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671A -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671A
KR19990005671A KR1019970029886A KR19970029886A KR19990005671A KR 19990005671 A KR19990005671 A KR 19990005671A KR 1019970029886 A KR1019970029886 A KR 1019970029886A KR 19970029886 A KR19970029886 A KR 19970029886A KR 19990005671 A KR19990005671 A KR 1999000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water
inner case
contain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671A/ko
Publication of KR1999000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71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는, 내측케이스와,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측에 사출성형된 외측케이스와의 사이에 발포물을 발포시켜 구성된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물분배기용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스를 그 상면에서 일정두께의 바닥면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정수저장통의 유출구를 통해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양측으로 수평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다수의 내벽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접촉 냉각되도록 관통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측케이스의 양측에 상기 관통부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측면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냉수통의 내측케이스를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그 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된 관통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물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한 냉각속도가 빠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냉수통내의 냉수의 냉각효울이 상승하게 되는것이다.

Description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본 발명은 수도물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제거시켜 정수화시킨 다음, 그 정수를 냉각 및 가열수단에 의해 냉온수화시킴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취수가능토록 한 물분배기(예컨대,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통을 그내의 물이 냉각되기 용이하도록 한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물분배기는 수도전로 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분배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역삼투압식 물분배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압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물분배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물분배기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의 소정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상면에 여러개의 부품들이 취부될 수 있도록 하부판넬(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20)의 양측에는 전면판넬(30), 후면판넬(40), 측면판넬(50)이 각각 다수개의 걸림방식과 체결방식에 의해 설치되도록 제1 및 제2지지프레임(70)(80)이 동일한 소정높이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70)과 제2지지프레임(80)과의 사이에 대하여 중간 높이에는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일정면적의 상부 및 하부공간(K)(L)을 형성하도록 중간판넬(90)이 체결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판넬(20)에는 그 바닥 중앙에 외부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때 공기의 흐름을 한곳으로 안내하도록 벨마우스(21)가 상부를 향해 일정높이로 수직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마우스(2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송풍수단이 안착되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그 바닥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살균필터, 가압펌프, 배수전환수단, 트랜스 등이 누전 및 침수되지 않는 일정높이로 안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넬(30)에는 그 상부측에 콘트롤패드(100)와 메인PCB(도시안됨)가 결합되도록 볼록면(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 중앙에는 용기 등을 밀착시켜 누르는 힘에 의해 후술하는 취수호스가 전자적으로 온 동작됨에 따라 통로가 개방되어 물(예컨대, 냉수, 온수, 정수)이 취수되거나 또는 누르는 힘을 해제시에는 상기 취수호스가 오프 동작됨에 따라 통로가 페쇄되어 물의 취수가 중단되도록 누름버튼(110)이 단발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후술하는 춰수호스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전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즉시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물받이통(120)이 착탈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공간(K)에는 그 중앙에 일정용량의 정수를 저장할수 있도록 상기 중간판넬(90)의 상면에 정수저장통(130)이 안착되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공급되는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여 정수화시키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80)과 중간판넬(90)에 체결조립되는 필터고정브라켓(140)을 매개로 여과수단(150)이 교체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일정용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수용된 히터(도시안됨)의 히팅열에 의해 저장된 정수를 뜨거운 온도로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중간판넬(90)의 상면에 온수통(160)이 안착되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수저장통(130)은 상부가 개구된 일정면적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뚜껑(1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몸체(131)에는 그 측면 상단에 상기 여과수단(150)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몸체(131) 내부로 유입되어 일정수위를 넘는 정수가 배수되도록 관통홀(1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정면 하단에는 몸체(131) 내부의 정수가 후술하는 취수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정수파이프(134)가 연결되어 있고, 그 후면 하단에는 몸체(131) 내부의 정수가 연결호스(170)를 매개로 상기 온수통(160)으로 유입되도록 온수파이프(135)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 중앙에는 몸체(131) 내부의 정수가 후술하는 냉수통으로 유입되도록 유출구(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132)에는 그 일측에 상기 몸체(131) 내부에 저장된 정수의 수위상태를 다단계로 감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수위감지수단(180)이 설치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자외선 불빛에 의해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저장된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함과 동시에 장기간 방치된 정수의 2차 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살균램프(19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수단(150)은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때 원수중에함유된 녹찌거기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터 고정브라켓(140)의 상판 저면에 교체가능케 설치된 침전필터(151)와, 상기 침전필터(151)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40)의 상판 저면에 교체 가능케 설치된 전처리필터(152)와, 상기 전처리필터(152)에서 상기 하부판넬(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가압펌프(2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40)의 상판 저면에 교체가능케 설치된 역삼투필터(153)와, 상기 역삼투필터(153)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필터고정브라켓(140)의 상판 저면에 교체가능케 설치된 후처리필터(154)와, 상기 후처리필터(154)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공급되도록 상기 하부판넬(2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살균필터(155)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침전필터(151), 전처리필터(152), 역삼투필터(153), 후처리필터(154), 살균필터(155) 및 가압펌프(2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호스(17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삼투필터(153)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21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공간(ㄴ)의 상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일정용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열교환수단에 의해 정수를 차가운 온도로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중간판넬(90)의 하면중앙에 냉수통(220)이 소정높이로 매달리게 밀착되어 나사결합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상기 하부판넬(20)를 매개로 살균필터(155), 가압펌프(200), 배수전환수단(230), 송풍수단(240), 트랜스(250)가 각각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냉수통(220)에는 그 하부에 냉수통(220) 내부의 정수를 차잡게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수단(260)이 결합되어 있고, 그 외측 측벽에 스위칭모드파워부(270;Switching Mode Power)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측 측벽 모서리에 농축수량조절밸브(28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통(220)에는 그 상부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정수저장통(130)의 물과 단열되도록 커버부재(221)가 다수개의 체결부재(도시안됨)를 매개로 결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221)에는 냉수통(220) 내부로 수용되어 냉수의 상하측 수위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감지봉(290)이 하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도감지봉(290)의 옆에는 상기 냉수통(220)의 하단에 위치한 열교환수단(260)에 의해 차갑게 열교환된 냉수를 외부로 취출시키도록 제1냉수파이프(222)와 상기 커버부재(221)의 내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냉수파이프(222)와 연결부재(223)를 매개로 연결된 제2냉수파이프(2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전환수단(230)은 상기 하부판넬(20)의 상면 일측에 상향되게 돌설된 2개의 안착리브의 상단에 전후단이 안착되는 밸브몸체(231)와, 상기 밸브몸체(231)의 상부를 통하여 밸브몸체(231)의 중앙을 하부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그 양단이 하부판넬(20)의 상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브라켓(2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풍수단(240)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241)와, 상기 모터(2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팬(242)과, 상기 하부판넬(20)에 형성된 밸마우스(21)의 내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241)를 지지하는 브라켓(2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열교환수단(260)은 상기 냉수통(220)에 저장된 정수에 접촉되도록 그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콜드싱크(261;Cold Sink)와, 상기 콜드싱크(261)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된 열전소자(262)와, 상기 열전소자(262)의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냉수통(220)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체결나사(263) 및 슬리브(264)를 매개로 적정량의 압력으로 고정되는 히트싱크(265;Heat Sink)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콜드싱크(261)의 상부측과 히트싱크(265)의 하부측에는 전열면적을 높여 주도록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결홈(261a)(26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중간판넬(90)의 정면에는 상기 온수통(160), 냉수통(220), 정수저장통(130)에서 외부로 각각 유출되는 물을 전자적인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전자밸브(300)(301)(302)가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직각되게 밸브고정브라겟(91)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자밸브(300)(301)(302)의 타측단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 온수통(160), 냉수통(220)에서 제1 내지 제3전자밸브(300)(301)(302)으로 각각 유출되는 물을 한곳으로 유출시키도록 취수호스(31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분배기는 먼저, 수도전(도시안됨)에 제품을 연결시킨 다음, 수도전을 틀게되면 원수가 수도전에 걸리는 일정 수압과 가압펌프(20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15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된다.
즉, 수도전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15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거기등의 부유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15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152)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152)를 거친 후 역삼투필터(153)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역삼투필터(153)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154)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154)를 거친 후 살균필터(155)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세균이 1차 살균처리되면서 정수저장통(1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 정수저장통(130) 내부로 공급된 정수중 일부는 정수저장통(130)의 후측과 온수통(160)의 후측을 연결하는 연결호스(170)를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온수통(160)으로 공급되고, 일부의 정수는 정수저장통(130)의 바닥에 형성된 유출구(136)와 상호 연결된 냉수통(22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계속 공급되며, 이들 정수저장통(130)과 온수 및 냉수통(160)(220)이 만수위가 될 때 정수저장통(130)의 뚜껑(131) 일측에 장착된 수위감지수단(180)의 다단계 감지신호에 따라 원수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가압펌프(20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이때, 정수저장통(130), 온수 및 냉수통(160)(22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감지수단(180)의 다단계 수위감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면판넬(30)의 콘트롤패드(100)에 형성된 투명부(103)를 통하여 메인PCB(도시안됨)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는 정수저장통(130), 온수 및 냉수통(160)(220)내에 저장된 물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수저장통(130)의 뚜껑(132)에 설치된 살균램프(190)는 자외선 불빛을 발산하여 정수저장통(130)내의 정수에 조사됨으로써 정수저장통(130)내에 저장된 정수가 장기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2차 세균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160)에 설치된 히터부재(도시안됨)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히팅되면서 온수통(16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송풍수단(240)과 열교환수단(260)의 열전소자(262)를 가동시키면, 이 송풍수단(240)의 모터(241)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팬(2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팬(242)의 회전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하부판넬(20)의 중앙에 형성된 벨마우스(21)의 통로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열교환수단(260)의 히트싱크(265)에 직접 부딪치게 된다.
이때, 히트싱크(265)는 상기 송풍바람에 의해 차갑게 냉각되면서 상기 열전소자(262)의 전자적인 특성에 따라 냉수통(220)내에 수용된 콜드싱크(261)에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싸이클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냉수통(220)내에 저장된 정수는 낮은 온도로 차갑게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저장통(130), 온수 및 냉수통(160)(220)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컵등의 용기(도시안됨)에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전면판넬(30)의 콘트롤패드(100)상에 돌출된 전원버튼(부호도시안됨)을 누름과 동시에 예를 들어 정수버튼(부호도시안됨)를 누른 다음, 컵등의 용기를 취수호스(320)에 위치시키면서 전면판넬(30)의 하부측 중앙에 돌출된 누름버튼(110)을 향해 밀어준다.
이때, 누름버튼(110)의 동작 신호를 고정접점(도시안됨)이 접속되는 온 신호를 마이콤(도시안됨)에 데이터를 입력시켜 주게되면, 이 마이콤은 그 데이터를 판별하여 프로그램화된 입력에 따라 제l전자밸브(300)가 온 동작되어 취수통로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 취수통로의 개방에 의해 정수저장통(130)내에 저장된 정수는 제1전자밸브(300)와 연결된 취수호스(310)를 따라 흐르면서 상술한 컵등의 용기속으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된다.
그리고, 취수시 잔수통(120)에 집수된 잔수는 잔수통(120)과 배수전환수단(230)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잔수배수관(도시안됨)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물분배기는, 상기 중간판넬(90)의 상면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과 온수통(16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판넬(90)에 조립시 조립공차에 의해 그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거의 인접하게 설치되어 온수통(160)의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영향으로 정수저장통(130)의 내의 물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정수저장통(130)의 하부에 있는 냉수통(220)의 냉수의 온도도 따라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통을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다수개의 냉각판을 형성하여 그 내를 흐르는 냉수의 냉각효율을 상승시킨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는, 내측케이스와,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측에 사출성형된 외측케이스와의 사이에 발포물을 발포시켜 구성된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물분배기용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스를 그 상면에서 일정두께의 바닥면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정수저장통의 유출구를 통해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양측으로 수평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다수의 내벽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접촉 냉각되도록 관통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측케이스의 양측에 상기 관통부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측면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물분배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2는 종래의 물분배기 내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3은 종래의 물분배기 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의 A-A선에 따른 일부 조립단면도,
도5는 도3의 B-B선에 따른 일부 조립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물분배기용 냉수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도6의 C-C선에 따른 조립단면도,
도8은 도6의 D-D선에 따른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정수저장통 160 : 온수통
500 : 냉수통 510 : 내측케이스
511 : 유입구 512 : 관통부
520 : 측면커버 530 : 단열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분배기는 중간판넬(90)의 상면에는 체결부재(도시안됨)을 매개로 정수저장통(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넬(90)의 하부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의 하면에 관통된 유출구(136)를 통하여 정수저장통(130)에서 정수된 물을 담는 냉수통(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수통(500)의 하부에는 냉수통(500) 내부의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수단(26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수단(260)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통(500)내의 물을 차갑게 열교환시킬 때 그 냉각효율을 상승시키도록 송풍수단(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판넬(90)의 상면에 있는 정수저장통(130)의 일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받아 일정용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수용된 히터(도시안됨)의 히팅열에 의해 저장된 정수를 뜨거운 온도로 열교환시키도록 온수통(160)이 안착되어 나사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통(500)의 상면에는 그 상부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정수저장통(130)의 물과 단열되도록 커버부재(221)가 다수개의 체결부재(도시안됨)를 매개로 결착되어 있고, 상기 냉수통(500)과 커버부재(221)의 사이에는 냉수통(500)내의 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고무패킹(도시안됨)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정수저장통(130)에는 저장된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함과 동시에 장기간 방치된 정수의 2차 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살균램프(19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냉수통(500)은 상기 정수저장통(130)으로부터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내측케이스(510)와, 상기 내측케이스(510)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520)와, 상기 내측케이스(510)와 측면커버(520)가 조립된 외측에 발포물을 발포시켜 구성한 단열부재(5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케이스(510)는 그 상면에서 일정두께의 바닥면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정수저장통(130)의 유출구(136)를 통해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11)와, 그 양측으로 수평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다수의 내벽에 상기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접촉 냉각되도록 형성된 관통부(5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측케이스(510)는 그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상기유입구(511)는 상기 다수의 관통부(512)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수도물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제거시켜 정수화시킨 다음, 상기 정수저장통(130)으로 담겨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정수저장통(130)에 설치된 살균램프(190)는 자외선 불빛을 발산하여 정수저장통(130)내의 정수에 조사됨으로써 정수저장통(130)내에 저장된 정수가 장기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2차세균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160)에 설치된 히터부재(도시안됨)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히팅되면서 온수통(16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송풍수단(240)과 열교환수단(260)의 열전소자(262)를 가동시키면 이 송풍수단(240)의 모터(241)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팬(2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팬(242)의 회전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하부판넬(20)의 중앙에 형성된 밸마우스(21)의 통로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열교환수단(260)의 히트싱크(265)에 직접 부딪치게 된다.
이때, 히트싱크(265)는 상기 송풍바람에 의해 차갑게 냉각되면서 상기 열전소자(262)의 전자적인 특성에 따라 냉수통(500)의 내측케이스(510)에 형성된 관통부(512)의 사이사이 내벽을 냉각시키게 되고, 냉수통(500)내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관통부(512)에 의해 형성된 내벽에 접촉됨으로써 낮은 온도로 차갑게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에 의하면, 상기 냉수통의 내측케이스를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그 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된 관통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물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한 냉각속도가 빠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냉수통내의 냉수의 냉각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내측케이스와,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측에 사출성형된 외측케이스와의 사이에 발포물을 발포시켜 구성된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물분배기용 냉수통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스를 그 상면에서 일정두께의 바닥면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정수저장통의 유출구를 통해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양측으로 수평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 다수의 내벽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접촉 냉각되도록 관통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측케이스의 양측에 상기 관통부내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측면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의 내측케이스는 그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다수의 관통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KR1019970029886A 1997-06-30 1997-06-30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KR19990005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86A KR19990005671A (ko) 1997-06-30 1997-06-30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86A KR19990005671A (ko) 1997-06-30 1997-06-30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71A true KR19990005671A (ko) 1999-01-25

Family

ID=6599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886A KR19990005671A (ko) 1997-06-30 1997-06-30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6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507B1 (ko) * 2006-02-03 2006-05-16 보은군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CN110028131A (zh) * 2019-04-30 2019-07-19 绍兴摩纳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速热饮水一体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507B1 (ko) * 2006-02-03 2006-05-16 보은군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CN110028131A (zh) * 2019-04-30 2019-07-19 绍兴摩纳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速热饮水一体机
CN110028131B (zh) * 2019-04-30 2024-02-27 绍兴摩纳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速热饮水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48719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0920698B1 (ko) 정수기
KR19990005671A (ko)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각구조
KR100911682B1 (ko) 정수기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20090101334A (ko) 냉온 정수기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19980069532A (ko) 물분배기용 송풍수단의 설치구조
KR19990005670A (ko) 물분배기의 물순환장치
KR19990005672A (ko) 물분배기용 정수저장통의 냉각장치
KR19990005673A (ko) 물분배기
KR19980069531A (ko) 물분배기의 열교환장치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19980059052U (ko) 물분배기용 스위칭모드파워부의 고정구조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19980069540A (ko) 물분배기의 열교환장치
KR19980069527A (ko) 물 분배기의 다리고정장치
KR19980069529A (ko) 물 분배기
KR19980069523A (ko)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수취출구조
KR19980086376A (ko) 물분배기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KR19980069522A (ko) 물분배기
KR19990005674A (ko) 물분배기의 물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