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901B1 -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 Google Patents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901B1
KR102626901B1 KR1020227005129A KR20227005129A KR102626901B1 KR 102626901 B1 KR102626901 B1 KR 102626901B1 KR 1020227005129 A KR1020227005129 A KR 1020227005129A KR 20227005129 A KR20227005129 A KR 20227005129A KR 102626901 B1 KR102626901 B1 KR 10262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upling
geometry
profile element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880A (ko
Inventor
레네 쉰들러
사샤 프리켈
스벤 슈베블라인
디르크 하겐코르트
Original Assignee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3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7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draining or emptying a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ck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연결구(1), 유입 파이프(11), 유출 파이프(17), 및 배수 채널(13)에 관한 것이다. 유출 파이프(17)는 외측 단부(18) 상에 밸브 몸체(20) 및 밸브 시트(21)를 구비한 외부 폐쇄용 체크 밸브(19)를 구비한다. 유출 파이프(17)는 외측 단부(18)에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는 도관 결합구(23)에 상호잠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체크 밸브(19)는, 외측 단부(18) 안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 요소(27)에 의하여, 밸브 시트(21)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21)에서 멀리 이격된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앞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물 및 연료와 같은,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배출 연결구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바, 선택적으로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밸브 요소를 개방함으로써 배수 채널을 거쳐서 탱크의 베이스에서 수집되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그와 동시에, 상기 배출 연결구는 작동 동안에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연료를 위한 유출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연료의 유출구를 폐쇄함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밸브 유닛을 배출 연결구의 유출구에 연결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상기 밸브 유닛에는 추가적인 도관들의 연결을 위한 연결 파이프 기하형태부를 구비한 유출 파이프가 연결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배출 연결구는 상대적으로 많은 갯수의 개별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충분한 저항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밸브 유닛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배출 연결구는 첫째로 상대적으로 무겁고, 둘째로는 세심한 방식으로만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 경우에서, 필요한 연결 지점들의 존재로 인하여 누설의 위험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배출 연결구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바, 특히 적은 노력으로 제작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운 배출 연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급적이면 부정확한 작업이 곤란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들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들은 제2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되어 있다.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 및 하우징 벽을 구비한 컵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출 연결구가 제공되는바, 상기 하우징 벽의 외부에는 용기 개구(container opening)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연결 기하형태부(connecting geometry)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통해서는 유입 파이프가 유입측 부분으로부터 유출측 부분까지 안내되며, 상기 유입 파이프와 하우징 벽 사이에는 수집 챔버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집 챔버으로부터 유출측 부분까지 이어지는 배수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채널은 유출측 부분으로부터 폐쇄가능하고, 상기 유입 파이프는 유출측 부분에서 유출 파이프로 천이되며, 상기 유출 파이프는 외측 단부에 유출측 부분에 배치된 밸브 시트(valve seat) 및 밸브 몸체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폐쇄가능한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파이프는 그 외측 단부에 제1 결합 기하형태부(first coupling geometry)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기하형태부는 도관 결합구(conduit coupling)에 상호잠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는 외측 단부 안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 요소(profile element)에 의하여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서 이격된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유입 파이프를 거쳐 유출 파이프를 통한 액체의 배출은 체크 밸브가 개방된 때에만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밸브 몸체를 유입 파이프를 향해 ala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요소가 유출 파이프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밸브 몸체와 맞닿게 되며 유입 파이프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상승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상기 밸브 몸체와 밸브 시트 사이에 고리형의 관통-유동 단면이 개방되며, 액체를 이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그 결과, 배출 연결구가 용기 개구에 나사체결된 때에 액채가 유출 파이프를 통해서 용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연료와 같은 낮은 밀도를 가진 액체만이 유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배출 연결구는 예를 들어 물과 같이 높은 밀도를 갖는 액체가 별도로 설계되고 폐쇄가능한 배수 채널을 거쳐서 배수됨을 허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 연결구는 물 및 연료와 같이 상이한 밀도를 가진 두 가지 액체의 분리된 배출을 제공한다. 간단한 구조 덕분에, 상기 배출 연결구는 밸브 몸체 및 제공될 수 있는 밀봉재를 제외하고는,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 제조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단순화되며,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하여 무게 감소가 도모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작된 배출 연결구는 산화되는 경향이 없으며, 따라서 자동차, 즉 승용차, 트럭, 농업용 차량과 같은 곳에 설치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배출 연결구의 개별 부품들 간의 연결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것은 배출 연결구의 유체 밀봉성을 증진시킨다.
상기 폐쇄가능한 배수 채널은 폐쇄 요소, 예를 들어 막힌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 채널 및 폐쇄 요소는 서로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폐쇄 요소가 간편한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폐쇄 요소는 배출 연결구의 재료에 적합한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폐쇄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함이 유리한데, 이는 무게 및 제조 비용과 관련된 긍정적인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배출 연결구의 특성과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폐쇄 요소도 단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파이프의 주된 길이 축의 상당 부분이 유입측 부분에서 상기 연결 기하형태부에 걸쳐 연장된다. 그 결과, 상기 유입 파이프는 낮은 밀도를 가진 액체만을 수용할 수 있고, 높은 밀도를 가진 액체는 유입 파이프의 유입 개구 아래에서 배수 채널을 거쳐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채널은 하우징 베이스 안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상기 배출 연결구가 연료 탱크에 사용되는 경우에, 물이 연료의 공급을 받는 엔진에 도달함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 기하형태부와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된 제2 결합 기하형태부를 구비한 분리된 도관 결합구가 제공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상기 도관 결합구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제2 결합 기하형태부의 영역으로 돌출된다. 상기 유출 파이프의 개방 및 폐쇄는 유출 파이프의 외측 단부에 도관 결합구를 간편하게 부착 또는 분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도관 결합구의 제2 결합 기하형태부가 제1 결합 기하형태부에 부착된다면, 상기 프로파일 요소가 유출 파이프 안으로 돌출되고, 밸브 몸체를 밸브 시트로부터 유출 파이프의 내부로 더 밀어 넣을 것이다. 따라서, 유출 파이프가 개방되고, 액체는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도관 결합구를 제거하면, 상기 체크 밸브는 중력으로 인해 다시 폐쇄되고, 액체는 유출 파이프를 이탈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관 결합구는 제2 결합 기하형태부를 구비한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를 구비하고, 제1 축방향 단부와 제2 축방향 단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유동 홀더(through-flow holder)가 배치되며,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제1 축방향 단부의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유동 홀더로부터 연장된다. 그 결과, 프로파일 요소가 바람직하게도 관통-유동 단면의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가 상기 관통-유동 단면 내의 중앙에 유지되되, 프로파일 요소에 의하여 밸브 몸체의 중앙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밸브 몸체가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출 파이프로부터의 관통-유동을 저해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관통-유동 홀더는 관통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되고, 그 결과 하나 이상의 절개부 또는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유동 홀더는 예를 들어 그릴(grille) 또는 체(sieve)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유동 홀더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arm)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상기 아암에 결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프로파일 요소를 함께 유지시키는 복수의 아암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프로파일 요소의 유지가 튼튼하고 신뢰성있게 되어서, 상기 도관 결합구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가 항상 개방된 채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아암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아암들이 관통-유동 단면에 걸쳐서 대칭적으로 분포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도관 결합구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렇게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파일 요소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얇은 설계형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도관 결합구의 관통-유동 단면은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밸브 몸체의 대응되는 형상 특징부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 요소의 정렬이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는 외부를 향하는 측부에 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부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부는, 프로파일 요소와 밸브 몸체가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구성된 때에, 프로파일 요소에 의한 밸브 몸체의 이동 가능성을 정밀하게 일치시킨다. 따라서, 체크 밸브의 의도된 개방도를 신뢰성있게 달성함은, 밸브 몸체의 외측 표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요부에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 몸체의 제작이 단순화 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도관 결합구가, 통합된 홀딩 클립(holding clip)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서 구성된다. 이로써 나사 커넥터의 경우에 비하여 상기 도관 결합구의 끼움 및 분리가 현저히 간편하게 되는데, 이것은 상기 도관 결합구의 부착을 위해서는 홀딩 클림을 움직임에 의하여 끼우고(plug on) 고정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관 결합구의 분리는 홀딩 클립을 움직이고 도관 결합구를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체크 밸브의 사용과 조합되는 경우, 높은 밀도를 가진 액체를 배수 채널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특히 간편한 취급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 파이프와 유출 파이프가 서로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배출 연결구는 단순하고 보다 콤팩트한 설계 형태를 가지게 되며, 유입 파이프로부터 유출 파이프로의 유동은 어깨부, 만곡부, 또는 다른 휨 부분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상기 배수 채널은 유입 파이프와 유출 파이프의 반경방향 외부에 배치됨이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배수 채널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배수 채널에 접근하고 이를 조작하는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상세사항들, 및 장점들은 하기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배출 연결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도관 결합구의 3차원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관 결합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배출 연결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다양한 밀도를 가진 유체들이 서로 분리되어 배수됨을 허용하기 위하여 용기 개구(미도시)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배출 연결구(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 연결구(1)는 하우징 베이스(3) 및 하우징 벽(4)을 구비한 컵 형상의 하우징(2)을 구비한다. 외부 나사산 형태를 가진 연결 기하형태부(5)는 하우징 벽(4)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그 결과, 배출 연결구(1)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정지부(6)까지, 대응되는 형상의 용기 개구 안으로 유체 밀봉 방식으로 나사체결될 수 있다. 정지부(6)의 영역에는 주변 홈(7)이 있는데, 이 안에는 용기 개구에 밀봉 작용을 생성하기 위하여 밀봉 링(8)이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3)는 배출 연결구(1)를 유입측 부분(9) 및 유출측 부분(10)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평면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측 부분(9)은 대응되는 용기 안에 배치되고, 유출측 부분(10)에는 사용자에 의한 접근이 허용된다.
배출 연결구(1)는, 예를 들어 하우징 베이스(3)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유입측 부분(9)의 방향으로 하우징(2) 위로 멀리 연장되는, 사각형의 중공 원통 형상의(hollow-cylindrically shaped) 유입 파이프(11)를 구비한다. 하우징(2) 내부에는 유입 파이프(11)와 하우징 벽(4) 사이에 수집 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집 챔버 안에서는 큰 밀도를 갖는 액체가 수집되어 반경방향 외향에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3)에 인접한 배수 채널(13) 안으로 경사진 방식으로 유동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연료 탱크 안에 수집되는 물은 배수 채널(13)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의 동시적인 배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배수 채널(13)은 막힌 플러그(blind plug)(14)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막힌 플러그에는, 영구적인 유체 밀봉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밀봉 링(15) 및 밀봉 링(16)이 제공된다.
배출 연결구(1)의 통상적인 작동 동안에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출 파이프(17)가 제공된다. 유출 파이프(17)는 예를 들어 유입 파이프(11)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유출 파이프는 외측 단부(18)에 체크 밸브(19)를 구비하는바, 이것은 밸브 몸체(20)를 구비하며 또한 밸브 시트(21)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고리형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20)는 밸브 시트(21)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유출 파이프(17)를 폐쇄한다. 밸브 몸체(20)는 연료 탱크의 충전 체적으로부터 귀결되는 정적 압력에 의하여 밸브 시트(21)에 밀어질 수 있다. 밸브 몸체(20)를 반대의 방향으로 유출 파이프(17) 안으로 그리고 밸브 시트(21)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밸브 시트(21)가 해제될 수 있고, 연료가 유출 파이프(17)를 통해서 유입 파이프(11)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유출 파이프(17)는 도 2 에 도시된 도관 결합구(23)에 상호잠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를 구비한다.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는 예를 들어 주변 홈(24)을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도관 결합구(23)를 유출 파이프(17)에 대응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홀딩 클립(25)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도관 결합구(23)는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된 제2 결합 기하형태부(26)를 구비한다.
또한 도관 결합구(23)는 밸브 몸체(20)의 외향으로 향하는 요부(28)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된 프로파일 요소(27)를 구비한다. 도관 결합구(23)를 유출 파이프(17)에 배치시킴으로써, 프로파일 요소(27)가 요부(28) 안으로 돌출되어서, 밸브 몸체(20)의 주위 영역 또는 요부(28)의 형상 특징부(shape feature)와 맞닿게 되고, 후속하여 밸브 몸체(20)를 유출 파이프(17) 안으로 더 민다. 그 결과, 유출 파이프(17)에 대한 도관 결합구(23)의 완전한 부착이 이루어져서, 체크 밸브(19)가 즉시 개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요소(2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유동 홀더(29) 상에 배치된 핀으로 설계된다. 이 관통-유동 홀더는 예를 들어 세 개의 아암(29a)을 구비하는데, 상기 아암들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관 결합구(23)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아암(29a)들은 얇고 대략적으로 로드(rod)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바, 충분히 개방된 관통-유동 단면이 남게 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요소(27)는 도관 결합구(23)의 중앙에 배치되고, 요부(28)는 밸브 몸체(20) 중앙에 배치된다. 도관 결합구(23)는 제1 축방향 단부(30)를 구비하고, 제2 결합 기하형태부(26)는 제1 축방향 단부(30) 상에 구성된다. 제2 축방향 단부(31)는 제1 축방향 단부(30)의 반대측에 있다. 프로파일 요소(27)는 두 개의 축방향 단부들(30, 31) 사이에 배치되고, 본 예에서는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모든 부품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연결구(1)는 실질적으로 단일체로 설계될 수 있고, 체크 밸브(19)의 수용을 위하여 유출 파이프(17)는 두 개의 파이프 부재들(17a, 17b)을 구비할 수 있는바, 파이프 부재들(17a, 17b)은 서로 개별로 제작되고 삽입을 위하여 서로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밸브 몸체(20)를 에워쌀 수 있다. 또한 도관 결합구(23)의 홀딩 클립(25)은, 거친 작동에도 불구하고 높은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의 부품들은 도 3 및 도 4 와 상이한 위치에서 본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도관 결합구(23)는, 도면 평면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1 축방향 단부(30)와, 도면 평면 아래에 위치한 제2 축방향 단부(31)를 구비한다. 제2 축방향 단부(31)는 호스 라인 등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리브(rib)가 형성된 측방 표면(32)을 제공한다.
도 4 에는 도관 결합구(23)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배출 연결구(1)의 외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개시된 구조 상세사항, 3차원적 배치, 및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모든 특징들 및 장점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매우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요한 것일 수 있다.
1: 배출 연결구
2: 하우징
3: 하우징 베이스
4: 하우징 벽
5: 연결 기하형태부
6: 정지부
7: 홈
8: 밀봉 링(sealing ring)
9: 유입측 부분
10: 유출측 부분
11: 유입 파이프
12: 수집 챔버
13: 배수 채널
14: 폐쇄부
15: 밀봉 링
16: 밀봉 링
17: 유출 파이프
17a: 파이프 부재
17b: 파이프 부재
18: 외측 단부
19: 체크 밸브
20: 밸브 몸체
21: 밸브 시트
22: 제1 결합 기하형태부
23: 도관 결합구
24: 홈
25: 홀딩 클립
26: 제2 결합 기하형태부
27: 프로파일 요소
28: 요부
29: 관통-유동 홀더
29a: 아암
30: 제1 축방향 단부
31: 제2 축방향 단부
32: 측방 표면

Claims (9)

  1.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3) 및 하우징 벽(4)을 구비한 컵 형상의 하우징(2)을 포함하는 배출 연결구(1)로서,
    상기 하우징 벽(4)의 외부에는 용기 개구(container opening) 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연결 기하형태부(connecting geometry)(5)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3)를 통해서는 유입 파이프(11)가 유입측 부분(9)으로부터 유출측 부분(10)까지 안내되며, 상기 유입 파이프(11)와 하우징 벽(4) 사이에는 수집 챔버(12)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수집 챔버(12)으로부터 유출측 부분(10)까지 이어지는 배수 채널(13)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 채널(13)은 유출측 부분(10)으로부터 폐쇄가능하고,
    상기 유입 파이프(11)는 유출측 부분(10)에서 유출 파이프(17)로 천이되며, 상기 유출 파이프(17)는 외측 단부(18)에 유출측 부분(10)에 배치된 밸브 시트(valve seat)(21) 및 밸브 몸체(20)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폐쇄가능한 체크 밸브(19)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파이프(17)는 그 외측 단부(18)에 제1 결합 기하형태부(first coupling geometry)(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는 도관 결합구(conduit coupling)(23)에 상호잠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19)는 외측 단부(18) 안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 요소(profile element)(27)에 의하여 상기 밸브 시트(21)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21)에서 이격된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되는, 배출 연결구(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결합 기하형태부(22)와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된 제2 결합 기하형태부(26)를 구비한 분리된 도관 결합구(23)가 제공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27)는 상기 도관 결합구(23)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제2 결합 기하형태부(26)의 영역으로 돌출되는, 배출 연결구(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결합구(23)는 제2 결합 기하형태부(26)를 구비한 제1 축방향 단부(30)와 제2 축방향 단부(31)를 구비하고, 제1 축방향 단부(30)와 제2 축방향 단부(3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유동 홀더(through-flow holder)(29)가 배치되며, 상기 프로파일 요소(27)는 제1 축방향 단부(30)의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유동 홀더(29)로부터 연장되는, 배출 연결구(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유동 홀더(29)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arm)(29a)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27)는 상기 아암에 결합되는, 배출 연결구(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요소(27)는, 도관 결합구(23)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렇게 구성되는, 배출 연결구(1).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20)는 외부를 향하는 측부에 요부(28)를 구비하고, 상기 요부(28)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27)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배출 연결구(1).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결합구(23)는, 통합된 홀딩 클립(holding clip)(25)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로서 구성되는, 배출 연결구(1).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파이프(11)와 유출 파이프(17)는 서로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배출 연결구(1).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채널(13)은 상기 유입 파이프(11)와 유출 파이프(17)의 반경방향 외부에 배치되는, 배출 연결구(1).
KR1020227005129A 2019-07-16 2020-07-13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KR102626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9302.8 2019-07-16
DE102019119302.8A DE102019119302A1 (de) 2019-07-16 2019-07-16 Ablaufstutzen zum getrennten Auslassen von Flüssigkeiten unterschiedlicher Dichte
PCT/EP2020/069700 WO2021009093A1 (de) 2019-07-16 2020-07-13 Ablaufstutzen zum getrennten auslassen von flüssigkeiten unterschiedlicher dich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880A KR20220034880A (ko) 2022-03-18
KR102626901B1 true KR102626901B1 (ko) 2024-01-18

Family

ID=7160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129A KR102626901B1 (ko) 2019-07-16 2020-07-13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68368A1 (ko)
EP (1) EP3999369A1 (ko)
JP (1) JP7335988B2 (ko)
KR (1) KR102626901B1 (ko)
CN (1) CN114080328B (ko)
DE (1) DE102019119302A1 (ko)
WO (1) WO2021009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9885B (zh) * 2021-06-30 2023-09-29 漳州佳诚流体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单向阀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5082A (en) * 1953-04-13 1956-10-02 Allen T Cordill Tank drain plug
US3450424A (en) * 1964-12-24 1969-06-17 Wiggins Inc E B Self-locking coupling
JPS56163752U (ko) * 1980-05-08 1981-12-04
US4445551A (en) * 1981-11-09 1984-05-01 Bond Curtis J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assembly
CA1190865A (en) * 1982-02-24 1985-07-23 Michael E. Wilson Filter assembly
US4892117A (en) * 1988-11-10 1990-01-09 Aeroquip Corporation Refrigeration coupling
US4921013A (en) * 1989-08-21 1990-05-01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dapter
US5546985A (en) * 1992-09-21 1996-08-20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JPH0979401A (ja) * 1995-09-11 1997-03-25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膜構造体の気室内空気の充排気装置
EP0823577B1 (en) * 1996-08-07 2003-10-08 BorgWarner, Inc. Vent valve having multi-piece valve housing
US6296014B1 (en) * 1999-01-12 2001-10-02 Toyoda Gosei Co., Ltd. Check valve and fuel tank with check valve attached thereto
US6148849A (en) * 1999-05-07 2000-11-21 Dynamic Safety, Inc. Safety vehicular fuel system
US6422255B1 (en) * 2000-08-03 2002-07-23 Bombardier Motor Corporation Of America Multi-function valve having a movable seat and needle
KR20020022399A (ko) * 2000-09-20 2002-03-27 류정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수분자동배출 유수분리기
US6779544B2 (en) * 2001-03-02 2004-08-24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refueling shutoff valve and vent system
JP4035695B2 (ja) * 2001-04-12 2008-01-23 Smc株式会社 管継手
US6705550B2 (en) 2001-05-22 2004-03-16 Scot P. Bell Closed circuit fuel nozzle
EP1636488B1 (de) * 2003-05-22 2008-01-23 Robert Bosch Gmbh Rückschlag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hochdruckpumpe einer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4482806B2 (ja) * 2004-08-31 2010-06-16 豊田合成株式会社 流量制御バルブ
US7507131B2 (en) * 2004-11-18 2009-03-24 Schaefer Jr Louis E Fuel tank with trash and water separation/containment device
DE202008001077U1 (de) * 2008-01-24 2008-05-15 Filtertek B.V., Newcastle West Rückschlagventil, insbesondere für medizinische Anwendungen
US8105484B2 (en) * 2008-12-19 2012-01-31 Cummins Filtration Ip, Inc. Fluid storage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201795206U (zh) * 2010-07-30 2011-04-13 瑞立集团有限公司 一种液压管路中的快插接头
US20130312846A1 (en) * 2012-05-25 2013-11-28 André Sloth Eriksen Fluid connector for a cooling system
WO2013188672A1 (en) * 2012-06-15 2013-12-19 Colder Products Company Quick disconnect coupling
JP6163018B2 (ja) * 2012-09-28 2017-07-12 株式会社キッツ 逆止め弁
JP2014114622A (ja) * 2012-12-11 2014-06-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DE112013006994T5 (de) * 2013-04-24 2016-01-14 Volvo Truck Corp. Kraftstoffversorg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nd Montageverfahren für Kraftstofffilter
CN104455574A (zh) * 2013-09-22 2015-03-25 天津市金凤来仪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清洗的止回阀
DE102014114486B4 (de) * 2014-10-07 2021-01-28 Norma Germany Gmbh Ablaufstutzen
JP6393217B2 (ja) 2015-03-05 2018-09-19 株式会社ネリキ 容器バルブ、圧力検出治具、圧力検出ユニット、流体充填治具、及び流体充填ユニット
DE102016211160A1 (de) * 2016-06-22 2017-12-28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Füllkopf für einen Betriebsflüssigkeitstank mit Gas- und Flüssigkeits-Ventilkörper
DE102016112529A1 (de) * 2016-07-07 2018-01-11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für eine Fluidleitung
CN116951139A (zh) * 2016-11-22 2023-10-27 流体处理有限责任公司 隔离阀和止回阀的组合、具有集成的流速、压力和/或温度测量以及现场可配置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880A (ko) 2022-03-18
JP2022537221A (ja) 2022-08-24
DE102019119302A1 (de) 2021-01-21
WO2021009093A1 (de) 2021-01-21
CN114080328B (zh) 2024-01-30
US20220268368A1 (en) 2022-08-25
EP3999369A1 (de) 2022-05-25
CN114080328A (zh) 2022-02-22
JP7335988B2 (ja)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4216B (zh) 可加热的流体管道
CN103975186A (zh) 联接器
KR102626901B1 (ko) 상이한 밀도의 유체들의 분리 배출을 위한 배출 연결구
CZ2003661A3 (cs) Zástrčná přípojka
CN210950008U (zh) 一种带连接头的快速更换型水处理用多路阀
CN201427001Y (zh) 双向过滤器
CN201795126U (zh) 一种自动泄水阀
KR101094800B1 (ko) 드레인 밸브
KR20170048587A (ko) 배액용 연결구
CN216158300U (zh) 排水阀结构
PL207648B1 (pl) Osadnik siatkowy
RU2774490C1 (ru) Сливной патрубок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слива текучих сред разной плотности
CN208535226U (zh) 一种结构改进的龙头阀体
CN216934938U (zh) 旁通接座
CN104864123B (zh) 多通路滤芯连接座
CN217519952U (zh) 用于采暖系统的排气阀铸件
CN216200969U (zh) 一种过滤止水龙头
CN109340436A (zh) 一种电磁排污阀以及新能源车
CN219608540U (zh) 配有探针的球阀取样装置
JP6035471B2 (ja) 排水配管
CN214093130U (zh) 一种气动衬氟球阀
CN203763979U (zh) 流体过滤系统的过滤器组件、过滤器壳体和竖管
CN209100746U (zh) 一种电磁排污阀以及新能源车
CN216204248U (zh) 密封结构、排水组件和空调器
CN211421016U (zh) 一种施工路面防尘洒水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