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675B1 -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 Google Patents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675B1
KR100496675B1 KR10-2002-0059417A KR20020059417A KR100496675B1 KR 100496675 B1 KR100496675 B1 KR 100496675B1 KR 20020059417 A KR20020059417 A KR 20020059417A KR 100496675 B1 KR100496675 B1 KR 10049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270A (ko
Inventor
김기헌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6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산하는 다수의 필터링수단으로 이루어진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일측에 냉수 생산을 위해 구비되는 냉수탱크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온수탱크 없이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화수를 가열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유동 중 가열하여 단시간에 온수 생성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가열장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쉽게 삽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온수탱크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오염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방지하며, 아울러 온수 또는 음용차 필요시에만 정화수를 가열하여 정수기의 전력소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Water purifier for producing cold and hot water having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온수탱크 없이 정화수를 가열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유동 중 가열하여 단시간에 온수 또는 음용차 생성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한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필터링수단으로 구성된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30)의 일측에는 냉수의 생산을 위해 소정의 냉각수단(미도시)이 구비된 냉수탱크(40)와, 온생수를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가열수단(52)이 내장된 온수탱크(50)가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일례로서, 가열수단(52)으로는 주지된 형태의 히터(heater)를 이용하게 되며, 필요시 언제든지 온수 사용이 가능하도록 온수탱크(50) 내의 물을 가열하여 항상 일정온도로 유지시켜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동안에도 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온수탱크(50)는 항시 히터(52)에 의한 가열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였는 바, 전력소비의 증대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온수탱크(50)가 정수기 몸체(10)에 내장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정수기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온수탱크(50) 내에 수용된 물이 장기간 유지될 경우에는 수질악화는 물론 온수탱크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절전기능이 추가되며 세균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수질오염으로부터 안전한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산하는 다수의 필터링수단으로 이루어진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의 일측에 냉수 생산을 위해 구비되는 냉수탱크; 정수기 몸체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구비되며, 인출시 위에 올려지는 소정의 내열용기를 가열하도록 상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가열원인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정한 열온 유지를 위해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과,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웨이트 센서를 구비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인출된 제3 수배관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3 수배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인입관; 상기 제3 수배관의 타측에는 가열장치의 내부로 운반된 정화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첵크밸브; 상기 가열장치의 상측에는 상기 제3 수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온수를 받아 음용차를 생산하도록 상하 관통형 구조를 가지며, 세척시 정수기 몸체로부터 인출하여 분리가능하도록 서랍식 구조로 된 응축선반; 및 상기 응축선반의 내부에는 차팩이나 커피가루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며, 별도의 온수탱크 없이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화수를 상기 가열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유동 중 가열하여 단시간에 온수 생성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관은 상기 가열장치에 내재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 일측이 상기 히터의 내부를 통과하며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화수를 가열 및 저장하게 되는 별도의 온수탱크를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온수탱크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오염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방지하며, 아울러 온수 또는 음용차 필요시에만 정화수를 가열함으로써 정수기의 전력소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되, 상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 냉온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수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산하는 다수의 필터링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0)를 구비하되, 상기 필터부(20)와 정수탱크(30)는 제1 수배관(1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필터링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필터(21), 승압펌프(22), 전처리 카본필터(23), 멤브레인필터(24) 및 후처리 카본필터(2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이들간에 상기 제1 수배관(11)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침전필터(21)는 상수도 및 지하수 등의 원수를 수용하여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처리 카본필터(23)는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정수에서 염소 및 산화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멤브레인필터(24)는 전처리 카본필터(23)를 통과한 정수를 유입하고 이 정수에서 중금속 및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처리 카본필터(25)는 상기 멤브레인필터(24)를 통과한 정수를 수용하여 이 정수 속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 형태의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승압펌프(22)는 침전필터(21)와 전처리 카본필터(2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정수의 수압을 상승시켜 상기 전처리 카본필터(23) 측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멤브레인필터(24)에는 제1 수배관(11)과는 별도로 농축수배관(12)이 구비되어 이 농축수배관(12)이 도 2의 정수기몸체(10′)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농축수배관(12)을 통해서는 상기 멤브레인필터(24)에서 여과된 중금속 및 이온성 물질이 함유된 농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농축수배관(12)에는 농축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유량제어밸브(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필터(24)와 후처리 카본필터(25) 사이의 상기 제1 수배관(11)에는 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27)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필터부(20)에서는 제1 수배관(11)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침전필터(21), 전처리 카본필터(23), 멤브레인필터(24) 및 후처리 카본필터(25)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정수되어 정수탱크(30)에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멤브레인필터(24)에서 생성된 농축수는 농축수배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폐기하게 된다.
한편, 정수탱크(30)의 하부에는 냉수 생산을 위해 소정의 냉각수단(미도시)이 내장된 냉수탱크(4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냉수탱크(40)의 일면에는 제2 수배관(13)이 인출되어 냉수의 취수가 가능하도록 정수기 몸체(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에서는 도 1의 종래 냉온정수기에 구비된 별도의 온수탱크(50)를 제거하고, 냉수탱크(40)의 일측에 상기 정수탱크(30)로부터 제3 수배관(14)을 통해 운반된 정화수(미도시)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산하기 위한 가열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장치(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몸체(10′)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60)에는 가열원인 히터(62)가 내장되되, 상기 히터(62)는 가열장치(60)의 상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히터(62)의 일측에는 히터(62)가 항시 일정한 열온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64)(65)이 구비되며, 상기 히터(62)의 다른 일측에는 무게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히터전원스위치(66)를 오프(off)시키는 웨이트 센서(68)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제어수단(64)(65)은 모두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하여 구성하되, 이중 하나(64)는 온도제어용으로 적용하고, 다른 하나(65)는 과열방지용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수배관(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30)로부터 인출되어 도 2의 정수기 몸체(10′)의 앞쪽에 위치된 토출콕크(15)의 상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토출콕크(15)의 상측에는 상기 제3 수배관(14)의 끝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온수를 받아 음용차를 생산하기 위한 응축선반(70)이 구비된다. 상기 제3 수배관(14)에는 일단 가열장치(60)의 내부로 운반된 정화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첵크밸브(16)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선반(70)은 내부에 차팩(tea pack;72)이나 커피가루(미도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그물망부재(74)가 구비된 상하 관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응축선반(70)은 물청소 등의 세척을 위해 정수기 몸체(10′)로부터 인출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되, 바람직하게는 서랍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가열장치(60)는 음용차 생산을 위해 소정의 내열용기(B)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정수기 몸체(10′)로부터 서랍 방식으로 인출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3 수배관(14)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3 수배관(14)에 삽입 및 인출되는 인입관(14a)이 구비된다. 상기 인입관(14a)은 가열장치(60)에 내재된 상태로 유지되되, 그 일측이 상기 히터(62)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냉온정수기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온수 생산시 정수기 몸체(10′)로부터 가열장치(60)를 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제3 수배관(14) 내에 삽입되어 있던 인입관(14a)이 가열장치(60)의 인출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인출되면서 상기 제3 수배관(14)이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60)의 상부에 속이 빈 내열용기(B)를 올려놓고 정수기 몸체(10′)의 정면부에 설치된 히터전원스위치(66)를 켜면 가열장치(60)에 전류가 공급되어 히터(62)가 가열되는데, 이때 히터(62)는 제3 수배관(14)으로부터 인입관(14a)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정화수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정화수와 가열시 발생된 증기는 제3 수배관(14)를 따라 계속 유동하여 응축선반(70)의 상부로 유출 및 응축되어 토출콕크(15)를 통해 내열용기(B)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정수탱크(30)로부터 운반된 정화수는 가열장치(60)를 통과하면서 유동 중 가열에 의해 단시간에 온수의 생성 및 취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음용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응축선반(70)의 그물망부재(74) 위에 커피가루(미도시)나 각종 차팩(72)을 올려놓고 상기 제3 수배관(14)을 통해 운반된 온수를 흘려보내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커피나 음용차는 내열용기(B)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장치(60)는 히터(62)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내장되므로 내열용기(B)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음용차의 온도를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정수기 몸체(10′)로부터 가열장치(60)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온수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열용기(B)가 아닌 컵(미도시)을 이용하여 온수를 받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냉수만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히터(62)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가열장치(60)를 정수기 몸체(10′)로부터 인출하여 내열용기에 냉수를 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통해 각종 음용차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정화수를 가열 및 저장하게 되는 별도의 온수탱크를 제거하여 정수기 내부의 온도상승 요인을 줄임과 아울러, 온수탱크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오염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정화수를 가열 및 저장하게 되는 별도의 온수탱크를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정수기 내부의 온도상승 요인을 줄여 온수탱크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오염 및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정수기는 물을 항상 가열상태로 유지할 필요없이 온수 또는 음용차 필요시에만 가열할 수 있어 정수기의 전력소비가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 냉온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냉온정수기의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수기 몸체 11 : 제1 수배관
12 : 배수관 13 : 제2 수배관
14 : 제3 수배관 14a : 인입관
15 : 토출콕크 16 : 첵크밸브
20 : 필터부 21 : 침전필터
22 : 승압펌프 23 : 전처리 카본필터
24 : 멤브레인필터 25 : 후처리 카본필터
26 : 유량제어밸브 27 : 역류방지밸브
30 : 정수탱크 40 : 냉수탱크
60 : 가열장치 62 : 히터
64 : 온도제어수단 66 : 히터전원스위치
68 : 웨이트센서 70 : 응축선반
72 : 차팩 74 : 그물망부재
B : 내열용기

Claims (5)

  1.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산하는 다수의 필터링수단으로 이루어진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의 일측에 냉수 생산을 위해 구비되는 냉수탱크;
    정수기 몸체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구비되며, 인출시 위에 올려지는 소정의 내열용기를 가열하도록 상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가열원인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정한 열온 유지를 위해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과,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웨이트 센서를 구비하는 가열장치;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인출된 제3 수배관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3 수배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인입관;
    상기 제3 수배관의 타측에는 가열장치의 내부로 운반된 정화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첵크밸브;
    상기 가열장치의 상측에는 상기 제3 수배관의 끝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온수를 받아 음용차를 생산하도록 상하 관통형 구조를 가지며, 세척시 정수기 몸체로부터 인출하여 분리가능하도록 서랍식 구조로 된 응축선반; 및
    상기 응축선반의 내부에는 차팩이나 커피가루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며,
    별도의 온수탱크 없이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정화수를 상기 가열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유동 중 가열하여 단시간에 온수 생성 및 취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인입관은 상기 가열장치에 내재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 일측이 상기 히터의 내부를 통과하며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59417A 2002-09-30 2002-09-30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KR10049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17A KR100496675B1 (ko) 2002-09-30 2002-09-30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17A KR100496675B1 (ko) 2002-09-30 2002-09-30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70A KR20040028270A (ko) 2004-04-03
KR100496675B1 true KR100496675B1 (ko) 2005-06-22

Family

ID=3733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417A KR100496675B1 (ko) 2002-09-30 2002-09-30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6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833A (zh) * 2009-12-30 2011-07-06 上海市闸北区中小学科技指导站 一种安全饮水机底座
KR101398911B1 (ko) 2012-12-14 2014-05-27 김유석 스크랩 수거장치
US11046570B2 (en) 2016-12-09 2021-06-29 Lg Electronics Inc. Drinking liquid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80B1 (ko) * 2007-10-22 2014-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 가열 장치
KR101433202B1 (ko) * 2012-01-06 2014-08-22 주식회사 교원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KR101433206B1 (ko) * 2014-03-31 2014-08-26 주식회사 교원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KR101627177B1 (ko) * 2014-11-13 2016-06-09 황승희 물과 차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유니트
CN106388612B (zh) * 2016-09-12 2018-12-28 河南师范大学 一种新型饮水机温控装置
KR20180066578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330126A (zh) * 2019-07-12 2019-10-15 浙江艾波特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捷式取水的净水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112A (ko) * 1999-12-29 2001-07-11 정해윤 냉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112A (ko) * 1999-12-29 2001-07-11 정해윤 냉온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833A (zh) * 2009-12-30 2011-07-06 上海市闸北区中小学科技指导站 一种安全饮水机底座
KR101398911B1 (ko) 2012-12-14 2014-05-27 김유석 스크랩 수거장치
US11046570B2 (en) 2016-12-09 2021-06-29 Lg Electronics Inc. Drinking liquid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70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312B2 (en) Fluid treatment system
US6451211B1 (en) On premise water treatment method for use in a post mix beverage dispenser
KR100496675B1 (ko)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JPH09192663A (ja)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101164722B1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0927149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CN106073511A (zh) 带过滤功能的即热式饮用水加热装置
KR20090112902A (ko) 세라믹 멤브레인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100389724B1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0824416B1 (ko)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027843A (ko) 식수 제조장치
CN207805219U (zh) 一种外置水箱型净水器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0439730B1 (ko)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CN105948298A (zh) 净水机系统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CN218978612U (zh) 多功能气泡水直饮机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CN219136397U (zh) 熟水机
KR20060118216A (ko)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CN211141720U (zh) 一种制水机
CN116161720A (zh) 熟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5