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94Y1 -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94Y1
KR0139294Y1 KR2019960013164U KR19960013164U KR0139294Y1 KR 0139294 Y1 KR0139294 Y1 KR 0139294Y1 KR 2019960013164 U KR2019960013164 U KR 2019960013164U KR 19960013164 U KR19960013164 U KR 19960013164U KR 0139294 Y1 KR0139294 Y1 KR 0139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hot water
filt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453U (ko
Inventor
장병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94Y1/ko
Priority to JP9122600A priority patent/JPH1043736A/ja
Priority to CN97111454A priority patent/CN1171471A/zh
Publication of KR970063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9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는, 제품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넬과, 상기 하부판넬에 냉온정수기내의 부품에서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200)가 다수개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판넬(15)의 바닥면에 그 바닥면보다 더 낮게 형성된 요홈부(15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냉온정수기의 하부판넬에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여 그 상면에 설치된 부품에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냉온정수기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온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냉온정수기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냉온정수기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여과수단과 가압펌프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종래의 냉온정수기에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냉온정수기를 상면 및 후면을 분해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냉온정수기의 전면을 분해한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여과수단과 가압펌프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3 : 측면판넬
15 : 하부판넬 30 : 정수저장통
60 : 온수통 70 : 냉수통
110 : 여과수단 120 : 가압펌프
200 : 누수감지센서 210 : 감지부재
220 : 감지선 230 : 지지부재
본 고안은 수도물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유해 물질을 제거시키는 역삼투압 방식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수단과 온수 및 냉수통으로 부터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물이 부품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는 수도전으로 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정수를 행하여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온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역삼투압식 냉온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을 분리 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 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본체(10)가 전면판넬(11), 후면판넬(12), 측면판넬(13), 톱커버(14), 하부판넬(15)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조립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면판넬(11)의 중간 높이에는 후술하는 취수밸브로 부터 낙하되는 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집수된 잔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수시키는 물받이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 내의 소정 높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일정 면적의 공간(E)(F)을 형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칸막이부재(20)(21)가 설치되고,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후방측에 일정 면적의 공간(G)을 형성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3칸막이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면적의 공간(H)(I)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전측면 소정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제4칸막이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공간(E)에는 상기 제1칸막이부재(20)를 매개로 그 상면에 일정 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통(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11)에 제품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F)에는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부면에 대하여 그 일측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50)와, 그 타측에 상기 압축기(50)로 부터 압축된 냉매를 받아 응축하는 응축기(60)와, 그 중간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60)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응축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G)에는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이면 소정 높이에 제1 및 제2필터고정브라켓(80)(81)을 매개로 교체 가능케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 일측에 가압펌프(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꺼기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침전필터(91)와, 상기 침전필터(91)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전처리필터(92)와, 상기 전처리필터(92)에서 상기 가압펌프(1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와, 상기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로 부터 동시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후처리필터(95)와, 상기 후처리필터(95)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저장통(30)에 공급되도록 제2필터고정브라켓(81)을 매개로 설치된 살균필터(96)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침전필터(91), 전처리필터(92),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 후처리필터(95), 살균필터(96) 및 가압펌프(1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연결호스(9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98)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H)에는 상기 정수저장통(30)에서 저류 저장된 정수를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일정 용량으로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4칸막이부재(23)의 상면에 온수통(110)과 냉수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정수관(3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상기 정수저장통(30)의 바닥면 일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온수통(110)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정수관(32)는 그 상단이 상기 정수저장통(30)의 바닥면 타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냉수통(120)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온수통(110)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내부에 저류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부재(11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냉수통(120)의 외주측에는 액냉매를 받아 냉수통(120)의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12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 내의 온수 및 냉수를 각각 배출시키도록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상부에 설치된 물배출관(112)(122)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판넬(1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I)에는 제품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에 메인 PCB(150;Main Printed Circuit Boar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에서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도록 누수감지센서(160)가 그 지지부재(161)에 의해 체결부재(121)를 매개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온정수기는 본체(10)의 정면 상단측에 콘트롤박스(40)에 배열된 기능 및 선택버튼(도시안됨)을 조작하여 가압펌프(100)을 가동시키면, 수도전(도시안됨)의 수압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물)와 가압펌프(10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 된다.
즉,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9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꺼기등의 부유 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9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92)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92)를 거친 후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95)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95)를 거친 후 살균필터(96)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저장통(30)에 공급하여 주게 된다.
이 때, 정수저장통(30)으로 저장된 정수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온수 및 냉수통(110)(120)으로 공급된다. 즉, 제1정수관(31)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온수통(110)의 바닥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 용량까지 계속 공급되고, 제2정수관(32)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냉수통(12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 용량까지 계속 공급되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이 만수위가 되어 더 이상 정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비로소 정수저장통(30)에 정수가 저장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30)의 일측에 장착된 수위센서(도시안됨)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일정 용량으로 저장되면 가압펌프(10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110)에 설치된 히터부재(111)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111)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면서 온수통(11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압축기(50)가 가동되면, 이 압축기(50)의 압축 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스가 응축기(60)에 공급되고, 이 응축기(6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가스는 냉각수단(70)의 가동에 의한 송풍바람에 의해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응축기(60)룰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 냉매가스는 냉온정수기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 냉매가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냉매가스는 냉수통(12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냉각코일(121)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에 따라 냉수통(120) 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 및 냉수통(110)(120) 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컵등의 용기(도시안됨)에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컵등의 용기를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에 설치된 취수레버(부호도시안됨)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밀어주면 취수레버가 후방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힘에 의해 취수밸브(130)(131)의 통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 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는 각각 물배출관(112)(122)와 각각 결합된 취수밸브(130)(131)의 안내를 받아 컵등의 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냉온정수기의 하부판넬(15)의 후방측 한곳에만 상기 누수감지센서(160)가 설치되어 있어 제품의 전방측에 설치된 여과수단(90)등에서 누수된 물과 제품이 전방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누수된 물은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이 전후 및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제품에서 누수된 물을 감지하여 하부판넬의 상면에 설치된 부품에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는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제품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넬과, 상기 하부판넬에 냉온정수기내의 부품에서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다수개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판넬의 바닥면에 그 바닥면보다 더 낮게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그 본체(10)가 전면판넬(11), 후면판넬(12), 측면판넬(13), 톱커버(14), 하부판넬(15)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조립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면판넬(11)의 중간 높이에는 취수밸브(16)로 부터 낙하되는 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집수된 잔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수시키는 물받이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 내의 소정 높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일정 면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칸막이부재(20)(2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전방측에 일정 면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3칸막이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의 상면에는 일정 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통(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11)에는 제품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하부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부면에 대하여 그 일측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후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통(30)에서 저류 저장된 정수를 도시되지 않은 정수관을 통하여 각각 일정 용량으로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에 온수통(60)과 냉수통(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 및 냉수통(60)(70)의 후측에는 상기 압축기(50)로 부터 압축된 냉매를 받아 응축하는 응축기(80)가 상기 측면판넬(13)에 결착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 및 냉수통(60)(70)과 응축기(80)의 중간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80)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응축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전면 소정 높이에는 필터고정브라켓(100)을 매개로 교체 가능케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여과수단(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수단(110) 하부에는 가압펌프(1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여과수단(110)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꺼기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00)을 매개로 설치된 침전필터(111)와, 상기 침전필터(111)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00)을 매개로 설치된 전처리필터(112)와, 상기 전처리필터(112)에서 상기 가압펌프(12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00)을 매개로 설치된 멤브레인필터(113)와, 상기 멤브레인필터(113)로 부터 동시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00)을 매개로 설치된 후처리필터(114)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침전필터(111), 전처리필터(112), 멤브레인필터(113), 후처리필터(114) 및 가압펌프(12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연결호스(11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필터(113)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11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수저장통(30)내에는 상기 후처리필터(114)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되어 상기 연결호스(116)에 통해 상기 정수저장통(30)에 공급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일정시간마다 온작동되어 살균하도록 그 커버부재(31)를 매개로 자외선살균등(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수저장통(30)의 일측에는 저장되는 정수의 일정 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가압펌프(120)에 정지신호를 주는 플로트스위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호스(116)의 일측에는 수도전(도시안됨)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차가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단수차단밸브(1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농축수관(117)의 일측에는 상기 여과수단(110)의 멤브레인필터(113)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될 때 그 농축수량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는 농축수조절밸브(160)가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서 도면부호 200은 제품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누수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부판넬(15)상에 복수개의 구비된 누수감지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누수감지센서(200)은 상기 하부판넬(15)에 형성된 요홈부(15a)에 다수개 설치된 감지부재(210)와, 상기 감지부재(210)의 일측에 상기 요홈부(15a)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가압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연결된 감지선(220)과, 상기 감지부재(21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면에 체결부재(121)에 의해 결착된 지지부재(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누수감지센서(200)는 상기 하부판넬(15)상에 +자형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분포배열되어 있고, 상기 누수감지센서(200)는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면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넬(15)에는 제품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한곳으로 집중되어 모이도록 상면높이보다 낮은 +'자형의 요홈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정면 상단측에 콘트롤박스(40)에 배열된 기능 및 선택버튼(도시안됨)을 조작하여 가압펌프(120)을 가동시키면, 수도전(도시안됨)의 수압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물)와 가압펌프(12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11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 된다.
즉,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11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꺼기등의 부유 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11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112)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112)를 거친 후 멤브레인필터(113)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멤브레인필터(113)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114)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114)를 거친 후 연결호스(116)를 통해 정수저장통(30)에 공급되고, 정수저장통(30)의 커버부재(31)를 매개로 결착된 자외선살균등(130)은 일정시간마다 온작동되어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게 된다.
이 때, 정수저장통(30)으로 저장된 정수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정수관(도시안됨)을 통하여 각각 온수 및 냉수통(60)(70)으로 공급된다. 즉, 정수관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각각 온수 및 냉수통(60)(70)의 바닥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 용량까지 계속 공급되고, 이들 온수 및 냉수통(60)(70)이 만수위가 되어 더 이상 정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비로소 정수저장통(30)에 정수가 저장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30)의 일측에 장착된 플로트스위치(14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일정 용량까지 저장되면 가압펌프(12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60)에 설치된 히터부재(도시안됨)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면서 온수통(6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압축기(50)가 가동되면, 이 압축기(50)의 압축 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스가 응축기(80)에 공급되고, 이 응축기(8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가스는 냉각수단(90)의 가동에 의한 송풍바람에 의해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응축기(8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 냉매가스는 냉온정수기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 냉매가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 냉매가스는 냉수통(7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냉각코일(도시안됨)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에 따라 냉수통(70)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온수 및 냉수통(60)(70) 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사용자는 컵등의 용기(도시안됨)에 취수밸브(16)를 통해 취수하여 마시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냉온정수기는 상기 복수개의 여과수단(110)과 온수 및 냉수통(60)(70)에서 소량 누수될 경우 그 물이 하부판넬(15)의 요홈부(15a)에 모이게 되고, 이 모인 물은 상기 요홈부(15a)에 다수개 설치된 누수감지센서(200)의 감지부재(210)에 감지되어 감지부재(210)의 감지선(211)과 연결된 가압펌프(120)에 정지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냉온정수기의 작동이 멈추게 되어 하부판넬(15)에 설치된 부품의 침수를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의하면, 제품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누수되는 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부판넬상에 복수개의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판넬에 설치된 부품에 누수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냉온정수기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품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넬과, 상기 하부판넬에 냉온정수기내의 부품에서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200)가 다수개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판넬(15)의 바닥면에 그 바닥면보다 더 낮게 형성된 요홈부(15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5a)는 상기 하부판넬(15)의 바닥면상에 상기 누수감지센서(200)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십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 장치.
KR2019960013164U 1996-05-25 1996-05-25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0139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164U KR0139294Y1 (ko) 1996-05-25 1996-05-25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JP9122600A JPH1043736A (ja) 1996-05-25 1997-05-13 配水器
CN97111454A CN1171471A (zh) 1996-05-25 1997-05-25 水分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164U KR0139294Y1 (ko) 1996-05-25 1996-05-25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453U KR970063453U (ko) 1997-12-11
KR0139294Y1 true KR0139294Y1 (ko) 1999-05-15

Family

ID=1945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164U KR0139294Y1 (ko) 1996-05-25 1996-05-25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43736A (ko)
KR (1) KR0139294Y1 (ko)
CN (1) CN11714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38B1 (ko) * 2011-07-08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4711A1 (de) 2014-11-12 2016-05-19 Alfred Kärcher Gmbh & Co. Kg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CN106151653B (zh) * 2016-08-29 2018-05-15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净水机漏水截流保护装置
JP7176743B2 (ja) * 2019-03-25 2022-11-22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浄水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38B1 (ko) * 2011-07-08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471A (zh) 1998-01-28
KR970063453U (ko) 1997-12-11
JPH1043736A (ja)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745B1 (ko) 식수 제조장치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JP2807450B2 (ja)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0146826B1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0175911B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29637Y1 (ko) 냉온정수기의 물침투방지장치
JP3831732B2 (ja) 加湿器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0139295Y1 (ko) 냉온정수기의 측면판넬 보강구조
KR20050027843A (ko) 식수 제조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980008280A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61073B1 (ko) 정수기의 냉수 및 온수 혼류방지장치
KR0127638Y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27639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장치
KR0127640Y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19980073959A (ko) 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KR19980069529A (ko) 물 분배기
KR19980069528A (ko) 물 분배기
KR19980069519A (ko) 물분배기의 지지 및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