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634A -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634A
KR20120058634A KR1020100073998A KR20100073998A KR20120058634A KR 20120058634 A KR20120058634 A KR 20120058634A KR 1020100073998 A KR1020100073998 A KR 1020100073998A KR 20100073998 A KR20100073998 A KR 20100073998A KR 20120058634 A KR20120058634 A KR 2012005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purifier
reservoi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0007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634A/ko
Publication of KR2012005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02F2209/445Filter lif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구성물의 수직배열 및 수평배열을 통해 별도의 연결구조를 생략하고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여 콤팩트하게 제조하였으며, 팬 소음을 줄이면서 팬의 공기 흡입 효율성을 높이고, 간적 냉각 방식에서 직접 냉각 방식을 도입하여 냉각 효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미세필터의 사용으로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고, 공기를 통해 물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을 직접 공급하거나 상수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HYBRID COMPACT WATER PURIFIER USING AI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물의 수직배열 및 수평배열을 통해 별도의 연결구조를 생략하고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여 콤팩트하게 제조하였으며, 팬 소음을 줄이면서 팬의 공기 흡입 효율성을 높이고, 간적 냉각 방식에서 직접 냉각 방식을 도입하여 냉각 효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미세필터의 사용으로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고, 공기를 통해 물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을 직접 공급하거나 상수도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수증기의 형태로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습도로 표시하고, 주로 주어진 온도에서 완전한 포화상태의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의 양과 주어진 공기 내의 같은 온도에서의 수분의 양을 비교하여 퍼센트(%)로 표시하는 상대습도를 사용한다.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체를 만나면 응축되어 물로 생성되는데, 이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체와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지면 수분에 대하여 포화상태로 변화하고 포화된 수분이 응축되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습도가 높을 경우, 인체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에 종래에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각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기에 응축되며,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습기를 떠나기 전에 응축기를 통과하여 따뜻해진 다음 공기 중으로 다시 배출된다. 이렇게 증발기에 응축된 물이 냉각되는 경우, 증발기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응축된 물을 낙하시켜 집수하게 된다.
한편, 산업화가 크게 진전됨에 따라 하천을 끼고 발달한 공업지구의 각종폐수와 생활하수로 인하여 현재의 물리화학적 정수시설로는 필요한 생활용수의 정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단순한 여과장치나 염소처리로 제거되지 아니하는 중금속 또는 화학물질은 그대로 생활용수로 공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물속에 녹아있는 물질들의 양을 말하는 TDS(Total Dissolved Material) 수치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물론 이 TDS 수치에 나타난 물질은 몸에 해로운 것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 수돗물의 TDS 수치는 약 70~300 정도이고, 유럽 일부 지역의 수돗물은 500, 일부 중동지역은 5,000에 이른다는 점을 볼 때, TDS 수치가 높을수록 몸에 해로운 물질이 많이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DS 수치를 낮추게 되면 이론적으로 물속에 남아있는 성분을 없애주기 때무에 물의 오염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각종 정수기가 시판되고 있으며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들은 TDS 수치를 1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정수된 1리터의 물을 얻기 위해 4리터의 물을 버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비롯한 거의 대부분 정수기의 가격이 고가임은 물론, 원하는 수준으로 정수가 될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으며, 그 기능이 의심스러운 각종 정수기가 난립하고 있어, 최근에는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여야 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으나, 생수 자체도 비위생적으로 생산되고 저장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공기 중의 수분은 깨끗하고 순수하다는 점을 착안하여 종래의 제습기의 기능을 응용하여 집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생성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물 생성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으로 음용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써, 기존의 제습기 구조와 정수기 구조를 단순 조합함으로써 제습기에서 생성된 응결수를 정수처리하여 음용수로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종래의 물 생성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152006호인 "대기수분을 이용한 물생성장치"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응축기를 포함한 제습기 구조에 수조 및 여과필터를 포함한 정수수단을 단순조합시켜 물을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킬 때 각종 이물질이 혼입되며, 증발기는 일반적으로 동파이프로 제작되므로 증발기에 응결된 수분을 식수로 직접 사용한다는 것은 증금속 등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생성된 물이 음용수로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증발기에 수분이 응결되되 대체로 0℃ 이하가 되기 때문에 결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빙이 해빙되는 제상(除霜)이 이루어져야 비로소 물이 흘러내려 집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증발기의 파이프가 수평상으로 형성되고 거기에 알루미늄 핀이 조밀하게 부여됨으로써 제상(除霜)이 지연되어 히터나 온풍기 등 별도의 가열수단을 인위적으로 가동시켜야 되므로써 장치가 복작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에너지가낭비되며, 낙수 및 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등록된 출원번호 10-2003-72445(명칭 : 이중 식수생성장치)에서 수직으로 형성하고, 원통형의 코일 형상으로 제작한 증발기를 포함한 식수생성장치를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공기를 유입시켜 물을 생성하는 식수생성장치에서 물의 생성량은 극히 적었으며, 온도 및 습도가 낮을 때는 공기 속의 수분이 적어 원하는 양의 물이 생성될 때까지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사용량이 적은 야간 시간대에는 정수된 물이 정체되어 있어 미생물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필터를 포함한 정수기 전체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어 오염된 물을 음용하게 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한편, 종래의 에어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정수기 내부의 구성물들을 수직배열하였으며, 수직배열과 상기 수직배열간 구성물들의 별도의 연결구조로 인하여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배열함으로써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따라 정수기의 사이즈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집수조를 에바코일 하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시키고, 흡입된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저수조와 일반저수조로 구성되었던 것을 하나의 저수조로 구성하는 등 구성물들의 수직배열과 수평배열 통해 전체적으로 상하공간을 확보하여 구성물들의 공간 활용성을 높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흡입하는 팬을 BLDC직류모터를 사용하는 팬으로 교체함으로써 팬의 공기 흡입 능력을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팬의 RPM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팬의 교체에 따라 에어필터로 인한 부하발생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에어필터의 면적을 증대시키고, 미세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능을 겸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냉각팬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냉각 효율성을 증대시킨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를 간접 냉각 방식이 아닌 직접 냉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냉각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위감지센서를 개선하여 오작동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중의 수분을 통해 물을 생성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을 공급받거나 상수도와 연결하여 필터링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 내부의 물을 일정시간마다 순환하도록 구성하여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의 기능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는, BLDC모터를 사용한 팬을 사용하여 팬의 효율을 높였으며, 팬의 공기 흡입 라인을 일측에서 타측 수평방향으로 진행되던 것을 일측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수평수직방향으로 전환하였다.
또한,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냉각팬을 더 구비하였으며, 에어필터의 면적을 크게 하고, 공기청정기능도 겸할 수 이도록 미세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에어필터의 일측면에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 및 습도감지센서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에바코일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집수조를 구성하고,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펌프를 위치시켰다.
한편, 저수조에는 상부의 물이 하부로 유입되도록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분리판을 통해 하단부와 상단부로 구성하였으며, 하단부에는 냉각 코일을 직접 내설하였다.
또한, 가격절감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센서의 구조를 도체와 상기 도체와 연결된 수위감지부의 구조로 간소화시켰다.
또한, 일정시간마다 정수기 내부의 물이 순환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전단부에 구비된 제어패널을 통해 현재 온도, 현재습도, 순환상태, 저수조의 물의 수위, 물의 온도, 필터링 상태 및 필터 교환주기, 누수감지표시, 에러표시 상태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에어 정수기 기능 이외에 정수된 물을 직접공급하거나 상수도와 연결하여 필터링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세 가지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이 간소화되어 콤팩트하고, 팬 소음이 줄어들었으며, 온도 및 습도의 상태에 따라 팬의 RPM을 조절할 수 있어 부하를 방지하고 전력사용효율을 높였으며, 간접 냉각 방식에서 직접 냉각 방식으로 변환하여 냉각효율이 향상되었고, 에바코일을 통과한 뜨거운 공기를 측면이 아닌 상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출효율을 높였으며, 펌프를 집수조의 바로 하부에 위치시켜 펌핑 효과를 증대시키고, 상수도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채택 및 제어패널을 통해 현재 온도, 현재습도, 순환상태, 저수조의 물의 수위, 물의 온도, 필터링 상태 및 필터 교환주기, 누수감지표시, 에러표시 상태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으며, 미세필터의 사용으로 공기정화능력을 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정수기의 변천사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물순환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수조의 분해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패널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BLDC 직류모터를 사용하는 팬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되는 공기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후단 상부에 위치한 에어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가 냉각된 에바코일과 접촉하면서 응축되고, 응축된 물이 하부에 위치한 집수조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팬은 상기 에바코일의 후단에 위치되며, 흡인한 공기를 상부로 배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후단 측면(상기 에어필터의 측면)에 위치한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에 의해 RPM이 조절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온도와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적은 공기로부터도 많은 물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RPM을 낮춰 동작시키며, 온도와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많은 공기를 유입시켜 물을 생성해야 하므로 RPM을 높여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미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공기 정화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는 항상 일정한 RPM으로 동작하던 종래의 AC교류모터를 BLDC직류모터로 교체함으로써 해결하였으며, 또한, 효율이 좋은 상기 BLDC직류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에어필터의 사용 두께 및 면적의 효용 범위도 넓어져 미세필터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종래에는 AC용 교류모터 자체의 효율이 낮아 공기를 필터링하는 상기 에어필터를 소정 두께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미세한 필터로 구성할 경우 공기 흡입 능력이 현격하게 저하되면서, 부하가 발생하여 기기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이를 BLDC 직류모터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 상기 에바코일, 상기 팬, 상기 집수조의 구성은 상기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저수조의 후면에 밀착시켜 위치시키며, 상기 에바코일의 하부에 슬라이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집수조의 상부 측면에 슬라이딩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결합함으로써 밀착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AC교류모터를 사용하는 팬과 에바코일 및 에어필터의 설치를 위해서 정수기 내부에 하나(한층)의 공간을 별도로 구성해야했는데, 이는 모터를 통해 배기되는 바람이 에어필터를 통해 AC교류모터의 후단부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물을 함께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필터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팬의 상부로 상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뜨거운 공기는 상승한다는 자연법칙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팬의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상기 팬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케이스에도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의 배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에바코일을 통해 응축된 물을 집수조로 집수하기 위하여 상기 에바코일과 상기 집수조 간에 별도의 물 공급관을 구비하여 물을 집수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공급관 및 이로 인한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집수조를 상기 에바코일 바로 하부에 위치된 슬라이딩홈에 삽입체결함으로써 콤팩트하게 구성하였다.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물은 상기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하부에 위치한 펌프에 의해 복수 개의 정수필터를 거쳐 저수조로 이송된다.
상기 정수필터로는 침전필터, 선카본필터, 멤브레인필터, 후카본필터, TCR필터 및 UV살균필터와 같은 정수를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필터를 사용한다.
상기 저수조는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팬의 전단에 밀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는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는 분리판이 설치되는데,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설치된 단턱에 결합수단 등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리판에는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분리판에 형성된 홀을 통해 하부로 유입되며,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는 냉각코일이 내설되어 상기 저수조 하부의 물을 직접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찬 물은 밑으로 가라앉는 성질과 분리판에 의해 상기 저수조 상하부의 물은 서로 섞이지 않게 되며, 상기 저수조의 하부 냉각 부위에는 스티로폼 등의 보온매체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저수조와 냉각저수조를 별도로 구성하고 냉각저수조의 외주면에 냉각코일을 권선시키고 스티로폼과 같은 보온매체로 감싸 간접 냉각하던 방식과는 다른 것으로, 저수조 하부에 위치된 냉각코일로 직접 냉각할 수 있어 냉각효율을 높였다.
즉, 종래에는 간접 냉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냉각시간이 20~25분 소요되던 것이 본 발명에서는 직접 냉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냉각시간이 5~6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냉각저수조의 경우 재질을 스테인리스로 구성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저수조의 일측면에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위감지부의 상부에 센서와 연결된 도체가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도체에서 이를 감지하여 센서로 전달되어 상기 저수조 내부의 물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수위감지센서와는 차별화된 것으로써, 종래에는 몸체 내부에 진공유리관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단 외주면에 소정 간격 상하로 이동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위감지센서와 몸체 사이에 슬러지가 발생하여 오작동 현상이 발생하거나, 내부가 진공유리관으로 되어 있어 보존 및 관리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가격이 높고, 먹는 물속에 슬러지가 발생하여 오염되는 문제 등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별도의 개폐부를 구성하지 않았으며,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덮개 자체에 상기 상부덮개 결합시 상기 저수조의 상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밀폐부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에는 온도 및 습도가 매우 낮아 공기 중으로부터 물 생성량이 적을시에 정수된 물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수공급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정수공급부는 개폐뚜껑을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정수통이 결합되도록 형상 및 크기는 이에 대응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공급부 이외에도 상수도와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직결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수도직결식의 경우 상기 다수 개의 필터를 거쳐 상기 저수조로 필터링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공기로부터 물을 생성하거나, 상기 정수공급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거나, 수도와 연결하여 필터링된 물을 공급받는 방식은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상부, 즉, 상기 팬의 배기구 일측에는 상기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더 구비되어, 콤팩트 정수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는 야간 시간대와 같이 물을 자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이 정체되어 미생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주기적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순환 주기는 적어도 3시간 마다 한 번씩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환경에 따라 순환 주기는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순환 구조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물이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집수조로 유입되며, 다시 집수조의 물은 저수조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집수조의 바로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집수조의 물이 상기 펌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펌핑효율을 상승시킨 것으로, 종래에는 상기 펌프를 상기 집수조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집수조의 물이 만수가되지 않으면 에어 등이 흡입되어 오작동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정수부, 저수조, 집수조, 필터 부분 등을 수직으로 배열하고, 각 부분의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관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 배열함으로써 상하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직배열과 수평배열을 함께 사용함은 물론, 상하 배열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상하 공간을 확보하였으며, 이는 상하좌우 공간을 최대한 활용한 점 및 상기 팬의 구성과 집수조의 슬라이딩 방식, 냉수조와 저수조를 일체로 제작한 방식에서 본 발명의 특징인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의 전단부에 LCD 또는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제어패널을 구비하였다.
상기 제어패널에는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게 되며, 일례로, 물생성에 적합치 않은 온도 및 습도일 경우에는 "Lo"로 표시된다.
또한, 물의 생성량을 점등 상태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저수조 및 집수조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수위 레벨을 감지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수위감지센서의 이상시 에러 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물이 순환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아이콘 형태의 순환표시부를 구비하였으며, 필터링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UV필터의 경우 9000시간 경과후 살균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교체 시기를 알려주도록 점등되는 녹색(정상)에서 빨간색(이상)으로 점등되는 LED로 구성하였다.
냉수의 경우 냉수의 온도를 3단계로 조절하여 남녀노소를 구별없이 모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제어패널을 통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방식에 따라 공기를 통한 물의 생성량이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누수감지기능을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외부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이상, 냉수온도센서 이상 및 팬 이상과 같은 다양한 에러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하였다.

Claims (4)

  1. 정수기의 후방 상부에 위치된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내측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에바코일;
    상기 에바코일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내측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에어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정수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BLDC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팬;
    상기 에바코일의 하부에 다이렉트로 결합되어 상기 에바코일을 통해 형성된 물이 직접 떨어져 집수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거나 상기 집수조로 저장된 물을 공급하며,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기의 내측으로 전방 상부에 위치되는 저수조;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물을 정수필터 및 UV필터를 통해 상기 저수조로 이송시키며,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집수조로 이송시켜 순환시키는 펌프;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및 습도감지센서; 및
    상기 정수기의 전단 상부에 구비되어 현재온도, 현재습도, 물의 순환상태, 저수조의 물의 수위, 물의 온도, 필터링 상태 및 필터 교환주기, 누수감지표시, 에러표시 상태들을 나타내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며,
    개폐밸브가 구비된 수도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정수기의 상부에는 상기 정수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정수기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조와 연통된 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상기 단턱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분리판이 결합되며, 상기 분리판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내부로 냉각코일이 결합되고 외부로 보온매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저수조의 일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각각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부; 및
    상기 수위감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센서와 연결된 도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상부에는,
    상기 정수기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냉각팬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KR1020100073998A 2010-07-30 2010-07-30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KR20120058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98A KR20120058634A (ko) 2010-07-30 2010-07-30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98A KR20120058634A (ko) 2010-07-30 2010-07-30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634A true KR20120058634A (ko) 2012-06-08

Family

ID=4661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998A KR20120058634A (ko) 2010-07-30 2010-07-30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8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718A (zh) * 2016-06-15 2016-09-07 张萍 一种新型空气制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718A (zh) * 2016-06-15 2016-09-07 张萍 一种新型空气制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2999B (zh) 一种可优化调节空气质量并具有直饮水功能的设备
JP4457151B2 (ja) 循環式飲料水生成装置
CN201742903U (zh) 用于从空气中生成苏打水的装置
CN105036432A (zh) 多功能台面式净水机
WO20081087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over extended range of ambient temperatures
CN101664270B (zh) 多功能饮水机
CN103790209B (zh) 一种以空气为原料制备饮水的装置
CN205690557U (zh) 室内空气处理一体机
KR100557239B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CN106592695A (zh) 一种太阳能空气制水净化器
CN104234130A (zh) 一种制水机及其智能控制方法
WO2005039735A1 (en)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CN1648359A (zh) 一种从空气中提取饮用水的方法及装置
CN206538813U (zh) 一种太阳能空气制水净化器
CN104234131B (zh) 一种空气制水机过滤系统及其过滤提醒方法
KR20120058634A (ko)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CN201564281U (zh) 多功能饮水机
KR100753205B1 (ko) 콤팩트형 위생안전 냉온수기
CN206495265U (zh) 一种空气取水机
CN201831681U (zh) 空气制水饮水机
KR20150068173A (ko) 정수기
CN216569559U (zh) 一种饮水机连接结构
KR101041608B1 (ko) 폐열을 이용한 절전형 음수기
CN201334687Y (zh) 大气净化制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