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73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733A
KR20180065733A KR1020160166955A KR20160166955A KR20180065733A KR 20180065733 A KR20180065733 A KR 20180065733A KR 1020160166955 A KR1020160166955 A KR 1020160166955A KR 20160166955 A KR20160166955 A KR 20160166955A KR 20180065733 A KR20180065733 A KR 2018006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dual water
plant
residual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271B1 (ko
Inventor
유수찬
김명상
전종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의 공급이 가능한 정수기본체, 상기 정수기본체에 설치되어 잔수를 집수하는 물받이 트레이, 상기 정수기본체에 설치되어 내부에 식물 재배공간을 가지는 식물재배기 및 상기 물받이 트레이에 집수된 잔수를 상기 식물재배기로 공급하는 잔수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F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버려지는 잔수와 정수기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식물재배에 사용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정수된 물은 정수기의 전방에 마련된 취출코크에 의해 외부로 취출된다.
일반적으로, 취출코크의 하부에는 물받이 트레이(tray)가 배치되어 취출코크에 의해 취출되는 정수 중 사용자가 받아내지 못한 잔수를 수용한다.
종래의 정수기(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으로 외관이 형성된 본체(20)와,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탱크(30)와, 케이싱(21)의 전방에 구비된 취출코크(40)와, 케이싱(21)의 전방에서 취출코크(40)의 하부에 배치된 물받이 트레이(50)를 포함한다.
케이싱(21)의 후방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a)가 형성되고, 케이싱(21)의 양측면에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공기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본체(20)의 내부에는 공랭식 냉각시스템이 구성되도록, 압축기(23)와, 응축기(25)와, 방열팬(27)과, 팬 모터(29)가 구비되고, 냉수탱크(30)의 내부에는 증발기(31)가 구비되며, 응축기(25)와 증발기(31) 사이에는 드라이어(33)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10)는 취출코크(40)의 하부에 배치된 물받이 트레이(50)에 잔수가 가득 채워질때마다 일일이 버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받이 트레이(50)에 채워진 잔수를 버리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잔수에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어 위생상 좋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물받이 트레이(50)에 채워진 잔수를 달리 재활용할 수 있는 구조가 따로 없기 때문에 물을 비롯한 환경 에너지 측면에서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려지는 잔수와 정수기의 폐열을 재활용하여 식물재배에 사용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정수기본체에 설치되어 잔수를 집수하는 물받이 트레이와, 물받이 트레이에 집수된 잔수를 상기 식물재배기로 공급하는 잔수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수 공급유닛은 식물재배기 내부의 식물에 물을 분사하고, 남은 잔수를 응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재배기는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잔수를 사용하여 식물재배기에 물을 공급하므로, 버려지는 잔수를 생산적으로 사용하고, 묻받이 트레이에 집수된 물을 버릴 필요가 없는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면, 식물재배기가 필용한 양을 초과하는 잔수의 경우, 응축기로 유입 및 접촉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물받이 트레이로 모이는 잔수를 이용하여 정수기 냉각시스템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물받이 트레이의 오염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서 식물재배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므로,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기본체(110)와, 정수기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탱크(120)와, 정수기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된 취출코크(130)와, 정수기본체(110)의 전방에서 취출코크(130)의 하부에 배치된 물받이 트레이(140)와, 식물재배기(200)와 잔수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정수기본체(110)는 공급된 물을 여과하고 공급한다. 물론, 정수기본체(110)는 공급된 물을 정수하고,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급한다.
정수기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1)과, 정수유닛과 냉각가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1)은 내부공간 정수에 내각, 가열을 위한 각종 기계장비가 위치되는 공간이다.
케이싱(111)의 내부에는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필터(125)와, 정수필터(125)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탱크(120)가 구비된다. 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취출코크(130)에 의해 정수기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정수필터(125)와, 냉수탱크(120)를 정수유닛으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본체(110)는, 자연정수방식의 저수식 또는 직수식일 수 있으며, 자연정수방식의 저수식일 경우에는 원수의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원수 중에 존재하는 입자 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세디먼트 필터)와 또는 세라믹필터와 염소성분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실버카본과 바이오미네랄샌드+제오라이트(향균샌드)+규토(silica sand) 등으로 정수필터(125)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직수식일 경우에는 수도관 등에 직접 연결된 원수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통에 저수되어 유압을 이용하여 차례로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또는 세라믹 필터, 실버카본, 바이오 미네랄샌드, 제오라이트, 규토의 5단계로 구성된 정수필터(125)를 거치며 정화되고, 취출코크(1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한편, 정수기본체(110)의 외부에는 물받이 트레이(140)가 안착된다. 물받이 트레이(140)는 취출코크(130)의 직하방에 배치된다. 물받이 트레이(140)는 정수기본체(110)에 설치되어 잔수를 집수한다.
냉각가열유닛은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113)와, 압축기(113)로부터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냉매액으로 변화시키도록 압축기(1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관(114)에 의해 압축기(113)에 연결된 응축기(115)와, 응축기(115) 내에 흐르는 냉매를 액화시키도록 응축기(115)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기(115)의 주위로 공기를 불어주는 방열팬(117)과, 방열팬(117)에 연결되어 방열팬(117)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팬 모터(119)를 포함한다. 냉각가열유닛은 케이싱(1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케이싱(111)의 후방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케이싱(111)의 양측면에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공기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120)의 내부에는 증발기(121)가 구비되며, 응축기(115)와 증발기(121) 사이에는 액냉매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드라이어(dryer)(123)가 구비된다. 또한, 드라이어(123)에서 증발기(121)에 이르는 냉매관(114)은 모세관으로 마련되어 팽창밸브의 역할을 대신한다.
이러한 압축기(113), 응축기(115), 방열팬(117), 팬 모터(119), 증발기(121) 및 이들을 연결하는 냉매관(114)은 정수기본체(110)의 내부에서 공랭식 냉각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들 중 응축기(115)는 공랭식 냉각시스템에서 발열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서 응축기(115)에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식혀주지 못할 경우에는 냉각시스템의 냉각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식물재배기(200)는 정수기본체(1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식물 재배공간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식물재배기(200)는 정수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정수기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서, 정수기본체(110)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재배기(200)는 정수기본체(1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며, 내부의 식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식물재배기(2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10), 케이스(210)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드로워(220) 및 드로워(220)에 배치되고,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전방에 출입구(211)를 가지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이다.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정수기본체(110)가 지지된다.
드로워(220)는 케이스(210)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된다. 드로워(220)는 케이스(210)에 레일 등에 의해 슬라이딩 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로워(220)에는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판(230)이 구비된다. 재배판(230)은 다층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재배판(230)에는 재배판(230)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홀(230a)들이 형성된다.
드로워(220)에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판(230)이 배치되면, 사용자가 재재한 식물을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잔수 공급유닛은 물받이 트레이(140)에 집수된 잔수를 식물재배기(200)로 공급하여서 잔수를 재활용 한다. 또한, 잔수 공급유닛은 식물재배기(200)로 공급되고 남은 잔수를 정수기본체(110)의 남는 에너지를 활용하여 증발시킨다.
잔수 공급유닛은 물받이 트레이(140)에 연결되어 잔수를 순환시키는 펌프(245)와, 펌프(245)에 연결되어 식물재배기(200)로 이어지는 순환관과, 순환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식물재배기(200)의 상단에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246)과, 물받이 트레이(140)와 펌프(245)를 연결하는 유입관(153, 241)과, 유입관(153, 241)에 배치되어 물받이 트레이(140)에서 유입된 잔수를 정수하는 잔수필터(243)를 포함한다.
잔수 공급유닛은 유입관(153, 241)에 배치되어 잔수를 저장하는 잔수 저장부(244)와, 유입관(153, 241)에 배치되어 잔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개폐밸브(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153, 241)은 물받이 트레이(140)와 펌프(245)를 연결한다. 물받이 트레이(140)와 펌프(245) 사이의 유입관(153, 241)에는 개폐밸브(242), 잔수필터(243), 잔수 저장부(244)가 배치된다. 유입관(153, 241)은 물받이 트레이(140)에 집수된 잔수를 잔수 공급유닛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유입관(153, 241)은 자중에 의해 물받이 트레이(140)에 저장된 잔수가 유입되도록 물받이 트레이(140)와 연결된다. 유입관(153, 241)은 물받이 트레이(140)의 바닥을 관통하여 물받이 트레이(140)와 연결된다.
유입관(153, 241)은 정수기본체(110)의 내부공간(112)에 배치되는 제1 유입관(153)과, 식물재배기(200)의 케이스(21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는 제2 유입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관(153)은 물받이 트레이(140)에서 저장된 잔수를 응축기(115)의 열을 이용하여 증발시키도록 잔수를 안내한다. 제2 유입관(241)은 제1 유입관(153)에서 배출된 잔수를 펌프(245)로 안내한다. 제2 유입관(241)에는 개폐밸브(242), 잔수필터(243), 잔수 저장부(244) 및 펌프(245)가 배치된다. 제1 유입관(153)과 잔수를 증발시키는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버려지는 잔수는 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펌프(245), 노즐(246)에 공급되는 경우,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잔수필터(243)에서 정수되고, 정수된 잔수는 잔수 저장부(244)에 저장된다.
잔수 저장부(244)에 저당된 잔수는 펌프(245)로 공급되어, 펌프(245)에서 가압되어 순환관으로 공급되고, 순환관으로 공급된 잔수는 노즐(246)을 통해 식물재배기(200)의 내부로 물이 분사된다.
여기서, 노즐(246)은 재배판(230)의 상부에 배치되어서, 재배판(230)의 상부 전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잔수 공급유닛은 감지부(249)와, 제어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49)는 잔수 저장부(244)에 구비되어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251)는 감지부(24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잔수 저장부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 개폐밸브(242)가 닫히도록 개폐밸브(242)를 제어한다. 제어부(251)는 감지부(24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 개폐밸브(242)가 열리도록 개폐밸브(242)를 제어한다.
개폐밸브(242), 잔수필터(243), 잔수 저장부(244), 펌프(245)는 식물재배기(200)의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잔수 공급유닛 중 물받이 트레이(140)에 저장된 잔수를 증발시키는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잔수 공급유닛은 물받이 트레이(140)에서 유입된 잔수를 응축기(115)와 접촉시켜 증발시키는 증발 트레이(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 트레이(151)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증발 트레이(151)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의 물과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유입관(153, 241)은 증발 트레이(15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증발 트레이(151)는 제1 유입관(153)에 의해 물받이 트레이(140)와 연결되고, 제2 유입관(241)에 의해 펌프(245)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유입관(241)은 증발 트레이(151)의 바닥과 연결되어서, 증발 트레이(151)에 저장된 잔수의 자중에 의해 물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 유입관(241)은 증발 트레이(151)에서 펌프(245) 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수를 응축기(115)로 유입 및 접촉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물받이 트레이(140)로 모이는 잔수를 이용하여 정수기 냉각시스템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재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냉각시스템의 냉각효율이 향상되어 환경 에너지 측면에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증발 트레이(151)로 유입되는 잔수는 응축기(115)에 접촉되어 응축기(115)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하게 되고, 증발 트레이(151)의 잔수는 증발되면서 응축기(115)의 열을 빼앗아 가게 된다. 응축기(115)(상세하게는 냉매관)는 적어도 일부가 증발 트레이(15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응축기(115)의 적어도 일부는 증발 트레이(151)에 저장된 잔수와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1 유입관(153)을 통한 잔수의 흐름은 물받이 트레이(140)에 저수되는 잔수의 수위와 증발 트레이(151)에 저수되는 잔수의 수위 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유입관(153)을 통한 잔수의 흐름이 물받이 트레이(140)와 증발 트레이(151)에 각각 채워지는 잔수의 수위차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제1 유입관(153)은 굳이 경사도를 갖도록 마련될 필요는 없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유입관(153)이 물받이 트레이(140)에서 증발 트레이(151)를 향해 점점 낮아지는 구배를 갖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물받이 트레이(140)와 증발 트레이(151) 간의 수위차에 의해 잔수가 시시때때로 응축기(115)로 유입, 접촉 및 증발됨으로써 잔수를 일일이 버릴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고, 물받이 트레이(140)에 고이는 잔수의 양이 최소화되어 위생상 청결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증발 트레이(151)와 제1 유입관(15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유입관(153)에는 잔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밸브(15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입관(153)에는 단속밸브(155)가 구비되어 증발 트레이(151)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 물받이 트레이(140)로부터 증발 트레이(151)로 잔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식물재배기(200)에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의 폐열이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구성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2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식물재배기(200)는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공급받는다. 이때, 압축기(113)는 정수기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기(115)는 정수기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압축기(113)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한다.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의 폐열을 식물재배기(200)의 내부공간(S)으로 전달하는 직접 전도 방식, 대류식, 냉매를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나, 비용과 효율 면에서 공기의 대류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폐열을 식물재배기(200)로 공급하는 구조는 온풍공급관(261)과, 조절밸브(262)를 포함할 수 있다.
온풍공급관(261)은 정수기본체(110)의 내부공간(112)과 식물재배기(200)의 내부공간(S)를 연결하고, 공기가 유동된다. 온풍공급관(261)은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에 의해 가열된 정수기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식물재배기(200)의 내부로 전달한다. 온풍공급관(261)은 일단은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밸브(262)는 온풍공급관(261)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로, 온도센서(254)와, 제어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254)는 식물재배기(20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251)는 온도센서(254)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밸브(262)를 제어한다.
제어부(251)는 온도센서(254)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조절밸브(262)를 폐쇄하고,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조절밸브(262)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구성은 제어부(251), 감지부(249), 온도센서(254), 개폐밸브(242) 및 조절밸브(2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기에 제어에 필요한 기준 값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3)는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되는 잔수의 만수위 또는 식물재배기(200) 내부의 설정온도를 비롯한 제어부(251)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어부(251)에 전달한다.
감지부(24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 저장부(244)에 구비되어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251)는 감지부(24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 개폐밸브(242)가 닫히도록 개폐밸브(242)를 제어한다. 제어부(251)는 감지부(24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닐 경우 개폐밸브(242)가 열리도록 개폐밸브(242)를 제어한다.
제어부(251)는 온도센서(254)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조절밸브(262)를 폐쇄하고,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조절밸브(262)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1)에 의한 개폐밸브(242)의 제어는 정수기(100)의 각 구성요소들(예컨대, 입력부(253), 저장부(170), 감지부(249) 및 제어부(251)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잔수 공급유닛이 단속밸브(155)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249)와 제어부(251)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감지부(249)가 수위 부표로 이뤄진 기계식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입력부(253), 저장부(170) 및 제어부(251)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되는 잔수의 만수위를 입력부(253)를 통해 입력한다(S10). 제어부(251)는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달하여 보관한다.
다음에, 감지부(249)는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되는 잔수의 수위를 감지하여(S20) 이를 제어부(251)에 전달하고, 제어부(251)는 감지부(249)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만수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개폐밸브가 닫힘으로써 물받이 트레이(140)로부터 잔수 저장부(244)로 더 이상 잔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부(251)는 개폐밸브(242)를 제어한다(S40).
만수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는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아직 만수위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의미하므로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20)로 되돌아가 잔수 저장부(244)에 저수되는 잔수의 수위를 계속 감지한다.
식물재배기(200)의 내부의 설정온도를 입력부(253)를 통해 입력한다(S50). 제어부(251)는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달하여 보관한다.
온도센서(254)는 식물재배기(2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서(S60) 이를 제어부(251)에 전달하고, 제어부(251)는 온도센서(254)의 측정온도에 기초하여 식물재배기(200)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
설정온도 이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에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절밸브(262)가 열림으로써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온풍공급관(261)을 통해 식물재배기(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폐밸브(242)가 제어된다(S80).
설정온도 이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에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절밸브(262)가 닫힘으로써 압축기(113) 또는 응축기(11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온풍공급관(261)을 통해 식물재배기(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개폐밸브(242)가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정수기본체 110: 케이싱
140: 물받이 트레이 151: 증발 트레이
200: 식물재배기 210: 케이스
220: 드로워 230: 재배판

Claims (12)

  1. 물을 여과하여 정수의 공급이 가능한 정수기본체;
    상기 정수기본체에 설치되어 잔수를 집수하는 물받이 트레이;
    상기 정수기본체에 설치되어 내부에 식물 재배공간을 가지는 식물재배기; 및
    상기 물받이 트레이에 집수된 잔수를 상기 식물재배기로 공급하는 잔수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공급유닛은,
    상기 물받이 트레이에 연결되어 잔수를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재배기로 이어지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재배기의 상단에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공급유닛은,
    상기 물받이 트레이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배치되어 상기 물받이 트레이에서 유입된 잔수를 정수하는 잔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수 공급유닛은,
    상기 물받이 트레이에서 유입된 잔수를 상기 응축기와 접촉시켜 증발시키는 증발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증발 트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잔수 공급유닛은,
    상기 유입관에 배치되어 잔수를 저장하는 잔수 저장부와,
    상기 유입관에 배치되어 잔수의 흐름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저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잔수 저장부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잔수 저정부에 저수된 잔수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 상기 개폐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기는 상기 정수기본체 하부에 배치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정수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재배기는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공급받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식물재배기의 내부를 연결하고, 공기가 유동되는 온풍공급관과,
    상기 온풍공급관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기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에 배치되고,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상기 정수기본체가 지지되는 정수기.
KR1020160166955A 2016-12-08 2016-12-08 정수기 KR10264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55A KR102648271B1 (ko) 2016-12-08 2016-12-0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55A KR102648271B1 (ko) 2016-12-08 2016-12-0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733A true KR20180065733A (ko) 2018-06-18
KR102648271B1 KR102648271B1 (ko) 2024-03-14

Family

ID=6276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955A KR102648271B1 (ko) 2016-12-08 2016-12-0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793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US11974530B2 (en) 2022-05-06 2024-05-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ydration system for an indoor garden cen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774U (ja) * 2002-09-13 2003-03-28 シミ・ジャー工業株式会社 植物灌水用浄水器
KR20100129990A (ko) * 2009-06-02 2010-12-10 고상순 식물재배 가능한 정수기
KR20110057558A (ko)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23379A (ko) * 2010-09-03 2012-03-13 임정일 채소 재배 겸용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774B2 (ja) 1994-03-16 2000-09-25 ホシデン株式会社 速結タイプ陰極線管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774U (ja) * 2002-09-13 2003-03-28 シミ・ジャー工業株式会社 植物灌水用浄水器
KR20100129990A (ko) * 2009-06-02 2010-12-10 고상순 식물재배 가능한 정수기
KR20110057558A (ko) * 2009-11-24 2011-06-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23379A (ko) * 2010-09-03 2012-03-13 임정일 채소 재배 겸용 정수기
KR101133921B1 (ko) * 2010-09-03 2012-04-13 지 천 최 채소 재배 겸용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793A (ko) * 2020-02-03 2021-08-11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US11974530B2 (en) 2022-05-06 2024-05-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ydration system for an indoor garden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271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ko) 물분배기
JP2825477B2 (ja) 冷温浄水器
CN107631365B (zh) 改进的空调单元
JP2009537714A (ja) 多目的の断熱的な飲用水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20180065733A (ko) 정수기
JP3364576B2 (ja) 除加湿装置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KR10138961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753205B1 (ko) 콤팩트형 위생안전 냉온수기
KR20140031065A (ko) 에어컨 응축수를 재활용한 정수장치
CN103170374A (zh) 用于对气候箱的可用空间进行清洁的方法
KR100491542B1 (ko) 제습 공조장치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20130109434A (ko) 절전형 직수식 냉온정수기
KR100986823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1007068B1 (ko) 냉수통의 가열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수기
KR100684114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제거구조
KR20010075845A (ko) 가정용 실내공기 조절장치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0293767B1 (ko) 음용수및음용차제공장치
KR102238415B1 (ko) 배선카
EP4443080A1 (en) Cleaning and discharging pipe for free-standing ice maker
KR200367329Y1 (ko) 냉온수 공급기
KR20120134809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