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245Y1 - 돼지사료 급여장치. - Google Patents

돼지사료 급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245Y1
KR200369245Y1 KR20-2004-0027477U KR20040027477U KR200369245Y1 KR 200369245 Y1 KR200369245 Y1 KR 200369245Y1 KR 20040027477 U KR20040027477 U KR 20040027477U KR 200369245 Y1 KR200369245 Y1 KR 200369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ower portion
lever
attached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이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현 filed Critical 이창현
Priority to KR20-2004-0027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판의 저면과 사료 받침대의 내측 모서리에서 사료가 장시간 머물지 않게 하여 항상 신선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하며,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니플의 높이를 조절하여 돼지가 물을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구성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료저장통의 하부에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내측으로 회전판의 저면으로 근접되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부를 따라 수직으로 가이드레일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에 급수니플을 가진 분배관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레버의 하부에 사료 받칩대의 상면으로 접촉되는 유동구(38)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하부에는 받침대 내측 모서리에 근접되는 레그(42)가 조립된 보조레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돼지사료 급여장치.{device of supply pig feed}
본 고안은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회전판 및 사료 받침대에서 사료가 머물지 않도록 하고, 필요이상의 사료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며, 급수니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의 요구에 따라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시키기 위해서 사료 배출수단과 물 공급수단으로 구성된 습식 사료 급여장치는, 돼지가 회전판을 회전시키게 되면서 내부의 사료가 받침대 위로 토출되고, 토출된 사료가 레버의 회전이나 충격으로 받침대에 떨어져 돼지가 먹을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배출수단은 사료 받침대(45) 위로 노출된 레버(36)를 돼지가 건드릴 때 사료저장통(10)의 배출구를 막고 있는 회전판(30)이 회전하게 되면서 외측으로 사료가 토출되는 구조로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한 사료는 벽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 아래로 비산되면서 추락하는 사료의 일부가 회전판의 저면으로 부착되면서 장시간 머물게 되며, 그 사료는 변질되어 주위의 사료를 오염시키고 돼지의 건강을 해치는 치명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받침대의 내측 모서리 둘레에 나와 있는 사료는 사료 받침대 외측으로 떨어져야 섭취가 가능하며, 레버의 회전속도나 충격 등이 사료하강을 일으키게 되는데 사료량이 일정하지 않고 또한 돼지마다 돌리는 힘이 다르므로, 힘이 미약한 돼지는 레버를 돌리지 못하고 사료를 섭취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물공급관(20)과 연결된 급수니플(24)은 사료저장통의 하부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높이의 조절이 용이치 않아, 돼지의 신체적 성장시 물을 먹기가 불편하게 되면서 음수량이 줄고 물 허실이 많으며 필요 이상의 물이 누수되어 사료받침대에 사료와 혼합되면서 사료의 허실이 많고 성장발달을 저해한다.
그리고 돼지가 사료를 먹지 않으면서 레버를 돌릴 때는, 계속적으로 사료가 토출도면서 사료 받침대에 쌓이게 되고 저면으로 쌓인 사료는 장시간 경과됨에 따라 역시 변질의 우려를 가지며, 사료허실을 가중시키고 치명적인 소화기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판의 저면과 사료 받침대의 내측 모서리에서 사료가 머물지 않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레버를 돌리고 돌린 만큼 사료가 정확하고 쉽게 토출되어 항상 신선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구성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료 받침대에 항상 일정한 사료만 토출될 수 있도록하고,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니플의 높이를 단시간에 쉽게 조절하여 돼지가 물을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구성된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료저장통(10)의 하부에 커버(14)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내측으로 회전판(30)의 저면으로 근접되는 스크레이퍼(32)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를 따라 수직으로 가이드레일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19)에 급수니플(24)을 가진 분배관(22)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레버(36)의 하부에 사료 받침대(45)의 상면으로 접촉되는 유동구(38)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36)의 하부에는 받침대 내측 모서리에 근접되는 레그(42)가 조립된 보조레버(4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를 도시한 중앙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돼지사료 급여장치에서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료 10: 사료저장통
12: 세로봉 14: 커버
16: 배출량 조절구 18: 가이드레일
19: 슬리브 22: 분배관
24: 급수니플 26: 스톱퍼
28: 탄지판 30: 회전판
32: 스크레이퍼 40: 보조레버
42: 레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전체적인 결합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스톱퍼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대용량의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사료저장통(10)과,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움직임에 따라 내부의 사료를 토출시키는 회전판(30)과, 중앙의 세로봉과 결합되면서 돼지가 건드릴 때 상기 회전판을 회전 시키기 위한 레버(36), 그리고 토출된 사료를 돼지가 먹을 수 있게 저장하는 사료 받침대(45)로서 구성되어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 협소한 출구를 가지는 호퍼 구조의 사료저장통(10)에는 외측으로 물공급관(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료저장통(10) 내부에는 중앙에 세로봉(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 상기 세로봉을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배출량 조절구(16)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세로봉(12)의 하부에는 원형의 회전판(30)이 조립되어 사료 저장통(10) 하단부 출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으며, 세로봉과 함께 수직으로 이송하고, 상기 세로봉(12)의 하단부는 배출된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 받침대(45)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료 저장통(10)의 하부에 외측둘레를 따라서 커버(14)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소정의 슬리브(34)가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 내부에는 "L" 형상의 스크레이퍼(32) 상부가 조립되어 회전판(30)이 사료량 조절시 상하로 움직일 때 스크레이퍼도 같이 움직이게 되며 항상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스크레이퍼(32)의 하부 수평부가 전술한 회전판(30)의 저면에 근접되도록 배치된다.
이후, 상기 회전판(30)의 하부에는 세로봉(12)으로 4-8개 정도의 레버(26)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36)는 세로봉(12)으로 결합되어 돼지가 건드리게 될 때, 회전하면서 세로봉(12)과 함께 회전판(2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외측 끝에는 수직 아래로 부착되는 핀(39)이 있으며 상기 핀으로 원통형 유동구(38)가 끼워져 있다. 상기 유동구는 핀을 따라 수직으로 유동되는 것으로 그 저면이 사료 받침대(45) 상면 위로 안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가 회절될 때 유동구 역시 받침대 상면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36) 아래에는 역시 세로봉으로 조립되는 보조레버(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레버(40)는 전술한 레버(36)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으며 역시 돼지가 건드릴 때 회전판(30)을 회전시키면서 사료를 토출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레버의 하부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44)에 의해 결합되는 레그(42)를 가지고 있다. 상기 레그(42)는 받침대의 내측 모서리와 근접하고 있으며 보조레버(40)가 회전할 때 받침대의 내측 모서리에 모여있는 사료를 저어주면서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료가 필요이상으로 사료 받침대에 나와 쌓였을 때 사료에 의해 부하가 걸려 돼지가 쉽게 레버를 돌리지 못하므로 사료 토출이 어려우며 이때, 사료를 먹어야 부하게 해제되므로 사료토출이 가능하다.
다음, 사료저장통(10)의 하부에 수직으로 다수의 가이드레일(18)들이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슬리브(19)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각 슬리브의 외측으로 원형의 분배관(22)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이동한다. 상기 분배관의 외측 둘레에는 급수니플(2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물공급관(2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관의 상부에는 스톱퍼(26)가 장착되어 물공급관의 높이를 설정하고 고정시킨다. 상기 스톱퍼(26)로는 "ㄷ" 형상의 브라켓(27)이 사료저장통(10)의 측면으로 부착되며, 그 상면과 하면으로 구멍(27a)이 형성되어 물공급관(20)이 수직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7)의 내부 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탄지판(28)이 끼워져 조립되며 각 탄지판(28)에 구멍(28a)을 두고 역시 물공급관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 하의 탄지판(28) 사이에는 스프링(29)이 끼워져 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돼지가 입으로 레버(36) 혹은 보조레버(40)를 밀 때마다 회전판이 회동하게 되면서 회전판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강제로 떨어져서 사료 받침대에 모이며 돼지가 토출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레버 아래로 설치된 보조레버(40)는 어린 돼지도 쉽게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판(30)의 저면에 설치된 스크레이퍼(32)는 회전판이 회전할 때 회전판 위에 있는 사료를 강제로 긁어 내리며, 동시에 저면을 긁어 주게 되면서 회전판 저면으로 사료가 부착되지 않게 하며, 외측 끝에 부착된 유동구(38)와 레그(42)는 필요 이상으로 사료가 배출되어 사료가 받침대에 쌓이게 될 때, 돼지가 레버를 움직이게 되더라고 사료에 묻혀있는 유동구는 사료의 저항력으로 쉽게 회전되지 않게 되고 더 이상 사료의 배출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보조레버(40) 하부에 부착된 레그(42)는 회전판이 회전할 때 마다 회전하면서 받침대(45)의 내측 모서리에 쌓여 있는 사료를 저어주게 되고 필요 이상의 사료 토출을 방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돼지가 받침대 깊숙이 있는 사료는 잘 먹지 못하게 되면서 장시간 머물게 되는 사료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항상 신선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한다.
다음, 물공급관(20)에 설치된 급수니플(19)의 위치를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여 현재 돼지가 물을 먹기 용이하게 한다. 즉, 어린돼지는 급수니플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어느 정도 성장한 돼지는 급수니플의 위치를 위로 올려 입의 위치와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먼저, 스톱퍼(26)의 상/하 탄지판(28)을 잡고 누르면서 거의 수평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탄지판의 구멍(28a) 내측면으로 밀착된 물공급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물공급관을 위로 혹은 아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탄지판(28)을 놓으면,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방향이 벌어지게 되면서 경사를 형성하고 구멍(28a)의 일측이 강하게 밀착하게 되면서 물공급관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회전판의 돌리는 속도나 충격에 의해 사료가 부정확하게 내려와서 문제를 야기시키는 점을보완하여 적은 힘으로 돌릴 수 있고, 회전판의 움직이는 거리에 따라 사료가 강제로 토출되므로 사료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각지대가 없어 사료가 눌러붙는 형상이 없어 사료의 변질을 예방하고, 급수니플의 위치를 돼지의 성장에 따라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줌으로써 충분한 물의 섭취를 유도하여 돼지의 성장발달을 높일 수 있고 필요이상의 누수가 생기지 않는다.

Claims (4)

  1. 사료저장통(10) 중앙으로 세로봉(12)이 설치되고, 상기 세로봉 하부에 회전판(30)이 조립되며, 상기 회전판 하부로 부착된 레버(36)와 그 하부의 사료 받침대(45)로 구성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에 커버(14)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내측을 따라 회전하는 소정의 슬리브(34)가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 하부로 조립되고 회전판(30)의 저면으로 근접되는 스크레이퍼(32)로 구성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2. 사료저장통(10) 중앙으로 세로봉(12)이 설치되고, 상기 세로봉 하부에 회전판(30)이 조립되며, 상기 회전판 하부로 부착된 레버(36)와 그 하부의 사료 받침대(45)로 구성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부를 따라 수직으로 가이드레일(18)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19)의 각 외측으로 일정하게 급수니플(24)을 가진 분배관(22)이 부착되며 상기 분배관의 일측으로 외부 수도와 연결되는 물공급관(20)이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관에는 스톱퍼(26)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6)의 하부에는 핀(39)이 부착되고 상기 핀의 저면으로 유동구(38)가 끼워지며 상기 유동구 저면은 사료 받침대(45)의상면으로 접촉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6)의 하부에는 보조레버(40)가 부착되고, 상기 보조레버의 하부에는 받침대 내측 모서리에 근접되는 레그(42)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2004-0027477U 2004-09-21 2004-09-21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369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77U KR200369245Y1 (ko) 2004-09-21 2004-09-21 돼지사료 급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77U KR200369245Y1 (ko) 2004-09-21 2004-09-21 돼지사료 급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245Y1 true KR200369245Y1 (ko) 2004-12-04

Family

ID=4935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477U KR200369245Y1 (ko) 2004-09-21 2004-09-21 돼지사료 급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245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59Y1 (ko) * 2007-09-12 2009-10-12 이창현 급여기의 급수조절장치
KR200446260Y1 (ko) 2007-08-27 2009-10-12 이창현 양돈용 수위조절 급수장치
KR200448419Y1 (ko) 2007-11-01 2010-04-09 이창현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20160131604A (ko)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이기의 인근에 구비되는 먹이활동 장애방지장치
KR20170004309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여기 고정구
KR101923219B1 (ko) * 2017-12-05 2018-11-29 김기주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WO2019103257A1 (ko) * 2017-11-21 2019-05-31 김기주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20200102071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및 바닥재 마모 방지장치
KR20210006691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KR20220135084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사료 받침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60Y1 (ko) 2007-08-27 2009-10-12 이창현 양돈용 수위조절 급수장치
KR200446259Y1 (ko) * 2007-09-12 2009-10-12 이창현 급여기의 급수조절장치
KR200448419Y1 (ko) 2007-11-01 2010-04-09 이창현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20160131604A (ko)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이기의 인근에 구비되는 먹이활동 장애방지장치
KR20170004309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연합축산 급여기 고정구
WO2019103257A1 (ko) * 2017-11-21 2019-05-31 김기주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923219B1 (ko) * 2017-12-05 2018-11-29 김기주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20200102071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및 바닥재 마모 방지장치
KR20210006691A (ko)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KR20220135084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사료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200369245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22989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120154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101618242B1 (ko) 급이기의 사료 배출장치
KR101338670B1 (ko) 위치조절식 보호커버를 구비한 급수니플
KR200419952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US9974279B2 (en) Pe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KR200439326Y1 (ko) 양돈용 급이기의 급수장치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US4799455A (en) Farrowing crate creep feeder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US6691640B1 (en) Animal feeder insert with desiccant cavity
KR100952282B1 (ko) 축산용 급여기의 위치조절식 급수조
KR101692761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사료받침대 스크래퍼
KR200442135Y1 (ko)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KR10146593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US2632463A (en) Automatic poultry fountain
US11357215B2 (en) Poultry feeder
KR100913646B1 (ko) 양돈용 수위조절 급수장치
KR20150138617A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US20090320764A1 (en) Pig feeder with arrangement for preventing feed material from becoming clogged
KR101465936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