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528A - 물 분배기 - Google Patents

물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528A
KR19980069528A KR1019970006637A KR19970006637A KR19980069528A KR 19980069528 A KR19980069528 A KR 19980069528A KR 1019970006637 A KR1019970006637 A KR 1019970006637A KR 19970006637 A KR19970006637 A KR 19970006637A KR 19980069528 A KR19980069528 A KR 1998006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cold water
purified water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528A/ko
Publication of KR1998006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528A/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 분배기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열 설치된 정수 저장통 및 온수통과, 상기 정수 저장통의 통로와 직결되는 수직선상에 배열 설치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 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 교환시키도록 냉수통의 바닥에 설치된 열 교환수단과, 상기 열 교환수단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열 교환수단과 일정 거리를 두고 그 하부에 설치된 송풍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좁은 면적 내에서 정수, 온수 및 냉수가 공급되는 시스템을 전부 설치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규모를 보다 콤팩트화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물 분배기
본 발명은 물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물 등의 원수 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 방식에 의해 제거시켜 정수화시킨 다음, 그 정수를 냉각 및 가열수단에 의해 냉온수화시킴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취수 가능토록 한 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물 분배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 분배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역삼투압식 물 분배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 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 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물 분배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 특허출원 제96-16753호(출원일자 : 1996. 5. 17)로 역삼투압식 물 분배기가 제안되어 왔었다.
즉, 물 분배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부에 전면 판넬(11), 후면 판넬(12), 양측면 판넬(13), 상부 판넬(14), 하부 판넬(15)이 상호 체결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면 판넬(11)의 외측 중간 높이에는 후술하는 취수밸브로부터 낙하되는 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집수된 잔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수시키는 물받이통(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내부 소정 높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일정 면적의 공간(E)(F)을 형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각각 제 1 및 제 2 칸막이부재(20)(21)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칸막이부재(20)와 제 2 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후방측에 일정 면적의 공간(G)을 형성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 3 칸막이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칸막이부재(20)와 제 2 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면적의 공간(H)(I)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3 칸막이부재(22)의 전측면 소정 높이에 가로 방향으로 제 4 칸막이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간(E)에는 상기 제 1 칸막이부재(20)를 매개로 그 상면에 일정 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저장통(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 판넬(11)에 제품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메인 PCB(41; Main Printed Circuit Board)가 부착된 콘트롤 패드(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F)에는 상기 하부 판넬(15)의 상부면에 대하여 그 일측에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 작용을 하는 압축기(50)와, 그 타측에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받아 응축작용을 하는 응축기(60)와, 그 중간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60)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응축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G)에는 상기 제 3 칸막이부재(22)의 이면 소정 높이에 제 1 및 제 2 필터 고정 브라켓(80)(81)을 매개로 교체 가능케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칸막이부재(21)의 상면 일측에 가압펌프(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녹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제 1 필터 고정 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침전필터(91)와, 상기 침전필터(91)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염소 성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 1 필터 고정 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전처리필터(92)와, 상기 전처리필터(82)에서 상기 가압펌프(1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제 1 필터 고정 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멤브레인필터(93)(94)와, 상기 제 1 및 제 2 멤브레인필터(93)(94)로부터 동시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제 1 필터 고정 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후처리필터(95)와, 상기 후처리필터(95)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 저장통(30)에 공급되도록 제 2 필터 고정 브라켓(81)을 매개로 설치된 살균필터(9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침전필터(91), 전처리필터(92), 제 1 및 제 2 멤브레인필터(93)(94), 후처리필터(95), 살균필터(96) 및 가압펌프(1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연결호스(9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멤브레인필터(93)(94)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98)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H)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에서 저류 저장된 정수를 제 1 및 제 2 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일정 용량으로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 4 칸막이부재(23)의 상면에 온수통(110)과 냉수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정수관(31)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상기 정수 저장통(30)의 바닥면 일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온수통(110)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정수관(32)은 그 상단이 상기 정수 저장통(30)의 바닥면 타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냉수통(120)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온수통(110)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내부에 저류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부재(11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냉수통(120)의 외주측에는 액냉매를 받아 냉수통(120) 내의 정수를 차갑게 열 교환시키는 냉각코일(12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 내의 온수 및 냉수를 각각 배출시키도록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상부에 설치된 물 배출관(112)(122)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 판넬(1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온수 및 냉수용 취부밸브(130)(13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1)에는 제품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부재(21)의 상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양측면 판넬(13)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전장박스(1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물 분배기에 의하면, 정수 저장통(30)이 제 1 칸막이부재(20)를 매개로 본체(10)의 상부측 공간(E)에 설치되고, 온수 및 냉수통(110)(120)이 제 4 칸막이부재(23)를 매개로 상기 정수 저장통(30)의 하부측 공간(H)에 설치되며, 상기 냉수통(120)은 응축기(60)와 압축기(50)의 가동에 의한 냉매방식에 의해 저장한 물을 차갑게 열 교환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품 규모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익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면적 내에서 정수, 온수 및 냉수가 공급되는 시스템을 전부 설치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규모를 보다 콤팩트화 할 수 있도록 한 물 분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물 분배기는, 정수 저장통, 온수 및 냉수통을 구비한 물 분배기에 있어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열 설치된 정수 저장통 및 온수통과, 상기 정수 저장통의 통로와 직결되는 수직선상에 배열 설치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 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 교환시키도록 냉수통의 바닥에 설치된 열 교환수단과, 상기 열 교환수단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열 교환수단과 일정 거리를 두고 그 하부에 설치된 송풍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물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물 분배기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물 분배기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여과수단과 가압펌프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 분배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 분배기 내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 분배기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 분배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0 : 정수 저장통360 : 온수통
450 : 냉수통470 : 송풍수단
490 : 열 교환수단491 : 콜드싱크
492 : 열전소자495 : 히트싱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 분배기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외부의 공기가 본체(200)의 내부의 소정 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여러 개의 부품들이 취부될 수 있도록 하부 판넬(2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판넬(210)의 양측에는 전면 판넬(220), 후면 판넬(230), 제 1 및 제 2 측면 판넬(240)(250), 상부 판넬(190)이 각각 다수개의 걸림방식과 체결방식에 의해 설치되도록 제 1 및 제 2 지지 프레임(260)(270)이 동일한 소정 높이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260)과 제 2 지지 프레임(270)과의 사이에 대하여 중간 높이에는 본체(20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일정 면적의 상부 및 하부 공간(K)(L)을 형성하도록 중간 판넬(280)이 체결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판넬(210)에는 그 바닥 중앙에 외부의 공기가 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될 때 공기의 흐름을 한 곳으로 안내하도록 벨 마우스(211)가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로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 마우스(2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송풍수단이 안착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그 바닥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살균필터, 가압펌프, 배수 전환수단, 트랜스 등이 누전 및 침수되지 않는 일정 높이로 안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판넬(220)에는 그 상부측에 콘트롤 패드(290)와 메인 PCB(도시 안됨)가 결합되도록 볼록면(2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 중앙에는 용기 등을 밀착시켜 누르는 힘에 의해 후술하는 취수구가 전자적으로 온 동작됨에 따라 통로가 개방되어 물(예컨대, 냉수, 온수, 정수)이 취수되거나 또는 누르는 힘을 해제시에는 상기 취수구가 오프 동작됨에 따라 통로가 폐쇄되어 물의 취수가 중단되도록 누름버튼(310)이 탄발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후술하는 취수구를 통하여 흘러 내리는 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즉시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물받이통(320)이 착탈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공간(K)에는 그 중앙에 일정 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판넬(280)의 상면에 정수 저장통(30)이 안착되어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여 정수화시키도록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270)과 중간 판넬(280)에 체결 조립되는 필터 고정 브라켓(340)을 매개로 여과수단(350)이 교체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일정 용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수용된 히터(도시 안됨)의 히팅열에 의해 저장된 정수를 뜨거운 온도로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중간 판넬(280)의 상면에 온수통(360)이 안착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수 저장통(30)은 상부가 개구된 일정 면적의 몸체(331)와, 상기 몸체(331)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뚜껑(3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몸체(331)에는 그 측면 상단에 상기 여과수단(35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제 1 연결호스(370)를 매개로 몸체(331)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몸체(331) 내부의 일정 수위를 넘는 정수가 제 2 연결호스(371)를 매개로 배수되도록 관통홀(3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정면 하단에는 몸체(331) 내부의 정수가 제 3 연결호스(372)를 매개로 후술하는 취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 1 유출구(33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 하단에는 몸체(331) 내부의 정수가 제 4 연결호스(373)를 매개로 상기 온수통(360)으로 유입되도록 제 2 유출구(3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 중앙에는 몸체(331) 내부의 정수가 후술하는 냉수통으로 유입되도록 제 3 유출구(3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332)에는 그 일측에 상기 몸체(331)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수위 상태를 다단계로 감지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수위감지수단(380)이 설치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자외선 불빛에 의해 상기 정수 저장통(30)과 후술하는 냉수통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2차 살균 처리함과 동시에 장기간 방치된 정수의 2차 세균 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살균램프(390)가 수직 방향으로 정수 저장통(30)을 거쳐 후술하는 냉수통 내부로 삽입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고정 브라켓(340)은 정면에서 볼 때 ㄱ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서 그 상측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270)의 상단 전후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하측 단부는 상기 중간 판넬(280)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여과수단(350)은 수도전(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녹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터 고정 브라켓(340)의 상판 저면에 교체 가능케 설치된 침전필터(351)와, 상기 침전필터(351)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염소 성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 고정 브라켓(340)의 상판 저면에 교체 가능케 설치된 전처리필터(352)와, 상기 전처리필터(352)에서 상기 하부 판넬(2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가압펌프(4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 고정 브라켓(340)의 상판 저면에 교체 가능케 설치된 역삼투필터(353)와, 상기 역삼투필터(353)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 성분을 제거하도록 필터 고정 브라켓(340)의 상판 저면에 교체 가능케 설치된 후처리필터(354)와, 상기 후처리필터(354)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 저장통(30)에 공급되도록 상기 하부 판넬(2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살균필터(355)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침전필터(351), 전처리필터(352), 역삼투필터(353), 후처리필터(354), 살균필터(355) 및 가압펌프(4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5 연결호스(37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삼투필터(353)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41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공간(L)의 상측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일정 용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열 교환수단에 의해 정수를 차가운 온도로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중간 판넬(280)의 하면 중앙에 냉수통(450)이 소정 높이로 매달리게 밀착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상기 하부 판넬(210)를 매개로 살균필터(355), 가압펌프(400), 배수 전환수단(460), 송풍수단(470), 트랜스(480)가 각각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냉수통(450)에는 그 하부에 냉수통(450) 내부의 정수를 차갑게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수단(490)이 결합되어 있고, 그 외측 측벽에는 스위칭 모드 파워부(500; Switching Mode Power)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측 측벽 모서리에는 농축수량 조절밸브(5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 일측에는 냉수통(450) 내부로 수용되어 냉수의 상하측 수위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감지봉(5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 교환수단(490)은 상기 냉수통(450)에 저장된 정수에 접촉되면서 저면이 냉수통(450)의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콜드싱크(491; Cold Sink)와, 상기 콜드싱크(491)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열전소자(492)와, 상기 열전소자(492)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냉수통(450)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체결나사(493) 및 슬리브(494)를 매개로 적정량의 압력으로 고정되는 히트싱크(495; Heat Sink)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콜드싱크(491)의 상부측과 히트싱크(495)의 하부측에는 전열면적을 높여 주도록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결홈(491a)(49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 판넬(280)의 정면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 온수통(360), 냉수통(450)에서 외부로 각각 유출되는 물을 전자적인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 전자밸브(530)(531)(532)가 고정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직각되게 밸브 고정 브라켓(28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자밸브(530)(531)(532)의 일측단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의 제 2 유출구(334)와 온수 및 냉수통(360)(450)의 유출구(부호 도시 안됨)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제 1 내지 제 3 전자밸브(530)(531)(532)를 거치도록 각각 물 배출호스(540)(541)(5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자밸브(530)(531)(532)의 타측단에는 상기 정수 저장통(30), 온수통(360), 냉수통(450)에서 제 1 내지 제 3 전자밸브(530)(531)(532)으로 각각 유출되는 물을 한 곳으로 유출시키도록 취수호스(550)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수도전(도시 안됨)에 제품을 연결시킨 다음, 수도전을 틀게 되면 원수가 수도전에 걸리는 일정 수압과 가압펌프(40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35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된다.
즉,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35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녹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35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352)를 통과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염소 성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352)를 거친 후 역삼투필터(353)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역삼투필터(353)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354)를 통과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 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354)를 거친 후 살균필터(355)를 통과할 때 원수 중에 함유된 유해한 세균이 1차 살균 처리되면서 정수 저장통(30)의 상단 높이에 연결된 제 1 연결호스(370)를 통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저장통(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 정수 저장통(30) 내부로 공급된 정수 중 일부는 정수 저장통(30)의 후측과 온수통(360)의 후측을 연결하는 제 4 연결호스(373)를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 용량까지 온수통(360)으로 공급되고, 일부의 정수는 정수 저장통(30)의 바닥에 형성된 제 3 유출구(336)와 상호 연결된 냉수통(45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 용량까지 계속 공급되며, 이들 정수 저장통(30)과 온수 및 냉수통(360)(450)이 만수위가 될 때 정수 저장통(30)의 뚜껑(331) 일측에 장착된 수위감지수단(380)의 다단계 감지신호에 따라 원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가압펌프(40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이때, 정수 저장통(30), 온수 및 냉수통(360)(45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감지수단(380)의 다단계 수위감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면판넬(220)의 콘트롤 패드(290)에 형성된 투명부(부호 도시 안됨)를 통하여 메인 PCB(도시 안됨)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는 정수 저장통(30), 온수 및 냉수통(360)(450) 내에 저장된 물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수 저장통(30)의 뚜껑(332)에 설치된 살균램프(390)는 그 끝단이 정수 저장통(30)의 바닥에 형성된 제 3 유출구(336)를 통하여 냉수통(450)의 내부로 일정 높이까지 수직되게 설치되어 정수 저장통(30)과 냉수통(450) 내부에 저장된 정수 중에 포함된 균을 동시 2차 살균시키게 된다.
즉, 살균램프(39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 불빛은 정수 저장통(30)과 냉수통(450) 내에 일정 용량으로 채워진 정수에 조사됨으로써 정수 저장통(30) 내에 저장된 정수가 장기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2차 세균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온수 공급을 위하여 온수통(360)에 설치된 히터부재(도시 안됨)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는 인가된 전류 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히팅되면서 온수통(36) 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 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 공급을 위하여 송풍수단(470)과 열 교환수단(490)의 열전소자(492)를 가동시키면, 이 송풍수단(470)의 모터(471)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팬(47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팬(472)의 회전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하부 판넬(210)의 중앙에 형성된 벨 마우스(211)의 통로를 통하여 본체(20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열 교환수단(490)의 히트싱크(495)에 직접 부딪치게 된다.
이때, 히트싱크(495)는 상기 송풍 바람에 의해 차갑게 냉각되면서 상기 열전소자(492)의 전자적인 특성에 따라 냉수통(450) 내에 수용된 콜드싱크(491)에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 싸이클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냉수통(450) 내에 저장된 정수는 낮은 온도로 차갑게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 저장통(30), 온수 및 냉수통(360)(450) 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컵 등의 용기(도시 안됨)에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전면 판넬(220)의 콘트롤 패드(290)상에 돌출된 전원버튼(부호 도시 안됨)을 누름과 동시에 예를 들어 정수버튼(부호 도시 안됨)를 누른 다음, 컵 등의 용기를 취수호스(550)에 위치시키면서 전면 판넬(220)의 하부측 중앙에 돌출된 누름버튼(310)을 향해 밀어준다.
이때, 누름버튼(310)은 후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누름버튼(310) 내의 도시되지 않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속되는 온 신호를 마이콤(도시 안됨)에 데이터를 입력시켜 주게 되면, 이 마이콤은 그 데이터를 판별하여 프로그램화된 입력에 따라 제 1 전자밸브(530)가 온 동작되어 취수통로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 취수통로의 개방에 의해 정수 저장통(30) 내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 저장통(30)과 제 1 전자밸브(530)를 연결하는 물 배출호스(540)를 따라 흐름과 동시에 제 1 전자밸브(530)와 연결된 취수호스(550)를 따라 흐르면서 상술한 컵 등의 용기 속으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된다.
그리고, 취수시 물받이통(320)에 집수된 잔수는 물받이통(320)과 배수 전환수단(46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잔수배수관(도시 안됨)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 분배기에 의하면, 중간 판넬의 상면에 온수통과 정수저장통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열 설치하고, 중간 판넬의 하면에 냉수통과 열 교환수단을 수직 상태로 매달리게 배열 설치하며, 열 교환수단의 하부에 하부 판넬을 매개로 송풍 수단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면적 내에서 정수, 온수 및 냉수가 공급되는 시스템을 전부 설치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규모를 보다 콤팩트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수저장통, 온수 및 냉수통을 구비한 물 분배기에 있어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열 설치된 정수저장통 및 온수통과,
    상기 정수저장통의 통로와 직결되는 수직선상에 배열 설치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 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 교환시키도록 냉수통의 바닥에 설치된 열 교환수단과,
    상기 열 교환수단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열 교환수단과 일정 거리를 두고 그 하부에 설치된 송풍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수단은,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 정수에 접촉되면서 그 저면이 냉수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콜드싱크와,
    상기 콜드싱크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냉수통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히트싱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배기.
KR1019970006637A 1997-02-28 1997-02-28 물 분배기 KR19980069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637A KR19980069528A (ko) 1997-02-28 1997-02-28 물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637A KR19980069528A (ko) 1997-02-28 1997-02-28 물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528A true KR19980069528A (ko) 1998-10-26

Family

ID=6598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637A KR19980069528A (ko) 1997-02-28 1997-02-28 물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5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US6582563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19980069528A (ko) 물 분배기
KR19980069529A (ko) 물 분배기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KR19980069530A (ko) 물분배기의 취수가변장치
KR19980069542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19A (ko) 물분배기의 지지 및 배수장치
KR19980069522A (ko) 물분배기
KR19980069532A (ko) 물분배기용 송풍수단의 설치구조
KR19980059050U (ko) 물분배기
KR19980069520A (ko) 물분배기용 잔수통의 물튀김 방지구조
KR19980069521A (ko) 물분배기
KR1998006954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39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31A (ko) 물분배기의 열교환장치
KR19990005671A (ko)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KR19990005670A (ko) 물분배기의 물순환장치
KR19990005673A (ko) 물분배기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