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901B1 - 냉온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901B1
KR0175901B1 KR1019960016753A KR19960016753A KR0175901B1 KR 0175901 B1 KR0175901 B1 KR 0175901B1 KR 1019960016753 A KR1019960016753 A KR 1019960016753A KR 19960016753 A KR19960016753 A KR 19960016753A KR 0175901 B1 KR0175901 B1 KR 017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purified
storage tank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660A (ko
Inventor
윤덕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901B1/ko
Publication of KR97007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차가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단수차단밸브와, 여과수단에서 외부로 배수되는 농축수량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는 농축수조절밸브와, 흡습에 취약한 메인PCB를 격리되게 수납함과 동시에 자주 사용되는 상기 전장부품어세이를 수시로 조작가능케 수납하도록 제품의 측벽 하단에 설치된 전장부품 배치수단과, 자외선불빛에 의해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하면서 그 자외선불빛이 상기 정수저장통내에 방사상으로 반사되어 정수저장통에 장기간 저류 저장되는 정수의 2차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정수저장통에 설치된 물통 살균수단과,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여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정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설치된 배수전환수단과,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의 수위상태를 단계별로 확인가능토록 정수저장통내에 설치된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정수기
제1도는 종래의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정수기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에 의한 정수기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여과수단과 가압펌프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전방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후방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전장부품 배치박스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전장부품 배치박스를 도시한 요부 결합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물통 살균수단이 정수저장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물통과 물받이통의 배수라인을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물통측 배수라인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물받이통측 배수라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이 정수저장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물받이통 30 : 정수저장통
41 : 메인PCB 110 : 온수통
120 : 냉수통 150 : 전장부품어세이
170 : 단수차단밸브 180 : 농축수조절밸브
200 : 전장부품 배치수단 300 : 물통 살균수단
400 : 배수전환수단 500 : 다단계 수위감지수단
본 발명은 수도물 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제거시켜 정수화시킨 다음, 그 정수를 냉각 및 가열수단에 의해 냉온수화시킴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취수가능토록 한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는 수도전로 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온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역삼투압식 냉온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냉온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압식 냉온정수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본제(10)가 전면판넬(11), 후면판넬(12), 양측면판넬(13), 상부판넬(14), 하부판넬(15)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넬(11)의 외측 중간 높이에는 후술하는 취수밸브로 부터 낙하되는 잔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그 집수된 잔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수시키는 물받이통(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제(10)내의 소정높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일정면적의 공간(E)(F)을 형성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칸막이부재(20)(21)가 설치되고, 상치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후방측에 일정면적의 공간(G)을 형성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제3칸막이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면적의 공간(H)(I)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전측면 소정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제4칸막이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간(E)에는 상기 제1칸막이부재(20)를 매개로 그 상면에 일정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통(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11)에 제품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메인PBC(41; Main Printed Circuit Board)가 부착된 콘트롤패드(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F)에는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부면에 대하여 그 일측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작용을 하는 압축기(50)와, 그 타측에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받아 응축작용을 하는 응축기(60)와, 그 중간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60)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응축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G)에는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이면 소정높이에 제1 및 제2필터고정브라켓(80)(81)을 매개로 교체가능케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 일측에 가압펌프(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안됨)으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거기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침전필터(91)와, 상기 침전필터(91)로 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전처리필터(92)와, 상기 전처리필터(82)에서 상기 가압펌프(1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와, 상기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로부터 동시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후처리필터(95)와, 상기 후처리필터(95)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저장통(30)에 공급되도록 제2필터고정브라켓(81)을 매개로 설치된 살균필터(9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침전필터(91), 전처리필터(92),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 후처리필터(95), 살균필터(96) 및 가압펌프(1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연결호스(9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98)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H)에는 상기 정수저장통(30)에서 저류 저장된 정수를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일정용량으로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4칸막이부재(23)의 상면에 온수통(110)과 냉수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정수관(3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상기 정수저장통(30)의 바닥면 일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온수통(110)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정수관(32)은 그 상단이 상기 정수저장통(30)의 바닥면 타측과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냉수통(120)의 상부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온수통(110)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내부에 저류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부재(11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냉수통(120)의 외주측에는 액냉매를 받아 냉수통(120)내의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12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의 온수 및 냉수를 각각 배출시키도록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상부에 설치된 물배출관(112)(122)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판넬(1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I)에는 제품을 가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양측면판넬(13)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전장박스(1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장박스(140)에는 필요에 따라 제품 외부에서 조작이 용이하도록 전장부품어세이(1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냉온정수기에 의하면, 전면판넬(11)의 상단측 콘트롤패드(40)의 후측에 설치된 메인PCB(41)가 온수통(110)의 팽창증기 등에 의한 흡습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기적인 결함 및 고장의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메인PCB의 전기적인 사고시 A/S수리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 종래에 의한 냉온정수기에 의하면, 살균필터(96)에 의해 1차 살균처리된 정수를 정수저장통(30)내에 저류 저장시켜 장기간 방치할 경우, 고갈된 물에서도 증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없어 2차세균오염이 우려됨은 물론 식수로서 음료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른다는 문제점도 대두되었다.
또, 종래에 의한 냉온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물통세척을 위하여 온수통(110) 및 냉수통(120)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경우,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물받이통(16)으로 역류되어 물넘침현상이 초래된다는 문제점도 대두되었다.
또, 종래에 의한 냉온정수기에 의하면,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보통 메탈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지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PCB와 전장부품어세이를 제품하단에 격리 수용시켜 흡습에 의한 전기적인 결함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A/S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냉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살균등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정수저장통 내부에 자외선살균등을 설치함으로써 정수저장통에 정수를 장기간 방치하더라도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2차세균오염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을 프라스틱 사출성형화 함으로써 가공성 및 유통상의 어려움을 없애도록 한 냉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통세척을 위하여 온수 및 냉수통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 시킬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냉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기계적인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온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차가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단수차단밸브와, 여과수단에서 외부로 배수되는 농축수량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는 농축수조절밸브와, 흡습에 취약한 메인PCB를 격리되게 수납함과 동시에 자주 사용되는 상기 전장부품어세이를 수시로 조작가능케 수납하도록 제품의 측벽 하단에 설치된 전장부품 배치수단과, 자외선불빛에 의해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하면서 그 자외선불빛이 상기 정수저장통내에 방사상으로 반사되어 정수저장통에 장기간 저류 저장되는 정수의 2차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정수저장통에 설치된 물통 살균수단과,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여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정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설치된 배수전환수단과,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의 수위상태를 단계별로 확인가능토록 정수저장통내에 설치된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7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안됨)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차가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도록 연결호스(97)의 일측에 설치되는 단수차단밸브를 나타낸 것이고, 180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수단(90)의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될 때 그 농축수량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도록 농축수관(98)의 일측에 설치되는 농축수조절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은 흡습에 취약한 메인PCB(41)를 격리되게 수납함과 동시에 자주 사용되는 상기 전장부품어세이(150)를 수시로 조작가능케 수납하도록 제품의 측벽 하단에 설치된 전장부품 배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전장부품 배치수단(200)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PCB(41)와 전장부품어세이(150)가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되도록 상기 측면판넬(13)의 하단 일측에 일정면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배치공간부(210)와, 상기 메인PCB(41)를 필요에 따라 점검 및 A/S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배치공간부(210)의 개구에 별도의 공구사용에 의해 착탈가능케 설치된 제1덮개판(220)과, 상기 전장부품어세이(150)를 수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덮개판(220)의 일측에 여닫이방식에 의해 개폐가능케 설치된 제2덮개판(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메인PCB(41)는 상기 배치공간부(210)의 정면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장부품어세이(150)는 상기 배치공간부(210)의 정면 하단에 대하여 상기 제2덮개판(230)이 설치되는 허용면적내에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치공간부(210)에는 그 하단 전방에 대하여 저면에 상기 제1덮개판(220)의 하단과 걸림작용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적어도 1개이상의 걸림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정면에 체결나사(240)에 의해 상기 제1덮개판(220)이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덮개판(220)에는 그 하단 저면에 상기 배치공간부(21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211)과 걸림작용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적어도 1개이상의 걸림돌기(221)가 돌설되어 있고, 그 상단 중앙에 상기 체결나사(240)가 삽입되도록 통과구멍(222)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단 중앙에 상기 제2덮개판(230)이 형상맞춤되도록 수납부(223)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223)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전장부품어세이(150)를 격리수용하도록 후방으로 직각되게 격리벽(224)이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격리벽(224)은 상기 배치공간부(210)의 정면과 밀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덮개판(230)의 일측단은 제2덮개판(230)이 상기 제1덮개판(220)에서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힌지핀(231)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어 있고, 그 타측단에 대하여 이면에는 상기 제1덮개판(220)의 일측면에 밀착될 때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적어도 1개이상의 영구자석(232)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타측단에 대하여 표면에는 제2덮개판(230)을 여닫이방식으로 열수 있도록 반달형의 요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0은 자외선불빛에 의해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하면서 그 자외선불빛이 상기 정수저장통(30)내에 방사상으로 반사되어 정수저장통(30)에 장기간 저류 저장되는 정수의 2차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정수저장통(30)내에 설치되는 물통 살균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물통 살균수단(300)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받아 자외선을 발산하면서 정수저장통(30)의 개구부(30a)에 결합된 뚜껑(3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시키도록 뚜껑(33)의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등(3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정수저장통(30)은 상기 자외선 살균등(31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에 의해 변색,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자외선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400은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가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배수전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배수전환수단(400)은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배수관(170)(171)이 각각 상하측에 대각방향으로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상호 배수통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원통형 몸체(410)와, 상기 물받이통(16)과 연결된 잔수배수관(17)이 외측 중앙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410)의 하부측 배수통로와 연결되도록 몸체(410)의 전방측에 나사방식에 의해 상호결합된 제1연결캡(420)과, 상기 몸체(410)의 후방측에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된 제2연결캡(430)과, 상기 제2연결캡(430)의 결합시 그 사이에 일측이 개재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이 몸체(410)의 후방측 내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된 중공형 실링체(440)와, 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키며 또한 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캡(420)의 결합시 몸체(410)의 전방측을 통하여 상기 실링체(440)의 내경에 전후슬라이드 가능케 삽입된 밸브체(450)와, 상기 밸브체(450)가 전방측으로 탄발되도록 상기 실링체(440)의 내경에 삽입된 탄성체(460)와, 상기 밸브체(450)의 후방측을 통하여 일측단이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탄성체(460)의 내경과 제2연결캡(430)의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작동축(470)과, 편심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450)를 후방측으로 잡아당기도록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작동축(470)의 끝단과 힌지핀(480)을 매개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캡(430)의 외면에 밀착된 작동레버(49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몸체(410)에는 그 중앙에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그 전방에 제1원통부(411)와, 그 후방에 상기 제1원통부(4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원통부(4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원통부(412)의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제1연결배수관(170)이 연결되도록 유입구(413)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제1원통부(411)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제2연결배수관(471)이 연결되도록 유출구(414)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원통부(411)(412)의 외주면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캡(420)(430)이 나사결합되도록 수사면(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캡(420)에는 그 외주면에 대하여 후방측에 상기 몸체(410)의 전방측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부호도시안됨)을 가진 플랜지부(412)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중앙에 상기 잔수배수관(17)이 연결되도록 유입구(422)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캡(430)에는 그 외주면에 대하여 전방측에 상기 몸체(410)의 후방측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부호도시안됨)을 가진 플랜지부(431)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상기 작동축(470)이 관통되도록 관통구멍(4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체(44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대하여 후방측에 상기 몸체(410)와 제2연결캡(430)과의 나사결합시 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도록 플랜지부(441)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450)에는 그 전방측에 상기 제1연결캡(420)에 형성된 유입구(422)를 개폐하도록 제1밀착부(4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측에 상기 실링체(440)의 내경에 삽입되어 전후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몸체(410)에 형성된 제2원통부(412)의 전방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입구(413)를 개폐하도록 제2밀착부(4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460)는 압축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동축(470)은 환봉으로 이루어져 그 전방 및 중간측에 상기 밸브체(450)의 후방측을 통하여 삽입되어서 그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1밀착부(451)와 제2밀착부(452)의 부분에 이탈됨이 없이 결합되도록 제1돌출부(471)와 제2돌출부(47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힌지핀(480)이 교차되게 삽입되도록 힌지홀(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490)에는 그 전방측 중앙에 상기 작동축(470)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소정깊이의 작동홈(49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 상기 작동홈(491)내에 삽입된 작동축(470)의 힌지홀(부호도시안됨)에 힌지핀(480)이 교차되게 삽입되도록 힌지홀(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500은 상기 정수저장통(30)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의 수위상태를 단계별로 확인가능토록 정수저장통(30)내에 수직되게 설치된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다단계 수위감지수단(500)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저장통(3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30b)를 통하여 정수저장통(30)내의 일정높이에 T자형상으로 안착되어 설치된 플로트고정바(510)와, 상기 정수저장통(30)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에 의한 부력에 따라 상승 및 하강동작되도록 상기 플로트고정바(510)의 수직부에 대하여 상단과 하단에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상하동작가능케 장착된 제1 및 제2플로트(520)(521)와, 상기 제1 및 제2플로트(520)(521)의 상단 내주면에 각각 형성맞춤된 링형상의 제1및 제2마그네트(5300(531)와, 상기 제1 및 제2플로트(520)(521)의 상하동작에 따라 각각 이동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530)(532)에 의해 온, 오프동작되도록 상기 플로트고정바(510)의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4는 플로트고정용 너트캡, 113, 123은 온수 및 냉수배수관, 160은 솔레노이드밸브, 161은 엘보우관, 190은 온수통(110)에서 발생되는 팽창증기를 담는 팽창통, 550은 상기 제1 및 제2플로트(520)(521)의 상하강동작시 그 거리를 제한하는 방지턱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전원플러그를 쇼켓에 꽂은 상태에서 제품내에 장착된 히터부재(111) 및 냉각코일(121)의 작동에 의해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가 가열 및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부품 배치수단는 (200)의 제2덮개판(230)를 열고 수납부(223)내에 배치된 온수 및 냉수스위치버튼(151)(152)를 각각 선택적으로 온 동작시키면, 이들 온수 및 냉수스위치 버튼(151)(152)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히터부재(111)와 냉각코일(121)이 전원을 인가받아 히팅 및 냉각작용을 행하게 된다.
이때, 원수는 수도전(도시안됨)의 수압과 가압펌프(10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된다.
즉, 수도전(도시안됨)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9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거기 등의 부유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9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92)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82)를 거친 후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95)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95)를 거친 후 살균필터(96)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세균은 1차 살균처리되면서 정수저장통(30)의 뚜껑(33)과 연결호스(97)와의 결합에 의해 제9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방향과 같이 자외선 살균등(310)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2차 살균처리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30)내에 저류 저장된다.
이때, 자외선 살균등(310)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은 정수저장통(30)의 내주면에 코팅된 산화마그네슘재질의 자외선 반사막(320)에 의해 방사상으로 반사되면서 정수저장통(30)내에 일정용량으로 채워진 정수에 조사됨으로써 정수저장통(30)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가 장기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로 방치될 때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2차세균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게된다.
이때, 정수저장통(30)으로 저장된 정수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온수 및 냉수통(110)(120)으로 공급된다. 즉, 제1정수관(31)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온수통(110)의 바닥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계속 공급되고, 제2정수관(32)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냉수통(12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계속 공급되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이 만수위가 되어 더 이상 정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때 비로소 정수저장통(30)에 정수가 저장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30)의 일측에 장착된 다단계 수위감지수단(5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용량으로 저장되면 가압펌프(10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즉, 정수저장통(30)내부로 일정량의 정수가 저류 저장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작용에 의해 제1플로트(520)나 또는 제2플로트(521)는 플로트바(510)의 안내를 받아 수직으로 상승동작되면서 제1 및 제2플로트(520)(521)에 설치된 제1 및 제2마그네트(530)(531)와 플로트바(510)의 소정높이에 설치된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와의 높이가 수평으로 일치되게 되고, 제1 및 제2마그네트(530)(53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의 접점이 온동작됨으로써 제품의 외부에 디스플레이화된 복수개의 램프(도시안됨)가 점등되어 정수저장통(30)내의 수위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수저장통(30)내의 정수가 온수 및 냉수통(110)(120)으로 일정량 유출되면서 수위량이 낮아지면, 제1 및 제2플로트(520)(521)도 동시 하강동작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530)(531)와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와의 수평상태가 어긋남과 동시에 제1 및 제2마그네트(530)(531)의 자력이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스위치부(540)(541)의 접점이 오프됨으로써 제품의 외부에 디스플레이화된 램프의 불빛이 소등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는 정수저장통(30)내의 정수의 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110)에 설치된 히터부재(111)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111)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면서 온수통(11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압축기(50)가 가동되면, 이 압축기(50)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스가 응축기(60)에 공급되고, 이 응축기(6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가스는 냉각수단(70)의 가동에 의한 송풍바람에 의해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응축기(6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 냉매가스는 냉온정수기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 냉매가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 냉매가스는 냉수통(12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냉각코일(121)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에 따라 냉수통(120)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컵 등의 용기(도시안됨)에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컵 등의 용기를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에 설치된 취수레버(부호도시안됨)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밀어주면 취수레버가 후방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힘에 의해 취수밸브(130)(131)의 통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는 각각 물배출관(112)(122)와 각각 결합된 취수밸브(130)(131)의 안내를 받아 컵 등의 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이통(16)에 접수된 잔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배수전환수단(400)의 작동레버(490)를 제11도의 상태로 돌어올리면, 이 작동레버(490)는 힌지핀(48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상부방향으로 회전동작됨과 동시에 소정위치에 정지되면서 그 일측면이 제2연결캡(430)의 외측면에 부딪쳐 미끄럼운동되는 편심오차(예컨대, 편심최대거리)에 의해 힌지핀(480)을 매개로 작동축(470)을 후방측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작동축(470)은 그 전방 및 중간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돌출부(471)(472)와 밸브체(45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밀착부(451)(452)와의 고정결합에 의해 밸브체(450)를 후방측으로 동시 잡아당기게 되며, 이 밸브체(450)는 후방측으로 이동될 때 그 후방측이 실링체(440)의 내경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실링체(440)내에 설치된 탄성체(460)를 압축시키게 된다.
또, 밸브체(450)는 후측으로 이동될 때 그 전방측 제1밀착부(451)가 제1연결캡(420)에 형성된 유입구(422)의 통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유입구(422)와 몸체(410)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유출구(414)와의 잔수배수라인을 개방시키게 되고, 밸브체(450)의 후방측 제2밀착부(452)가 몸체(410)의 제2원통부(412)의 내주면 끝단 가장자리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몸체(410)의 상부 후방측에 형성된 유입구(413)를 통한 저장수배수라인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물받이통(16)에 집수된 잔수는 잔수배수관(17)을 따라 흐르면서 제11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방향과 같이 잔수배수라인을 통과함과 동시에 몸체(410)의 유출구(414)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171)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보통 1개월에 한번 정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정수저장통(30)과 온수 및 냉수통(110)(120)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하부측 온수 및 냉수배관(113)(123)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60)를 동작시켜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의 통로를 개방시킨 다음, 작동레버(490)를 제12도의 상태로 잡아당기면, 이 작동레버(490)는 힌지핀(480)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동작됨과 동시에 소정위치에 정지되면서 그 타측면이 제2연결캡(430)의 외측면에 부딪쳐 미끄럼운동되는 편심오차(예컨대, 편심최저거리)에 의해 힌지핀(480)을 매개로 작동축(470)이 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준다.
이에 따라, 작동축(470)과 고정결합된 밸브체(450)는 탄성체(460)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전방측 제1밀착부(451)가 제1연결캡(420)의 유입구(422)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422)와 몸체(410)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유출구(414)와의 잔수배수라인을 폐쇄시키게 되고, 그 후방측 제2밀착부(452)가 몸체(410)의 제2원통부(412)의 내주면 끝단 가장자리면으로 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짐으로써 몸체(410)의 상부 후방측과 하부 전방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413)와 유출구(414)를 통한 저장수배수라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류 저정된 저장수는 각각 온수배수관(113)과 냉수배수관(123)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엘보우관(161)에 의해 서로 합쳐지게 되고, 엘보우관(161)의 일측에 연결된 제1연결배수관(17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제12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방향과 같이 저장수배수라인을 통과함과 동시에 몸체(410)의 유출구(414)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171)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배수전환수단(400)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과하는 저장수는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관(17)을 따라 역류되어 물받이통(16)으로 유입되는 물넘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메인PCB와 전장물어세이를 제품의 측벽 하단에 마련된 배치공간부에 수용하고, 점검 및 A/S수리의 빈도가 적은 메인PCB를 나사 및 걸림작용에 의해 착탈되는 제1덮개판에 의해 상기 배치공간부의 개구를 카바하며, 사용 빈도가 많은 전장물어세이를 제1덮개판의 수납부에 의해 외곽을 구획함과 동시에 그 수납부의 개구를 별도의 제2덮개판에 의해 여닫이방식으로 개폐가능케 카바하면서 폐쇄시 영구자석에 의해 견고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PCB가 온수통의 팽창증기 등에 의한 흡습에 의해 전기적인 결함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PCB의 점검 및 A/S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정수저장통은 가공성 및 유통이 좋은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면서 그 내주면에 자외선 살균등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을 방사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산화마그네슘재질의 자외선 반사막이 코팅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저장통에 정수를 장기간 저장하더라도 미생물번식을 효과적으로 충분히 억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2차세균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과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량라인이 서로 합쳐져 배수되는 부분에 배수전환수단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관을 따라 역류되어 물받이통으로 유입되는 물넘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는,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학인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메탈센서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감지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수도전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차가 높고 낮음을 감지하여 제품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단수차단밸브와, 여과수단에서 외부로 배수되는 농축수량을 전자적으로 조절하는 농축수조절밸브와, 흡습에 취약한 메인PCB를 격리되게 수납함과 동시에 자주 사용되는 상기 전장부품어세이를 수시로 조작가능케 수납하도록 제품의 측벽 하단에 설치된 전장부품 배치수단과, 자외선불빛에 의해 정수를 2차 살균처리하면서 그 자외선불빛이 상기 정수저장통내에 방사상으로 반사되어 정수저장통에 장기간 저류 저장되는 정수의 2차세균오염을 억제시키도록 정수저장통에 설치된 물통 살균수단과,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여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정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설치된 배수전환수단과, 정수저장통내에 저류 저장된 정수의 수위상태를 단계별로 확인가능토록 정수저장통내에 설치된 다단계 수위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KR1019960016753A 1996-05-17 1996-05-17 냉온정수기 KR017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53A KR0175901B1 (ko) 1996-05-17 1996-05-17 냉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53A KR0175901B1 (ko) 1996-05-17 1996-05-17 냉온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60A KR970073660A (ko) 1997-12-10
KR0175901B1 true KR0175901B1 (ko) 1999-03-20

Family

ID=1945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753A KR0175901B1 (ko) 1996-05-17 1996-05-17 냉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9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25B1 (ko) * 2008-02-12 2008-08-12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온수기용 배수장치
KR101319463B1 (ko) * 2012-03-09 2013-10-17 주식회사 대창 냉온장고 장치
KR101439429B1 (ko) * 2012-03-09 2014-09-11 주식회사 대창 냉온장고 장치
KR101641849B1 (ko) 2016-01-18 2016-07-21 이종용 다단 조립식 자동세척장치
KR20210032991A (ko) * 2018-07-10 2021-03-25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액체 필터링 시스템
KR102432135B1 (ko) 2021-09-16 2022-08-11 이종용 분사 효율성이 보장되는 자동세척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25B1 (ko) * 2008-02-12 2008-08-12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온수기용 배수장치
KR101319463B1 (ko) * 2012-03-09 2013-10-17 주식회사 대창 냉온장고 장치
KR101439429B1 (ko) * 2012-03-09 2014-09-11 주식회사 대창 냉온장고 장치
KR101641849B1 (ko) 2016-01-18 2016-07-21 이종용 다단 조립식 자동세척장치
KR20210032991A (ko) * 2018-07-10 2021-03-25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액체 필터링 시스템
KR20220165839A (ko) * 2018-07-10 2022-12-15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액체 필터링 시스템
US11666840B2 (en) 2018-07-10 2023-06-06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Liquid filtering system
KR102432135B1 (ko) 2021-09-16 2022-08-11 이종용 분사 효율성이 보장되는 자동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60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0175911B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19980069529A (ko) 물 분배기
KR0161073B1 (ko) 정수기의 냉수 및 온수 혼류방지장치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KR0175899B1 (ko) 정수기의 전장부품 배치장치
KR19980069530A (ko) 물분배기의 취수가변장치
KR19980059050U (ko) 물분배기
KR19980069519A (ko) 물분배기의 지지 및 배수장치
KR19980069532A (ko) 물분배기용 송풍수단의 설치구조
KR19980069522A (ko) 물분배기
KR0139295Y1 (ko) 냉온정수기의 측면판넬 보강구조
KR1998006953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4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0129637Y1 (ko) 냉온정수기의 물침투방지장치
KR19980069542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35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20A (ko) 물분배기용 잔수통의 물튀김 방지구조
KR19980069539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19980069523A (ko)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수취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