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한 조의 사료추출구(12)을 구성하며 배출사료를 일시적으로 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료받이판(10)과;
    상기 배출구(11)의 양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힌지축(21)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사료를 저어주기 위한 사료 교반편(22)과, 힌지축(21)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사료받이판(10)상에 재치된 사료를 사료 추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배출판(23)으로 구성되는 추출부재(20)와;
    상기 힌지축(21)의 양단부에 일체로 종으로 고정 설치되는 연결편(30)과;
    상기 연결편(30)에 일체로 고정되며 돼지가 미는 경우 전후로의 유동을 통해 힌지축(21)을 회동시켜 상기 추출부재(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추출되는 사료의 배출통로기능을 하며 상연부에 플랜지(41)를 절곡 구성하는 사각 관체형의 배출가이드(40)와;
    상기 사료호퍼(1)에 나사 결합되는 상태에서 노브(51')의 조작을 통해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조절봉(51)과, 이 조절봉(5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조절봉(51)의 승강에 따라 돌출길이가 조절되면서 배출가이드(40)의 플랜지(41)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을 통해 배출가이드(40)의 회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조의 돌출핀(52)으로 구성되는 추출량조절구(50)와;
    상기 급수부(3B)의 측면 적소에 천공되며 과급수 시 물이 급식부(3A)으로 넘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6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KR20-2002-0037395U 2002-12-16 2002-12-16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KR200306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95U KR200306173Y1 (ko) 2002-12-16 2002-12-16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95U KR200306173Y1 (ko) 2002-12-16 2002-12-16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173Y1 true KR200306173Y1 (ko) 2003-03-04

Family

ID=4933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395U KR200306173Y1 (ko) 2002-12-16 2002-12-16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1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484B1 (ko) 2008-09-01 2011-08-26 송승민 사료 급이기
KR101380290B1 (ko) 2012-12-20 2014-04-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먹이 공급장치
KR20150138617A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70011852A (ko) * 2015-07-24 2017-02-02 이준혁 사료 공급 장치
KR102047626B1 (ko) * 2019-05-15 2019-11-21 김기주 액상사료 공급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484B1 (ko) 2008-09-01 2011-08-26 송승민 사료 급이기
KR101380290B1 (ko) 2012-12-20 2014-04-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먹이 공급장치
KR20150138617A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20170011852A (ko) * 2015-07-24 2017-02-02 이준혁 사료 공급 장치
KR101712593B1 (ko) * 2015-07-24 2017-03-06 이준혁 사료 공급 장치
KR102047626B1 (ko) * 2019-05-15 2019-11-21 김기주 액상사료 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647B1 (en) Animal food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US5458090A (en) Open sanitary device for dogs and cats
US8573157B2 (en) Indexed feed dispensing mechanism
US4644903A (en) Automatic animal feeder
US6766765B2 (en) Indexed feed dispensing mechanism
US6536373B1 (en) Dust cover for an animal feeder
KR200306173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사료 추출장치
US7963250B2 (en) Animal feeder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CH695923A5 (de) Küchengerät mit Dampferzeuger und absenkbarer Heizvorrichtung.
KR200192019Y1 (ko) 가축사료공급용 자동급이기
KR200369245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AU8107887A (en) Animal feeder
CN214681537U (zh) 一种植物猫砂原料定量混合装置
CN112021192B (zh) 一种自动智能化的牲畜养殖棚
CN114342822A (zh) 一种猪群饮水量控制系统
CN107801643A (zh) 一种自动化畜禽养殖食槽
CN217694884U (zh) 一种用于阻挡养禽舍水线滴头的装置
US6293225B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WO2008123653A1 (en) Extracting part of humid-typed feeder for rearing pigs
CN206620667U (zh) 宠物喂养添料装置
CN216088239U (zh) 双面料槽
CN206603015U (zh) 一种仔猪养殖用饮水装置
US3585969A (en) Demand liquid feed station
KR20150053326A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