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656B1 -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656B1
KR101137656B1 KR1020100016372A KR20100016372A KR101137656B1 KR 101137656 B1 KR101137656 B1 KR 101137656B1 KR 1020100016372 A KR1020100016372 A KR 1020100016372A KR 20100016372 A KR20100016372 A KR 20100016372A KR 101137656 B1 KR101137656 B1 KR 10113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hot water
flow path
suppl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868A (ko
Inventor
이태희
박병탁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6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급수모듈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바디와,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WATER SUPP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을 순간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정수기는 물의 이물질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거하여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식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급수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급하는 정수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정수 공급 기능이외에, 정수를 냉각하여 공급하는 냉수공급기능 및/또는 정수를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기능이 더 구비고 있다.
상기 온수공급기능이 구비된 정수기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온수공급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는, 공급될 온수를 온수탱크에 저장하고, 온수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가열부를 주기적(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온수 급수 초기에는 온수탱크에서 유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온수 급수 초기에 상대적으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 초기에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급수 초기에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로의 물과 동시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전열판; 및 상기 전열판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급수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발열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열판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내부에 상기 절연부재 및 전열판이 수용되게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일 측 하부에는 상기 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로의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유로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온수탱크를 감싸는 온수탱크단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바디의 외부를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구비한 순간가열부; 및 상기 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로의 물과 동시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전열판; 및 상기 전열판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탱크에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바디 및 온수탱크를 각각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은 상기 순간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상기 순간가열부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급수 시 순간 가열을 통해 온수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온수 보관시 온수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반적인 전력 소비를 저감하여 에너지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물공급부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급수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급수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급수모듈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의 급수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급수모듈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제빙기의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의 급수모듈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정수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는, 급수공간(s)이 형성된 정수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s)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온수 및/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급수공간(s)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은 상기 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크기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온수가 급수되는 온수급수구(115)와, 냉수가 급수되는 냉수급수구(1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의 내부에는 온수 및 냉수의 급수 신호를 입력하는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의 배후에는 상기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에 의해 동작하는 온수스위치(미도시) 및 냉수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는 컵 등의 급수용기에 의해 가압시 상기 온수스위치 및 냉수스위치가 동작되어 온수 및 냉수의 급수신호가 입력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의 상측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복수의 조작버튼(1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물공급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30)는, 급수될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수공급부(140)와,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130)는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부(130)가 정수공급부(140), 온수공급부(180) 및 냉수공급부(160)를 구비하게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공급부(140)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141)와, 상기 정수탱크(141)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필터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141)의 입구에는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공급부(160)는,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161)와, 상기 냉수탱크(161)의 내부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163)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부(163)가 상기 냉수탱크(161)의 둘레에 코일 형상으로 권회되는 냉각코일(증발기)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냉수탱크(161)의 유출측에는 냉수유로를 개폐하는 냉수밸브(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161)는 연결관(147)에 의해 상기 정수탱크(141)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161)는 상기 정수탱크(1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정수탱크(141)의 물(정수)이 중력에 의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16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공급부(180)는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19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온수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보관하기 위한 전력 소비를 배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수기 전체의 기간별(예를 들면 월간, 연간 등)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193)가 형성된 바디(191) 및 상기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193)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급수모듈(19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콤팩트(compact)한 구성이 가능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유로(193)는 상기 바디(191)의 일 측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는 상기 유로(193)의 물이 유로(193)로 유입되는 유입구(195)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91)의 타측에는 상기 유로(193)의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19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입구(195)는 상기 바디(191)의 일 측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97)는 상기 바디(19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197)에는 온수를 상기 온수급수구(115)로 안내하는 온수공급유로(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95)에는 상기 정수탱크(141)의 물이 공급될 수 있게 연결관(148)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정수탱크(141)의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연결관(148)을 통해 상기 급수모듈(19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48)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149)(이하, '온수밸브(149)'라고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는 상기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하게 가열부(201)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201)는 상기 유로(193)의 개방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과 상기 가열부(201)가 동시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물의 가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부(201)는, 상기 바디(191)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전열판(203)과, 상기 전열판(203)을 가열하는 발열체(20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판(203)은 열전도성부재로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 대응되는 크기로 얇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판(203)은 스테인레스(stainless)부재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판(203)과 상기 바디(19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게 실링부재(20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열판(203)의 일 측에는 발열체(205)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205)는 상기 전열판(203)의 물과 접촉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205)와 상기 전열판(203) 사이에는 상기 발열체(205)와 상기 전열판(203)이 서로 절연될 수 있게 절연체 또는 절연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205)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예를 들면 니크롬선 등의 전기 저항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205)의 양 단부에는 전원과 연결될 수 있게 전극단자(20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205)의 일 측에는 상기 발열체(205)의 절연을 위한 절연판(2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215)은 절연재질로 사각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215)에는 상기 전극단자(206)가 노출될 수 있게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2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215), 상기 전열판(203) 및 상기 바디(191)는 체결부재(219)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19)는 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215) 및 전열판(203)에는 상기 체결부재(219)가 삽입될 수 있게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217)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에는 상기 체결부재(219)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19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는 상기 가열부(201) 및 상기 바디(191)의 일 영역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2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21)에는 상기 발열체(205)의 전극단자(206)를 전원과 연결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21)에는 상기 발열체(205)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보호장치(2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작버튼(129) 및/또는 온수레버(117)에 의해 온수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열부(201)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음, 상기 온수밸브(149)가 개방되면 상기 정수탱크(141)의 물이 상기 연결관(148)을 통해 상기 바디(19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93)로 유입된다.
상기 유로(193)로 유입된 물은 유로(193)를 따라 이동되고, 이때 발열체(205)에 의해 가열된 전열판(203)과 물이 서로 접촉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유로(193)의 물은 유로(19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열판(203)에 의해 계속적으로 온도가 상승된 후 상기 유출구(197)를 통해 유출된다. 유출된 온수는 온수공급유로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온수급수구(115)를 통해 컵 등의 급수 용기로 낙하된다.
[2]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는, 급수공간(s)이 형성된 정수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s)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급수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에는 온수 및 냉수가 공급되는 온수급수구(115) 및 냉수급수구(12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공간(s)에는 온수 및 냉수를 공급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복수의 조작버튼(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물공급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30)는 정수공급부(140), 냉수공급부(160) 및 온수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공급부(180)는 내부의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하는 급수모듈(19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은, 내부에 유로(193)가 형성된 바디(191) 및 상기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93)는 상기 바디(191)의 일 측이 개방되게 상기 바디(191)의 일 측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01)는, 상기 바디(191)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전열판(203)과, 상기 전열판(203)을 가열하는 발열체(20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판(203)과 상기 발열체(205) 사이에는 절연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20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부재(211)의 대향측(외측)에는 절연판(2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발열체(205)는 양 측이 절연재질로 감싸여 누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에는 내부에 상기 가열부(201) 및 상기 바디(191)의 일 영역이 수용될 수 있게 케이스(221)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모듈(190)은 상기 바디(191)를 감싸는 단열부재(24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240)는 상기 바디(191)를 감싸 단열시킨다는 점에서 '바디단열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디(191)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40)는 상기 바디(191) 및 케이스(22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40)는 서로 대면 결합되는 제1단열부재(240a) 및 제2단열부재(24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40)에는 상기 유입구(195) 및 유출구(197)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인출부(24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241)는 상기 단열부재(2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240)에는 상기 보호장치(225) 및 상기 발열체(205)의 전극단자(206)가 외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게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24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201)를 제어할 수 있게 제어부(25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1)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바디(191)의 유로(193)에 존재하는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상기 가열부(20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191)의 내부의 물의 온도는 최종 급수되는 온수의 온도에 비해 적절히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수의 급수 온도가 85℃일 때, 상기 바디(191)의 내부의 물의 온도는 40 내지 50℃정도로 유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것에 비해 온수의 가열 시간이 단축되므로 사용자의 급수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정수를 가열할 때 초기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에는 상기 유로(193)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255)는 상기 제어부(251)로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상기 제어부(2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온도감지부(255)에 의해 상기 바디(191)의 유로(193)의 물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되도록 한다. 상기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가열부(201)가 발열되게 제어하여 상기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240)는 상기 가열부(201)에 의해 상승된 상기 유로(193)의 물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온수 급수시 온수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소비되는 상기 가열부(201)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레버(117) 및/또는 조작버튼(129)에 의해 온수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가열부(20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온수밸브(149)를 제어하여 상기 유입구(195)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141)의 물이 상기 급수모듈(19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의 유입구(195)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유로(193)를 따라 유동하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유로(193)의 내부의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므로 온수 급수 초기에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3]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는, 급수공간(s)이 형성된 정수기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공간(s)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에는 온수급수구(115) 및 냉수급수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공간(s)에는 온수 및 냉수의 급수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온수레버(117) 및 냉수레버(12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물공급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공급부(140)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160) 및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공급부(180)는 내부의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하는 급수모듈(19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은, 내부에 유로(193)가 형성된 바디(191) 및 상기 유로(193)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191)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93)는 상기 바디(191)의 일 측이 개방되게 상기 바디(191)의 일 측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01)는, 상기 바디(191)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는 전열판(203)과, 상기 전열판(203)을 가열하는 발열체(20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판(203)과 상기 발열체(205) 사이에는 절연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11)의 외측에는 절연판(2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91)에는 내부에 상기 가열부(201) 및 상기 바디(191)의 일 영역이 수용될 수 있게 케이스(2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90)은 상기 바디(191)의 외부를 감싸는 단열부재(24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수모듈(190)은 상기 바디(191)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온수탱크(27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급수모듈(190)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물(온수)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급수 초기의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수 급수 신호 입력 후 온수의 급수시까지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71)에는 내부의 온수를 상기 급수모듈(190)에 제공하는 온수공급관(2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공급관(281)에는 온수유로를 개폐하는 온수밸브(1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71)에는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온수탱크(271)가열부(2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가열부(275)는 상기 온수탱크(271)의 외면에 구비되거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71)가열부(275)는 상기 온수탱크(271)의 외면에 코일 형상으로 권회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71)에는 상기 온수탱크(271)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탱크온도감지부(2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271)의 외부에는 상기 온수탱크(271)를 감싸는 온수탱크단열부재(28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온수탱크가열부(275)의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급수모듈(190)은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제어부(2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온수탱크(271) 내부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온수탱크가열부(27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51)에는 상기 온수탱크온도감지부(277)와, 상기 온수탱크가열부(275)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1)에는 상기 온수밸브(149)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온수탱크온도감지부(277)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이 감지되면,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의 온도가 상승되게 상기 온수탱크가열부(27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의 온도는 소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레버(117) 및/또는 조작버튼(129)에 의해 온수 공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51)는 상기 급수모듈(190)의 가열부(201)가 동작되게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온수공급관이 개방되게 상기 온수밸브(149)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271)의 내부의 물(온수)가 상기 급수모듈(190)로 공급된다.
상기 급수모듈(190)로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모듈(190)의 유로(193)를 따라 유동하면서 전열판(203)과 접촉되어 온도가 상승된다. 이에 의해, 급수 개시 초기에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온수 급수 신호 입력후 온수 급수시까지 급수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110 : 본체 115 : 온수급수구
117 : 온수레버 125 : 냉수급수구
127 : 냉수레버 130 : 물공급부
140 : 정수공급부 160 : 냉수공급부
180 : 온수공급부 190 : 급수모듈
191 : 바디 193 : 유로
195 : 유입구 197 : 유출구
201 : 가열부 203 : 전열판
205 : 발열체 221 : 케이스

Claims (19)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로의 물과 동시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전열판; 및 상기 전열판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급수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발열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열판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절연부재 및 전열판이 수용되게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 측 하부에는 상기 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유로의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를 감싸는 온수탱크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9.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를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
  12. 제1항의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13.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 상기 바디의 일 측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구비한 순간가열부; 및
    상기 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바디의 일측 판면에 두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측을 차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로의 물과 동시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전열판; 및 상기 전열판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에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
  15. 삭제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온수탱크를 각각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급수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의 물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게 상기 순간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
  19. 제13항의 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KR1020100016372A 2010-02-23 2010-02-23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13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72A KR101137656B1 (ko) 2010-02-23 2010-02-23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72A KR101137656B1 (ko) 2010-02-23 2010-02-23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68A KR20110096868A (ko) 2011-08-31
KR101137656B1 true KR101137656B1 (ko) 2012-04-20

Family

ID=4493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372A KR101137656B1 (ko) 2010-02-23 2010-02-23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63B1 (ko) * 2014-06-19 2016-04-26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온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14A (ko) * 2014-06-26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WO2015199382A1 (en) * 2014-06-26 2015-12-3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KR101725621B1 (ko) 2015-03-19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03873B1 (ko) 2015-08-21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00B1 (ko) 2016-07-0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042575B1 (ko) * 2017-02-17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5330B1 (ko) 2017-03-17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86305B1 (ko) * 2017-12-22 2019-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63223B1 (ko) * 2018-01-31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80Y1 (ko) * 2001-12-14 2002-03-23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온도 유지를 위한 냉, 온정수기의 열 차단장치
KR20040082360A (ko) * 2004-09-01 2004-09-24 이선희 정수기의 다온도 가열장치.
KR100775599B1 (ko) * 2006-06-07 2007-11-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간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온수기
KR20090086016A (ko) * 2008-02-05 2009-08-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발열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발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80Y1 (ko) * 2001-12-14 2002-03-23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온도 유지를 위한 냉, 온정수기의 열 차단장치
KR20040082360A (ko) * 2004-09-01 2004-09-24 이선희 정수기의 다온도 가열장치.
KR100775599B1 (ko) * 2006-06-07 2007-11-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간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온수기
KR20090086016A (ko) * 2008-02-05 2009-08-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발열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발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63B1 (ko) * 2014-06-19 2016-04-26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온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68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56B1 (ko)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6322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0793446B2 (en) Water purifier
CN210721167U (zh) 加热器保护系统及温控设备
CN107223290A (zh) 用于供电单元的温度控制的温度控制装置
US20110259203A1 (en) High Efficiency Multipath Heat Exchanger for Coffee Maker
KR101668703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059879B1 (ko) 히터 및 온수공급장치
US11359825B2 (en) Energy storage device, method for storing and supplying energy using the same
US20200333044A1 (en) Instant electrode water heater
RU2011105070A (ru) Встрое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я с теплов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JP2007309094A (ja) 温水洗浄装置
US20110259201A1 (en) High Efficiency Heating Assembly Shut-Off Feature and Plate Heater Assemby for Coffee Maker
KR102409775B1 (ko) 제빙기
KR100631339B1 (ko) 전기순간온수기
KR200195151Y1 (ko) 온수기
KR20050004927A (ko) 냉장고 디스펜서의 물공급장치
KR102141530B1 (ko) 강제순환 방식의 휴대형 온수매트 어셈블리
KR100889456B1 (ko) 이중 가열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 공급장치
KR20200031371A (ko) 직수 공급형 온수 냉장고
CN210095483U (zh) 一种便携式冷热饮机
KR101348179B1 (ko) 온도조절관을 갖는 냉온수관
KR101137649B1 (ko)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N105774623A (zh) 车载杯托组件及汽车
KR20140073413A (ko) 온수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