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800B1 -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800B1
KR101094800B1 KR1020080019576A KR20080019576A KR101094800B1 KR 101094800 B1 KR101094800 B1 KR 101094800B1 KR 1020080019576 A KR1020080019576 A KR 1020080019576A KR 20080019576 A KR20080019576 A KR 20080019576A KR 101094800 B1 KR101094800 B1 KR 10109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fluid
drain
valv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558A (ko
Inventor
강연운
이인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8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Abstract

드레인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은 드레인관(6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중공인 내부의 내주를 따라 걸림턱(21)이 형성된 밸브 몸체(20); 일측은 상기 밸브 몸체(20)의 다른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측은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연결캡(30); 및 상기 드레인관(60)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20)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되거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연결캡(30)과의 사이에서 스프링(38)이 설치되고 다른 측은 상기 걸림턱(21)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몸체(2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30)에는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상기 밸브 몸체(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후크(31)가 일측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융착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밸브 몸체와 연결캡을 밀봉결합할 수 있고, 유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밸브 몸체의 일측 단부를 닫는 커버가 단일의 재료로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공정과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드레인 밸브, 밸브 몸체, 연결캡, 샤프트, 커버, 정수기

Description

드레인 밸브{Drain valve}
본 발명은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융착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밸브 몸체와 연결캡의 밀봉결합이 가능하며, 밸브 몸체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여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 몸체의 일측 단부를 닫는 커버가 단일의 재료로 일체로 되어 있는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밸브는 유체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유체를 유체 저장탱크를 청소하는 경우 등의 작업을 하도록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시켜서 사용한다.
도1a와 도1b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크 밸브형태의 드레인 밸브(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a는 드레인 밸브(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1b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00)는 밸브 몸체(200)와 밸브 몸체(200)의 일측에 밀봉되게 결합된 연결캡(300) 및 밸브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400)를 포함한다.
샤프트(400)와 연결캡(300) 사이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8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몸체(200)의 내부에는 걸림턱(210)이 형성되어 있고,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10)으로부터 차례로 샤프트(400)와 스프링(380) 및 연결캡(300)이 밸브 몸체(200)의 내부에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38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샤프트(400)는 걸림턱(210)에 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400)에는 패킹(450)이 구비되어 있어서, 샤프트(400)가 스프링(38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걸림턱(210)에 닿는 경우에, 샤프트(400)와 걸림턱(210) 사이를 밀봉하여, 걸림턱(210)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00)에 연결캡(30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샤프트(400)가 연결캡(300)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210)과 패킹(450)이 서로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걸림턱(210)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지 못하고 밸브 몸체(200)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밸브 몸체(200)에는 도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커버(500)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500)는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를 닫도록 되어 있는 돌출부(550)가 형성된 마개부재(530)와 마개부재(530)와 연결된 연결부재(540)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부재(540)는 도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0)의 일측 외주에 끼워지는 끼움부재(510)에 리벳(560)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관(600)이 밸브 몸체(200)에 삽입되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된 마개부재(530)를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에 삽입하여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를 닫음으로써, 이물질이 밸브 몸체(200)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2a와 도2b는 종래의 드레인 밸브(10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300)에는 유체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연결관(700)이 밀봉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700)과 연결캡(300)을 통해 밸브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00)에 연결캡(30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은 걸림턱(210)에서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관(600)을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면, 밸브 몸체(200)에 삽입된 드레인관(600)이 연결캡(300) 방향으로 샤프트(400)에 외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400)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서 샤프트(400)는 걸림턱(210)과 이격되면서 연결캡(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210)과 패킹(450)이 이격되기 때문에, 유체 저장탱크로부 터 밸브 몸체(200)에 유입된 유체는 그 유동이 걸림턱(210)에서 차단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 몸체(200)에 유입된 유체는 밸브 몸체(200) 내부를 유동하여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연결된 드레인관(600)으로 유입되게 되고, 드레인관(600)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드레인 밸브(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밸브 몸체(200)와 연결캡(300)을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서 밀봉결합시키기 때문에 초음파 융착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융착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있어서 밸브 몸체(200)와 연결캡(300)을 완전히 밀봉결합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밸브 몸체(200)와 연결캡(300)의 융착부에서 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레인관(600)이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면서 샤프트(400)를 연결캡(30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밸브 몸체(200)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가능한 경우에, 유체가 유동하는 밸브 몸체(200) 내부와 샤프트(400) 등의 구성부분이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유로가 협소하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이 원할하지 못하여,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드레인 밸브(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출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예컨대 유체 저장탱크를 청소하기 위해서 유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유체를 신속하게 배출하지 못하고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유체 저장탱크를 청소하는 등의 후속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밸브 몸체(200)의 일측 단부를 닫도록 돌출부(550)가 형성된 마개부재(530) 및 연결부재(540)로 이루어진 커버(500)와, 커버(500)를 밸브 몸체(200)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밸브 몸체(200)에 끼워져 연결된 끼움부재(510)와 끼움부재(510)를 커버(500)의 연결부재(540)에 연결키시기 위한 리벳(560)이 별도의 부재와 재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별도로 제작하여야만 하여서 제작공정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융착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밸브 몸체와 연결캡의 밀봉결합이 가능하며, 밸브 몸체 내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여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외부로의 유체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가 단일의 재료로 일체로 되어 있는 드레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측은 드레인관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중공인 내부의 내주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밸브 몸체;
일측은 상기 밸브 몸체의 다른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측은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연결캡; 및
상기 드레인관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되거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연결캡과의 사이에서 스프링이 설치되고 다른 측은 상기 걸림턱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후크가 일측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홈은 '─┘'형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에는 상기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관에 의해서 밀봉연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경사단이 형성된 니플이 다른 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에 결합시 밀봉될 수 있도록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홈이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닿을 때 유체의 유동이 상기 걸림턱에서 차단되도록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이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관에 의해서 상기 걸림턱에서 이격되도록 이동하면, 사이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1구획부재가 일측 외주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제2구획부재가 다른 측 외주에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구획부재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면적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구획부재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면적은 같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드레인관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밸브 몸체의 일 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 연결된 커버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된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되,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마개부재;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재료는 산토프렌(santoprene)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 저장탱크는 정수기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융착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밸브 몸체와 연결캡을 밀봉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몸체 내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유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서, 유체의 배출 후에 이루어지는 유체 저장탱크의 청소 등의 후속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밸브 몸체의 일측 단부를 닫는 커버가 단일의 재료로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공정과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4a와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와, 밸브 몸체와 연결캡의 결합도 및, 샤프트에서의 유동 단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기에 설치된 유체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드레인 밸브(10)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된 유체 저장탱크 이외에도 다른 곳에 설치된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드레인 밸브(10)일 수 있다.
도3a 내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0)는 일측은 드레인관(6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중공인 내부의 내주를 따라 걸림턱(21)이 형성된 밸브 몸체(20)와, 일측은 밸브 몸체(20)의 다른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측은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연결캡(30) 및, 드레인관(60)의 연결여부에 따라 밸브 몸체(20)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되거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일측은 연결캡(30)과의 사이에서 스프링(38)이 설치되고 다른 측은 걸림턱(21)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밸브 몸체(2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샤프트(40)가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걸림턱(21)에 닿게 되어,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캡(30)을 통해 밸브 몸체(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걸림 턱(21)에서 그 유동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드레인관(60)이 삽입되어 연결되면, 드레인관(60)이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걸림턱(21)에 닿아 있는 샤프트(40)에 외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샤프트(40)가 연결캡(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걸림턱(21)과 샤프트(40)가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밸브 몸체(20)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유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는, 예컨대 정수기의 경우에 물은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캡(30)을 통하여 밸브 몸체(20)로 유입되고, 밸브 몸체(20)를 유동하여 드레인관(60)으로 유입되며, 드레인관(60)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3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0)의 연결캡(30)은 밸브 몸체(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2)과 연결캡(30)에 형성된 후크(31)에 의해서 연결캡(30)이 밸브 몸체(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캡(30)이 밸브 몸체(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는 연결캡(30)에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후크(31)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밸브 몸체(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결합홈(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으로 되어 있 다.
따라서, 도3b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연결캡(30)에 형성된 각각의 후크(31)가 밸브 몸체(20)의 결합홈(22)에 삽입되도록 한 후, 결합홈(22)을 따라 연결캡(30)을 회전시키면 연결캡(30)이 밸브 몸체(20)에 결합되게 된다.
결합홈(2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캡(30)의 후크(31)가 밸브 몸체(20)의 결합홈(2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홈(22)의 개수와 후크(31)의 개수도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캡(30)과 밸브 몸체(20)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밸브 몸체(20)에는 각 결합홈(22)의 일측 단부와 연통가능하도록 결합구멍(24)이 각각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구멍(24)에는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할 연결캡(30)의 후크(31)에는 돌기(25)와 대응되는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30)의 후크(31)를 결합홈(22)에 삽입시켜 이의 일측 단부와 연통된 결합구멍(24)까지 회전시킨 후, 결합구멍(24)의 돌기(25)가 후크(31)의 홈(37)에 끼워지도록 하면, 연결캡(30)과 밸브 몸체(20)의 결합이 보다 더 견고해져서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결합구멍(24)에 홈(37)이 형성되고 후크(31)에 돌기(25)가 형성되 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캡(3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후크(31)가 일측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관(70)에 의해서 밀봉연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2개의 경사단(33)이 형성된 니플(32)이 다른 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몸체(20)에 결합시 밀봉될 수 있도록 오링(35)이 삽입되는 오링홈(34)이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38)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32)에 2개의 경사단(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연결관(70)을 끼우는 경우 연결관(70)이 빠지지 않고 밀봉연결된다.
또한, 외주에 오링(35)이 삽입되는 오링홈(3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캡(30)이 밸브 몸체(20)에 결합된 경우에,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관(70)과 연결캡(30)을 통해서 밸브 몸체(20)에 유입된 유체가 밸브 몸체(20)의 결합홈(22)을 통해 밸브 몸체(20)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밸브 몸체(20)와 연결캡(30)이 밀봉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밸브 몸체(20)와 연결캡(30)을 결합시키면, 종래에 초음파 융착기 등에 의해서 밸브 몸체(200)와 연결캡(300)을 결합시키는 경우와 같이 별도의 장비 없이도, 밸브 몸체(20)와 연결캡(30)을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융착불량에 의해서 유체가 밸브 몸체(20)로부터 누출될 위험성도 없게 되므로 바람직 하다.
도3b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0)에는 스프링(38)의 일측에 삽입되어 스프링(38)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 지지대(41)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1)에 닿을 때 유체의 유동이 걸림턱(21)에서 차단되도록 패킹(45)이 삽입되는 패킹홈(44)이 외주에 형성되어 있으며, 드레인관(60)에 의해서 걸림턱(21)에서 이격되도록 이동하면, 사이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4개의 제1구획부재(42)가 일측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4개의 제2구획부재(43)가 다른 측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캡(30)의 스프링홈(36)과 샤프트(40)의 스프링 지지대(4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샤프트(40)의 일측이 밸브 몸체(20)의 걸림턱(21)에 닿게 되고, 패킹홈(44)에 삽입된 패킹(45)에 의해서 걸림턱(21)과 샤프트(40) 사이가 밀봉되어 유체의 유동이 걸림턱(21)에서 차단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샤프트(40)의 일측이 걸림턱(21)에 닿도록 샤프트(40)에 걸림턱(21)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드레인관(60)이 샤프트(40)에 연결캡(30)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40)가 연결캡(3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 몸체(20)의 걸림턱(21)과 샤프트(40)의 패킹(45)이 서로 이격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샤프트(40)에는 4개의 제1구획부재(42)와 4개의 제2구획부재(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샤프트(40)가 연결캡(30)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21)과 패킹(45)이 이격되면, 연결관(70) 및 연결캡(30)을 통해서 밸브 몸체(20) 내부에 유입된 유체 저장탱크 내의 유체는, 각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와 각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를 통과하여 밸브 몸체(20)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와 각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를 통과하여 유동한 유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된 드레인관(60)으로 유입되고, 드레인관(60)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면적(A)과 각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면적(B)은 서로 같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각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와 각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는 실제적으로는 단면적이 일정한 관을 유동하는 것과 유사하게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 몸체(20) 내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밸브 몸체(20)의 내부와 샤프트(40)의 형상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몸체(20) 내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원할하게 되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 몸체(20) 내부에서의 유체의 유동이 원할하기 때문에 유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외부로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서, 유체 저장탱크의 청소 등 후속하는 작업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3a 내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0)는 드레인관(60)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연결된 커버(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0)의 커버(50)는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끼움홈(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52)이 형성된 끼움부재(51)와, 끼움부재(51)와 연결부재(54)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되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돌출부(55)가 형성된 마개부재(53)를 포함한다.
커버(50)와 일체로 된 끼움부재(51)가 이에 형성된 끼움구멍(52)을 통해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끼움홈(23)에 끼워짐으로 해서, 커버(50)가 밸브 몸체(20)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커버(50)를 밸브 몸체(20)에 연결시키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커버(50)를 밸브 몸체(2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50)와 이를 밸브 몸체(20)에 연결시키는, 다른 재료로 된 별도의 부재를 제작하지 않고 단일한 재료로써 일체로 커버(50)를 제작하기 때문에, 커버(50)를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제작공정과 제작비용이 적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50)의 재료는 신축성이 있는 산토프렌(santoprene)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끼움부재(51)를 밸브 몸체(20)에 끼우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커버(50)의 재료는 산토프렌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50)를 밸브 몸체(20)에 용이하게 끼워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커버(5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버(50)는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마개부재(53)의 돌출부(55)를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삽입하여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아서, 이물질이 밸브 몸체(20)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0)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는 연결캡(30)의 니플(32)에 연결된 연결관(70)에 의해서 유체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게 된다.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밸브 몸체(20) 내의 샤프트(40)에 구비된 패킹(45)이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걸림턱(21)에 닿아 있기 때문에, 걸림턱(21)에서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유체 저장탱크로부터 연결관(70)과 연결캡(30)을 통해 밸브 몸체(20)에 유입된 유체는 걸림턱(21)을 지나서 더 이상 유동 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커버(50)를 사용하여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관(60)이 밸브 몸체(20)의 일측에 삽입되어 밸브 몸체(20)에 연결되면, 드레인관(60)이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샤프트(40)를 연결캡(3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샤프트(40)가 연결캡(30)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21)에 닿은 패킹(45)이 걸림턱(21)으로부터 이격되고, 걸림턱(21)과 패킹(45)에 의해서 유동이 차단되었던 유체는 샤프트(40)의 각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와 각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를 통과하여서 걸림턱(21)의 다른 측에 닿아 있는 드레인관(60)에 유입되게 되며, 드레인관(60)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a와 도1b는 종래의 드레인 밸브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2a와 도2b는 종래의 드레인 밸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4a와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와, 밸브 몸체와 연결캡의 결합도 및, 샤프트에서의 유동 단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a와 도5b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드레인 밸브 20, 200 : 밸브 몸체
21, 210 : 걸림턱 22 : 결합홈
23 : 끼움홈 24 : 결합구멍
25 : 돌기 30, 300 : 연결캡
31 : 후크 32 : 니플
33 : 경사단 34 : 오링홈
35 : 오링 36 : 스프링홈
37 : 홈 38, 380 : 스프링
40, 400 : 샤프트 41 : 스프링 지지대
42 : 제1구획부재 43 : 제2구획부재
44 : 패킹홈 45, 450 : 패킹
50, 500 : 커버 51, 510 : 끼움부재
52 : 끼움구멍 53, 530 : 마개부재
54, 540 ; 연결부재 55, 550 : 돌출부
560 : 리벳 60, 600 : 드레인관
70, 700 : 연결관

Claims (10)

  1. 일측은 드레인관(6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중공인 내부의 내주를 따라 걸림턱(21)이 형성된 밸브 몸체(20);
    일측은 상기 밸브 몸체(20)의 다른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측은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연결캡(30); 및
    상기 드레인관(60)의 연결여부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20)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되거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연결캡(30)과의 사이에서 스프링(38)이 설치되고 다른 측은 상기 걸림턱(21)에 닿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몸체(2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30)에는 상기 결합홈(22)에 삽입되고 회전되어 상기 밸브 몸체(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후크(31)가 일측 외주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2)은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30)에는
    상기 유체 저장탱크에 연결관(70)에 의해서 밀봉연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경사단(33)이 형성된 니플(32)이 다른 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20)에 결합시 밀봉될 수 있도록 오링(35)이 삽입되는 오링홈(34)이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38)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에는
    상기 스프링(38)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38)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프링 지지대(4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에 닿을 때 유체의 유동이 상기 걸림턱(21)에서 차단되도록 패킹(45)이 삽입되는 패킹홈(44)이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관(60)에 의해서 상기 걸림턱(21)에서 이격되도록 이동하면, 사 이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1구획부재(42)가 일측 외주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제2구획부재(43)가 다른 측 외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구획부재(42)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유동 단면적(A)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구획부재(43) 사이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단면적(B)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60)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밸브 몸체(20)에 연결된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끼움홈(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52)이 형성된 끼움부재(51)와;
    상기 끼움부재(51)와 연결부재(54)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되,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 몸체(20)의 일측 단부를 닫을 수 있도록 돌출부(55)가 형성된 마개부재(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의 재료는 산토프렌(santopr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탱크는 정수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KR1020080019576A 2008-03-03 2008-03-03 드레인 밸브 KR10109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576A KR101094800B1 (ko) 2008-03-03 2008-03-03 드레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576A KR101094800B1 (ko) 2008-03-03 2008-03-03 드레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58A KR20090094558A (ko) 2009-09-08
KR101094800B1 true KR101094800B1 (ko) 2011-12-16

Family

ID=4129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576A KR101094800B1 (ko) 2008-03-03 2008-03-03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69B1 (ko) * 2011-12-29 2014-02-18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출하용 배관 어댑터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91442B1 (ko)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80131B1 (ko) * 2018-04-16 201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34Y1 (ko) * 2005-03-21 2005-06-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안전마개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KR200434024Y1 (ko) 2006-09-28 2006-12-14 (주)원봉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34Y1 (ko) * 2005-03-21 2005-06-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안전마개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KR200434024Y1 (ko) 2006-09-28 2006-12-14 (주)원봉 정수기의 드레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58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979B2 (ja) 医療用サンプリングバルブ
JP4123350B2 (ja) 逆流防止バルブ
KR101094800B1 (ko) 드레인 밸브
JP4991724B2 (ja) 逆浸透濾過システム保管タンク
JP2008508016A (ja) 医療輸液ライン用バルブコネクター
EP3502375A1 (en) Water valve and pool
DK2846069T3 (en) LOCK VALVE WITH FLOAT SEAL
JP2012024565A (ja) コネクタ
JP4849471B2 (ja) 基板収納容器の防水プラグ、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容器の洗浄方法
CN103459911B (zh) 用于液体容器的阀
JP4694341B2 (ja) 流体制御弁
JP5714860B2 (ja)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JP5891483B2 (ja) 排水配管
JP2017537271A (ja) 排液コネクタ
JP6807101B2 (ja) ノズル切替バルブ装置
KR102626901B1 (ko)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JP2005163874A5 (ko)
CN107921336B (zh) 过滤器端口密封件
JP4721560B2 (ja) 四方弁
JP6847074B2 (ja) ガスケット、及び流路継手構造
JP4822806B2 (ja) ウオッシャ液分配ジョイント及びウオッシャ装置
JP2007211686A (ja) ウォッシャポンプ
KR102534583B1 (ko)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CN217130344U (zh) 阀结构
WO2021251377A1 (ja) チェックバルブ、チェックバルブ付き分岐具およびクリー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