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27B1 -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27B1
KR102240227B1 KR1020190056503A KR20190056503A KR102240227B1 KR 102240227 B1 KR102240227 B1 KR 102240227B1 KR 1020190056503 A KR1020190056503 A KR 1020190056503A KR 20190056503 A KR20190056503 A KR 20190056503A KR 102240227 B1 KR102240227 B1 KR 10224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heating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643A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김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헌 filed Critical 김태헌
Priority to KR102019005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가 포함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를 통과한 후 필터링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공급부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공급부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 온수공급부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는 히터부는 석영유리로 된 가열덮개부와 석영유리 및 발열소재(발열사)로 된 하부가열부로 이원화되면서 가열덮개부는 온수공급부의 커버 이면부에 설치되어 커버 개방에 따라 하부가열부로부터 오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 개방만으로 히터부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어 깨끗하게 정화된 온수를 상시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히터가 포함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를 통과한 후 필터링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공급부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공급부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 온수공급부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는 히터부는 석영유리로 된 가열덮개부와 석영유리 및 발열소재(발열사)로 된 하부가열부로 이원화되면서 가열덮개부는 온수공급부의 커버 이면부에 설치되어 커버 개방에 따라 하부가열부로부터 오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 개방만으로 히터부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어 깨끗하게 정화된 온수를 상시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온수 공급 장치는 상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가능한 열 응답성이 빠르고 비교적 용량이 적은 저수탱크를 사용하고 그 내부에 히터(온수 가열부)를 설치하여 순간 가열하는 온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온수장치에 사용하는 히터는 세라믹 기재 상에 저항 발열체로 텅스텐이나 몰리브덴의 분말 합금재료를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도포한 히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저항 발열체로 은, 백금, 은-파라디움, 은-백금 분말에 안료와 바인더를 배합하여 세라믹기재나 절연층 기재 위에 도포한 히터 등을 사용하여 이를 저수탱크에 수몰시켜 가열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히터는 소형 및 박형으로 순간 온수가열 히터로 사용되어, 열 교환 효율은 우수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고가이므로 생산비용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져 경제성이 문제시되는 단점이 있으며 히터표면에 스케일이 발생 할 경우 내전압 특성이 떨어지며 물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세라믹 기재 등이 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발열 저항체의 도포 등이 균일하지 않으면 국부 가열 현상이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 제조 및 사용방법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저수탱크(저수조)를 사용하여 그 내부또는 바닥에 히터를 설치하여 순간 가열하는 온수장치는 수조에 채워진 물을 계속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를 계속해서 틀어놓기 때문에 전기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수조 내에 각종 유해 세균이 번식하고 있는 온수를 급탕기 등에 그대로 공급하게 되어 온수 사용자의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석영관 히터를 이용한 온수기(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석영관 히터를 이용한 온수기는 공개특허 제10-2017-0045511호의 '온수 직수 열매체'가 공지 되어 있다.
종래의 석영관을 이용한 히터는 석영관 내부로 열선을 설치하고 열선의 발열에 의해 석영관 외부로 유동되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수기(또는 정수기)는 히터 교환시에 석영관을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화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석영관 히터를 비롯한 모든 히터가 포함되어 고온의 물을 제공하는 정수기는 정수필터만 교체하여 사용하고 히터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통과하는 온수 가열관 내부는 세척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때나 이물질 등이 온수 가열관 내부에 고착되어 음용시 건강에 위해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7-0045511 (공개번호) 2017.04.27. KR 10-2006-0053452 (공개번호) 2006.05.22. KR 20-0439282 (등록번호) 2008.03.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 온수공급부 내부에 설치된 가열덮개부와 하부가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공간부를 지나갈 때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배출부를 통해 온수를 공급 사용하되, 필요시 온수공급부에 구비된 가열덮개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폐하여 온수 가열부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깨끗한 온수를 상시적으로 공급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공급부의 히터 가열덮개부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온수공급부의 개폐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수 가열부의 내부 세척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공급부 내부의 청소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숙련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온수 가열부를 청소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위생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바닥판부이 온도 변화에도 석열유리부의 파괴 또는 손상이 적고,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않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103)와 콤프레샤(104)에 의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열교환조(110);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정수된 물을 유입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130); 상기 온수공급부(130)는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30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31)과, 상기 설치공간부(130a)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정수공급구(h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정수출수구(h2)가 구비되며 하부에 발열 히터가 구비되는 하부온수가열부(132), 및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상부면에 대향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방에 따라 같이 개방되는 가열덮개부(133)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방에 따라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 사이의 온수 가열공간부(134)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이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수열교환조(110)와 상기 온수공급부(130)의 앞단에는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상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하부석영유리부(132a)와,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바닥면부 하부측으로 하부이격공간부(S1)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반사판부(132b),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발열사고정부(132c),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에 절곡되어 내설되고 양단부에 전원선(L)이 연결되는 탄소발열사(132d),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면으로 정수가 흐르는 하부바닥판부(132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상부석영유리부(133a)와, 상기 상부석영유리부(133a)의 절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의 가장자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133d)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에는 상기 정수공급구(h1)을 통해 유입된 정수의 흐름 속도를 지연시키는 냉수흐름지연돌기(132ea)가 다수개 형성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수열교환조(110)는 벽체간의 사이가 진공으로 되도록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는 개폐 가능한 덮개플레이트(111a)가 설치되며 내측 공간부에는 한냉제(111b)가 채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통과하면서 차가워지는 물통로관(112),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113),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정수출수구로 공급하는 냉수토출구(114),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냉제(111b)를 저어주는 교반기(115), 및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115)를 회동시키는 모터(11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는 물이 온수공급부 내부에 설치된 가열덮개부와 하부가열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열공간부를 지나갈 때 이들 상하 가열부에 의해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배출부를 통해 온수를 공급 사용하되, 필요시 온수공급부에 구비된 가열덮개부와 하부가열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폐하여 온수 가열부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세척하여 깨끗한 온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공급부의 히터 가열덮개부를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온수공급부의 개폐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수 가열부의 내부 세척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위생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공급부 내부의 청소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숙련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온수 가열부를 직접 청소할 수 있는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의 내부 청소를 위해 커버프레임이 개방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의 온수 가열부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의 온수 가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의 온수 가열부의 하부온수가열부를 통해 물이 가열되면서 흘러가 배출구로 토출되는 개략적인 온수 흐름상태도이고,
도 7과 8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에 구비되는 냉수열교환조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10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식수)을 유입시켜 정수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필터부(120);
몸체프레임(101)의 내부에 냉각팬(102)이 연결되는 응축기(103)와 콤프레샤(104)가 설치되고 이들에 의해 필터부(120)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 냉수로 변환시키는 냉수열교환조(110)와;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120)로부터 정수된 물을 유입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공급부(130)는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30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31)과, 상기 설치공간부(130a)의 바닥지지대(130b)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공급되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공급구(h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정수출수구(h2)가 구비되며 하부에 발열 히터가 구비되는 하부온수가열부(132), 및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상부면에 대향되어 설치되는 가열덮개부(133)로 구성되되,
상기 가열덮개부(133)는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폐시에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에서 개폐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이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방으로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 사이의 온수 가열공간부(134)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수 가열공간부(13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수공급구(h1)로 들어온 물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여 물의 이동이 천천히 이루어져 하부의 발열 히터에 의하여 충분한 고온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커버프레임(131)이 상기 온수공급부(130)에 닫혀 있는 경우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는 그 가장자리부에서 밀폐되고 내측으로는 온수가 가열되는 상기 가열공간부(1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20)에 정수된 물(식수)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일측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정수공급구(h1)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가열공간부(134)를 지나가면서 가열된 후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타측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정수출수구(h2)를 통해 배출 처리(음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급된 물이 상기 필터부(120)를 거쳐 정수되고 정수된 물이 분기되어 하나는 상기 냉수열교환조(110)에서 냉각되고, 다른 하나는 정수된 물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 사이의 상기 가열공간부(134)를 지나면서 가열된다. 냉각된 냉수와 가열된 온수는 상기 정수출수구(h2)를 통해 공급 음용된다. 상기 냉수열교환주(110)로부터 냉각된 냉수는 정수출수구(h2)의 일측과 결합되어 하나의 토출구에서 냉수와 온수가 같이 출수될 수 있으며, 냉각된 냉수가 별도의 냉수출수구(미도시)가 구비되어 냉수출수구에서 토출될 경우에 정수출수구에서는 온수만 출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처음으로 유입되어 필터링에 의하여 정수하는 장치로, 1개 이상의 필터로 구비되며, 사용량이 많은 곳에 설치될 경우 정수기 외부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냉수열교환조(110)는 벽체간의 사이가 진공으로 되도록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는 개폐 가능한 덮개플레이트(111a)가 설치되며 내측 공간부에는 한냉제(111b)가 채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통과하면서 차가워지는 물통로관(112),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113),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정수출수구로 공급하는 냉수토출구(114),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냉제(111b)를 저어주는 교반기(115), 및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115)를 회동시키는 모터(1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1)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증발관(117)이 더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는 그 상부면에 모터축(116a)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자성체(118)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상기 교반기(115)의 축끝단부가 연결되는 제2자성체(119)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11)는 내부가 밀폐되어 있어야 냉각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몸체부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모터(116)의 회전에 따라 교반기(11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자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116)에 의해 상기 모터축(116a)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자성체(118)이 회전되면 상기 제1자성체(118)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자성체(119)가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기(115)를 회전시킨다. 상기 교반기(115)의 교반에 의해 한냉제(111b)가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골로구 퍼지면서 냉매에 의해 전달되는 저온을 상기 물통로관(112)를 통과하는 물에 전달하여 신속하게 냉각시키고 이렇게 냉각된 물은 상기 냉수토출구(114)를 통해 상기 정수출수구(h2)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관(117) 내부의 냉매는 상기 물공급구(1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더운 온도를 전달받아 팽창되고(이로 인해 한냉제와 물은 냉각됨) 팽창된 냉매는 상기 콤프레샤(104)에 의해 상기 응축기(103)로 보내 다시 응축되면서 차거워지고 차거워진 냉매는 다시 상기 몸체부(111) 내부로 공급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몸체부(11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는 냉매사이클의 일반적인 원리이다.
상기 온수공급부(130)에 구비되는 상기 커버프레임(131)은 상부 전면부에 손잡이(131a)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부에 힌지부(131b)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131a)를 잡고 들어 올리면 가열공간부의 상부인 가열덮개부(133)까지 동시에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131)이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되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에서 상기 가열덮개부(133)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 및 세척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프레임(131)이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시키고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의 내부를 청소 및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프레임의 개방만으로 히터부인 온수가열(공급)부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어 깨끗하게 정화된 온수를 상시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상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하부석영유리부(132a)와,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바닥면부 하부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반사판부(132b),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발열사고정부(132c),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에 절곡되어 내설되고 양단부에 전원선(L)이 연결되는 탄소발열사(132d),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면으로 냉수가 흐르는 하부바닥판부(132e), 및 상기 하부반사판부(132b)의 이면부에 구비되어 단열시키는 하부단열재(132f)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일측면에는 상기 필터부(120)의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정수공급구(h1)가 연결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상기 정수출수구(h2)가 연결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정수공급구(h1)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는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탄소발열사(132d)에서 발생되는 열과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 및 상기 하부반사판부(132b)에 의한 반사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온수는 상기 정수출수구(h2)를 통해 토출 제공되어 음용된다.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탄소발열사(132d)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열 설치하여 마치 방바닥에 온수관이 설치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설치되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배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배치된 상기 탄소발열사(132d)는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고 상기 탄소발열사(132d)의 발열에 의해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를 가열하면서 그 상부면으로 흐르는 냉수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를 흐르면서 가열된 온수는 상기 정수출수구(h2)를 통해 토출 제공되어 음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바닥면에는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고정지지력을 좋게하도록 다수의 갭유지돌기(132a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갭유지돌기(132ab)에 의해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상부면에 하부이격공간부(S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이격공간부(S1)의 공기는 후술하는 진공배기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부석영유리부(132a)에는 게타(G,getter)가 설치되어 발열사를 포함한 석영유리 접합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흡수하여 하부이격공간부(S1)에서의 밀폐유지를 장기간 유지한다. 하부석영유리부(132a)와 하부바닥판부(133e)는 동일하게 석영유리 재질이며, 이들 사이는 접합되어 내부 하부이격공간부(S1)의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접합은 바람직하게 용접이 될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에는 상기 정수공급구(h1)을 통해 유입된 정수의 흐름을 지연시켜 상기 탄소발열사(132d)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많이 전달되도록 하는 냉수흐름지연돌기(132ea)가 다수개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수흐름지연돌기(132ea)의 배치 형태는 상기 정수공급구(h1)의 흐름이 느리게 진행 될 수 있도록 매우 다양하게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하부측에는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와 상기 하부바닥판부(133e)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이격공간부(S1)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에 가깝도록 하는 진공배기변(1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이격공간부(S1)에 배치되는 탄소발열사는 전원이 외부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하부이격공간부(S1)는 밀폐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전원선 연결에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탄소발열사로의 전원선(L) 연결은 도 9와 같다.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 주변에 동일 재질의 석영유리 재질의 밀봉용 덮개(C)를 접합한다. 밀봉용 덮개(C)의 내부에는 제1조인트(J1)에 의해 몰리부덴(Mo) 금속선(M)과 상기 탄소발열사(132d)가 연결되고, 밀봉용 덮개(C)의 외부에는 상기 금속선(M)과 구리선인 상기 전원선(L)이 제2조인트(J2)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밀봉용 덮개(C)의 하부를 밀봉한 후 전원선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부이격공간부(S1)는 내부의 밀폐력을 유지한 상태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상부석영유리부(133a)와, 상기 상부석영유리부(133a)의 바닥면부 상부측으로 상부이격공간부(S2)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반사판부(133b), 상기 상부반사판부(133b)의 이면부에 구비되어 단열시키는 상부단열재(133c), 및 상기 상부석영유리부(133a)의 절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의 가장자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133d)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바닥면부는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바닥면부와 상하에서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설치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부이격공간부(S1,S2)에는 지지대(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간부(진공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에도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에서 구성되는 상기 탄소발열사(132d) 및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와 같은 가열수단을 더 설치하여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와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 사이의 상기 가열공간부(134)를 통과하는 냉수를 더욱 신속하게 가열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40은 전자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판보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온수공급부(130)는 상기 커버프레임(131)을 닫으면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가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상부면으로 밀폐되면서 이들 사이에 정수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상기 가열공간부(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정수공급구(h1)을 통해 정수가 상기 가열공간부(134)로 공급되면 정수가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이렇게 가열된 온수는 상기 정수출수구(h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전면부에는 음용컵을 상치하는 컴받침대(10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컴받침대(105)의 상부측에는 상기 정수출수구(h2)와 연통되는 온수 공급 콕크(10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컴받침대(105)에 컵을 상치하고 상기 콕크(106)를 받아 음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온수를 상시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일시적으로 또는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열공간부(134)의 벽면에 물때나 이물질이 고착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프레임(111)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함으로써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에서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브러시나 기타 청소도구 등을 이용해 내부를 청소 및 세척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프레임(131)이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 개방시키고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가열덮개부(133)의 내부를 청소 및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프레임의 개방만으로 히터부인 온수가열(공급)부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어 깨끗하게 정화된 온수를 상시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는 물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를 통과한 후 필터링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공급부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공급부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 온수공급부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는 히터부는 석영유리로 된 가열덮개부와 석영유리 및 발열소재(발열사)로 된 하부가열부로 이원화되면서 가열덮개부는 온수공급부의 커버 이면부에 설치되어 커버 개방에 따라 하부가열부로부터 오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 개방만으로 히터부의 내벽면부에 고착된 물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어 깨끗하게 정화된 온수를 상시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
100: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101:몸체프레임 102:냉각팬 103:응축기 104:콤프레샤
110:냉수열교환조
111:몸체부 111a:덮개플레이트 111b:한냉제 112:물통로관
113:물공급구 114:냉수토출구 115:교반기 116:모터 116a:모터축
117:증발관 118:제1자성체 119:제2자성체
120:필터부
130:온수공급부 130a:설치공간부 130b:바닥지지대
131:커버프레임 132:하부온수가열부 133:가열덮개부
132a:하부석영유리부 132ab:갭유지돌기 132b:하부반사판부
132c:발열사고정부 132d:탄소발열사 132e:하부바닥판부
132ea:냉수흐름지연돌기 132f:하부단열재
133a:상부석영유리부 133b:상부반사판부 133c:상부단열재
133d:커버패킹 S1:하부이격공간부 S2:상부이격공간부
134:가열공간부 135:진공배기변 h1:정수공급구 h2:정수출수구
140:제어판보드

Claims (7)

  1. 몸체프레임(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103)와 콤프레샤(104)에 의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열교환조(110);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정수된 물을 유입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130);
    상기 온수공급부(130)는 상기 몸체프레임(10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30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31)과, 상기 설치공간부(130a)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정수공급구(h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정수출수구(h2)가 구비되며 하부에 발열 히터가 구비되는 하부온수가열부(132), 및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의 상부면에 대향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방에 따라 같이 개방되는 상부온수가열부(133)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개방에 따라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 사이의 온수 가열공간부(134)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상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하부석영유리부(132a)와,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바닥면부 하부측으로 하부이격공간부(S1)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반사판부(132b), 상기 하부석영유리부(132a)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발열사고정부(132c),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에 절곡되어 내설되고 양단부에 전원선(L)이 연결되는 탄소발열사(132d), 상기 발열사고정부(132c)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면으로 정수가 흐르는 하부바닥판부(132e)를 포함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상기 커버프레임(131)의 이면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열교환조(110)와 상기 온수공급부(130)의 앞단에는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120);를 더 포함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는 바닥면부와 그 가장자리가 하향 절곡되는 절곡면부로 된 상부석영유리부(133a)와, 상기 상부석영유리부(133a)의 절곡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부온수가열부(132)와 상기 상부온수가열부(133)의 가장자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133d)로 구성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닥판부(132e)에는 상기 정수공급구(h1)을 통해 유입된 정수의 흐름 속도를 지연시키는 냉수흐름지연돌기(132ea)가 다수개 형성 구비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열교환조(110)는 벽체간의 사이가 진공으로 되도록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는 개폐 가능한 덮개플레이트(111a)가 설치되며 내측 공간부에는 한냉제(111b)가 채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통과하면서 차가워지는 물통로관(112),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113),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로관(112)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정수출수구로 공급하는 냉수토출구(114),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냉제(111b)를 저어주는 교반기(115), 및 상기 덮개플레이트(111a)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115)를 회동시키는 모터(116)으로 구성되는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KR1020190056503A 2019-05-14 2019-05-14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KR10224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03A KR102240227B1 (ko) 2019-05-14 2019-05-14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503A KR102240227B1 (ko) 2019-05-14 2019-05-14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43A KR20200131643A (ko) 2020-11-24
KR102240227B1 true KR102240227B1 (ko) 2021-04-13

Family

ID=736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503A KR102240227B1 (ko) 2019-05-14 2019-05-14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16B1 (ko) 2004-10-12 2006-06-26 김승남 수도배관이 필요없는 이동식 냉온정수기
KR100920690B1 (ko) * 2008-01-29 2009-10-07 서광이앤피주식회사 벽걸이형 냉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934U (ko) * 1993-08-13 1995-03-21 이재천 냉각기능을 갖는 식수가열통
KR20060053452A (ko) 2004-11-16 2006-05-22 김태균 온수가열용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KR200439282Y1 (ko) 2007-05-09 2008-04-01 심용섭 근적외선을 이용한 온수기
KR20170045511A (ko) 2015-10-19 2017-04-27 이동관 온수 직수 열매체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16B1 (ko) 2004-10-12 2006-06-26 김승남 수도배관이 필요없는 이동식 냉온정수기
KR100920690B1 (ko) * 2008-01-29 2009-10-07 서광이앤피주식회사 벽걸이형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643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5735A (zh) 一种智能煮饭机
KR102240227B1 (ko)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JP2016538527A (ja) 空気調和装置
CN205606906U (zh) 一种高效保温冷热分离式热水器内胆
JP2010183971A (ja) フライヤー
CN205831620U (zh) 一种智能煮饭机
CN108562178A (zh) 一种化工生产用换热器
CN2914926Y (zh) 全自动电饭锅
CN110344477A (zh) 一种出水即热型多功能集成水槽结构
CN210427185U (zh) 一种熔蜡仪
JP4113503B2 (ja) バイパス機能付き浄水器
KR200399841Y1 (ko) 정수기
WO2008116365A1 (en) Drinking machine capable of cleaning furring
CN207203605U (zh) 电磁加热热水器及其过滤装置
CN111924903A (zh) 一种厨下一体化饮用水速热装置及其控制方法
JP4002195B2 (ja) 流体加熱用ヒータ
JP4285433B2 (ja) 給湯機用貯湯タンク
JP2777564B2 (ja) 電気温水器
CN205420017U (zh) 一种热水器的进水过滤装置及热水器
CN208205863U (zh) 一种化工生产用换热器
KR100638147B1 (ko) 소형 냉온수기
CN113040604B (zh) 一种带有开水速冷功能的新型智能饮水机
CN212721068U (zh) 箱式一体化智能换热机组
JPH0612359Y2 (ja) 熱交換器
CN212253132U (zh) 一种家用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