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991A - 액체 필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필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991A
KR20210032991A KR1020217004135A KR20217004135A KR20210032991A KR 20210032991 A KR20210032991 A KR 20210032991A KR 1020217004135 A KR1020217004135 A KR 1020217004135A KR 20217004135 A KR20217004135 A KR 20217004135A KR 20210032991 A KR20210032991 A KR 2021003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adapter
base
crad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783B1 (ko
Inventor
칼 플란츠
세바스티앙 프륄
안드레아스 피클
롤랜드 리슈
애덤 길버트
마틴 퍼셔스
Original Assignee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2704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4Systems for applying vacuum to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필터링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서, - 필터를 보유하고, 필터링될 액체를 수용하는 필터 유닛, 필터링된 액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14)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14)는 진공 전달 포트(28)에 결합되는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액체를 필터링시키고 필터링된 액체로서 상기 리셉터클 내로 구동하는 진공 구동력을 적용하는 필터링 장치, 및 - 상기 필터링 장치를 수용하는 크래들(26) 및 일측에서는 진공 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진공 수용 포트(22)에 결합되는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를 가지며, 상기 크래들(26) 및 상기 어댑터(14)는 잠금 수단(52, 54)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가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에 밀봉 결합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필터링 장치를 상기 크래들(26)에 잠그도록 상호 작용하는 베이스(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가, 상기 필터링 장치가 상기 크래들(26)에 잠기는 경우 자동으로 강제 개방되는 기계적 정상 폐쇄 밸브로 구성된 진공 밸브(3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 필터링 시스템
본 발명은 액체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 필터를 보유하고, 필터링될 액체를 수용하는 필터 유닛, 필터링된 액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는 진공 전달 포트에 결합되는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액체를 필터링시키고 필터링된 액체로서 상기 리셉터클 내로 구동하는 진공 구동력을 적용하는 필터링 장치, 및
- 상기 필터링 장치를 수용하는 크래들 및 일측에서는 진공 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진공 수용 포트에 결합되는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를 가지고,
상기 크래들 및 상기 어댑터는 잠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가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에 밀봉 결합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필터링 장치를 상기 크래들에 잠그도록 상호 작용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종류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은 WO 2007/028157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서는 어댑터에 의해 고정되는 필터 펀넬(funnel)의 상부 위에 병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필터 장치를 갖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필터 펀넬의 하부에는 펀넬에 채워진 액체가 필터링되어 병으로 배출되는 필터층이 있다. 필터층을 통해 병으로 액체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병은 진공 공급원에 결합되며, 해당 진공 수용 포트는 상기 어댑터의 일부이다.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는 본질적으로 내부 도관의 단부를 구성하는 수직으로 향하는 하향 홀이다. 진공 공급원에 대한 연결 도관의 단부를 구성하는 해당 상향 홀은 베이스 스탠드로 고정된 크래들의 테두리에 위치된다. 필터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위치할 때, 두 개의 대응하는 홀이 중첩되고, 중력만으로 밀봉 진공 연결을 형성한다. 스탠드가 진공 연결 도관에 연결된 진공 밸브를 포함하여 진공을 시작 및 종료한다.
단점으로, 종래 기술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은 오작동하기 쉽다.
특히, 밀폐 진공 연결은 매우 불안정하다. 또한, 필터 장치를 크래들에 배치한 후 진공을 시작하고 필터링 공정이 완료된 후 진공을 종료한다. 개별 단계 모두에서 시간이 소요되고 실수로 생략될 가능성이 있다.
WO 2015/032464 A2에서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필터 펀넬 복합 유체 샘플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중간 연결부는 제 1 필터 펀넬의 하류 및 제 2 필터 펀넬의 내부 공간의 상류에 마련되고, 이는 샘플 유체의 부피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지정된다. 이 중간 연결부는 밸브 배열을 통해 외부 가스 공급원/대기 및/또는 진공 공급원과 제 2 필터 펀넬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포트(port) 및/또는 벤트(vent)를 가진다.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3방향 밸브로 중간 연결부와 통합되거나 중간 연결부의 포트에 외부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96-웰 샘플 적용 플레이트 또는 분리 플레이트와 96-웰 수집 플레이트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 진공 칼라(vacuum collar)를 포함하는 다중 웰 필터링 또는 고상 추출 장치는 US 2002/0098125 A1에 공지되어 있다. 진공 칼라는 플레이트 사이에 인터페이스 챔버를 제공하며, 이들 플레이트를 통해 진공이 적용되어 필터링 공정을 지원할 수 있다. 수집 플레이트는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수집 플레이트가 적층 구조내의 진공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될 때 인터페이스 챔버와 진공 조립체 공기 흡입구 사이의 직접 연통을 제공하여, 개별 진공 매니폴드(manifold) 또는 연결부가 필요하지 않는다. 진공 칼라는 챔버와 연통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필요에 따라 시스템의 환기를 용이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들로 개폐될 수 있다.
WO 2009/014769는 진공 필터 장치를 지지하는 휴대용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필터 장치에 진공을 제공하도록 휴대용 고정 장치는 진공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진공 입구 포트와 진공 입구 포트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진공 출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진공 흐름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를 포함한 진공 흐름 제어 노브(vacuum flow control knob)로 제어된다.
WO 2008/144083 A1에는 진공 필터 시스템에서 폼(foam)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액체 필터링 시스템은 상부 샘플 저장부, 필터 및 하부 저장 병을 포함한다. 진공은 샘플 필터 아래에 적용되어, 샘플 필터를 통해 샘플 액체를 저장 병으로 끌어당긴다. 진공은 외부 진공 흐름 제어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카트리지는 WO 00/72970 A1에 공지되어 있다. 카트리지는 화학 반응 및 광학 검출을 위한 반응 혼합물을 보유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반응 용기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 경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용기는 반응 챔버의 측벽을 정의하는 강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유동 경로를 챔버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한다. 용기는 또한 강성 프레임의 반대쪽에 부착된 신축성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하여, 챔버의 대향하는 주요 벽을 형성한다. 추가로, 적어도 2 개의 측벽은 광학적으로 투과성이고, 각각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되어, 반응 챔버에서 분석물의 실시간 광학 검출을 허용한다.
EP 3 056 276 A2는 샘플, 특히 단백질 샘플의 정제 또는 농축을 포함한 샘플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개시한다. 유체 밀폐 압력 용기(fluid containment pressure vessel)는 개선된 캡-바디 인터페이스(cap-to-body interface)를 제공한다. 캡은 나사산이 있고 압력 용기의 본체와 나사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인터록 메커니즘(interlock mechanism)은 장치가 압력을 받는 동안 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비 하중 편향 메커니즘(pre-loaded biasing mechanism)이 마련된 압력 릴리프 밸브는 필요한 압력 해제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WO 2016/131859 A1에는 유체에 침지된 조직 샘플을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고정 용액으로 미리 채워진 캡, 밸브 및 조직 샘플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어셈블리가 수직일 때 유체가 캡에서 용기로 흐를 수 있지만, 어셈블리가 수평이거나 반전될 때 유체가 용기에서 캡으로 역류할 수 없도록, 밸브가 캡과 용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과제는 취급하기 쉽고 오작동으로부터 보다 잘 보호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액체 필터링 시스템에 의해, 특히 청구항 1의 일반적인 부분의 특징과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는 상기 필터링 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잠기는 경우 자동으로 강제 개방되는 기계적 정상 폐쇄 밸브로 구성된 진공 밸브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지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의해 다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진공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즉 필터링 장치가 크래들에 위치하지 않을 때마다, 폐쇄 상태인 밸브이다. 이 기능은 순전히 기계적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 밸브는 진공 채널, 상기 진공 채널 내에서 동축으로 변위 가능한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가 스프링 수단에 의해 밀봉 가압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필터링 장치, 특히 그 어댑터는 필터링 장치가 크래들에 잠금될 때 상기 진공 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는 어댑터가 크래들에 잠금될 때 상기 진공 채널 내로 도입되는 강성 파이프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소켓은 밸브 본체와 접촉하고 진공 밸브를 개방하는 진공 채널 내에서 변위된다. 필터링 장치를 크래들에서 제거하자마자 진공 밸브는 다시 폐쇄된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이 오작동에 대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작동 시간을 절약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의 베이스 포트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진공 밸브의 밸브 본체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강성 파이프 소켓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파이프 소켓은 상기 밸브 본체에 폐쇄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 본체를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복원력은 밸브가 진공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공 공급원에 의해 행사되는 진공력보다 강해야한다.
실용적인 구성의 관점에서, 상기 진공 밸브는:
- 상기 베이스 포트 개구부에서 끝나는 진공 채널,
- 상기 진공 채널 내에서 동축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밸브 본체, 및
-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본체가 밀봉 가압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 소켓은 상기 진공 채널 내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와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 사이에 밀봉된 진공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포트 개구부와 상기 진공 밸브 사이에 진공 밀봉 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링은, 상기 파이프 소켓에 의해 밀봉되도록 관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링은 제 1 축 방향 단부, 제 2 축 방향 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 중앙 영역을 갖는 엘라스토머 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에서의 순수 직경은 상기 파이프 소켓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순수 직경은 상기 파이프 소켓의 외경만 하거나 작다. 즉, 길이 방향 단면에서 상기 밀봉 링의 벽은 V 자형이다. 이 모양은 두 가지 장점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베이스 포트 개구부에 더 가까운 경사가 파이프 소켓의 관통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밸브에 더 가까운 경사는 소위 베르누이 효과(Bernoulli Effect)(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두 벽 사이의 축 방향으로 감소하는 갭을 통한 공기 흐름은 상기 벽이 서로 더 접근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갭을 폐쇄하도록 강제함)에 기초하여 자체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공기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공 채널과 파이프 소켓 내부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밸브 본체는 볼 형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파이프 소켓은 둥근 프로파일을 가진다. 직사각형으로 절단된 원형 프로파일의 파이프 소켓이 볼 형상의 밸브 본체에 동축으로 부딪히면, 상기 밸브 본체는 밸브를 개방하는 목표에 반대되는 파이프 소켓의 입구를 막는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소켓의 측벽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밸브 본체와 상기 밀봉링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파이프 소켓이 일부 복원력에 대해 밸브 본체를 변위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 및 상기 크래들의 잠금 수단이 분리 가능한 스냅 잠금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필터링 장치가 잠금 위치에 삽입되자마자 잠금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손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분리 가능 스냅 잠금 장치는 2개의 서로 대향하고 탄성적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움푹 들어간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돌출부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크래들의 대응 돌출부의 뒤쪽에서 맞물린다. 잠금 위치로 필터링 장치를 삽입하는 동안, 한편으로는 상기 레버의 상기 돌출부와 다른 한편으로는 크래들의 대응 돌출부가 충돌하여, 상기 레버의 선회, 즉 상기 스냅 잠금의 개방을 유도한다. 필터링 장치가 최종적으로 잠금 위치에 위치하자마자, 즉 상기 돌출부가 대응 돌출부 뒤에 맞물릴 수 있는 즉시 레버가 필터링 장치를 크래들에 다시 잠그도록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생성한) 밸브 본체의 상기 복원력 조차 잠금 위치로부터 더 이상 필터링 장치를 변위시킬 수 없다.
필터링 장치를 크래들에 잠그는 과정을 더욱 용이하도록 상기 크래들은 상기 필터링 장치를 위한 2가지 수용 위치, 즉 상기 잠금 위치 및 사전 잠금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전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수단은 잠금 해제되고, 상기 필터링 장치는 상기 어댑터와 상기 크래들의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수동 강제 횡방향 전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따라서, 필터링 장치는 진공 공급원에 연결하지 않고 크래들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필터링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어야하는 경우, 진공 공급원에 연결하지 않고, 즉 필터링 공정을 시작하지 않고, 준비 단계에서 다수의 필터링 장치를 대응하는 다수의 크래들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호 가이드 수단, 예를 들어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이 맞물릴 수 있다. 이후, 한 손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완전한 횡방향 운동에 의해, 필터링 장치는 진공 공급원에 대한 연결, 즉 필터링 공정의 시작을 의미하는 잠금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사전 잠금 위치가 자체의 일부 (추가) 잠금 수단, 특히 추가 스냅 잠금을 제공하는 경우, 진공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필터링 장치가 크래들에 잠기는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위치는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로 다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크래들이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를 상기 어댑터 수용 포트에 밀봉 결합하지 않고, 상기 필터 장치를 상기 크래들에 잠그도록 추가 잠금 수단이 잠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잠금 수단은 동일한 구성적 특징, 예를 들어 크래들 및/또는 어댑터의 특정 돌출부를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전술한 잠금 수단의 연장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이들은 구성적으로 개별적일 수 있다. 2가지의 사전 잠금 위치, 즉 상기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와 잠금 수단이 상호 작용하지 않는 비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가 제공되는 경우가 가능하다(그리고 심지어 바람직함). 사전 잠금 위치가 자체 잠금 수단을 제공하는 경우, 즉 (또는 하나의) 사전 잠금 위치가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인 경우, 진공 연결이 아직 설정되지 않은 위치에서 필터링 장치가 특히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진공 연결을 설정하는 것과 필터링 장치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것은 보다 더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파이프 소켓은 바람직하게는 멸균 가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는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에 숨겨져 있을 수 있는) 오염물이 필터링 장치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는 필터링 장치, 특히 리셉터클에서 생성된 거품이 진공 밸브에 도달하여 진공 발생 시스템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효과의 관점에서 상기 가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가스 필터이다.
안전상의 이유와 특히 발포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는 원칙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수동으로 전환 가능한 추가 진공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 가능성은 단순한 온/오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진공 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진공 밸브의 특정 위치를 고려하여, 당업자는 상이한 옵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진공 밸브는 크래들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중앙 베이스 홀더 내에 위치할 수 있다(아래 참조).
종종, 여러 필터링 공정을 대략 동시에 수행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공간 절약 방식으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다수의 동일한 베이스의 일부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베이스 각각의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에 연결되는 중앙 진공 도관을 가지는 중앙 베이스 홀더에 고정된다.
상기 중앙 베이스 홀더는 상기 중앙 진공 도관을 포함하는 중앙 포스트를 가지는 회전 가능한 스탠드일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베이스는 상기 포스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들의 크래들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중앙 베이스 홀더 및 베이스는 필터링 장치가 번갈아 메우 빠른 순서로 클립될 수 있는 캐러셀(carousel)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뿐만 아니라 하기의 특정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필터링 장치의 어댑터만이 도시된다.
도 2는 잠금 위치의 도 1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종단면이다.
도 4는 도 2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종단면이다.
도 5는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필터링 장치의 어댑터만이 도시된다.
도 6은 도 5의 액체 필터링 시스템의 종단면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도 1 및 도 3과 다른 한편으로 도 2 및 4는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와 잠금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필터링 시스템(10)을 각각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5 및 도 6은 추가적인 사전 잠금 위치, 즉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를 도시한다. 가능한 상기 도면은 하기에서 함께 논의된다.
도시된 시스템은 명확성을 위해 어댑터(14)만 도시된 베이스(12) 및 필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어댑터(14)는 필터 유닛(미도시), 특히 필터 펀넬(filter funnel)과 연결되어 필터층을 유지하고, 필터링될 액체를 수용하는 상부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 어댑터(14)는 또한 나사산(20)에 의해 리셉터클(미도시), 특히 병의 목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하여, 필터 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액체를 수용한다.
마지막으로 어댑터(14)는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를 포함하고, 이는 진공 공급원에 결합될 수 있어서 리셉터클에 저압을 인가하여, 진공 구동력을 유도함으로써 필터링된 액체와 같은, 필터층을 통해 필터링될 액체를 리셉터클 내로 구동한다. 따라서,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는 어댑터(14)의 하부 인터페이스(18)에 연결된다.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는 어댑터(14)를 통해 액체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어댑터(14)의 제3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파이프 소켓(24)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어댑터(14)를 수용하는 크래들(26) 및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에 결합될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는 진공 채널(32), 밸브 본체(34) 및 밸브 본체(34)가 스프링(38)에 의해 밀봉 가압되는 밸브 시트(36)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진공 밸브(30)를 포함한다. 안전한 진공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밸브 본체(34)는 밸브 시트(36)에 대한 접촉 영역 내에 가스켓(40)이 장착된다. 진공 밸브(30)는 어댑터(14)로 향하지 않는 단부에서 진공 공급원에, 특히 베이스, 특히 다수의 베이스 중 하나가 고정된 중앙 베이스 홀더(미도시) 내에서 중앙 진공 도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38)의 힘, 즉 진공 공급원의 흡입에 대항하여 진공 밸브(30)를 폐쇄하는 복원력이 어댑터(14) 쪽으로 향한다.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도 1 및 도 3)에서 어댑터(14)를 크래들(26)에 결합하는 경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 소켓(24)은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 내로 삽입되지 않거나 약간만 삽입된다. 잠금 위치(도 2 및 도 4)로 전환되는 경우,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 소켓(24)은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로 더 관통하여, 스프링(38)의 힘에 대항하여 밸브 시트(36)로부터 밸브 본체(34)를 변위시킨다. 이러한 위치에서, 원칙적으로 공기는 필터링 장치, 특히 그 리셉터클 및 개방 진공 밸브(30)를 통해 진공 공급원으로 흡입될 수 있다. 어댑터(14)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스프링(38)이 밸브 본체(34)를 폐쇄 상태로 재설정한다.
그러나, 밸브 본체(34) 및 파이프 소켓(24)은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이므로, 밸브 본체(34)가 파이프 소켓(24)의 출구를 방해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밸브 측 단부를 폐쇄하는 구멍이 있는 측벽이 구비된 파이프 소켓(24)을 제공한다. 공기는 이들 구멍(42)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를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에 밀봉 연결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파이프 소켓(24)은 밀봉링(44)을 관통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밀봉링(44)은 엘라스토머 재료이고 세로 단면에서 V-자형의 벽을 가진다. 이것은 파이프 소켓(24)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고, 소위 베르누이 효과(Bernoulli Effect)에 따라 자체 밀봉 효과를 유발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위치는 어댑터(14)와 크래들(26) 사이의 스냅 잠금에 의해 정의된다. 어댑터(14)에는 2개의 대향되고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한 레버(46)가 제공된다. 이러한 레버(46)의 상부 림은 크래들(26)의 측면 림에서 대응하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50)과 상호 작용하는 어댑터 가이드 레일(48)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8, 50)은 사전 잠금 위치(도 1 및 도 3)로부터 잠금 위치(도 2 및 도 4)로의 어댑터(14)의 가이드 전환을 제공한다. 레버(46)는 상부 림에 돌출부(52)가 제공된다.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에서, 이러한 돌출부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50)에 대응하는 돌출부(54)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나, 잠금 위치에서는 어댑터(14)를 크래들(26)에 효과적으로 잠그도록 뒤에서 서로 맞물린다. 레버(46)의 탄력성으로 인해, 이러한 잠금은 어댑터(14)를 사전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할 때,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전환은 한 손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손가락은 베이스(12)의 특수 테라스(56) 뒤에 맞물릴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상이한 사전 잠금 위치, 즉 도 1 및 도 3의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 및 도 5 및 도 6의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를 포함한다. 레버(46)의 상부 림에는 돌출부(52) 뿐만 아니라 크래들(26)의 림 위에 대응 돌출부(54)와 상호 작용할 때 스냅 잠금 연결을 설정하기에 동등하게 적합한 추가 돌출부(53)를 갖는다. 그러나,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는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와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 사이에 진공 연결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도 1 및 도 3의 (고정되지 않은) 사전 잠금 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4의 잠금 위치로의 어댑터의 가이드된 전환은 도 5 및 도 6의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를 통해 진행된다. 실제로 이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는 필터링 공정을 시작하도록 진공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준비된 필터링 장치에 대해 바람직한 "대기 위치"이다.
잠금 위치에서 스냅 잠금을 개방하기 위해서, 레버(46)를 수동으로, 바람직하게는 한 손으로 선회하여, 돌출부(52, 54)를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진공 밸브(30)를 동시에 폐쇄하면서, 스프링(38)의 복원력이 잠금 위치로부터 사전 잠금 위치 방향으로 어댑터(14)의 전환을 지지한다. 레버(46)를 선회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작업자는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를 오버런하고, 필터링 장치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레버(46)를 해제하여, 필터링 장치를 고정된 사전 잠금 위치에 잠그고, 예를 들어 필터링 공정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물론, 특정 설명에서 논의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예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 내용을 고려하여, 당업자는 광범위한 변형을 구현할 수 있다.
10: 액체 필터링 시스템(liquid filtering system)
12: 베이스(base)
14: 어댑터(adapter)
16: 14의 상부 인터페이스(upper interface of 14)
18: 14의 하부 인터페이스(lower interface of 14)
20: 나사산(thread)
22: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adapter vacuum receiving port)
24: 파이프 소켓(pipe socket)
26: 크래들(cradle)
28: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base vacuum delivery port)
30: 진공 밸브(vacuum valve)
32: 진공 채널(vacuum channel)
34: 밸브 본체(valve body)
36: 밸브 시트(valve seat)
38: 스프링(spring)
40: 가스켓(gasket)
42: 구멍(aperture)
44: 밀봉링(sealing ring)
46: 레버(lever)
48: 어댑터 가이드 레일(adapter guiding rail)
50: 베이스 가이드 레일(base guiding rail)
52: 46의 돌출부(projection on 46)
53: 46의 추가 돌출부(additional projection on 46)
54: 대응 돌출부(corresponding projection)
56: 테라스(terrace)

Claims (16)

  1. - 필터를 보유하고, 필터링될 액체를 수용하는 필터 유닛, 필터링된 액체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하는 어댑터(14)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14)는 진공 전달 포트(28)에 결합되는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액체가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액체로서 상기 리셉터클 내로 구동하는 진공 구동력을 적용하는 필터링 장치, 및
    - 상기 필터링 장치를 수용하는 크래들(26) 및 일측에서는 진공 공급원에 결합되고 타측에서는 진공 수용 포트(22)에 결합되는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를 가지며,
    상기 크래들(26) 및 상기 어댑터(14)는 잠금 수단(52, 54)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가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에 밀봉 결합되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필터링 장치를 상기 크래들(26)에 잠그도록 상호 작용하는 베이스(1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는 상기 필터링 장치가 상기 크래들(26)에 잠기는 경우 자동으로 강제 개방되는 기계적 정상 폐쇄 밸브로 구성된 진공 밸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2)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의 베이스 포트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진공 밸브(30)의 밸브 본체(34)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는 강성 파이프 소켓(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소켓(24)는 상기 밸브 본체(34)에 폐쇄력을 적용하는 스프링(38)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 본체(34)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밸브(30)는
    - 상기 베이스 포트 개구부에서 끝나는 진공 채널(32),
    - 상기 진공 채널(32) 내에서 동축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밸브 본체(34), 및
    -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본체(34)가 밀봉 가압되는 밸브 시트(36)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 소켓(24)은 상기 진공 채널(32) 내로 동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는 상기 베이스 포트 개구부와 상기 진공 밸브(30) 사이에 축 방향으로 진공 밀봉링(44)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링(44)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파이프 소켓(28)에 의해 밀봉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44)은 제 1 축 방향 단부, 제 2 축 방향 단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축 방향 단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한 중앙 영역을 갖는 엘라스토머 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에서의 순수 직경은 상기 파이프 소켓(24)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순수 직경은 상기 파이프 소켓(24)의 외경만 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7.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소켓(24)의 측벽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밸브 본체(34)와 상기 밀봉링(44)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4) 및 상기 크래들(26)의 상기 잠금 수단(52, 54)은 분리 가능한 스냅 잠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스냅 잠금은 2개의 서로 대향하고 탄성적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움푹 들어간 레버(46)를 포함하고, 이의 돌출부(52)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크래들(26)의 대응 돌출부(54) 뒤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0. 제 8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6)은 상기 필터링 장치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수용 위치, 즉 상기 잠금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전 잠금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사전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수단(52, 54)은 잠금 해제되고, 상기 필터링 장치는 상기 어댑터(14)와 상기 크래들(26)의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수단(48, 50)에 의해 안내되는 수동 강제 횡방향 전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위치로 전환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6)은 고정 사전 잠금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고정 사전 잠금 위치에서 추가 잠금 수단(53/54)은 잠겨져, 상기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6)를 어댑터 진공 수용 포트(24)에 밀봉 결합하지 않고도, 상기 필터링 장치를 상기 크래들(26)에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소켓(24)는 멸균 가스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필터는 소수성 가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수동으로 교환 가능한 추가 진공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는 다수의 동일한 베이스(12)의 일부로 구성되고, 각각은 상기 다수의 베이스(12) 각각의 베이스 진공 전달 포트(28)에 연결되는 중앙 진공 도관을 가지는 중앙 베이스 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베이스 홀더는 상기 중앙 진공 도관을 포함하는 중앙 포스트를 가지는 회전 가능한 스탠드이고, 상기 다수의 베이스(12)는 상기 포스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크래들(26)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필터링 시스템(10).
KR1020217004135A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KR10247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2637A KR102513496B1 (ko)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2730.4A EP3593903B1 (en) 2018-07-10 2018-07-10 Liquid filtering system with vacuum valve
EP18182730.4 2018-07-10
PCT/EP2019/062214 WO2020011423A1 (en) 2018-07-10 2019-05-13 Liquid filter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637A Division KR102513496B1 (ko)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991A true KR20210032991A (ko) 2021-03-25
KR102475783B1 KR102475783B1 (ko) 2022-12-08

Family

ID=62916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637A KR102513496B1 (ko)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KR1020217004135A KR102475783B1 (ko)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637A KR102513496B1 (ko) 2018-07-10 2019-05-13 액체 필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66840B2 (ko)
EP (1) EP3593903B1 (ko)
JP (1) JP7155418B2 (ko)
KR (2) KR102513496B1 (ko)
CN (1) CN112313009A (ko)
WO (1) WO2020011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7658B (zh) * 2021-09-27 2022-08-30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涤纶纺织品二次回用处理装置
CN115521355A (zh) * 2022-09-28 2022-12-27 肇庆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蛋白质纯化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901B1 (ko) * 1996-05-17 1999-03-20 김광호 냉온정수기
KR20150055866A (ko) * 2013-11-14 2015-05-2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지지부를 갖는 필터 섬프 장착용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5315U (ko) * 1979-02-02 1980-08-14
JPH0622577U (ja) * 1991-11-12 1994-03-25 東芝機械株式会社 サクションフィルタ
CA2373198C (en) * 1999-05-28 2011-10-11 Cepheid Cartridge for conducting a chemical reaction
US6491873B2 (en) * 2001-01-23 2002-12-10 Varian, Inc. Multi-well filtration apparatus
JP2009506886A (ja) 2005-09-02 2009-02-19 ピーター ジュニア ズク, 真空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EP2170483A1 (en) * 2007-05-23 2010-04-07 Nyp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am control in a vacuum filtration system
ATE548095T1 (de) * 2007-07-26 2012-03-15 Roush Life Scienc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tützung einer vakuumfiltrationsvorrichtung
US20120180577A1 (en) * 2011-01-13 2012-07-19 Pall Corporation Peristaltic pumps and filtration assembly systems for use therewith
WO2015032464A2 (en) * 2013-09-05 2015-03-12 Merck Patent Gmbh Filter device for filtering complex fluid samples
US10088398B2 (en) * 2015-02-11 2018-10-02 Emd Millipore Corporation Stirred cell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7206381A (zh) * 2015-02-20 2017-09-26 文塔纳医疗系统公司 用于储存和运输浸入在流体中的组织样本的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901B1 (ko) * 1996-05-17 1999-03-20 김광호 냉온정수기
KR20150055866A (ko) * 2013-11-14 2015-05-2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지지부를 갖는 필터 섬프 장착용 캐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1423A1 (en) 2020-01-16
KR102475783B1 (ko) 2022-12-08
JP2021529090A (ja) 2021-10-28
US20210129057A1 (en) 2021-05-06
EP3593903B1 (en) 2020-09-02
KR102513496B1 (ko) 2023-03-23
US11666840B2 (en) 2023-06-06
EP3593903A1 (en) 2020-01-15
JP7155418B2 (ja) 2022-10-18
US20230311035A1 (en) 2023-10-05
CN112313009A (zh) 2021-02-02
KR20220165839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1035A1 (en) Liquid filtering method and system
EP0754071B1 (en) Anesthetic vaporizer filling system
EP3448450B1 (en) Fluid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9604778B2 (e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collection and other featur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R101575921B1 (ko) 약하게 밀봉된 출입부 및 증기를 투과하는 벤트를 구비한 용기
EP1919622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uum filtration
US6619318B2 (en) Multiple flow rate eductive dispenser
JP2013525064A5 (ko)
JP2013525066A5 (ko)
JP2013525065A5 (ko)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US6810923B2 (en) Pipet for liquid exchange
KR102406481B1 (ko) 실험실용 안전 시약 용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