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447Y1 - 연료필터 - Google Patents

연료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447Y1
KR200154447Y1 KR2019970023726U KR19970023726U KR200154447Y1 KR 200154447 Y1 KR200154447 Y1 KR 200154447Y1 KR 2019970023726 U KR2019970023726 U KR 2019970023726U KR 19970023726 U KR19970023726 U KR 19970023726U KR 200154447 Y1 KR200154447 Y1 KR 200154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diaphragm
inlet
out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367U (ko
Inventor
이래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3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44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6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essure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 필터내에 두 개의 다이어프램 밸브 즉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와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를 장설하여 연료 압력 조정 및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 연료 시스템에서의 연료 공급시 연료의 맥동을 감소시켜 연료 공급의 안정화 및 연료 맥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연료 탱크내의 연료펌프로 부터 펌핑되어 기관으로 유동되는 연료유로 중간에 설치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필터 구조에 있어서,
여과지를 가로질로 유입구측과 유출구측을 구분시켜주는 격판을 기점으로 유입구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 및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와;
상기 격판을 기점으로 유출구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 및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필터
본 고안은 연료 필터내에 두 개의 다이어프램 밸브 즉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와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를 내설하여 연료 압력 조정 및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 연료 시스템에서의 연료 공급시 연료의 맥동을 감소시켜 연료 공급의 안정화 및 맥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탱크, 연료 펌프, 연료 여과기, 연료 파이프등으로 구성되어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 파이프들을 통해 연료 여과기를 거치면서 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기관이 필요로하는 연료를 인젝터를 통해 기관의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탱크로부터 연료펌프에 의해 퍼올려져 연료압송파이프를 통해 급송되는 도중 연료필터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분배파이프를 통해 인젝터로 공급된다. 그리고 분배파이프에는 압력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있어 인제터에 공급되고 남은 과압의 연료는 개방된 압력레귤레이터와 리턴파이프를 통해 연료탱크로 귀환시키게 되므로써 연료공급압력이 항상 일정압력 이하로 유지토록 하고 있다. 또한 압력레귤레이터와 연료펌프 사이에 맥동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연료펌프의 토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변동을 감소시키고 맥동소음을 감소 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나 먼지등을 제거토록 하는 것이 연료 여과기인바 이같은 연료 여과기는 통상 도 2에서와 같은 구조가 대부분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지지판이다.
종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내부에 중공형상의 여과지(11)를 채우고 상기 여과지(11) 외부로 케이스(15)가 감싸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15)의 유출구(13)측으로 연료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5) 유출구(13)측으로 여과지(1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16)이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판(16)의 중앙은 중공의 형상으로서 여과된 연료가 상기 중공을 통하여 유출구(13)쪽으로 유출된다.
한편 여과지(11) 중앙을 가로지르는 격판(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판(14)을 사이에 두고 유입구(12)측과 유출구(13)측 각각에 여과지(11) 및 격판(14)과 밀착되도록 하면서 복수개의 연료 유입공(21) 및 유출공(31)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입구측 여과지 고정부재(20) 및 유출구측 여과지 고정부재(30)가 내설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부를 연료가 유입공(21)을 거치면서 여과지(11)에서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여 유출공(31)을 통과한 후 상기 여과지(11)를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판(16)과 유출구(13)를 거쳐 연료 파이프로 유동되어 기관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공급장치에서 맥동 댐퍼 및 압력레귤레이터가 연료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연료가 연료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연료 파이프로 보내지게 될 때 일정한 압력으로 펌핑되기가 쉽지 않아 연료 맥동이 발생하기 용이하고, 상기 연료 맥동에 맥동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의 문제점을 맥동 댐퍼 및 압력레귤레이터가 전적으로 보정하기에는 많은 애로점이 있어왔다.
또한 기관의 인젝터에서 연소실에 분사를 할 경우 급작스런 압력의 강하가 이루어져 연료 맥동을 일으켜 맥동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 연료의 맥동은 연료 필터 자체내에서도 발생되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한 연료의 맥동은 연료 공급의 안정화에 커다란 장애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연료 필터내의 간단한 장치의 내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격판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여과지내에 유입구측과 유출구측 방향의 각각에 다이어프램 밸브를 형성하여 연료 필터내에서 연료의 맥동 현상을 감소시켜 종래의 압력레귤레이터 및 맥동 댐퍼에서 완전하게 해소 시키지 못하는 맥동소음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 탱크내의 연료펌프로 부터 펌핑되어 기관으로 유동되는 연료유로 중간에 설치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필터(10) 구조에 있어서,
여과지(11)를 가로질러 유입구(12)측과 유출구(13)측을 구분시켜주는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입구(12)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41) 및 압축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와;
상기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출구(13)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51) 및 압축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연료 필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
※ 도면 부호 중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연료 필터 11 : 여과지
12 : 유입구 13 : 유출구
14 : 격판 15 : 케이스
20 : 유입구측 여과지 고정부재 21 : 유입공
30 : 유출구측 여과지 고정부재 31 : 유출공
40 :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 41,51 : 격판
42,52 : 압축 스프링 50 :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연료 필터(10)내의 여과지(11) 중간을 가로지르는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와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는 격판(41)과 상기 격판(41)을 연료의 압에 따라 작동되게 하는 압축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42)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입구측 여과지 고정부재(2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도 마찬가지로 연료의 압력을 받는 격판(51)과 상기 격판(51)을 연료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52)도 역시 유출구측 여과지 고정부재(3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이 구동되면 우선 연료 탱크에 있는 연료를 연료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연료 파이프를 통해 연료 필터(10)의 유입구(12)측으로 유동되게 된다. 상기 유입구(12)측으로 유동된 연료는 연료펌프내에서 맥동현상이 일어나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지 못한 연료는 여과지(11)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 격판(14)을 기점으로하여 유입구측 여과지 고정부재(20)내에 설치된 격판(41)과 압축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에 의해 상기 연료의 압력이 조정되게 된다.
즉 유입구(12)측으로 들어온 연료의 압력이 상기 압축 스프링(42)의 탄성력 보다 강할 경우 연료는 유입 다이아프램 밸브(40)의 격판(41)을 밀어 압축 스프링(42)을 압축하게 되어 유입유로의 연료 압력을 낮춰 유입공(21)을 통해 여과지(11)로 유동시켜 유출구측 여과지 고정부재(30)내의 유출공(31)을 통해 유출구(13)로 유동된 연료는 연료파이프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유입구(12)측으로 들어온 연료의 압력이 비교적 약하여 압축스프링(42)의 탄성력보다 약할 경우 상기 압축 스프링(42)이 격판(41)을 밀어내면서 상기 유입유로내의 연료의 압력을 상승시켜 유입공(21)을 통해 여과지(11)로 유동시키므로써 연료필터(10)내 유입구(12)측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며 유동경로는 상기와 같다.
한편 상기 유입구(12)측으로 유동되어 여과지(11)를 통해 유출구(13)측으로 이동되는 연료는 연료 파이프를 통해 기관의 인젝터로 유동되어 분사가 되는데, 상기 인젝터에서 연료가 분사될시 급작스런 분사에 의해 연료필터내 유출구측의 연료는 압력강하를 일으키는 현상을 보이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필터(10)내의 유출구(13)측 연료의 압력이 강하 된다.
이에따라 상기 여과지(11) 중앙을 가로지르는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출구측 여과지고정부재(30)내에 장착된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의 압축스프링(52)의 탄성력이 유출구(13)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커져 격판(51)을 밀어내게 되어 연료를 압축함으로써 유출구(13)내 연료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유입구측 연료의 압력과 같게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젝터에 의해 연료가 분사되고 다음 분사시까지 연료 파이프내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는바, 이와같은 경우에도 유출구(13)내의 연료의 압력은 점차 상승하여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의 격판을 밀게 되어 압축스프링(52)이 압축되면서 상기 유입구(13)측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연료 필터(10)를 통하여 연료펌프로 부터 유동되는 연료나 상기 연료 필터(10)를 통과하여 연료 파이프를 통해 인젝터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은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연료 필터(10)내로 유동되는 연료의 압력과 연료 필터(10)를 지나 연료 파이프를 통해 인젝터로 이어지면서 분사되는 연료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상기 연료 필터(10)내의 압축스프링(42)(52) 및 격판(41)(51)으로 이루어진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와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의 구성에 의해 연료 공급 압력을 항상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연료의 안정된 공급화로 인한 연료 맥동을 없앰으로써 맥동 소음을 방지 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하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료 탱크내의 연료펌프로 부터 펌핑되어 기관으로 유동되는 연료유로 중간에 설치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필터(10) 구조에 있어서,
    여과지(11)를 가로질로 유입구(12)측과 유출구(13)측을 구분시켜주는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입구(12)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41) 및 압축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 유입 다이어프램 밸브(40)와;
    상기 유입구(12)측 및 유출구(13)측을 구분하는 격판(14)을 기점으로 유출구(13)측 방향에 형성되는 격판(51) 및 압축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 유출 다이어프램 밸브(50)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터.
KR2019970023726U 1997-08-29 1997-08-29 연료필터 KR200154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726U KR200154447Y1 (ko) 1997-08-29 1997-08-29 연료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726U KR200154447Y1 (ko) 1997-08-29 1997-08-29 연료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67U KR19990010367U (ko) 1999-03-15
KR200154447Y1 true KR200154447Y1 (ko) 1999-08-16

Family

ID=1950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726U KR200154447Y1 (ko) 1997-08-29 1997-08-29 연료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65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듀벨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32396A1 (en) * 2000-02-03 2001-08-14 Sang-Yong Woo An auto music stand
AU2002217585A1 (en) * 2000-12-21 2002-07-01 Nam Su Jung Apparatus for turning pages of boo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65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듀벨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KR102534583B1 (ko) 2021-05-12 2023-05-26 주식회사 듀벨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67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959A (ko) 연료 공급장치
US5673670A (en) Returnless fuel delivery system
US6223725B1 (en) High-pressure fuel supply assembly
JP4083015B2 (ja) 戻し導管内の圧力を調節される燃料噴射システム
JP5367821B2 (ja) 改良燃料圧力調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改良燃料圧力調整器
JP4803269B2 (ja) 脈動低減装置
JP5316655B2 (ja) 流体圧力調整装置および燃料供給装置
KR970062312A (ko) 연료공급장치
US4633901A (en) Pressure regulator
US6155235A (en) Pressure pulsation damper with integrated hot soak pressure control valve
JPH05157015A (ja) 燃料装置
US6601565B2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system
KR200154447Y1 (ko) 연료필터
JP2008190527A (ja) 加圧燃料供給装置
CN111648894A (zh) 压力控制装置
JP3884252B2 (ja) 高圧燃料供給装置用電磁弁
JP4584942B2 (ja) 高圧ポンプ用の燃料調整及び濾過装置
JPH08334078A (ja) 流体圧力調整器
US5890518A (en) Throttle device for a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3355699B2 (ja) 蓄圧容器
JPH09195872A (ja) 燃料供給装置
KR100440015B1 (ko) 맥동 댐퍼 기능을 가진 연료 분배관
US4559968A (en) Pressure control valve
JPH11270725A (ja) 調圧弁
JPH0942502A (ja) 調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