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583B1 -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583B1
KR102534583B1 KR1020210061374A KR20210061374A KR102534583B1 KR 102534583 B1 KR102534583 B1 KR 102534583B1 KR 1020210061374 A KR1020210061374 A KR 1020210061374A KR 20210061374 A KR20210061374 A KR 20210061374A KR 102534583 B1 KR102534583 B1 KR 10253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ase
pipe
inlet pipe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865A (ko
Inventor
한병량
양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듀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듀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듀벨
Priority to KR102021006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5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몸체를 이루며, 여과대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여과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여과수단; 및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여과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상기 여과수단을 거쳐 여과유체로 되기 전에 상기 유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여과수단을 거친 여과유체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격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입관과 유출관을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하여, 후차례로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 위치를 맞추기 위해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결합이 풀려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Center-Aligned Fluid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의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유입관과 유출관이 직선으로 되어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여과되지 않은 유체가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여과장치는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해 여과유체로 유출함으로써 유체에 내포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걸러내도록 하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샤워기나 세면대 등의 생활수 유출 또는 유입부분과 연결하여 생활수에 섞여 유입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 사용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체여과장치는 내부에 여과를 위한 필터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교체하여야 하는 바, 교체를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유체여과장치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는 유체여과장치가 제안되었다.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케이스(110)를 형성하여, 중공의 원통필터(12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110a)을 형성하면서 연장방향 일단에 개구부(110c)를 형성하였으며, 상부에 유입관(111)을 구비하고 개구부(110c)의 타단에 유출관(112)을 구비하여,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공간(110a)의 원통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유출관(112)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개구부(110c)로 유체가 누수되면 안되므로, 개구부(110c)를 밀봉하는 캡(113)을 케이스(110)의 개구부(110c)가 위치하는 부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체여과장치(100)는 유입관(111)에서 유출관(112)까지 유체가 흐르는 방향이 직각되도록 위치하는데, 일반적인 세면대나 샤워기 등에서의 중간배관이나, 유출관에 설치하고자 한다면, 세면대나 샤워기 등의 유출관 또는 배관과 유체여과장치(100)의 유입관(111)을 결합하였을 때 유체여과장치(100)의 유출관(112)의 방향이 직각되므로, 유출관(112)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유입관(111)이 결합되어있는 상태로 유체여과장치(100)를 회전시켜야 할 수 있으므로, 유입관(111)의 결합이 견고하기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출관(112)에 샤워기나 호스 같은 파지형 유출관을 결합하였을 때는, 파지형 유출관을 파지한 상태로 이동할 때 유출관(112)이 딸려서 함께 이동하게 되어, 유입관(111)이 결합되어있는 상태로 유출관(112) 쪽에서 유입관(111)이 결합 또는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작용하여 유체여과장치(100) 전체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유입관(111)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외관을 보았을 때,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 유출되는 방향이 평행하지 않고 수직된 형태의 유출관(112)과 유입관(111)을 가지기 때문에 급수배관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으므로, 외형으로 느껴지는 미관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유체여과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하여 유체여과장치와 배관의 결합이 해제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하여 외형으로 느껴지는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는, 외부 몸체를 이루며, 여과대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여과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여과수단; 및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여과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상기 여과수단을 거쳐 여과유체로 되기 전에 상기 유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여과수단을 거친 여과유체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격벽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격벽수단은, 중공 원통형으로 된 상기 여과수단의 내부 공동과 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측벽; 및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유출관까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과 이어진 둘레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은 상기 유입관의 입구를 상기 배출유로와 격리시키도록, 또 상기 유출관의 출구를 상기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도록,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의 개방단 모서리가 상기 격리수단의 에 직각인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단 모서리는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수단은 상기 유입관의 입구를 상기 배출유로와 격리시키도록, 또 상기 유출관의 출구를 상기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도록,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의 개방단 모서리가 상기 격리수단의 에 직각인 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개방단 모서리는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구는 상기 유입관의 내경횡단면 중 상기 격벽수단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유출관의 내경횡단면 중 상기 격벽수단과 포개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에 따르면,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어, 유입관과 유출관을 배관과 결합할 때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회전시켜도 유입관과 유출관의 축선상 위치가 고정되므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결합할 때 유입관과 유출관 중 어느 하나를 후차례로 연결할 때 고정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어, 후차례로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 위치를 맞추기 위해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결합이 풀려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유출관에 샤워기나 호스 같은 파지형 유출관을 결합하였을 때는 파지형 유출관을 파지하고 이동하여도,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어 있어 파지형 유출관이 유출관에 회전력을 작용하지 않아 유입관을 축으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가 회전될 위험이 없으므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관의 나사가 풀려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과된 유체만 유출관만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수단을 내부에 설치하여, 유입관로 유입된 유체가 여과수단을 거치지 않아 여과되지 않고 유출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오염된 유체가 여과되지 않고 유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급수배관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므로, 급수배관이 직각되었을 때 보다 일직선으로 올곶게 뻗은 형상에서 감득되는 미관에 의해, 외형으로 느껴지는 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체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유체에 내포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걸러내도록 하고,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1)는 케이스(10), 여과수단(20), 격벽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횡축선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고 여과수단(20)과 격벽수단(30)이 수납되는 내부공간(10a)이 형성되고, 종축선 상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부에 여과되기 전의 여과대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하부에 여과된 후의 여과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12)이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유입관(11)과 유출관(12)을 배관과 결합할 때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회전시켜도 유입관(11)과 유출관(12)의 축선상 위치가 고정되므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결합할 때 유입관(11)과 유출관(12) 중 어느 하나를 후차례로 연결할 때 고정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어, 후차례로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 위치를 맞추기 위해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관(11) 또는 유출관(12)의 결합이 풀려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유출관(12)에 샤워기나 호스 같은 파지형 유출관을 결합하였을 때 파지형 유출관을 파지하고 이동하여도, 유입관(11)과 유출관(12)이 일렬로 정렬되어 있어 파지형 유출관이 유출관(12)에 회전력을 작용하지 않아 유입관(11)을 축으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가 회전될 위험이 없으므로,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관의 나사가 풀려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급수배관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므로, 급수배관이 직각되었을 때 보다 일직선으로 올곶게 뻗은 형상에서 감득되는 미관에 의해, 외형으로 느껴지는 미관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케이스(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10a)에 수납되는 여과수단(20)과 격벽수단(3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횡축선 상의 일측 단부에 내부공간(10a)의 개구부(10c)를 형성하고, 개구부(10c)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개구부(10c) 쪽 단부와 착탈 가능한 캡(13)을 구비함으로써, 캡(13)으로 케이스(10)의 개구부(10c)를 개폐하여 여과수단(20)과 격벽수단(30)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오링으로서, 케이스(10)와 캡(13)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과수단(20)은 케이스(10)의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를 여과하여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용도에 따라 침전필터나 흡착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축선 상으로 여과된 여과유체가 이동하는 공동(20a)이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개구부(10c)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케이스(10) 내부공간(10a)에 수납되어 장착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는 방향의 단부에 고정부재(21)를 공동(20a)에 끼워 내부공간(10a)에 수납하면, 고정부재(21)가 여과수단(20)의 단부가 격벽수단(30)에 가이드되므로, 내부공간(10a)으로 간편하게 수납되게 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캡(13)에도 여과수단(20)의 공동(20a)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13a)를 형성하면, 고정부재(21)와 돌출부(13a)가 여과수단(20)의 양단에서 공동(20a)에 끼워져 여과수단(20)이 수압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결합된 여과수단(20)에 의해 유입관(11)에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는 여과수단(20)의 둘레 일부분을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여과된 여과유체는 공동(20a)을 통해 이동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차단된 캡(13)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반대 방향인 격벽수단(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는 오링으로서, 고정부재(21)와 격벽수단(30) 사이에 개재되어, 여과대상유체나 여과유가가 고정부재(21)와 격벽수단(30)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수단(30)은 여과대상유체와 여과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이 구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을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하여, 여과수단(20)에 여과된 여과유체가 유입관(11)과 직각된 방향으로 이동된 뒤 유출관(12) 쪽으로 유도되도록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주면(10b)과의 사이에 배출유로(P)를 형성하면서 케이스(10)의 횡축선 상의 일단 내주면(10b)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측벽(31) 및 둘레벽(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벽(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횡축선 상의 내부면과 이격되어 배출유로(P)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여과수단(20)의 내부 공동(20a)과 통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여과유체가 공동(20a)을 통해 배출유로(P)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부재(21)가 관통공(31a)에 삽입되어 여과수단(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둘레벽(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둘레의 내주면(10b)과 이격되어 배출유로(P)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측벽(31)과 이어져 케이스(10) 둘레의 내주면(10b)과 이격되는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주면(10b)과 여과수단(20) 사이에 개재되며, 여과대상유체는 배출유로(P)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여과유체는 배출유로(P)에 유입된 후 유출관(12)을 통해서만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의 입구(11a)를 배출유로(P)와 격리시키도록, 또 유출관(12)의 출구(12a)를 내부공간(10a)과 격리시키도록, 측벽(31)과 대향하는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격벽수단(30)의 횡축선에 직각인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개방단 모서리(32a)는 내주면(10b)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개방단 모서리(32a)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의 입구(11a)와 인접한 개방단 모서리(32a)는 입구(11a)를 덮지않도록 짧게 위치하여 내주면(10b)에 밀착되고, 유출관(12)의 출구(12a)와 인접한 개방단 모서리(32a)는 출구를 모두 덮도록 길게 위치하여 내주면(10b)에 밀착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인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경사면(32b)을 형성하게 되고,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여과수단(20)을 거쳐 여과유체로 되기 전까진 여과수단(20)의 외측에서 개방단 모서리(32a)에 막혀 배출유로(P)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케이스(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여과수단(20)을 거친 여과유체는 관통공(31a)을 통해 배출유로(P)로 유입되되 유입관(11) 쪽으로 이동하여도 입구(11a) 쪽 개방단 모서리(32a)로 빠져나갈 수 없어 유출관(12)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어 역류되지 않게 되고, 여과유체가 출구(12a)에 도달했을 때 출구(12a) 쪽 개방단 모서리(32a)에서 더 이동할 수 없어 유출관(12)의 출구(12a)로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둘레벽(32)의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의 입구(11a)를 배출유로(P)와 격리시키도록, 또 유출관(12)의 출구(12a)를 내부공간(10a)과 격리시키도록, 측벽(31)과 대향하는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격벽수단(30)의 횡축선에 직각인 면 상에 형성되되, 개방단 모서리(32a)는 내주면(10b)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개방단 모서리(32a)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의 입구(11a)와 인접한 개방단 모서리(32a)는 입구(11a)가 유입관(11)의 내경횡단면 중 일부만 형성됨으로써 포개지 않도록 내주면(10b)에 밀착되고, 유출관(12)의 출구(12a)와 인접한 개방단 모서리(32a)는 출구(12a)가 유출관(12)의 내경횡단면 중 일부만 형성됨으로써 포개지 않도록 내주면(10b)에 밀착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인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횡축선에 대하여 수직면(32c)을 형성하게 되고,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여과수단(20)을 거쳐 여과유체로 되기 전까진 여과수단(20)의 외측에서 개방단 모서리(32a)에 막혀 배출유로(P)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케이스(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여과수단(20)을 거친 여과유체는 관통공(31a)을 통해 배출유로(P)로 유입되되 유입관(11) 쪽으로 이동하여도 입구(11a) 쪽 개방단 모서리(32a)로 빠져나갈 수 없어 유출관(12)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어 역류되지 않게 되고, 여과유체가 출구(12a)에 도달했을 때 출구(12a) 쪽 개방단 모서리(32a)에서 더 이동할 수 없어 유출관(12)의 출구(12a)로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91은 오링으로서, 개방단 모서리(32a)가 내주면(10b)에 밀착되어 배출유로(P)에서 여과유체가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여과대상유체가 배출유로(P)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폐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1)는 여과된 여과유체만 유출관(12)만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수단(30)을 내부에 설치하여, 유입관(11)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여과수단을 거치지 않아 여과되지 않고 유출관(12)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직각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의 위치를 일렬로 정렬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도 오염된 유체가 여과되지 않고 유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관(11)과 유출관(12)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되므로, 외형으로 느껴지는 미관을 향상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10: 케이스
11: 유입관 12: 유출관
20: 여과수단 30: 격벽수단

Claims (5)

  1. 삭제
  2. 외부 몸체를 이루며, 여과대상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여과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12)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공간(10a)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를 여과하여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여과수단(20); 및
    상기 케이스(10) 내주면(10b)과 상기 여과수단(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된 여과대상유체가 상기 여과수단(20)을 거쳐 여과유체로 되기 전에 상기 유출관(12)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여과수단(20)을 거친 여과유체가 상기 유입관(11)을 통해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격벽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격벽수단(30)은,
    중공 원통형으로 된 상기 여과수단(20)의 내부 공동(20a)과 통하도록 관통공(31a)이 형성된 측벽(31); 및
    상기 관통공(31a)으로부터 상기 유출관(12)까지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내주면(10b)과의 사이에 배출유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31)과 이어진 둘레벽(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벽수단(30)은 상기 유입관(11)의 입구(11a)를 상기 배출유로(P)와 격리시키도록, 또 상기 유출관(12)의 출구(12a)를 상기 내부공간(10a)과 격리시키도록, 상기 측벽(31)과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상기 격벽수단(30)의 횡축선에 직각인 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개방단 모서리(32a)는 상기 내주면(10b)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벽수단(30)은 상기 유입관(11)의 입구(11a)를 상기 배출유로(P)와 격리시키도록, 또 상기 유출관(12)의 출구(12a)를 상기 내부공간(10a)과 격리시키도록, 상기 측벽(31)과 대향하는 상기 둘레벽(32)의 개방단 모서리(32a)가 상기 격벽수단(30)의 횡축선에 직각인 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개방단 모서리(32a)는 상기 내주면(10b)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구(11a)는 상기 유입관(11)의 내경횡단면 중 상기 격벽수단(30)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12a)는 상기 유출관(12)의 내경횡단면 중 상기 격벽수단(30)과 포개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KR1020210061374A 2021-05-12 2021-05-12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KR10253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74A KR102534583B1 (ko) 2021-05-12 2021-05-12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74A KR102534583B1 (ko) 2021-05-12 2021-05-12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65A KR20220153865A (ko) 2022-11-21
KR102534583B1 true KR102534583B1 (ko) 2023-05-26

Family

ID=84233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374A KR102534583B1 (ko) 2021-05-12 2021-05-12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5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447Y1 (ko) 1997-08-29 1999-08-16 정몽규 연료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21A (ko) * 1992-07-16 1994-02-16 한성만 금속판 필터 장치
KR101325448B1 (ko) * 2011-08-25 2013-11-04 이영훈 개량된 필터조립체
KR101583127B1 (ko) * 2014-02-14 2016-01-07 한병량 유체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447Y1 (ko) 1997-08-29 1999-08-16 정몽규 연료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65A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2526T3 (es) Conjunto de filtro
RU2611530C2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KR960001380B1 (ko) 수도꼭지 파이프 직결 정수기
US3907688A (en) Valve for a filter
BRPI0913594B1 (pt) Disposição de filtro para a fixação de forma rosqueável, montagem de filtro e sistema
RU2010119507A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ливной трубкой,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ей с фильт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US20100307964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CN106413841A (zh) 具有端盖密封件的过滤器元件以及过滤器组件
KR20180104322A (ko) 매니폴드용 회전가능 밸브 스풀
KR102534583B1 (ko)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CN105909852B (zh) 阀帽
KR101094800B1 (ko) 드레인 밸브
ES2341479T3 (es) Dispositivo de filtracion.
CN109078378A (zh) 止水组件、滤芯装置以及净水器
KR101583127B1 (ko) 유체 필터장치
CN210206102U (zh) 过滤装置和具有其的净水机
JP6947691B2 (ja) 間接排水用継手
KR200459320Y1 (ko) 필터 카트리지 어댑터
JP2000210661A (ja) 多方弁および浄水器
CN208320111U (zh) 一种带三通功能的过滤器
CN211486808U (zh) 一种具有波纹结构的液体过滤装置
CN205350435U (zh) 一种改进型的三通阀
KR102558137B1 (ko)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한 회전결합식 정수시스템 필터헤드
JPH0233917Y2 (ko)
CN208785923U (zh) 一种止水组件、滤芯装置以及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